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58B1 -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58B1
KR102150658B1 KR1020190019805A KR20190019805A KR102150658B1 KR 102150658 B1 KR102150658 B1 KR 102150658B1 KR 1020190019805 A KR1020190019805 A KR 1020190019805A KR 20190019805 A KR20190019805 A KR 20190019805A KR 102150658 B1 KR102150658 B1 KR 10215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gas
rotation shaf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66A (ko
Inventor
지홍식
Original Assignee
지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홍식 filed Critical 지홍식
Priority to KR102019001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용 가스레인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원통형의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가스통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형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조리 받침부; 및 전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조리 받침부에 의해 특정 각도로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한 회전과 동시에 가열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PORTABLE GAS RANGE INTEGRATED CYLINDRICAL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용 가스레인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원통형의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식의 조리기(압력밥솥, 전기밥솥 등)는 하우징 내벽이나 바닥에 히터를 설치하고 조리팬을 하우징 내부 공간에 안치시켜 동축 상태로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음식물의 가열이 히터 부위에 집중되어 조리시 타거나 균일하게 조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기름이 배출되는 경우 배출되는 기름이 타거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조리기를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원통식 조리기가 최근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원통식 조리기는 고기, 생선, 채소, 견과류 등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굽거나 찌는데 주로 사용하며, 조리통을 경사지게 배치한 다음, 조리통의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조리통을 가열하면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한다.
다만, 원통식 조리기는 조리 기능의 조리통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열원을 제공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방식이어서, 전기 소모가 많고, 전기히터를 내장하므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조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통식 조리기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여 사용 장소와 시간에 제약 받게 되므로 사용성이 떨어지며, 조리통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음식물이 조리통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용 가스레인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원통형의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시에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조리 냄비의 거치 및 조리 각도를 조절하여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과 독립되어 회전하지 않는 기름 받침을 배치하여 조리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1차적으로 수집한 후 하방으로만 기름 및 찌꺼기를 흘려 보냄에 따라 기름 및 찌꺼기의 분산을 방지하고 추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가스통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형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조리 받침부; 및 전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조리 받침부에 의해 특정 각도로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한 회전과 동시에 가열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가스통을 수용하고, 상기 가스통의 개폐를 조절하는 가스 노브를 포함하는 가스 본체; 상기 조리 받침부의 내부에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조리 받침부와 함께 각도 조절되고, 상기 가스를 통해 열을 발산하여 상기 조리부를 가열하는 열 발산관; 및 상기 가스 본체와 상기 열 발산관을 연결하는 가스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특정 제1 결합공과 특정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조리부의 전단 하부에서 상기 조리부의 전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 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일정 압력에 의해 상하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조리부의 후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는 후단 중심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조리부의 돌출부에 끼워진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요철홈에 걸림에 따라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받침부에 탈부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며, 상기 조리부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기름을 1차적으로 수집하는 기름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용 가스레인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원통형의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하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시에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조리 냄비의 거치 및 조리 각도를 조절하여 조리 냄비 내에 담기는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독립되어 회전하지 않는 기름 받침을 배치하여 조리 냄비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1차적으로 수집한 후 하방으로만 기름 및 찌꺼기를 흘려 보냄에 따라 기름 및 찌꺼기의 분산을 방지하고 추후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의 회전축과 조리 받침부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의 각도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의 회전축과 조리 받침부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100)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와 결합되고, 가스통(10)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120), 베이스부(110)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형의 회전축(132-3)을 포함하는 조리 받침부(130), 및 전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회전축(132-3)에 끼워지며, 조리 받침부(130)에 의해 특정 각도로 지지되어 회전축(132-3)에 의한 회전과 동시에 가열되는 조리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100)는 조리 받침부(130)에 탈부착되고, 중앙에 관통공(151)이 형성되어 회전축(132-3)이 통과하며, 조리부(140)의 후단으로 배출되는 기름을 1차적으로 수집하는 기름 받침부(15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고 일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서 가스 공급부(120) 및 조리 받침부(130)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가스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전도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파지시 사용자가 화상 입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지지다리(11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다리(111)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또는 고무로 형성되거나 바퀴로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미도시)이 일정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조리 받침부(130)의 상부에서 회전축(132-3)에 의해 회전하는 조리부(140)의 전단이 개방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회전판(미도시)은 조리부(140)의 전단이 개방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조리부(140)의 내부에 담기는 음식물을 쉽게 꺼내거나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스 공급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리부(140)의 가열을 위한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120)는 기본적으로 가스통(10)에 저장되는 가스를 기초로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 공급부(120)는 전기 파이프 히터를 기초로 열을 생성하여 조리부(140)를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발산관(122)이 전기 파이프 히터로 구현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가스 공급부(120)는 가스 본체(121), 열 발산관(122) 및 가스 연결관(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 본체(121)는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레인지 또는 휴대용 버너에 사용되는 가스통(1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본체(121)는 가스통(10)을 수용하고, 가스통(10)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스통(10)의 개폐를 조절하는 가스 노브(121-1)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스 본체(121)는 조리 받침부(130) 방향으로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해당 관통공에 열 발산관(122)과 연결되기 위한 가스 연결관(123)이 통과할 수 있다.
