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160B1 -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160B1
KR102026160B1 KR1020180049830A KR20180049830A KR102026160B1 KR 102026160 B1 KR102026160 B1 KR 102026160B1 KR 1020180049830 A KR1020180049830 A KR 1020180049830A KR 20180049830 A KR20180049830 A KR 20180049830A KR 102026160 B1 KR102026160 B1 KR 102026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
briquettes
fire
manua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경선
Original Assignee
류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경선 filed Critical 류경선
Priority to KR102018004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몸체와, 연소하는 연탄이 설치되는 연탄화덕과, 상기 테이블몸체 위에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화구덮개가 형성되도록구성되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분에 지지된 채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으로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고정체와; 상기 연탄화덕의 하단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박스와;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회전축과; 상기 수동회전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과; 상기 수동회전축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동레버와; 상기 수동회전축의 끝단에 감기거나 풀려나도록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안내롤러와; 상기 연탄화덕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와; 상기 수동회전축의 끝단에서부터 제1, 제2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연탄화덕의 저부에 설치된 복수의 중간안내롤러 및 제3 안내롤러를 차례로 거쳐 고정 설치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수동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Cooking for fire control of briquetting fire}
본 발명은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연탄화덕을 승강조절하는 수단으로, 상기 연탄화덕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연탄이 연소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연소화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육류를 구울 때에는 육류가 타지 않고 알맞게 구울 수 있도록 하며, 매운탕 등의 찌개류를 끓일 때에는 음식물이 넘치지 않게 끓일 수 있도록 연탄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탄화덕이 승강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탄불을 이용하여 돼지고기나 소고기 등의 육류를 굽기 위한 구이용 테이블이나 또는 매운탕 등의 찌개와 같은 조리용 음식물을 끓이기 위한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테이블에 설치되는 연탄화덕의 대부분은 테이블의 중앙부분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육류를 굽기 위해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연탄화덕 위에 석쇠를 올려놓고 육류를 구울 경우 상기 석쇠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탄화덕에서 연소되고 연탄불의 화력이 셀 때에는 석쇠에서 구워지는 육류를 빨리 구울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기는 하겠으나, 굽는 시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워 굽는 시간을 조금이라도 지연시키게 되면 육류가 타는 현상이 나타나고, 탄 육류는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운탕 등과 같은 찌개류를 끓이고자 할 때 연탄화덕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불의 화력이 셀 경우 찌개류를 빨리 끓일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 역시 찌개류 등이 담긴 용기가 연탄화덕 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찌개류가 끓어 넘치게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직장인들은 하루 일과를 마치고 퇴근할 때 직장동료나 친구들과 저녁을 먹거나 또는 술을 마시기 위해 연탄불을 이용하여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구워먹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 음식을 함께 먹는 직장동료 및 친구들과 대화를 하면서 육류를 구울 때 굽고자 하는 육류에 시선을 집중하지 않게 될 경우 석쇠 위에 올려 놓은 육류를 태우게 되는 현상이 다반사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86792호의 구이용 테이블이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원형으로 된 테이블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연탄화덕에 연소되고 있는 연탄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육류를 구울 때 연탄불을 상,하로 승강 조절하는 방법으로 육류를 태우지 않고 알맞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구이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람이 고기를 구울 때 연탄불의 화력이 세기에 따라 연소되고 있는 연탄을 상,하로 승강 조절하면서 고기를 굽게 함으로써 고기를 태우지 않고 구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연탄을 승강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구이용 테이블에 둘러 앉은 사람 중 작동용 손잡이를 다룰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은 반드시 테이블 상판 밑에 있는 작동용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상,하로 승강 조절해야 하는데, 선행기술은 작동용 손잡이에 갈고리가 달려 있고, 또 그 갈고리는 테이블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한손으로는 작동용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갈고리를 잡고 걸림공에서 빼내야 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고, 또한 갈고리를 빼낸 후에는 승강 조절하기 위해 선택한 하나의 걸림공에 다시 갈고리를 끼워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의 구이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기를 구워먹고자 하는 사람들은 연탄불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연소되고 있는 연탄을 승강 조절하는 동작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연탄불의 화력을 세밀하게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 고기를 알맞게 굽지 못하고 태우게 되는 일 다반사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왜냐하면, 테이블 몸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공들이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탄의 상,하 조절폭이 비교적 커지는 관계로 연탄불의 세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어 고기를 알맞게 굽지 못하게 되며, 또한 테이블 상판 밑에 위치하는 승강 조절용 손잡이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는 걸림공에 걸림되어 있는 걸고리를 잡고 걸림공에서 빼내고 상,하로 이동 조절하는 동작이 번고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연탄불의 승강 조절을 수시로 자주하지 못하게 되므로 고기를 태우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86792호(2013. 