KR102037754B1 -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754B1
KR102037754B1 KR1020190063679A KR20190063679A KR102037754B1 KR 102037754 B1 KR102037754 B1 KR 102037754B1 KR 1020190063679 A KR1020190063679 A KR 1020190063679A KR 20190063679 A KR20190063679 A KR 20190063679A KR 102037754 B1 KR102037754 B1 KR 10203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asting
heating plate
shaft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선
Original Assignee
박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선 filed Critical 박경선
Priority to KR102019006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판의 과열로 인한 구이류의 탄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가열판 상부에 배열되는 구이판; 및 상기 가열판 또는 구이판에 구비되어, 구이판을 가열판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GRILL PLATE}
본 발명은 구이판의 과열로 인한 구이류의 탄화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가열판 상부에 배열되는 구이판; 및 상기 가열판 또는 구이판에 구비되어, 구이판을 가열판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불판은 각종 레인지 등의 열원 위에 얹어서 육류 등을 구이로 요리하는데 사용된다.
등록특허 제10-1916810호, 등록특허 제10-1828896호, 등록특허 제10-1775149호, 공개특허 제10-2018-005198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구이용 불판은 열원에 불판이 직접 가열되는 방식이어서, 구이류의 탄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당히 익혀지는 시기를 살펴서 화염을 수시로 조절하거나, 눌러 붙어 탄화되기 전에 취식함에 있어서 구이류 고유의 맛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고,
과열에 의한 영양 파손과 발암물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류가 탄화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유해가스와 냄새는 이차적인 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류 등의 구이류를 조리할 때, 구이판의 과열에 의해 구이류 눌러 붙어 금방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판에 대하여 구이판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돌기 구조를 통해 가열판과 구이판을 이격시키면서, 이격된 구이판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구이류의 조리 및 취식을 편리하게 하고,
나아가 구이류의 종류, 취식자의 취향 등에 따라 구이판의 이격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
상기 가열판 상부에 배열되는 구이판; 및
상기 가열판 또는 구이판에 구비되어, 구이판을 가열판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에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가열판의 상면 또는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에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가열판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축돌기,
상기 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구이판의 저면 중앙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돌기로 지지되는 축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에 대하여 구이판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에서,
상기 축돌기는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축홈부는 상기 축돌기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져,
상기 가열판에 대하여 구이판의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는,
가열판과 구이판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구이판에 대한 직접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이판의 과열로 인한 구이류의 탄화를 방지하여 조리를 쉽게 하고,
가열판과 구이판의 구조 간소화를 통해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이격 구조를 이용한 구이판의 회전, 구이판의 높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구이류를 취식자의 취향에 맞게 적당한 굽기로 조절하여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b, 도 2 c는 도 2a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5는 도 2b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10);
상기 가열판(10) 상부에 배열되는 구이판(20); 및
상기 가열판(10) 또는 구이판(20)에 구비되어, 구이판(20)을 가열판(10)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판(10)은 각종 레인지 등의 열원 위에 놓여서 열원으로부터 직접 가열되어, 구이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구이판(20)에 전달하는 것으로, 도 1, 도 2에 도시된 제1, 제2 실시예의 가열판(10)은 테두리를 따라 측벽부(11)가 입설된 받침 형태이고, 도 3, 도 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가열판(10)은 박스형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가열판(10)의 상면 또는 상기 구이판(20)의 저면에서 돌출된 1개 이상의 이격돌기(21)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구이판(20)의 저면에서 돌출된 이격돌기(21)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열판(10)의 상면에 이격돌기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구이판(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가열판(10) 위에 놓일 수 있도록, 구이판(20)의 전체 형상에 맞춰 복수개의 이격돌기(21)가 전후좌우로 균형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구비되는 이격돌기(21)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
