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703B1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703B1
KR100853703B1 KR1020060048157A KR20060048157A KR100853703B1 KR 100853703 B1 KR100853703 B1 KR 100853703B1 KR 1020060048157 A KR1020060048157 A KR 1020060048157A KR 20060048157 A KR20060048157 A KR 20060048157A KR 100853703 B1 KR100853703 B1 KR 100853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harcoal
plate
rack
braz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498A (ko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06004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70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의 상부측에 고기의 안치를 위한 안치부가 마련되고 하부측에 고기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숯불이 담기는 화로가 마련되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화로가 위치된 상부 양측은 내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바디와; 회전가능한 판형상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고기에 끼워지는 다수의 핀이 돌출형성된 고기꽂이와; 상기한 고기꽂이의 직하방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구간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한 바디의 측면에서 서랍식으로 조립 및 탈거되도록 형성된 화로와; 상기한 화로의 하측에 위치되어 화로에서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그 측면으로 화로 내의 숯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된 재받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베큐, 숯불구이기, 화로, 고기꽂이

Description

숯불구이기{A barbecue roas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숯불구이기 11 : 바디
12 : 커버 13 : 화로 레일
14 : 재받이 레일 15 : 개방축수부
16 : 삽입축수부 17 : 투시창
20 : 화로 30 : 고기꽂이
31 : 플레이트 32 : 핀
34 : 구동부 36 : 회전축
37 : 손잡이 40 : 재받이
50 : 통공조절기 80 : 배유구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류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류에서 빠지는 기름이 숯불로 향하지 않도록 하우징의 형태가 구성되고, 바베큐될 고기의 장착을 위한 고기꽂이가 회전되고 고기의 사이즈에 맞춰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숯불구이기는 화로에 담긴 숯불을 열원으로 각종의 고기류 및 생선류를 굽기 위한 것으로, 고기가 안치되기 위한 석쇠 또는 고기꽂이가 마련된 하우징의 하측에 숯불이 담겨진 화로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술불구이기는 육류, 채소류와 함께 음주를 즐겨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영업장소 등의 실내외에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다양한 형태의 숯불구이기가 공급 및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국내의 영업용 식당에서 사용되고 있은 숯불구이기만 하더라도 수십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특허공보 10-2005-0022753호('바비큐가 가능한 고기구이 기구 구현방법')에서는 고기가 꽂이기 위한 바비큐용 고기 고정대가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숯불구이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공개특허공보 10-2005-0053554호('야외용 로스터')에서는 야외에서 고기를 구우면서 테이블로도 사용될 수 있는 구이기가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형태의 고기구이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숯불구이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분리되는 기름이 숯불로 떨어져 연소되는 과정에서 그을음이 발생되어 고기가 타게 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베큐를 위한 고기를 안치시키는 과정에서 고기의 크기에 따른 안정된 장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가 고정체로부터 이탈되거나 고기를 장착하는 과정이 번거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외 등에서 사용되는 이동식 숯불구이기의 경우에는 이동과정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고기류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류에서 빠지는 기름이 숯불로 향하지 않도록 하우징의 형태가 구성되고, 바베큐될 고기의 장착을 위한 고기꽂이가 회전되고 고기의 사이즈에 맞춰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바디의 상부측에 고기의 안치를 위한 안치부가 마련되고 하부측에 고기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숯불이 담기는 화로가 마련되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화로가 위치된 상부 양측은 내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바디와; 회전가능한 판형상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고기에 끼워지는 다수의 핀이 돌출형성된 고기꽂이와; 상기한 고기꽂이의 직하방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구간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한 바디의 측면에서 서랍식으로 조립 및 탈거되도록 형성된 화로와; 상기한 화로의 하측에 위치되어 화로에서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그 측면으로 화로 내의 숯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된 재받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디의 하부 일측에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지지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가 형성된 측의 바디 측면에 지지다리 측을 들어올릴 수 있는 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고기꽂이의 플레이트에는 그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축공이 형성되고,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사각단면상의 회전축에 축지되어지되, 플레이트의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공의 일측에는 위치조절용 볼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고기꽂이의 플레이트에 핀의 위치설정을 위한 다수의 핀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핀의 외측단에는 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체결되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숯불구이기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숯불구이기(10)의 하우징은 내부가 빈 통형상의 바디(11)와, 바디의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12)를 포함하게 된다.