07. 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탄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거나 또는 매운탕 등과 같은 찌개류를 끓일 수 있도록 연탄화덕이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람이 육류를 굽거나 음식을 조리하면서 연탄불의 화력을 미세하게 그리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류를 구울 때에는 굽고자 하는 육류를 태우지 않고 알맞게 구울 수 있으며, 또한 매운탕 등의 찌개류를 끓이고자 할 때에는 센불로 음식물을 끓일 수 있도록 하면서 음식물이 넘치지 않도록 연탄불의 세기를 미세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연탄화덕을 승강 조절하여 연탄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류를 구울 때에는 육류가 타지 않도록 알맞게 구울 수 있으며, 또는 찌개류 등의 음식물을 끓일 때에는 음식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면서 따뜻하게 데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테이블몸체와, 상기 테이블몸체 중앙부분에 연소하는 연탄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연탄화덕과, 상기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연탄화덕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연탄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교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상기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연탄화덕에 삽입 설치되어 연소하는 연탄의 연소화력이 상판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화구를 구비하고 있는 화구덮개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분에 지지된 채 교체구멍을 통해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으로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고정체와;
상기 연탄화덕의 하단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박스와;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회전축과;
상기 수동회전축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회전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과;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의 일단에 돌출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동회전축의 끝단에 감기거나 풀려나도록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롤러와;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와 마주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판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일측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안내롤러와는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로서, 상기 테이블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판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타측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3 안내롤러와;
상기 연탄화덕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의 저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된 복수의 가동브라켓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와;
상기 수동회전축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안내롤러와 제2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연탄화덕의 저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 및 제3 안내롤러를 거쳐 상기 타측 고정브라켓에 타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용 와이어;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동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승강용 와이어가 수동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의 일측에는 수동회전축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동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탄화덕은 원통형 고정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부안내레일과 화덕받침판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부안내레일 그리고 상기 상부안내레일과 하부안내레일을 연결하는 중간안내레일로 구성되는 3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안내레일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안내레일은 연탄화덕 주위에 120°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용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수동회전축의 끝단에는 승강용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형성되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조리용 테이블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연탄화덕에서 연소하는 연탄의 화력 세기에 따라 상기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육류를 굽고자 할 때 연탄화덕에서 연소하고 있는 연탄의 화력이 셀 경우에는 연탄화덕을 석쇠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상승 조절하여 굽고자 하는 육류를 센불로 굽도록 함으로써 육류의 육즙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빠르게 구울 수 있으며, 육류가 어느 정도 구워진 상태가 되면 연탄화덕을 석쇠에서 멀어지도록 하강 조절하여 연소되고 있는 연탄의 화력이 석쇠에 굽고 있는 육류에 약하게 미치도록 함으로써 육류를 타지 않게 알맞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매운탕과 같은 찌개류를 끓일 때 초기에는 연탄화덕을 상승 조절하여 센불로 끓인 다음 연탄화덕을 하강 조절하는 방법으로 찌개류를 중불 또는 약불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식조리용 테이블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테이블 상판의 저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핸들을 좌,우로 회전작동시키는 간편한 방법으로 연탄화덕을 승강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연탄화덕을 미세하게 승강 