열 발산관(122)은 조리 받침부(130)의 내부 빈 공간에 배치되고, 가스 연결관(123)을 통해 가스 본체(121)와 연결되어 가스 본체(121)에 수용되는 가스통(10)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열 발산관(122)은 공급받는 가스를 기반으로 열(본 발명에서는 불(fire)에 해당함)을 발산하여 조리부(140)를 가열할 수 있다.
열 발산관(122)은 조리 받침부(130)의 내부에서 조리 받침부(130)에 끼움 결합되어 조리 받침부(130)의 회전시 조리 받침부(130)와 함께 각도 조절될 수 있다. 즉, 열 발산관(122)은 조리 받침부(13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조리 받침부(130)와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어 조리부(140)의 가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 발산관(122)는 직선 형식으로 화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모니카 버너로 구현되어, 기존 원형으로 형성되어 조리부(140)의 중심에만 열을 전달하는 구성 대비 조리부(140)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최대한 많은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외부로 발산되는 열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열을 발산하는 열 발산관(122)을 적어도 하나의 하모니카 버너로 구현함에 따라 종래의 전기식 또는 원형의 버너에 사용되는 원통식 조리기와 차별성이 있으며, 조리부(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열 전달 방식이 아닌 조리부(140)의 회전 방향으로 하는 열 전달 방식을 채택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스 연결관(123)은 가스 본체(121)와 열 발산관(122)을 연결하여 가스 본체(121)에 수용되는 가스통(10)의 가스를 열 발산관(122)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가스 연결관(123)은 조리 받침부(130)의 고정 플레이트(131)와 회전 플레이트(132)가 연결 및 회전되는 축을 관통하여 배치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32)가 회전하더라도 가스 본체(121)와 열 발산관(122) 사이를 연결하여 가스를 계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조리 받침부(130)는 베이스부(110)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리부(140)의 조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리 받침부(130)는 크게 고정 플레이트(131), 회전 플레이트(132), 및 고정핀(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31)는 베이스부(110)에 결합되고, 대략 ㄷ자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31)는 회전 플레이트(132)가 각도 조절된 후 고정을 위해 고정핀(133)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 결합공(13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회전 플레이트(132)와 연결 및 회전 플레이트(132)의 회전을 위해 회전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회전공(131-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2)는 고정 플레이트(131)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정 각도로 조절된 후 고정핀(13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2)는 고정 플레이트(131)의 복수의 제1 결합공(13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결합공(13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고정 플레이트(131)로부터 각도 조절된 후 해당 각도에서 고정 플레이트(131)의 해당 제1 결합공(131-1)과 해당 제2 결합공(132-1)에 삽입되는 고정핀(133)에 의해 해당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2)는 고정 플레이트(131)와 연결 및 고정 플레이트(131)로부터 회전을 위해 회전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회전공(132-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2)는 조리부(140)에 끼워지는 회전축(132-3), 회전축(132-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32-4), 모터(132-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132-5),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132-6), 및 조리부(140)의 전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완충 부재(132-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2-3)은 회전 플레이트(132)에서 조리부(140)가 안치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리부(140)의 후단 중앙에 끼워질 수 있다. 회전축(132-3)은 모터(132-4)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조리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132-3)은 조리부(140)의 후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리부(140)를 회전시킬 때 조리부(140)로부터 헛돌지 않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a를 참조하면 회전축(132-3)은 일단 측면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132-31)이 형성되고, 수용홈(132-31) 내에 수용되어 일정 압력에 따라 상하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결합 부재(132-32)를 포함하여 조리부(140)의 후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결합 부재(132-32)는 최대 압력을 받았을 때 수용홈(132-31) 내에 완전 삽입되고, 완전 삽입된 후 조리부(140)의 후단 중심 돌출부(141)에 수용되어 조리부(140)의 후단 중심 돌출부(141)에 형성되는 홈(141-1)에서 수용홈(132-31)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홈(14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32-3)은 탄성 결합 부재(132-32)가 조리부(140)의 홈(141-1)에 수용되어 조리부(140)를 회전시킬 때 조리부(140)로부터 헛돌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탄성 결합 부재(132-32)가 홈(141-1)에 수용되는 부분이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홈(141-1)이 탄성 결합 부재(132-32)에 대응하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축(132-3)으로부터 조리부(140)를 분리시키려는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 탄성 결합 부재(132-32)가 홈(141-1)의 경사를 따라 수용홈(132-31) 내로 압축 및 삽입되어 회전축(132-3)으로부터 조리부(14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132-3)은 복수의 수용홈(132-31)과 복수의 탄성 결합 부재(13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조리부(140)의 중심 돌출부(141)에도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141-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회전축(132-3)은 일단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32-35)가 