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752B1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752B1
KR102181752B1 KR1020190103721A KR20190103721A KR102181752B1 KR 102181752 B1 KR102181752 B1 KR 102181752B1 KR 1020190103721 A KR1020190103721 A KR 1020190103721A KR 20190103721 A KR20190103721 A KR 20190103721A KR 102181752 B1 KR102181752 B1 KR 10218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heat source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병원
정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길병원
정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길병원, 정호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10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구이용 불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이용 불판은, 안내측벽이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안내측벽에 안내장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 위에 결합되고 일측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는 상판이 각각 마련되는 불판 본체; 상기 하판에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도록 마련되는 열원부; 및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장공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내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 구이시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열원부를 불판 본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도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불판 본체의 하판에 대해 상판을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여 열을 전도 및 복사에 의한 혼합 방식으로 전달하여 열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면서도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ROASTING PLATE}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 구이시 자체 열원 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은 각종 고기 등의 대상물을 익혀 먹기 위하여 제공되는 수단으로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불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불판을 사용함에 있어 크게 그 방식에 따라 구분할 경우, 숯불과 같은 열원 위에 석쇠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입의 불판을 거치해 두고 그 위에 고기를 구워 먹는 직접 가열 방식과, 열원 위에 통공이 없는 금속 또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불판을 두고 열원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불판 전체를 달구어 고기를 구워 먹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불판은 열원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고, 특히 열원을 준비하지 못하거나 혹은 화재 예방을 인한 안전상의 이유로 열원의 사용이 제한되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은 평판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의 배출을 위해 불판의 각도를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인위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986822호(2019년05월31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20485호(2016년05월04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기 구이시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열원부를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여 열을 전도 및 복사에 의한 혼합 방식으로 전달하여 열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면서도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각종 고기를 익혀 먹기 위한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안내측벽이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안내측벽에 안내장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 위에 결합되고 일측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는 상판이 각각 마련되는 불판 본체; 상기 하판에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도록 마련되는 열원부; 및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장공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내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안내장공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축;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안내측벽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축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장공은, 상기 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반구형상을 갖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은, 상기 롤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열원부는 상기 롤러가 수용홈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상판과 밀착되어 상기 열원부의 열을 상판에 직접 전도 방식으로 전달하고, 상기 롤러가 수용홈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상판과 이격되어 상기 열원부의 열을 상판에 복사 방식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은, 그 테두리에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상판의 각도 조절시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부는, 시트부의 한쪽 면에 띠 형상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낱줄의 전도성 발열 섬유가 상기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그 양단이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시트부에 일체로 직조되며, 상기 시트부의 상,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절연체로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부는, 시트부의 한쪽 면에 띠 형상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한쪽 면 전체에 상기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연결되도록 그래핀이 일체로 코팅되며, 상기 시트부의 상,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절연체로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부는, 상기 절연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열시트는 상기 열원부의 열이 상기 하판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단물질은,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시트의 하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토류는, 란탄(La), 루테튬(Lu), 세륨(Ce), 가돌리븀(Gd) 및 프라세오디륨(P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 구이시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열원부를 불판 본체에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도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불판 본체의 하판에 대해 상판을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여 열을 전도 및 복사에 의한 혼합 방식으로 전달하여 열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면서도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용 불판의 불판 본체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이용 불판의 열원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원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용 불판의 각도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열원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 본체(10)와, 열원부(20)와, 그리고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한다.
불판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하판(12)과, 그리고 상판(14)을 포함한다.
