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723Y1 -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723Y1
KR200399723Y1 KR20-2005-0022287U KR20050022287U KR200399723Y1 KR 200399723 Y1 KR200399723 Y1 KR 200399723Y1 KR 20050022287 U KR20050022287 U KR 20050022287U KR 200399723 Y1 KR200399723 Y1 KR 200399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charcoal
grill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허
Original Assignee
진 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허 filed Critical 진 허
Priority to KR20-2005-0022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구이틀 내부에 숯을 수용한 화덕을 적재한 승강판이 상기 구이틀에 형성된 노브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되, 상기 노브는 구이틀 양측에 2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노브에 각각 연결된 제1, 2와이어가 구이틀 내에 마련된 고정도르래 및 움직도르래에 권선되어서 와이어의 당김/풀림 작용에 의해 상기 움직도르래가 상/하로 승강될 때 이에 고정된 승강판이 승강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움직도르래의 승강축에 고정된 지지대 상에 장방형의 안내홈을 구성하고 상기 화덕의 상부에는 일단에 회전축을 형성하여 화덕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된 커버를 마련하며 상기 회전축에서 돌설된 회전암이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여서 상기 승강판의 승강시 회전암과 지지대의 각도 변경에 따라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커버 내부에는 황토를 충진하여서 숯불의 화력을 적절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의 맛을 더할 수 있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본 고안은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구이틀 내부에 숯을 수용한 화덕을 적재한 승강판이 상기 구이틀에 형성된 노브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승강판의 승강시 회전암과 지지대의 각도 변경에 따라 화덕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커버 내부에는 황토를 충진하여서 숯불의 화력을 편리하게 조절하고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의 맛을 더할 수 있게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숯을 수용하는 화덕의 승강을 조절하면서 화력을 조절하는 기술이 소개되었던 바, 몇 가지 예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4-0008203호, 제 2003-0023700호, 2003-0011763호, 2002-0017572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술의 공통점은 화덕의 길이방향 일측변에 회전 가능한 나사봉을 설치하고, 상기 나사봉의 주연에 나합되는 승강구가 화덕을 고정한 형태로 구성되어 구이틀 상부에 위치하고 나사봉의 상단에 고정된 핸들을 회전시키면 승강구가 나사봉을 따라서 승강하는 형태이며, 또한 화덕이 승강할 때 화덕을 덮을 수 있는 커버가 화덕의 높이에 따라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화덕의 승강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의 위치가 구이틀의 길이방향 일측변에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구이틀 주변에 앉은 사람 중 핸들이 위치한 자리에 앉은 사람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핸들을 돌릴 경우 화덕이 고기를 올려놓은 그릴에 가려져서 어느 정도의 높이에 있는지 가늠하기가 어려워서 고기를 적절한 상태로 구울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덕이 최고 높이에서 하강하기 시작하면 커버도 동시에 서서히 닫히기 시작하여 화덕이 화력 최소 위치에 있을 경우 커버는 화덕의 상부를 상당 부분 차단하여 화력이 중앙으로 집중되는 구조여서 그릴 전면적에 화력이 분산되지 않게 되고, 이는 결국 그릴의 가운데에 위치한 고기만 집중적으로 익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숯불구이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구이틀 주변 어느 위치에서도 화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덕의 높이를 가늠하게 함으로써 화력의 세기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덕이 화력 최소 위치에 있더라도 커버가 화덕을 덮지 않도록 하여 숯불 화력이 그릴 전면적에 대해 고르게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화덕 상부에 위치한 커버 내부에 황토를 충진하여서 고기가 구워질 때 가열된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고기의 맛을 더하게 하는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제3목적이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구이틀 길이방향 선단 내측에 다수개의 움직도르래 및 고정도르래를 구성하고 상기 도르래에 권선된 와이어를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에 노브를 설치한 것에 있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화덕에 고정된 지지대에 장방형의 안내홈을 마련하고 상기 커버의 회전축에서 돌출된 회전암이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여 안내홈의 장방향 길이에 따른 유격을 이용하여 화덕이 최저 위치에서만 커버가 닫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커버 내부에 황토를 충진하되, 하단을 개방시켜서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화력이 황토층 표면을 스치며 상승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고안은 후술하는 세부적인 특징으로부터 상기 목적 외에 많은 작용과 그에 따른 상승된 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화덕 승강조절을 위한 노브 및 와이어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본 고안의 숯불구이기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구이틀(10) 하부로는 외벽(11)이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내벽(12)이 구비되어 있으며, 구이틀(10)의 장변 