형성되고, 조리부(140)는 후단 중심이 회전축(132-3)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돌출부(141)의 일단 둘레를 따라 요철 형상의 요철홈(14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32-3)은 조리부(140)의 돌출부(141)에 일정 깊이만큼 끼워진 후 적어도 하나의 돌기(132-35)가 돌출부(141)의 요철홈(141-5)에 끼워져 걸릴 수 있으며, 조리부(140)를 회전시킬 때 조리부(140)로부터 헛돌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축(132-3)은 조리부(140)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돌기(132-35)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리부(140)는 돌기(132-35)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요철홈(141-5)의 간격이 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모터(132-4)는 회전축(132-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 스위치(132-5)는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푸시 타입의 버튼 또는 스위치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1번 푸시되면 온 되어 모터를 구동시키고, 2번 푸시되면 오프되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오른쪽으로 푸시되면 온 되어 모터를 구동시키고, 왼쪽으로 푸시되면 오프되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손잡이(132-6)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 플레이트(131)로부터 회전 플레이트(132)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132-6)는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로 형성되어 열 발산관(122)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2)가 뜨거워지더라도 회전 플레이트(132)의 각도를 쉽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완충 부재(132-7)는 조리부(140)의 전단 하부 배치되어 조리부(140)의 회전시 조리부(140)의 전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 완충 부재(132-7)는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플레이트(132)의 전단에서 회전 플레이트(132)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지지 완충 부재(132-7)는 회전 플레이트(132)의 전단 상부에서 조리부(140)의 회전에 따라 유연하게 상하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132-71)를 더 포함하여 조리부(140)의 회전에 따른 충격이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완충 부재(132-7)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부(140)의 회전시 조리부(140)의 회전을 유연하게 지지 및 안내할 수 있다.
고정핀(133)은 고정 플레이트(131)의 특정 제1 결합공(131-1)과 회전 플레이트(132)의 특정 제2 결합공(132-1)에 끼워져 회전 플레이트(13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핀(133)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머리부와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결합공(131-1)과 제2 결합공(132-1)에 삽입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부(140)는 내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음식물이 담아지고, 조리 받침부(130)의 상부에 지지되어 회전축(132-3)을 통해 회전하면서 가스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기반의 열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부(140)는 전단이 개방되고, 후단의 중심(141)이 회전축(132-3)에 끼워지며, 조리 받침부(130)에 의해 특정 각도로 지지될 수 있다. 조리부(140)는 내부에 담기는 음식물의 종류 또는 음식물의 조리 방식에 따라 조리 받침부(130)에 의해 특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축(132-3)에 의해 회전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140)는 국물을 조리하는 경우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급격한 경사의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되어 국물이 외부로 넘치거나 새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조리부(140)는 고기를 조리하는 경우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완만한 경사의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되어 고기가 넓은 면적에서 뒤집어지면서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리부(140)는 지지 완충 부재(132-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둘레 돌출부(145)가 형성되어 회전축(132-3)에 의한 회전시 지지 완충 부재(132-7)에 둘레 돌출부(145)가 걸려 지지 완충 부재(132-7)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부(140)는 후단 하부에 기름 배출공(142)이 형성되어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는 조리 받침부(130)에 설치되는 기름 받침부(150)에 임시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부(140)는 내부 전단부터 후단까지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제1 단턱(143)이 형성되고, 내부 후단에 일정 길이의 제2 단턱(144)이 형성되어, 음식물이 회전하면서 제1 단턱(143)에 걸려 뒤집어지거나 순환되어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단턱(144)은 제1 단턱(14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부(140)는 후단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32-3)에 의한 회전시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가 원의 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갑작스럽게 기름 및 찌꺼기가 낙하하지 않아 기름 및 찌꺼기의 분산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부(140)는 후단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닥 돌출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바닥 돌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채택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기름 배출공(142)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가 분산되거나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름 받침부(150)는 조리부(140)의 후단 방향에서 조리 받침부(130)에 탈부착되어 조리부(14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수집할 수 있다. 기름 받침부(150)는 중앙에 관통공(151)이 형성되고 관통공(151)에 회전축(132-3)이 통과하되, 회전축(132-3)과는 독립되어 회전축(132-3)이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름 받침부(150)는 조리부(140)의 후단 하부에 형성되는 기름 배출공(142)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1차적으로 수집한 후 하단 방향으로 기름 및 찌꺼기를 배출하여 조리부(14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가 외부로 튀거나 분산되지 않고 한 방향으로만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름 받침부(150)의 하단 방향에는 별도의 기름 받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110: 베이스부