조절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음식조리용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설치된 연탄화덕이 상승 조절된 작동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설치된 연탄화덕이 하강 조절된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설치된 연탄화덕이 중간 높이로 조절된 작동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일실시예의 음식조리용 테이블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음식조리용 테이블(1)은 원통형으로 된 테이블몸체(2)와, 상기 테이블몸체(2) 상면에 수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판(3)과, 상기 상판(3)의 중앙부분에 연탄(10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교체구멍(31)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화구덮개(4)와, 상기 테이블몸체(2)의 중앙부분에 삽입 설치되는 연탄화덕(5) 등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구덮개(4)에는 연탄화덕(5)의 삽입 설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연탄화덕(5)에 연탄(100)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연탄화덕(5)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개구되어 있는 화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구덮개(4)의 화구(41) 주위에는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게 되는 기름 등을 받아주기 위한 기름받이홈(42)이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3)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구멍(31)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상기 화구덮개(4)의 삽입부분에는 원통형 고정체(6)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원통형 고정체(6)의 상측부분(61)은 화구덮개(4)의 기름받이홈(42) 외측을 감싸주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판(3)의 중앙부분에 개구되어 있는 교체구멍(31)의 주연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고정체(6)의 하측부분(62)은 하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식조리용 테이블(1)의 상판(3) 일측 저부에는 수동회전축(7)을 회전가능하게 붙잡아주기 위한 회전축지지박스(71)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회전축(71)의 일단에는 수동핸들(72)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축지지박스(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동회전축(7)의 타단(끝단)에는 와이어 권취부(73)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확대부분 참조)
상기 수동회전축(7)의 타단(끝단)에 형성된 와이어 권취부(73)에는 연탄화덕(5)을 상,하로 승강 조절하기 위한 승강용 와이어(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동회전축(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박스(71)의 끝부분(도면상 좌측부분 참조)에는 브라켓(74)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74)에는 승강용 와이어(8)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롤러(8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롤러(8a)와는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의 상판(3) 저부에는 제2 안내롤러(8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내롤러(8b)는 상판(3)의 일측(도면상 우측)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일측(도면상 우측) 고정브라켓(7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고정브라켓(75)과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로서, 상기 테이블몸체(2)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판(3)에 형성되어 있는 교체구멍(31)의 주연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타측(도면상 좌측) 고정브라켓(76)에는 제3 안내롤러(8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몸체(2)의 중앙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연탄화덕(5)의 저부 양측에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 안내롤러(8a)(8b)(8c)들과 같이 승강용 와이어(8)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중간안내롤러(8d)(8e)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중간안내롤러(8d)(8e) 각각은 연탄화덕(5)의 하단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51)의 저부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중간 고정브라켓(77)(78)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회전축(7)의 끝단 부분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승강용 와이어(8)는 그 타단이 수동회전축(7)의 끝단에서 인출되어 제1 안내롤러(8a)→제 안내롤러(8b)→중간안내롤러(8d)→중간안내롤러(8e)→제3 안내롤러(8c)에 차례대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안내롤러(8c)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타측 브라켓(76)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동회전축(7)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핸들(72)에는 핸들손잡이(7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손잡이(72a)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회전축(7)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핸들손잡이(72a)를 돌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수동회전축(7)을 회전시키지 않을 때에는 접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상기 수동회전축(7)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용 와이어(8)가 수동회전축(7)의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권취부(73)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게 되면서 연탄화덕(5)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동회전축(7)을 좌측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와이어 권취부(73)에서 승강용 와이어(8)가 풀리게 되면서 연탄화덕(5)이 하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수동회전축(7)을 우측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와이어 권취부(73)에 승강용 와이어(8)가 감기면서 연탄화덕(5)을 상측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동회전축(7)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승강용 와이어(8)를 와이어 권취부(73)에서 풀어주거나 또는 감아주는 작동으로 연탄화덕(5)을 승강 조절하여 상기 연탄화덕(5)의 높낮이는 조절한 다음에는 