상단에 각각 조절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12)의 장변 내측 상부에 고기를 얹어놓는 구이판(18)(도 4 참조)을 안착시키기 위한 구이판받침대(14)가 마련되고 내벽(12)의 단변 내측 중앙에는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수평유지대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측 내벽에는 2개의 승강홈(17)이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조절홈(13)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 제1노브(23) 및 제2노브(23′)의 양측에 각각 제1와이어(22) 및 제2와이어(22′)가 고정되면서 도 1에서와 같이 구이틀(10)의 외벽(11)와 내벽(12) 사이의 모서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수평고정도르래(21)에 권선된 형태로 되어 있는 한편, 내벽(12)의 단변 양측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3개의 고정도르래(20)와 승강이 가능한 2개의 움직도르래(28) 및 그 대향변에 형성된 2개의 고정도르래(20)와 1개의 움직도르래(28′)에 감착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움직도르래(28)는 각각 승강축(25)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승강축(25)은 상기 승강홈(17)에 각각 관통되어 승강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승강축은 양단에 상하로 장방형의 안내홈(27)이 형성된 지지대(2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대향변에 있는 1개의 움직도르래(28′)의 축에는 무게추(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22)(22′)의 길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 움직도르래(28′)가 최상의 위치에 있을 때, 그 대향변에 형성된 움직도르래(28)는 최하 위치에 있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26)에 고정된 승강축(25)은 내측으로 더 연설되어 승강판(40)을 고정하고 있고, 승강판(40)의 승강축(25)의 대향면에 도 3에서와 같이 지지구(43)가 돌설되어 상기 수평유지대(15)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40) 상에는 숯을 수용하는 화덕(41)이 분리 가능한 형태로 안착되고, 상기 화덕(41)은 양측변 하부에 통기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덕(41)의 상부를 덮고 있는 커버(30)는 양측으로 분리된 형태로 되어 각각 상면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면은 개방된 형태로 되어 내부에 황토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커버(30)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32)은 내벽(12)에 끼워져서 커버(30)가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2)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회전암(33)은 상기 지지대(25) 선단에 마련된 안내홈(27)을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의해 제1 및 제2노브(23)(23′)에 의한 승강판(40)의 승강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2개의 움직도르래(28)가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예컨대 제1노브(23)를 조절홈(1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2노브(23′)는 조절홈(13)의 선단에 위치에 있으므로 고정된 상태로 제1와이어(22)가 당겨져서 움직도르래(28)가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승강판(40)이 상승하여 화덕(41)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반대측 무게추(29)는 최상 위치에서 제1노브(23)가 이동한 만큼 제2와이어(22′)가 늘어난 상태이므로, 하강하게 되는데, 무게추(29)는 화덕(41)을 포함한 승강판(40)의 무게의 1/2 정도이며, 상기 무게 차는 2개의 움직도르래(28)와 그 대향변에 있는 1개의 움직도르래(28′)의 수에 비례하여 양측이 동일한 힘이 작용하므로 제1노브(23)를 원하는 위치에서 놓더라도 어느 한 측으로 미끄러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움직도르래(28) 측이 상승하더라도 그 대향변에 위치한 지지구(43)가 수평유지대(15)를 따라 동시에 승강하므로 승강판(40)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제2노브(23′)를 이동시키더라도 동일하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절홈(13)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홈을 파서 노브(23)(23′)를 이동시킨 다음 적절한 위치에서 홈에 끼워 넣으면, 노브(23)(23′)가 어느 측으로도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숯의 무게 변화에 따라서 어느 일측 움직도르래(28)(28′)가 하강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화덕 승강 상태에 따라 커버(30)가 개폐되는 작용을 보인 횡단면도로서, 도 4는 화덕(41)이 커버(30)에 의해 폐쇄되어 구이판(18)에 화력을 제공하지 않는 최하 위치에 있는 도 1의 상태이고, 도 5는 화덕(41)이 화력 제공이 가능한 최상 위치에 있는 것이며, 도 6은 화덕(41)이 화력 제공이 가능한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16 및 50은 각각 차단판(16)과 기름받이(50)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차단판(16)은 화덕(41)이 최하 위치에 있을 때 통기구(42)를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고, 기름받이(50)는 승강판(40) 저부에 설치되어 구이틀(10), 보다 상세히는 외벽(11)의 일측에서 슬라이드 개폐할 수 있게 된 것으로, 고기를 익힐 때 발생한 기름이나 찌꺼기 등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기름받이(50)와 차단판(16)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차단판(16)은 도 3과 같이 무게추(29)가 설치된 내벽(12)에서 용접과 같은 수단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작용을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덕(41)이 최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노브(23) 또는 제2노브(23′)를 이동시키면 지지대(26)가 상승하면서 안내홈(27)의 하단에 걸쳐진 회전암(33)이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커버(30)가 개방된다.