상기 이격돌기(21)는 돌출방향의 끝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감되는 원추형 돌기로써, 가열판(10)에 대한 구이판(20)의 이격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가열판(10)에서 발생하는 복사열 전달과 별개로 이격돌기(21)의 접촉 구조에 의한 열전도를 통해 구이판(20)이 적정 온도로 빠르게 가열되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이격돌기(21)의 높이, 즉 가열판(10)과 구이판(20) 사이의 간격은, 가열판(10)에서 구이판(20)으로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유지되면서도, 구이판(2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정 높이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가열판(10)과 구이판(20)의 각 두께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그 범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22는 구이판(20)의 테두리부에서 상향 절곡된 끝단부에 외측으로 돌출 연결된 플랜지부(22)로써, 가열판(10)의 측벽부(11) 상단에 지지되어 구이판(20)이 가열판(10) 위에 안전하게 놓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이판(20)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열전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구이류에서 발생한 기름이 구이판(20)의 하부로 배출되게 하며, 따라서 상기 가열판(10)은 기름 받침으로도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10)에 기름 배출을 위한 별도의 홈이나 구멍, 배수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가열판(10)과 구이판(20)의 운반 등을 위한 손잡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이러한 구이판(20)의 통기공, 가열판(10)의 기름 배출 구조, 손잡이 등은 구이용 불판 등에 적용되는 공지된 것으로써,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술하는 제2, 제3 실시예에도 그 형태에 맞춰 적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가열판(10)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축돌기(12),
상기 축돌기(12)에 대응하여 상기 구이판(20)의 저면 중앙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돌기(12)로 지지되는 축홈부(23)를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10)에 대하여 구이판(20)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는 구이판(20)의 좌우 수평 회전에 맞춰, 원형의 구이판(20)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열판(10)을 원형 구조로 유지하면서 구이판(20)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축돌기(12)는 상기 이격돌기(21)와 마찬가지로 돌출방향의 끝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감되는 원추형 돌기로써, 가열판(10)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격돌기(21)와 같은 구이판(20)의 이격 구조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구이판(20)의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한다.
상기 축홈부(23)는 상기 축돌기(12)에 대응하여, 구이판(20)의 저면 중앙에 돔 형상으로 오목 형성된 것으로, 축홈부(23)의 중심부에 상기 축돌기(12)의 끝단부가 접촉하여, 축 지지가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축돌기(12) 및 축홈부(23)를 중심으로 상기 이격돌기(21)가 방사상으로 추가 배열되어 구이판(20)의 전후좌우 균형을 맞춰지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구이판(20)의 안정적인 고정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열판(10)의 측벽부(11)에는 상단면 내측 일부가 단차 구조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11a)이 구비되어,
상기 구이판(20)의 플랜지부(22)가 상기 안착홈(11a)에 수용되어 구이판(20)이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안착홈(11a)은 구이판(20)의 전체 균형을 맞출 뿐만 아니라, 구이판(2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로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구이판(20)은 상기 플랜지부(22) 내측에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회전 유도홈(24)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 유도홈(24)은 구이판(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회전 유도홈(24)은 가열판(10)으로의 기름 배출을 위한 구멍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조리 도구를 이용해 구이판(2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구이판(20)의 과열을 방지함은 물론, 구이를 하면서 사용자가 구이판(20)을 회전시켜 구이판(20) 위에 구이류를 보다 쉽게 올리거나, 먼 거리의 구이류를 보다 쉽게 잡아서 취식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12)는 외주면에 수나사부(12a)를 갖고,
상기 축홈부(23)는 상기 축돌기(12)의 수나사부(12a)가 끼워져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3a)를 가져,
상기 가열판(10)에 대하여 구이판(20)의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돌기(12)는 일반 볼트 형태로써, 구이판(20)의 축홈부(23)가 축돌기(12)에 완전하게 조여졌을 때, 구이판(20)이 가열판(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나사부(12a)의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민짜부(12b)를 구비한다.
상기 축홈부(23)는 암나사부(23a)가 상기 수나사부(12a)에 대응하는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수나사부(12a)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을 형성한다.