상기 수동회전축(7)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지지박스(71)의 일측에는 제동레바(79)를 형성하는 구조로 수동회전축(7)이 회전하지 못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동레바(79)는 회전하는 구조로 수동회전축(7)을 회전하지 못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동레바(79)는 회전축지지박스(71)의 일측에 나사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선단(79a)이 수동회전축(7)을 압박하는 상태로 밀착되면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동레바(79)는 캠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수동회전축(7)의 회전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탄화덕(5)은 수직방향을 향해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 각각은 원통형 고정체(6)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안내레일(9a)과, 상기 연탄화덕(5)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51)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안내레일(9b) 및 상기 상,하부 안내레일(9a)(9b)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중간안내레일(9c) 등이 3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은 가구 등의 서랍에 장착되어 서랍의 개폐작동을 안내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것을 연탄화덕(5)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이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승강안내레일(9)을 구성하는 상부안내레일(9a)의 상단부분은 원통형 고정체(6)의 하단부위 내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되어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안내레일(9b)의 하단부분은 화덕받침판(51)의 외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되어 상단부위가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안내레일(9c)의 상단부분은 상단안내레일(9a)의 하단부분에 걸림되어 상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안내레일(9c)의 하단부분은 하부안내레일(9b)의 상단부분에 걸림되어 하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 각각은 연탄화덕(5)이 상,하로 승강이동하는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대설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연탄화덕(5)을 수직방향으로 정밀하게 승강 이동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탄화덕(5)이 수직방향을 향해 정밀하게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은 120°각도의 간격(S)으로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5 참조), 이와 같이 복수의 승강안내레일(9)을 120°각도 간격(S)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연탄화덕(5)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용 와이어(8)에 의해 연탄화덕(5)의 일측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연탄화덕(5)은 수직방향을 향해 정밀하게 승강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덕받침판(51)에는 연탄하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연탄(100)에서 떨어지는 연탄재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탄재 배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음식조리용 테이블(1)의 테이블몸체(2)의 하부에는 연탄재 등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재받이서랍을 형성하여 연탄재를 용이하게 수거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식조리용 테이블(1)의 테이블몸체(2) 중앙부분에 설치된 연탄화덕(5)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으로 육류를 굽고자 할 때에는 먼저, 테이블의 상판(3)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화구덮개(4) 위에 석쇠(200)를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석쇠(200) 위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육류를 올려놓고 연탄(100)의 연소화력으로 굽게 되는데, 이때 육류를 굽는 초기 단계에는 육류의 육즙을 보호하기 위해 센불로 굽는 것이 좋다. 따라서 육류를 굽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는 연탄(100)이 화구덮개(4)의 화구(41)에 근접하여 석쇠(200) 바로 밑에 위치하여 육류를 굽도록 하기 위해 음식조리용 테이블(1)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수동핸들(72)의 핸들손잡이(72a)를 시계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동회전축(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동회전축(7)의 와이어 권취부(73)에는 승강용 와이어(8)가 감기게 되며, 상기 와이어 권취부(73)에 승강용 와이어(8)가 감길 때에는 연탄화덕(5)이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용 와이어(8)가 수동회전축(7)의 와이어 권취부(73)에 감길 때에는 연탄화덕(5)의 저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8d)(8e)를 상측으로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연탄화덕(5)이 화구덮개(4)의 화구(41)에 근접하는 위치로 상승 이동되는 것을 육안(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연탄화덕(5)에 설치되어 있는 연탄(100)이 석쇠(200)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수동핸들(7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회전축고정박스(7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레바(79)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선단(79a)이 수동회전축(7)의 외부를 압박하도록 밀착시켜 주면 상기 수동회전축(7)은 승강용 와이어(8)를 감아준 준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석쇠(200)에 올려놓은 육류를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강한화력(센불)으로 육류를 빠르게 구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탄화덕(5)을 상승 조정하여 석쇠(200)에 올려놓은 육류를 연탄(100)의 센불로 육류를 빠르게 굽는 초기 단계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는 석쇠(200)에서 굽고 있는 육류를 연탄(100)에서 연소되는 연소화력이 중불 상태 또는 약불 상태의 화력으로 육류를 굽도록 함으로써 육류를 태우지 않고 알맞게 구울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제동레바(79)를 나사풀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상기 제동레바(79)의 선단(79a)이 수동회전축(7)에서 이완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상기 핸들손잡이(72a)를 도 4의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동회전축(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와이어 