120: 가스 공급부
130: 조리 받침부
140: 조리부
150: 기름 받침부

Claims (7)

  1.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가스통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형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조리 받침부;
    전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조리 받침부에 의해 특정 각도로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한 회전과 동시에 가열되는 조리부; 및
    상기 조리부의 후단 방향에서 상기 조리 받침부에 탈부착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되, 상기 회전축과는 독립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더라도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구현되며, 상기 조리부의 후단 하부에 형성되는 기름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찌꺼기를 수집한 후 하단 방향으로 기름 및 찌꺼기를 배출하는 기름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조리 받침부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 받침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조리 받침부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회전시 상기 조리 받침부와 함께 각도 조절되고, 가스 연결관을 통해 상기 가스통을 수용하는 가스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으며, 직선 형식으로 화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모니카 버너로 구현되는 열 발산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일단 측면에 두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는 후단 중심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단 둘레를 따라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조리부의 돌출부에 끼워진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상기 요철홈에 걸림에 따라 끼움 결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결합공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특정 제1 결합공과 특정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조리부의 전단 하부에서 상기 조리부의 전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 측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일정 압력에 의해 상하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결합 부재를 통해 상기 조리부의 후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19805A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KR10215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05A KR102150658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05A KR102150658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66A KR20200101666A (ko) 2020-08-28
KR102150658B1 true KR102150658B1 (ko) 2020-09-01

Family

ID=7226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805A KR102150658B1 (ko) 2019-02-20 2019-02-20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862A (ko) 2022-07-07 2024-01-16 배병태 휴대용 조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59B1 (ko) * 2021-09-03 2024-03-08 (주)겐츠베이커리 러스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러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28Y1 (ko) * 2000-03-13 2000-09-15 하해술 핸드 믹서의 회전날
KR200466205Y1 (ko) * 2010-12-17 2013-04-05 유지형 휴대용 그릴
KR101461402B1 (ko) * 2014-08-27 2014-11-13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631A (ko) *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CN209090931U (zh) * 2018-03-13 2019-07-12 广东顺德迪泰隆电器有限公司 一种隔热型旋转式翻炒气炸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428Y1 (ko) * 2000-03-13 2000-09-15 하해술 핸드 믹서의 회전날
KR200466205Y1 (ko) * 2010-12-17 2013-04-05 유지형 휴대용 그릴
KR101461402B1 (ko) * 2014-08-27 2014-11-13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볶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862A (ko) 2022-07-07 2024-01-16 배병태 휴대용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66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CN209489913U (zh) 烹饪器具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102150658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일체형 원통식 조리 장치
US20140134305A1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CN212368782U (zh) 烹饪设备
KR101147407B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200453312Y1 (ko) 고기구이 장치
KR101622575B1 (ko) 적외선 가열조리기가 구비된 테이블
KR20180118960A (ko) 양방향 적외선 가열 조리기
KR100973843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즉석 구이 장치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KR100630458B1 (ko) 회전식 조리부를 구비한 테이블형 구이장치
US6959641B1 (en) Barbeque stick for barbeque stove
JP2004237079A (ja) グリル及びこれを備えた調理装置
KR20090096389A (ko) 전기 그릴
KR20150015238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드럼식 조리장치
KR101616649B1 (ko) 이동범위가 증대된 가열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구이장치
CN212346257U (zh) 一种开放式多功能烤串机
KR200345315Y1 (ko) 다용도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