숯불구이기(10)의 바디(11) 내부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의 측면에서 화로(2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 화로(20)는 숯불구이기(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좌우 및 전후 방향에 다수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10)에서는 화로(20)에 담긴 숯불을 열원으로 하여 구워지기 위한 고기가 장착되는 고기꽂이(30)의 직하방의 위치에 화로(20)가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화로(20)에 담긴 숯불의 열에 의하여 고기꽂이(20)에 꽂힌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흘러 나오는 기름이 상기 화로(20)로 흐르지 않도록 고기꽂이(30) 및 화로(20)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1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그 바디(11)의 측단면형상이 대략 '
Figure 112006037809344-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바디의 상부 양측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구간(11b)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부분의 볼록한 위치(11a)에 화로(11)가 서랍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하여 화로 레일(13)이 마련된다.
화로(20)의 하부는 그 내부에 담겼던 숯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재가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흡입이 허용될 수 있도록 철망상으로 형성된다. 화로(2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재는 화로(20)와는 별도로 조립 및 탈거되는 재받이(40)로 모아지도록 구성된다. 재받이(40)가 화로(20)와 마찬가지로 바디(11)에 대하여 서랍식으로 조립 및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화로 레일(13)의 하부에는 재받이 레일(14)이 마련된다.
화로(20)에 담긴 숯불이 연소된 후의 재가 상기한 재받이(40)에 자연스럽게 담겨질 수 있도록 화로(20)의 저면 및 화로 레일(13)의 저면은 관통된 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디(11)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재받이(40)의 측면에는 화로(20)에 담긴 숯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화력조절을 위한 통기구(42)가 형성된다. 이 통기구(42)에는 스로틀 타입의 조절 밸브(44)가 형성된다.
한편, 바디(11)의 상측 중앙부에 고기의 안치를 위한 고기꽂이(30)가 형성되는데, 이 고기꽂이(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 등의 구동부(3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동부(34)의 구동축(35)은 바디(11)의 상부를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회전축(36)에 접속되고, 상기한 회전축(36)의 도중에는 고기꽂이(30)의 중앙부가 축결합된다. 고기꽂이(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1)와, 일단은 플레이트(31)에 꽂히고 다른 일단은 고기에 꽂히도록 형성된 다수의 핀(32)으로 구성된다. 플레이트(31)는 회전체인 점을 감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기에 꽂히는 쪽의 핀의 끝단은 고기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기꽂이(30)는 고기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 채로 회전되면서 구워질 수 있도록 회전축(36)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안치되는 고기의 크기에 따라서 양측에 위치된 플레이트(31)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1)의 축공(31a)은 일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되고, 그 축공(31a)의 외측에서 위치조절용 볼트(31b)가 체결되어 회전축(36)과 플레이트(31)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치조절용 볼트(31b)를 이용하여 고기꽂이(30)의 위치가 설정된 후에 회전축에 대한 위치조절용 볼트(31b)의 체결력 및 작동성이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회전축(36)은 사각단면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플레이트(31)의 축공(31a)은 회전축(36)의 단면형상에 맞춰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6)의 구동원(전동 모터)이 위치된 측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회전축(36)의 끝단부가 바디(11)에 대하여 쉽게 분리가능하도록 바디(11)의 일측면에 마련된 개방축수부(15)의 상부가 대략 'U'자 형태로 개방된 채로 형성된다. 반면 에, 구동원 측이 위치된 바디 측의 돌출축수부(16)는 바디(11)의 내측으로 소정구간 돌출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사각형상의 삽입공(35a)을 가진 구동축(35)이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된다. 'U'자형태로 개방된 개방축수부(15) 측에 조립되는 회전축(36)의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고기꽂이(30)와 함께 회전축(36)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36)의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는 재질의 손잡이(37)가 형성된다.