하판(12)은 사각 형상의 평판 구조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일정면적을 갖는 설치홈(122)이 형성된다. 설치홈(122)은 후술하는 열원부(2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판(12)은 그 내부에 수용홈(124)이 형성된다. 수용홈(124)은 후술하는 각도조절부(30)의 롤러(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불판 본체(10)는 롤러(34)가 수용홈(124)에 수용되는 경우 하판(12)과 상판(14)의 밀착 구조를 제공하고, 롤러(34)가 수용홈(124)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하판(12)과 상판(14)의 이격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하판(12)은 그 양측에 안내장공(128)을 갖는 안내측벽(126)이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안내측벽(126)은 하판(12)의 상부면보다 높게 돌출되고, 안내장공(128)은 안내측벽(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장공(128)은 상판(14)의 각도 조절을 위해 각도조절부(30)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안내장공(128)은 그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반구 형상의 요홈(129)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129)은 상판(14)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시 각도조절부(30)를 안내장공(128)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14)은 각종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판(12) 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판(14)은 하판(12)과 대응되는 평판 구조로 형성되어 그 일측이 하판(12)에 힌지(142)를 매개로 결합되고, 각도조절부(30)에 조작에 따라 힌지(142)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판(14)은 그 테두리에 띠 형상의 돌출부(144)가 형성되되, 돌출부(144)에는 상판(14)의 각도 조절시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 배출구(146)가 형성된다. 이때, 기름 배출구(146)는 상판(14)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기름 배출구(146)는 상판(14)의 각도조절시 하향 경사 구조로 유지되어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불판 본체(10)는 고기를 구워 익힐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금속 혹은 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불판 본체(10)는 고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불판 본체는 고내열성을 갖는 피이티(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아미드(P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불판 본체(10)의 설명에 있어, 열원부(20)는 기본적으로 하판(12)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열원부(20)는 상판(14)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열원부(20)가 설치된 상판(14)은 하판(14)과 분리되어 독립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열원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에 일체로 설치되도록 마련되며, 시트부(21)와,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과, 낱줄의 전도성 발열 섬유(25)와, 절연체(27)와, 그리고 단열시트(28)를 포함한다.
시트부(21)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비전도성 섬유로 직조되어 형성된다. 즉, 시트부(21)는 한쪽 면에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과, 낱줄의 전도성 발열 섬유(25)가 다수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시트부(21)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은 시트부(21)의 한쪽 면에 일체화되도록 결합된다. 즉,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부(21)의 한쪽 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뒤 일체화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은 낱줄의 전도성 발열 섬유(25)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도성 발열 섬유(25)는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 사이에 배치되도록 시트부(21)의 한쪽 면에 결합된다. 즉, 전도성 발열 섬유(25)는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 사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되 그 양단이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시트부(21)의 한쪽 면에 직조된다. 이때, 전도성 발열 섬유(25)는 플러스 전극(23) 및 마이너스 전극(24)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고기를 구워 익힐 수 있는 열원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서 전도성 발열 섬유(25)는 탄소 및 그래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이 나일론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면사(면)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유리 섬유에 코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니크롬선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연체(27)는 시트부(21)의 상,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코팅 처리된다. 즉, 절연체(27)는 시트부(21)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이 코팅되며, 이에 따라 열원부(20)는 절연 구조를 확보하면서도 습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절연체(27)는 폴리우레탄 대신에 고내열성과 절연성을 갖는 피이티(PET),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미드(P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열시트(28)는 절연체(27)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열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단열시트(28)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직조되며, 그 일면에 열차단물질(29)이 코팅된다.
열차단물질(29)은 단열시트(28)의 일면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질(세라믹)과 희토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단열시트의 일면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코팅에 의해 일체화되게 된다.