이렇게 축돌기(12)와 축홈부(23)가 서로 나사 결합되면,
구이판(20)을 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나사부들(12a)(23a)들이 서로 조여지면서 구이판(20)이 하강하고,
반대로 구이판(20)을 왼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나사부들(12a)(23a)들이 서로 풀리면서 구이판(20)이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구이판(20)의 높이 조절을 통해, 높이에 따라 구이판(20)의 가열 온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열원의 화력을 따로 조절하지 않더라도 구이류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익힘 정도) 등에 맞춰 구이판(20)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 시 구이판(20)을 양방향으로 임의로 회전시켜 구이판(20) 위에 구이류를 보다 쉽게 올리거나, 먼 거리의 구이류를 쉽게 자아서 취식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축돌기(12)와 축홈부(23)의 나사 결합 구조는, 가열판(10)의 상부로 이격된 구이판(20)의 전후좌우 균형을 잡아서 결속시키는 지지봉으로 기능하여, 구이판(20)의 상승으로 인해 플랜지부(22)가 안착홈(11a) 위로 들리더라도, 구이판(20)이 쓰러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나아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20)은 상기 축돌기(12)가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구이판(20)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 형태의 암나사부(23a')와, 축돌기(12)의 수나사부(12a) 끝단부에 체결되어 구이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부재(23N)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재(23N)는 상기 암나사부(23a)가 형성된 축홈부(23)가 구이판(20)과 분리된 별도의 너트 형태로써, 암나사부(23a')와 동일한 내경의 암나사부(23Na)를 구비하여, 구이판(20)과 별개로 축돌기(12)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이판(20)은 회전 시 축돌기(12)의 수나사부(12a)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 조절, 즉 가열판(10)과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때 너트부재(23N)로 인해 구이판(20)이 최상측 높이로 상승하였을 때 구이판(20)이 축돌기(12)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판(10)은 양 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슬라이딩홈(14)과, 상기 슬라이딩홈(14)의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노출홈(15)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홈(14)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고, 상면에 계단식으로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출홈(15)에 끼워지는 지지단(16A)을 구비한 지지대(16)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대(16)의 전후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구이판(20)이 지지되는 지지단(16A)의 층별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가열판(10)과 구이판(20)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가열판(10)은 박스형 구조로써, 양 측면이 개구된 슬라이딩홈(14)이 형성되고, 측벽부(11) 상단이 'ㄱ'자 구조로 절곡되어 측벽부(11)들 사이에 상기 노출홈(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6)는 상기 가열판(10)의 양측 슬라이딩홈(14)에 끼워져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 계단형 지지단(16A)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지지단(16A) 양측 및/또는 전방측으로 가이드부(16B)가 돌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4)을 따라 지지대(16)의 전후진이 안내된다.