권취부(73)에 감겨있던 승강용 와이어(8)가 풀려나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연탄화덕(5)은 자중에 의해 수동회전축(7)의 와이어 권취부(73)에서 풀려나는 승강용 와이어(8)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석쇠(200)를 통해 연탄화덕(5) 및 연탄(100)이 하강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이 석쇠(200)에서 굽고 있는 육류에 중불 상태 또는 약불 상태로 육류를 굽는 상태가 될 때까지 연탄화덕(5)이 하강 이동되는 상태가 되면 수동핸들(7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을 멈추게 되면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이 중불 또는 약불 상태로 육류를 굽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탄화덕(5)의 하강 조절한 후에는 제동레바(79)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수동회전축(7)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연탄화덕(5)은 하강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구(41) 위에 설치되는 석쇠(200)에 올려놓은 육류를 구울 때 육류에서 발생하는 육즙이나 기름 등은 화구덮개(4)에 형성되어 있는 기름받이홈(42)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 음식조리용 테이블(1)에서 석쇠(200)를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때 상기 석쇠(200)에 올려놓은 육류가 알맞게 구운 상태를 오랫 동안 유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이 가장 약한 화력으로 석쇠(200)에 알맞게 구워진 육류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수동핸들(7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수동회전축(7)의 와이어 권취부(73)에서 승강용 와이어(8)가 완전히 풀려나게 되면 연탄화덕(5)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연탄화덕(5)이 하강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연탄화덕(5)이 석쇠(20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은 석쇠(200)에서 알맞게 구워진 육류를 보온하는 상태로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음식조리용 테이블(1)에서 육류를 굽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육류를 굽는 대신 끓임 용기에 음식재료를 넣고 끓이는 매운탕 등과 같은 찌개류를 끓이고자 할 때에는 화구덮개(4)의 화구(41) 위에 음식재료가 담긴 냄비 등의 용기를 올려놓고 연탄화덕(5)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100)의 연소화력으로 가열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사용자는 연탄화덕(5)을 상,하로 승강 조절하는 방법으로 찌개류가 담긴 용기를 연탄(100)의 센불 상태로 가열하거나 또는 중불 상태 및 약불 상태로 가열하는 방법으로 찌개류를 끓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육류를 굽거나 또는 찌개류를 끓일 때 연탄화덕(5)을 상,하로 승강 조절하고자 할 때 상기 수동회전축(7)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72)은 한손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수동핸들(72)을 미세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연탄화덕(5)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육류를 가열하는 연탄불의 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육류를 알맞게 구울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음식조리용 테이블 2 : 테이블몸체
3 : 상판 31 : 중앙구멍
4 : 화구덮개 41 : 화구
42 : 기름받이홈 5 : 연탄화덕
51 : 화덕받침판 52 : 큰 구멍
6 : 원통형 고정체 61 : 상측부분
62 : 하측부분 7 : 수동회전축
71 : 회전축지지박스 72 : 수동핸들
73 : 와이어 권취부 74 : 브라켓
75 : 일측 고정브라켓 76 : 타측 고정브라켓
77,78 ; 중간 고정브라켓 79 : 제동레바
8 : 승강용 와이어 8a,8b,8c : 제1∼제3 안내롤러
8d,8e : 중간안내롤러 9 : 승강안내레일
9a : 상부안내레일 9b : 하부안내레일
9c : 중간안내레일

Claims (5)

  1. 테이블몸체와, 상기 테이블몸체 중앙부분에 연소하는 연탄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연탄화덕과, 상기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연탄화덕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연탄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교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과, 상기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연탄화덕에 삽입 설치되어 연소하는 연탄의 연소화력이 상판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화구를 구비하고 있는 화구덮개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조리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부분에 지지된 채 교체구멍을 통해 테이블몸체의 중앙부분으로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고정체와;
    상기 연탄화덕의 하단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박스와;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회전축과;
    상기 수동회전축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수동회전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핸들과;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의 일단에 돌출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동회전축의 끝단에 감기거나 풀려나도록 연결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롤러와;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와 마주하는 위치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판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일측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안내롤러와는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로서, 상기 테이블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판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타측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3 안내롤러와;
    상기 연탄화덕을 받쳐주는 화덕받침판의 저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된 복수의 가동브라켓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와;