이때에는 통기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숯에 가해짐과 동시에 구이판(18)과 숯불의 거리가 최단거리여서 고기에 충분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커버(3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그 하단으로 노출된 황토층(31)에 숯불의 열이 가해져서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숯불의 화력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제1노브(23) 또는 제2노브(23′)를 이동시키면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대(26)가 하강하면서 숯불과 구이판(18)의 거리가 멀어지게 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안내홈(27)은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26)가 하강하더라도 안내홈(27)의 상단에 회전암(32)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커버(30)가 회동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숯불이 약해지더라도 구이판(18) 전면적에 대해 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다시 제1노브(23) 또는 제2노브(23′)를 이동시키면 지지대(26)는 최하단 위치로 하강하고, 이때 안내홈(27) 상단과 접촉된 회전암(33)이 회전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커버(30)가 화덕(41) 상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단판(16)이 화덕(41)의 통기구(42)를 폐쇄함으로써 공기가 화덕(4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숯불의 화력이 급격하게 약화되며, 이때는 고기가 타지 않으면서도 구워진 고기를 보온함과 동시에 황토의 원적외선을 간접적으로 받아서 고기를 보온 상태에서 취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구이판(18)으로부터 떨어진 기름 등이 커버(30) 상부로 떨어지더라도 커버(30)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서 기름 등이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기름받이(50) 내부로 떨러져 모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구이기에 의하면, 구이틀의 양측에 노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이틀 주변에 착석한 어떤 사람도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미와 편리성을 가지며, 또한 조절홈에 대한 노브의 위치로써 화력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화력의 세기를 쉽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암이 관통된 안내홈은 장방형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화덕의 높이를 조절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최소 위치에서도 커버가 회동하여 닫히지 않으므로 구이판 전면적에 고르게 열기를 가할 수 있게 되므로 위치에 따라서 고기가 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커버 내부에 황토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기의 표면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부까지 고르게 익혀서 고기의 맛을 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화덕 승강조절을 위한 노브 및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평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숯불 구이기의 화덕 승강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구이틀 11 : 외벽
12 : 내벽 13 : 조절홈
20 : 고정도르래 21 : 수평도르래
22, 22′: 와이어 23, 23′: 노브
25 : 승강축 26 : 지지대
27 : 안내홈 28, 28′: 움직도르래
29 : 무게추 30 : 커버
31 : 황토층 32 : 회전축
33 : 회전암 40 : 승강판
41 : 화덕 42 : 통기구
43 : 지지구 44 : 그릴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구이틀 내부에 숯을 수용한 화덕이 승강 가능하게 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 상단 대향 장변에 각각 노브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장방형의 조절홈을 구비하고, 상기 각 노브의 양측에 고정된 제1 및 제2와이어는 각각 구이틀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수평고정도르래에 권선됨과 동시에 상기 구이틀 대향 단변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고정도르래 및 상기 고정도르래의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움직도르래에 권선되되, 상기 일측 움직도르래의 승강축에 화덕을 안착시킨 승강판이 고정되며, 승강판 타측에는 지지구가 돌설되어 구이틀 벽변에 수직 설치된 수평유지대에 끼워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이 고정된 측의 고정도르래는 3개로 되고 이에 대한 움직도르래는 2개가 설치되며, 무게추가 고정된 측의 고정도르래는 2개로 하고 이에 대한 움직도르래는 1개로 하되, 상기 1개의 움직도르래에 무게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절홈 각 측면에 노브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덕의 하부에 통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화덕의 최하 위치에서 통기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이틀 저변 내단에 차단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이틀 내단 저변에 기름받이가 측면으로 슬라이드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축에는 양단에 안내홈을 형성한 지지대를 더 구성하고, 상기 화덕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분리된 커버를 마련하되, 상기 커버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축이 구이틀의 수직벽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된 회전암이 상기 안내홈을 관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부에 황토층이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승으로 커버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지지대가 어느 정도 하강하더라도 커버가 닫히지 않도록 상기 안내홈은 소정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 커버는 대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20-2005-0022287U 2005-08-01 2005-08-01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200399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87U KR200399723Y1 (ko) 2005-08-01 2005-08-01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87U KR200399723Y1 (ko) 2005-08-01 2005-08-01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723Y1 true KR200399723Y1 (ko) 2005-10-27

Family

ID=4370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87U KR200399723Y1 (ko) 2005-08-01 2005-08-01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7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60B1 (ko) 2009-07-24 2011-05-12 홍성욱 받침판체가 아래로 열리는 황토구이기
KR102026160B1 (ko) * 2018-04-30 2019-09-30 류경선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60B1 (ko) 2009-07-24 2011-05-12 홍성욱 받침판체가 아래로 열리는 황토구이기
KR102026160B1 (ko) * 2018-04-30 2019-09-30 류경선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KR101434989B1 (ko)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KR102205876B1 (ko) 구이장치
KR200399723Y1 (ko)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KR20090009912U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고기구이기
KR101286792B1 (ko) 구이용 테이블
KR20033847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0846317B1 (ko) 그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음식물 구이기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TWM513657U (zh) 窯烤裝置之改良結構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200448007Y1 (ko) 고기 구이장치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2169099B1 (ko) 승강 조절유닛 보호 기능을 구비한 구이 테이블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101624872B1 (ko) 승강식 로스터 장치
KR200331304Y1 (ko)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101165528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1447482B1 (ko) 그레이트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스레인지
KR101304126B1 (ko)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