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48Y1 - 화덕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화덕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148Y1
KR200341148Y1 KR20-2003-0034799U KR20030034799U KR200341148Y1 KR 200341148 Y1 KR200341148 Y1 KR 200341148Y1 KR 20030034799 U KR20030034799 U KR 20030034799U KR 200341148 Y1 KR200341148 Y1 KR 20034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feed screw
grill
charcoal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홍
Original Assignee
남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홍 filed Critical 남기홍
Priority to KR20-2003-003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를 석쇠에 올려놓고 화덕에 담긴 숯불을 이용하여 구워먹는 장치에 있어서, 화덕을 석쇠의 하부에서 상,하 이동시켜가며 화덕의 숯불과 석쇠에 올려진 육류와의 거리를 조절하므로서 육류가 타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화덕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화로가 안치되는 수평이송대의 타측에 이송나사를 결합시키되 상기 이송나사는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나사축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나사축은 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송나사의 양측에는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송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송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이송대가 상하 이동되며 화덕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어 석쇠와 숯불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덕 이동 장치{Live charcoal pot shifter}
본 고안은 육류를 석쇠에 올려놓고 화덕에 담긴 숯불을 이용하여 구워먹는 장치에 있어서, 화덕을 석쇠의 하부에서 상,하 이동시켜가며 화덕의 숯불과 석쇠에 올려진 육류와의 거리를 조절하므로서 육류가 타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화덕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육류를 구워먹기 위한 테이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의 중앙부에 화덕이 내측에 안치되는 공간부(2)를 형성하여 테이블(1)의 하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공간부(2)의 일측에는 송풍기(3)를 설치하여 공간부(2)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부(2)의 상부는 덮개(4)를 이용하여 덮어주고 있다.
위와 같은 테이블(1)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워먹고자 할 경우 숯불이 담긴 화덕을 공간부(2)에 안치시키고, 공간부(2)의 상부에는 석쇠를 걸쳐주도록 한 후 석쇠 위에 육류를 올려놓고 화덕의 숯불에 의해 구워지도록 하고 있으며, 화덕에 담긴 숯불의 열량은 공기구를 개폐하는 정도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공기구를 이용하여 화덕의 숯불을 조절할 경우 숯불의 화력을 원하는 상태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석쇠에 올려진 육류가 빨리 타게 되고 석쇠에 고기가 눌러 붙은 상태로 타게 되어 육류를 맛있게 구워줄 수 없음은 물론 석쇠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것이었다.
그리고 화덕에 담긴 숯불은 유입 공기량을 조절하여 화력을 낮출 경우 숯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육류에 전달되지 않음은 물론 고기를 타지 않고 맛있게 구워주기 어려운 것이며, 숯불은 공기가 충분히 전달되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열을 발하게 하는 상태로 육류를 구워주어야 육류의 맛과 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숯불이 담긴 화로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석쇠와 숯불과의 거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육류가 익혀지는 정도에 따라 숯불과 육류와의 거리를 조절해 주어 육류가 타지 않고 맛있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석쇠에 고기가 눌러 붙어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측에 화로가 안치되는 수평이송대의 타측에 이송나사를 결합시키되 상기 이송나사는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나사축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나사축은 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송나사의 양측에는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송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송나사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이송대가 상하 이동되며 화덕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어 석쇠와 숯불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일반 테이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테이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덕 이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송나사축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송나사축 회전장치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수평이송대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이블 11 : 화덕 재치대 12 : 석쇠
13 : 화덕 15 : 차단판 16 : 이송홀
20 : 수평이송대 21 : 안치구 30 : 이송나사
31 : 가이드롤러 32 : 가이드레일 40 : 이송나사축
41 : 핸들 45 : 모터
본 고안은 육류가 올려지는 석쇠(12)가 놓여지고, 상기 석쇠(12)의 하부에 화덕(13)이 놓여지는 화덕재치대(11)가 구비된 테이블(10)에 있어서, 상기 화덕(13)이 안치되는 안치구(21)가 형성된 수평이송대(20)와, 상기 수평이송대(20)의 선단에 형성된 이송나사(30)와, 상기 이송나사(30)가 결합되고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이송나사축(40)을 구비하므로서 구성된다.
상기 이송나사(30)에는 양측으로 가이드롤러(31)를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롤러(31)는 수직으로 세워진 가이드 레일(32)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송나사(30)에는 스프링(33)을 설치하여 이송나사(3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나사축(40)에는 상부에 이송핸들(41)을 설치하여 회전되게 하거나 화덕재치대(11)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45)에 체결되어 모터(4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덕재치대(11)의 내부에는 화덕(13)이 놓여지는 부분과 이송나사축(40)이 설치된 부분을 가로막는 차단벽(15)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15)은 수평이송대(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홀(16)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된 화덕재치대(11)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냄새를 배출시키는 송풍기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육류를 구워 먹을 수 있는 테이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먼저 화덕(13)에 숯불을 넣고 화덕(13)을 수평이송대(20)의 안치구(21)에 끼워놓고, 화덕재치대(11)의 상측으로 석쇠(12)를 얹어 놓는다.
상기 석쇠(12)에는 육류를 올려놓게 되고, 화덕(13)에 담긴 숯불의 화력에 따라 이송핸들(41)을 돌려 화덕(13)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최적의 화력이 육류에 전달되도록 화덕(13)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이송핸들(41)을 돌리면 이송나사축(40)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이송나사축(40)의 회전에 따라 이송나사(30)가 이송나사축(40)을 타고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송나사(30)에는 수평이송대(2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평이송대(20)가 이송나사(30)를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이송대(20)의 이동에 따라 화덕(13)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이송나사(30)의 양측에는 가이드 롤러(31)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1)는 가이드 레일(32)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2)을 타고 가이드 롤러(31)가 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이송나사(30)의 이동이 안전성 있게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송나사(30)가 상하 이송될 때 이송나사(30)의 일측에 화덕(13)이 안치된 수평이송대(20)가 고정되어 있어 이송나사(30)가 화덕(13)이 설치된 쪽으로 무게를 받게 되어 상하 이송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나사(30)의 수평이송대(20) 반대쪽에 스프링(33)을 설치하여 이송나사(30)가 수평이송대(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송핸들(41)을 회전시킴에 따라 화덕(13)이 상,하 이동하면서 석쇠(12)의 거리가 조절되게 되므로, 화덕(13)의 숯불 화력 또는 석쇠(12)의 육류가 구워지는 정도에 따라 화덕(13)의 높낮이를 변화시켜 최적의 상태로 육류가 구워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이송핸들(41)을 사용치 않고 모터(45)를 이용하여 화덕(1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 아니한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45)를 작동시킬 경우 모터(45)의 정역 회전에 따라 이송나사축(40)이 회전하게 되고, 이송나사축(40)의 회전에 따라 이송나사(30)가 이송나사축(40)을 타고 이동하면서수평이송대(20)를 상하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모터(45)를 이용하여 이송나사축(40)을 회전시킬 경우 이송핸들(41)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이 편리하고 외관이 아름다워 지는 이점은 있으나, 모터(45)의 사용으로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덕재치대(11)의 일부를 가로막는 차단벽(15)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차단벽(15)은 화덕(13)에 담긴 숯불의 화력이 이송나사축(40)에 전달되어 이송나사축(40)이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때 차단벽(15)에는 수평이송대(20)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도록 이송홀(16)을 형성시켜 수평이송대(20)가 이송홀(1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석쇠의 하부에 놓이고 숯불이 채워진 화덕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석쇠에 올려진 육류를 최적의 상태로 구워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석쇠에 고기가 눌러붙어 타지 않도록 하여 석쇠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을 없애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숯불의 화력을 공기 유입량을 이용하여 조절하지 않고 숯불과 석쇠와의 거리를 조절하며 육류를 구워주게 되므로 숯불의 향이 육류에 충분히 배어들게 되어 최적의 맛과 향을 유지하며 구워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숯불의 높이를 이동시켜 화력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석쇠에 고기가 눌러붙어 타지 않게 되므로 육류를 익히는 도중에 자주 석쇠를 갈아주지 않게 되어 석쇠를 닦아주는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석쇠에 묻은 고기가 탈 때 발생하는 연기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Claims (3)