바디(11)의 길이방향에 대한 고기꽂이(30)의 위치조절이 사각단면상의 회전축(36) 및 플레이트(31)의 축공(31a) 간의 관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한편, 고기꽂이(30)에 안치되는 고기의 두께(혹은 폭이라 표현될 수도 있음)에 대한 핀(32)의 장착위치의 조절을 위하여 플레이트(31)에는 다수의 핀 장착공(31c)이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장착공(31c)이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 차례로 형성되는 것으로, 마치 방사상의 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핀(32)이 플레이트(31)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에 위치되는 측의 핀(32)의 일측 끝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이 나사부에는 플레이트(31)의 외측에서 너트(33)가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핀(32)의 내측 끝단은 고기에 쉽게 꽂힐 수 있도록 바늘처럼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각단면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축(36)에 비하여 핀(32)의 측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고기에 꽂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바디(11)에 대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커버(12)에는 바디 내부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동안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시창(17)이 형성된다. 상기한 투시창(17)이 정면에 위치되었다고 가정할 때에 바디의 배면 상측에 커버(12)가 힌지(18)로써 결합되는데, 바디(11)에 대한 커버(12)의 개방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9)가 커버(12)의 배면측에 브라켓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바디(11) 및 커버(12)의 다수 위치에는 숯불의 화력조절을 위한 통공조절기(50)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바디(11)와 커버(12)의 이동 및 동작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6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10)가 실외 및 야외에서 주로 사용될 목적으로 구성된 만큼 바디(11)의 하부 일측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11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지지다리(112)가 형성된다. 즉, 숯불구이기(10)의 이동시에 지지다리(112)가 형성되어 있은 측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바퀴(111)에 외력을 가하면 이동바퀴가 구르면서 바디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지지다리(112)가 형성된 측의 바디(11) 측면에는 지지다리 측을 들어올리기 위한 핸들(113)이 돌출형성되는데, 이 핸들(113)은 바디 측의 열을 식히기 위한 구간으로 소정구간 연장된 상태에서 그 끝단부에 코일 스프링 등으로 된 단열부(11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되었으나 미설명된 도면부호 70은 바디 내부의 온도측정을 위한 온도계이며, 도면부호 80은 고기로부터 흘러 내려 바디 내부에 고이게 되는 기름의 배출을 위한 배유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면에서와 같이 고기꽂이(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전동모터로 구성된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보호를 위해서 모터 하우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숯불구이기는 야외에서의 사용뿐만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실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굽기 위하여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었거나, 혹은 통째의 고기를 안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고기꽂이(30)를 회전축(36)과 함께 바디(11)의 축수부(15,16)로부터 우선 분리해낸다. 그런 다음, 회전축(36)에 대한 플레이트(31)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후 플레이트(31)를 고기의 길이방향 크기에 맞추어 벌인다. 이 과정에서 플레이트(31)에 지지된 다수의 핀(32)은 플레이트(31)의 외측으로 빼내어진 상태이고, 양측의 플레이트(31) 사이에 고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빼내어진 상태의 핀(32)들을 고기를 향하여 밀어 끼우게 된다. 물론, 고기의 두께(폭)에 따라서 사용자는 핀(32)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다수의 핀(32)들로써 고기가 지지된 상태가 유 지될 수 있도록 한다.
고기를 고기꽂이(30)에 꽂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축(36)과 함께 들어올려 바디(11)의 양측에 마련된 축수부(15,16)에 회전축(36)을 조립하게 된다. 회전축(36)의 일단을 구동축(35)의 삽입공(35a)에 우선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37)가 마련된 다른 일단측을 개방축수부(15)에 올려 놓게 된다.
바디(11)의 측면으로는 구워야 될 고기의 종류 및 크기를 감안하여 화로(20)에 숯불이 담은 상태에서 화로(20)를 화로 레일(13)에 서랍을 끼우듯 밀어넣게 된다. 바디(11)의 각 측면에 마련된 통공조절기(50)의 통공개방량은 숯불의 화력을 감안하여 적절히 조절된다.