상기 지지단(16A)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각 층별로 그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형 구조물로써, 도면에서는 총 3개의 지지면(16a)(16b)(16c)을 구비한 지지단(16A)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면(16a)(16b)(16c)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
다만 최하층 지지면(16c)을 이용해 구이판(20)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최하층 지지면(16c)이 측벽부(11)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측벽부(11)의 상단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6C는 지지대(16)의 전후진을 위한 손잡이로써, 지지대(16)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손잡이의 구체적인 형태나 높이 등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지지대(16)는 슬라이딩홈(14)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가이드부(16B)가 각 슬라이딩홈(14)의 내측면들에 면접하여 상하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며,
지지단(16A)의 지지면(16a)(16b)(16c)들이 노출홈(15)의 상부로 노출됨에 따라, 지지대(16)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구이판(20)이 거치되는 지지면(16a)(16b)(16c)을 선택하여 가열판(10)에 대한 구이판(20)의 이격 높이를 필요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구이류의 종류나 사용자의 취향(익힘 정도) 등에 따라 구이판(20)의 높이를 쉽게 변경함으로써, 열원의 화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높이에 따라 구이판(20)의 가열 온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의 이격수단을 통해 가열판(10)과 구이판(20)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구이판(20)에 대한 직접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구이판(20)의 과열을 방지하여 구이류의 탄화를 방지함으로써, 조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별 추가적인 특징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통기공, 기름 배출 구조, 운반을 위한 손잡이 등의 구성을 생략하였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명세서의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되었으나, 본 발명의 구이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열원의 종류(예를 들어 가스레인지, 인덕션 레인지 등)에 맞춰 가열판(10)을 열원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 내지 거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받침 구조가 채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구이 장치가 열원 기기와 별개의 휴대용으로 제작됨은 물론, 테이블에 매립된 열원용 불판, 기타 열원을 포함하는 각종 구이 장치용 불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부재(23N)가 없는 구이판(20)을 왼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시키면, 암나사부(23a)가 수나사부(12a)에서 완전하게 풀리면서 구이판(20)이 가열판(10)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조리 중에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화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축돌기(12)와 축홈부(23)의 나사 결합 구조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축홈부(23)가 축돌기(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구조를 도입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돌기(12)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승강공(12c)을 포함하고, 승강공(12c)의 내측 상단부에는 내경이 상하로 서로 다르게 단차를 갖게 형성된 단턱부(12d)가 구비되며,
상기 축홈부(23)는 암나사부(23a)의 바닥면(개구부의 반대편, 도면 상 천장면)에서 하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승강공(12c)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상기 단턱부(12d)에 걸리는 걸림돌기(23c)를 구비한 이탈방지봉(23b)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단턱부(12d)는 축돌기(12)의 헤드부 내경이 나머지 부위의 내경보다 작아서, 내경의 차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3c)는 이탈방지봉(23b)의 하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걸림돌기(23c)는 구이판(20)의 나사 회전에 따른 높이 변경을 저해하지 않고, 다만 구이판(20)이 최고 높이로 회전하여 상승하였을 때, 걸림돌기(23c)가 단턱부(12d)에 걸리면서 축홈부(23)가 축돌기(12)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사용 후 세척 시에는 가열판(10)과 구이판(20)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편리한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3c)와 단턱부(12d)로 인해 구이판(20)이 가열판(10)에서 분리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이판(20)을 가열판(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23c)의 내측면에 면접하여 접합되되, 걸림돌기(23c)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 팽창부재(23d)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걸림돌기(23c)와 팽창부재(23d)는 서로 열팽창계수가 다른 일종의 바이메탈(bimetal)을 형성한다.
따라서 구이판(20)이 가열되지 않은 상온 상태에서는 걸림돌기(23c)와 팽창부재(23d)가 이탈방지봉(23b)의 길이방향으로 펴진 상태가 유지되어, 걸림돌기(23c)가 단턱부(12d)에 걸리지 않아 가열판(10)과 구이판(20)의 완전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고,
구이류 조리 시 구이판(20)이 가열된 고온 상태에서는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걸림돌기(23c)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돌기(23c)가 단턱부(12d)에 걸리게 됨으로써, 구이판(20)의 상승 시 구이판(20)이 가열판(10)에서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가열판 11 : 측벽부