    상기 수동회전축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안내롤러와 제2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연탄화덕의 저부 양측에 서로 마주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중간안내롤러 및 제3 안내롤러를 거쳐 상기 타측 고정브라켓에 타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용 와이어;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동회전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승강용 와이어가 수동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지지박스의 일측에는 수동회전축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동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화덕은 원통형 고정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상부안내레일과 화덕받침판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하부안내레일 그리고 상기 상부안내레일과 하부안내레일을 연결하는 중간안내레일로 구성되는 3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안내레일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화덕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안내레일은 연탄화덕 주위에 120°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수동회전축의 끝단에는 승강용 와이어가 감기는 공간을 형성되도록 하는 와이어 권취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KR1020180049830A 2018-04-30 2018-04-30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KR10202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30A KR102026160B1 (ko) 2018-04-30 2018-04-30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30A KR102026160B1 (ko) 2018-04-30 2018-04-30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160B1 true KR102026160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30A KR102026160B1 (ko) 2018-04-30 2018-04-30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360U1 (ru) * 2022-05-04 2022-12-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ИЛЬВЕТ" Угольный гриль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87Y1 (ko) * 2003-10-21 2004-02-11 이종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50072375A (ko) * 2004-01-06 2005-07-11 하태용 연탄불 구이용 탁자
KR200399723Y1 (ko) * 2005-08-01 2005-10-27 진 허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100792193B1 (ko) * 2007-07-23 2008-01-08 오준성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17760B1 (ko) * 2007-01-10 2008-03-31 류한석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교체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97138A1 (en) * 2007-02-15 2008-08-21 Charles Flather Beverage warmer apparatus
KR100863801B1 (ko) *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US7856924B1 (en) * 2005-04-21 2010-12-28 Doru Stihi Collapsible barbeque with variable firebed position and method of use
KR200465383Y1 (ko) * 2012-09-24 2013-02-15 김태균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KR101286792B1 (ko) 2011-12-21 2013-07-17 이상봉 구이용 테이블
US9808119B1 (en) * 2014-09-16 2017-11-07 Andrew D. Hough Grill apparatus that raises and lowers coal grate to and away from food grill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087Y1 (ko) * 2003-10-21 2004-02-11 이종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50072375A (ko) * 2004-01-06 2005-07-11 하태용 연탄불 구이용 탁자
KR100593303B1 (ko) * 2004-01-06 2006-06-28 하태용 연탄불 구이용 탁자
US7856924B1 (en) * 2005-04-21 2010-12-28 Doru Stihi Collapsible barbeque with variable firebed position and method of use
KR200399723Y1 (ko) * 2005-08-01 2005-10-27 진 허 화덕 승강식 숯불구이기
KR100817760B1 (ko) * 2007-01-10 2008-03-31 류한석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구이판 교체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97138A1 (en) * 2007-02-15 2008-08-21 Charles Flather Beverage warmer apparatus
KR100863801B1 (ko) * 2007-06-07 2008-10-22 김가건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0792193B1 (ko) * 2007-07-23 2008-01-08 오준성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86792B1 (ko) 2011-12-21 2013-07-17 이상봉 구이용 테이블
KR200465383Y1 (ko) * 2012-09-24 2013-02-15 김태균 조리기기가 구비된 식탁
US9808119B1 (en) * 2014-09-16 2017-11-07 Andrew D. Hough Grill apparatus that raises and lowers coal grate to and away from food gr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360U1 (ru) * 2022-05-04 2022-12-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ИЛЬВЕТ" Угольный грил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134B2 (en) Electrical portable broiler
CN102378591B (zh) 移动烤肉炉
US20100297321A1 (en) Barbecue Grill with Variably Positioned Food Basket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US3322060A (en) Charcoal grill and the like
KR20140070030A (ko)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JP2015092969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ボックス
US3771510A (en) Cooking and broiling apparatus
KR101806772B1 (ko) 화로구이 장치
KR102026160B1 (ko) 연탄불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음식조리용 테이블
KR101286792B1 (ko) 구이용 테이블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US20190120502A1 (en) Articulated device for grilling food in an oven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101669768B1 (ko) 연기발생방지 및 다용도 구이 기능이 구비된 꼬지바베큐 자동구이기
KR100282154B1 (ko)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41148Y1 (ko) 화덕 이동 장치
KR20110008897U (ko) 높이 조절용 화로 구이기
CN212546673U (zh) 多功能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