  1. 테이블(10)의 하부에 화덕(13)이 놓이는 화덕재치대(11)가 설치되고 화덕재치대(11)의 상부에 석쇠(12)가 올려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덕재치대(11)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핸들(4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나사축(40)과, 상기 이송나사축(40)에 끼워져 상하 이송되는 이송나사(30)와, 상기 이송나사(30)에 고정되고 화덕(13)이 안치되는 안치구(21)가 형성된 수평이송대(20)와, 상기 이송나사(30)의 양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롤러(31)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나사(30)에는 수평이송대(20)의 안치구(21)와 반대쪽에 스프링(33)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은 가이드레일(32)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나사축(40)에는 핸들(41)을 설치하지 않고 모터(45)의 회전력으로 이송나사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덕 이동 장치.
KR20-2003-0034799U 2003-11-06 2003-11-06 화덕 이동 장치 KR200341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99U KR200341148Y1 (ko) 2003-11-06 2003-11-06 화덕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799U KR200341148Y1 (ko) 2003-11-06 2003-11-06 화덕 이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148Y1 true KR200341148Y1 (ko) 2004-02-11

Family

ID=4942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799U KR200341148Y1 (ko) 2003-11-06 2003-11-06 화덕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1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235B1 (ko) * 2013-07-26 2015-02-12 권민수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170003950U (ko) * 2016-05-13 2017-11-22 김욱동 테이블용 꼬치구이장치
KR102372986B1 (ko) * 2021-05-12 2022-03-10 남문진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235B1 (ko) * 2013-07-26 2015-02-12 권민수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170003950U (ko) * 2016-05-13 2017-11-22 김욱동 테이블용 꼬치구이장치
KR200485929Y1 (ko) * 2016-05-13 2018-03-13 김욱동 테이블용 꼬치구이장치
KR102372986B1 (ko) * 2021-05-12 2022-03-10 남문진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3507B1 (en) Cooking apparatus
US20100297321A1 (en) Barbecue Grill with Variably Positioned Food Basket
KR101242169B1 (ko)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KR102243806B1 (ko) 자동 석쇠 구이기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US20210369052A1 (en) Outdoor cooking station for smoking food and method thereof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GB2269311A (en) Outdoor cooking device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200341148Y1 (ko) 화덕 이동 장치
KR100949476B1 (ko) 숯불구이기
KR20140074483A (ko) 히터의 높낮이 조절식 양면 전기 구이 그릴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070114498A (ko) 숯불구이기
KR20033847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20080109480A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KR20180001198A (ko) 자동 숯불구이 장치
KR101866700B1 (ko) 기름제거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덕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374019Y1 (ko) 고기구이판 경사각도조절장치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