11a : 안착홈 12 : 축돌기
12a : 수나사부 12b : 민짜부
12c: 승강공 12d : 단턱부
14 : 슬라이딩홈 15 : 노출홈
16 : 지지대 16A : 지지단
16a, 16b, 16c : 지지면 16B : 가이드부
16C : 손잡이
20 : 구이판 21 : 이격돌기
22 : 플랜지부 23 : 축홈부
23a : 암나사부 23b : 이탈방지봉
23c : 걸림돌기 23d : 팽창부재
24 : 회전 유도홈

Claims (4)

  1.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10);
    상기 가열판(10) 상부에 배열되는 구이판(20); 및
    상기 가열판(10) 또는 구이판(20)에 구비되어, 구이판(20)을 가열판(10)에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가열판(10)의 상면 중앙에서 돌출된 축돌기(12),
    상기 축돌기(12)에 대응하여 상기 구이판(20)의 저면 중앙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돌기(12)로 지지되는 축홈부(23)를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10)에 대하여 구이판(20)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축돌기(12)는 외주면에 수나사부(12a)를 갖고,
    상기 축홈부(23)는 상기 축돌기(12)의 수나사부(12a)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3a)를 가져,
    상기 가열판(10)에 대하여 구이판(20)의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축돌기(12)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승강공(12c)을 포함하고, 승강공(12c)의 내측 상단부에는 내경이 상하로 서로 다르게 단차를 갖게 형성된 단턱부(12d)가 구비되며,
    상기 축홈부(23)는 암나사부(23a)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승강공(12c)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상기 단턱부(12d)에 걸리는 걸림돌기(23c)를 구비한 이탈방지봉(2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23c)는 이탈방지봉(23b)의 하측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이판(20)을 가열판(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23c)의 내측면에 면접하여 접합되되, 걸림돌기(23c)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 팽창부재(23d)를 더 포함하여,
    구이판(20)이 가열되지 않은 상온 상태에서는 걸림돌기(23c)와 팽창부재(23d)가 이탈방지봉(23b)의 길이방향으로 펴진 상태가 유지되어, 걸림돌기(23c)가 단턱부(12d)에 걸리지 않아 가열판(10)과 구이판(20)의 완전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고,
    구이류 조리 시 구이판(20)이 가열된 고온 상태에서는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걸림돌기(23c)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돌기(23c)가 단턱부(12d)에 걸리게 됨으로써, 구이판(20)의 상승 시 구이판(20)이 가열판(10)에서 완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격 구이판(20)을 구비한 구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3679A 2019-05-30 2019-05-30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KR10203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79A KR102037754B1 (ko) 2019-05-30 2019-05-30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679A KR102037754B1 (ko) 2019-05-30 2019-05-30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754B1 true KR102037754B1 (ko) 2019-10-29

Family

ID=6842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679A KR102037754B1 (ko) 2019-05-30 2019-05-30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7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948Y1 (ko) * 2000-10-05 2001-02-15 김규한 구이판
KR200320473Y1 (ko) * 2003-04-10 2003-07-23 김승 승하강식 2중 고기구이판
KR200385600Y1 (ko) * 2004-10-26 2005-05-31 김경석 이중석쇠
KR200398849Y1 (ko) * 2005-07-22 2005-10-17 안병석 이중 불판
KR200422816Y1 (ko) * 2006-05-12 2006-08-01 김임순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948Y1 (ko) * 2000-10-05 2001-02-15 김규한 구이판
KR200320473Y1 (ko) * 2003-04-10 2003-07-23 김승 승하강식 2중 고기구이판
KR200385600Y1 (ko) * 2004-10-26 2005-05-31 김경석 이중석쇠
KR200398849Y1 (ko) * 2005-07-22 2005-10-17 안병석 이중 불판
KR200422816Y1 (ko) * 2006-05-12 2006-08-01 김임순 이중 불판
KR20100026673A (ko) * 2008-09-01 2010-03-10 (주)페어프랜즈 구이 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4071C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US20170332840A1 (en) Cooktop Insert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2037754B1 (ko) 이격 구이판을 구비한 구이 장치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20120037731A (ko) 숯불구이장치
KR101092525B1 (ko) 화력조절용 구이판
KR20110046002A (ko) 구이용 불판
KR101050480B1 (ko) 전기 로스터
KR200196662Y1 (ko) 높낮이조절구조를 갖는 구이판받침대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447482B1 (ko) 그레이트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스레인지
KR101648950B1 (ko)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20060116687A (ko) 육류 구이판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US20170215635A1 (en) Wok Device for Support, Heat Enhancement, and the Rapid Lighting of Solid Fuel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