그리고 열차단물질(29)은 시트부(21)에 마련된 전도성 발열 섬유(25)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상판 방향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수지에 무기질 40~50%, 희토류 50~60%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희토류는 란탄(La), 루테튬(Lu), 세륨(Ce), 가돌리븀(Gd) 및 프라세오디륨(P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차단물질(29)의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물은 전도성 발열 섬유(25)로부터 발산되는 반사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단열시트(28)는 열차단물질(29)에 의해 전도성 발열 섬유(25)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판(14) 방향으로만 제공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전도성 발열 섬유(25)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단열시트(28)의 일면에 코팅된 열차단물질(29)에 의해 상판(14) 방향으로만 발산되며 이에 따라 하판(12) 방향으로 열의 이동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열원부(20)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0A’는 플러스 전극(23)과 마이너스 전극(24)에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20B’는 접속단자(20A)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부호 ‘20C’는 전원케이블(20B)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20D’는 전원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전원단자(20D)는 USB단자 또는 플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원부(20)는 외부 전원과 전기전으로 연결되어 발열되거나 또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원부(20)는 불판 본체(10)에 일체로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어 상판(14)에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각도조절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 구이시 불판 본체(10)의 상판(14)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축(32)과, 한 쌍의 롤러(34)와, 그리고 손잡이(36)를 포함한다.
축(32)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그 양단이 안내장공(128)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 쌍의 롤러(34)는 하판(12)과 상판(14) 사이에 배치되도록 축(32)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이때, 하판(12)의 상면과 상판(14)의 저면에는 롤러(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6)는 안내측벽(126)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축(32)의 양측에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36)는 열원부(20)로 전달되는 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불판 본체(10)와 동일한 고내열성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내열성 합성수지는 피이티(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및 폴리아미드(PI)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내장공(128)을 따라 안내되는 과정에서 롤러(34)에 의해 상판(14)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용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30)의 롤러(34)는 하판(12)의 수용홈(124)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하판(12)과 상판(14)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하판(12)과 상판(14)의 밀착 구조에 의해 열원부(20)의 열이 상판(14)에 전도 방식으로 전달됨으로써 상판(14)은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하판(12)과 상판(14) 사이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판(14)은 하판(12)에 대해 일정각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즉, 각도조절부(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내측벽(126)의 안내장공(128)을 따라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롤러(34)는 각도조절부(30)에 의해 하판(12)의 수용홈(124)으로부터 벗어나 하판(12)과 상판(1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판(14)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된 후 열원부(20)의 열이 복사 방식으로 전달됨으로써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가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각도조절부(30)에 의한 상판(14)의 각도 조절시 축(32)은 안내장공(128)의 요홈(129)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판(14)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된 후 안내장공(128) 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은, 고기 구이시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는 열원부(20)를 불판 본체(10)에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에 따른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도조절부(30)의 조작에 따라 불판 본체(10)의 하판(12)에 대해 상판(14)을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여 열을 전도 및 복사에 의한 혼합 방식으로 전달하여 열의 세기를 조절 가능하면서도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부(20)의 시트부(21)에 전도성 발열 섬유(25) 대신에 그래핀(26)이 코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열원부(20)는 시트부(21)의 한쪽 면에 띠 형상의 플러스 전극(23)과 마이너스 전극(2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시트부(21)의 한쪽 면 전체에 플러스 전극(23)과 마이너스 전극(24)에 연결되도록 그래핀(26)이 일체로 코팅되는 구조로 된 것이며, 이를 제외한 열원부(2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은, 시트부(21)에 그래핀(26)을 코팅하여 열원부(20)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발열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불판 본체
12: 하판
122: 설치홈
124: 수용홈
126: 안내측벽
128: 안내장공
14: 상판
142: 힌지
144: 돌출부
146: 기름 배출구
20: 열원부
21: 시트부
23: 플러스 전그
24: 마이너스 전그
25: 전도성 발열 섬유
26: 그래핀
27: 절연체
28: 단열시트
29: 열차단물질
30: 각도조절부
32: 축
34: 롤러
36: 손잡이

Claims (10)

  1. 각종 고기를 익혀 먹기 위한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안내측벽이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안내측벽에 안내장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 위에 결합되고 일측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되는 상판이 각각 마련되는 불판 본체;
    상기 하판에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되도록 마련되는 열원부; 및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장공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내장공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안내장공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는 축;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축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안내측벽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축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롤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열원부는 상기 롤러가 수용홈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상판과 밀착되어 상기 열원부의 열을 상판에 직접 전도 방식으로 전달하고, 상기 롤러가 수용홈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상판과 이격되어 상기 열원부의 열을 상판에 복사 방식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공은,
    상기 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반구형상을 갖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그 테두리에 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상판의 각도 조절시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시트부의 한쪽 면에 띠 형상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낱줄의 전도성 발열 섬유가 상기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그 양단이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시트부에 일체로 직조되며, 상기 시트부의 상,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절연체로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시트부의 한쪽 면에 띠 형상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시트부의 한쪽 면 전체에 상기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에 연결되도록 그래핀이 일체로 코팅되며, 상기 시트부의 상,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절연체로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부는,
    상기 절연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단열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열시트는 상기 열원부의 열이 상기 하판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열차단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물질은,
    나노미터 크기의 무기질과 희토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시트의 하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는,
    란탄(La), 루테튬(Lu), 세륨(Ce), 가돌리븀(Gd) 및 프라세오디륨(P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1020190103721A 2019-08-23 2019-08-23 구이용 불판 KR10218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21A KR102181752B1 (ko) 2019-08-23 2019-08-23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21A KR102181752B1 (ko) 2019-08-23 2019-08-23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752B1 true KR102181752B1 (ko) 2020-11-24

Family

ID=7367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21A KR102181752B1 (ko) 2019-08-23 2019-08-23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939A2 (en) * 2004-11-24 2006-06-01 C. Cretors And Company Oscillating hot dog grill
KR20120017341A (ko) * 2010-08-18 2012-02-28 주식회사 디엠월드 전기 그릴
KR20120027081A (ko) * 2010-09-12 2012-03-21 김경중 가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4279A (ko) * 2011-09-28 2013-04-05 윤수호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1620485B1 (ko) 2014-05-20 2016-05-13 일신이엔지 주식회사 구이용 불판
KR101986822B1 (ko) 2017-12-11 2019-06-10 오정근 불판구이용 다용도 구이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939A2 (en) * 2004-11-24 2006-06-01 C. Cretors And Company Oscillating hot dog grill
KR20120017341A (ko) * 2010-08-18 2012-02-28 주식회사 디엠월드 전기 그릴
KR20120027081A (ko) * 2010-09-12 2012-03-21 김경중 가열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4279A (ko) * 2011-09-28 2013-04-05 윤수호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1620485B1 (ko) 2014-05-20 2016-05-13 일신이엔지 주식회사 구이용 불판
KR101986822B1 (ko) 2017-12-11 2019-06-10 오정근 불판구이용 다용도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9494C (en) Apparatus for grilling or browning food
ES2219875T3 (es) Aparato electrico para tostar o recalentar un alimento plano.
EP3051208B1 (en) Cooking device
US3600552A (en) Portable electric appliance
KR200456718Y1 (ko)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GB2155289A (en) Electric heating unit
KR101686650B1 (ko) 난방용 방열기
KR102181752B1 (ko) 구이용 불판
US3859498A (en) Infrared radiation system
US20170156181A1 (en) Cooking apparatus
US4933533A (en) Demisting mirror
KR102150658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HK1034851A1 (en) Electric cooking and toasting apparatus and electric elements therefor
KR200441881Y1 (ko) 커버를 구비한 할로겐 램프 구이기
US20170290402A1 (en) Flatiron with Central Comb
CN101606431B (zh) 烹饪器具
US20050061794A1 (en) Turntable incorporating heating means and oven incorporating the same
US20040003727A1 (en) Electrical food warming apparatus
KR101099554B1 (ko) 원적외선 전기 히터
DE69907264D1 (de) Elektrisches koch- und toastgerät sowie zugehörige elektrische elemente
US20050286877A1 (en) Sauna apparatus
KR20100005691A (ko) 황토층을 포함하는 오븐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102583772B1 (ko) 탄소나노베이스 발열시스템
CN107007159A (zh) 红外煎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