고기의 셋팅이 이루어지고, 숯불이 얹혀진 화로(20)가 조립된 상태를 전후하여 사용자는 고기꽂이(30)의 회전이 시작되도록 한다. 즉, 고기꽂이(30)가 구동부(34)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전원스위치를 온(ON) 동작시키게 되는데, 사용자는 고기의 종류 및 구워지는 정도에 맞추어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커버(12)가 닫힌 상태로 고기를 굽는 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지만, 커버는 상황에 따라서 개방된 채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커버(12)를 닫은 채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커버(12)에 마련된 투시창(17)을 통하여 고기가 구워지는 상태 및 숯불의 화력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10)는 통바베큐용 고기류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크기가 작은 생선이나 꼬치류도 구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와 같이 고기꽂이(30)의 각각의 핀(32)에 생선 혹은 꼬치류를 끼운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숯불의 열을 이용하여 구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의하면 고기의 크기에 따른 고기꽂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동작되는 고기꽂이의 장착이 비교적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기가 위치된 직하방에는 숯불이 위치되지 않게 되어 고기로부터 분리된 기름이 숯불에 떨어짐으로 인한 그을음의 발생이 저감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디의 상부를 덮는 커버에는 투시창이 마련되어 있어서 고기가 구워지는 상황 및 숯불의 화력정도가 쉽게 확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디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동과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숯불구이기를 이용해서는 통바베큐에 이용되는 육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 생선이나 꼬치류의 구이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바디의 상부 측에 고기의 안치를 위해 마련되는 안치부, 바디의 하부 측에 마련되어 고기에 열을 가하기 위한 숯불이 담기는 화로, 회전 가능한 판형상의 플레이트 내측으로 고기에 끼워지는 다수의 핀이 돌출 형성된 고기꽂이를 포함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양측에는 각각 고기꽂이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축수부와 고기꽂이의 타단이 안착되도록 상부가 'U'자 형태로 개방된 개방축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로가 위치된 바디의 상부 양측은 내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화로는 고기꽂이의 직하방에서 측방향으로 소정구간 떨어진 위치에 상기 바디의 측면에서 서랍식으로 조립 및 탈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화로의 하측에는 화로에서 낙하되는 재를 받으며 그 측면으로 화로 내의 숯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된 재받이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상측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커버에는 바디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부 일측에는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지지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가 형성된 측의 바디 측면에는 지지다리 측을 들어올릴 수 있는 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기꽂이의 플레이트는 그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축공이 형성되고,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사각단면상의 회전축에 축지되어지되, 플레이트의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축공의 일측에는 위치조절용 볼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기꽂이의 플레이트에는 핀의 위치설정을 위한 다수의 핀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핀의 외측단에는 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체결되는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
KR1020060048157A 2006-05-29 2006-05-29 숯불구이기 KR10085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57A KR100853703B1 (ko) 2006-05-29 2006-05-29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157A KR100853703B1 (ko) 2006-05-29 2006-05-29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498A KR20070114498A (ko) 2007-12-04
KR100853703B1 true KR100853703B1 (ko) 2008-08-25

Family

ID=3914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157A KR100853703B1 (ko) 2006-05-29 2006-05-29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758A (ko) * 2014-01-02 2015-07-10 김석원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2018B (zh) * 2013-06-07 2020-08-04 詹姆士·戴尔·彼得 无烟烧烤装置
KR101517175B1 (ko) * 2014-06-18 2015-05-04 김종필 화덕 구이기
KR102107461B1 (ko) * 2017-12-26 2020-05-07 홍정우 회전식 구이장치
KR102562163B1 (ko) * 2021-12-06 2023-08-01 주식회사 위 화력 집중을 위한 덮개를 구비한 로스터
KR200497635Y1 (ko) * 2021-12-09 2024-01-11 신석순 만능 고기구이 화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36Y1 (ko) 2002-02-04 2002-04-27 박기현 숯불 바베큐장치
KR200355240Y1 (ko) 2004-04-14 2004-07-05 노헌영 바베큐 구이기
KR200372636Y1 (ko) 2004-10-11 2005-01-15 이금일 바비큐 구이 장치
KR200424157Y1 (ko) 2006-05-29 2006-08-16 이승규 숯불구이기의 하우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36Y1 (ko) 2002-02-04 2002-04-27 박기현 숯불 바베큐장치
KR200355240Y1 (ko) 2004-04-14 2004-07-05 노헌영 바베큐 구이기
KR200372636Y1 (ko) 2004-10-11 2005-01-15 이금일 바비큐 구이 장치
KR200424157Y1 (ko) 2006-05-29 2006-08-16 이승규 숯불구이기의 하우징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758A (ko) * 2014-01-02 2015-07-10 김석원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1983863B1 (ko) * 2014-01-02 2019-09-10 김석원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498A (ko) 200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703B1 (ko) 숯불구이기
US20100089248A1 (en) Convection grill
US8418685B2 (en) Barbecue grill with variably positioned food basket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20110139561A (ko)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20080109480A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KR101691979B1 (ko) 고기 구이장치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JP3123961U (ja) 昇降装置付加熱調理器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AU2012216618B2 (en) Foldable barbecue apparatus for substantially minimizing fat and oil spills in both operating and storage conditions
KR100773372B1 (ko) 직화구이장치
KR20150028864A (ko) 회전구이기
WO2018075840A1 (en) Improved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432900Y1 (ko) 석쇠 높이가 조절되는 고기 구이기
KR200296333Y1 (ko) 화덕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이기
KR200374019Y1 (ko) 고기구이판 경사각도조절장치
WO2012025807A1 (en) Equipment for cooking barbecue food
KR200466205Y1 (ko) 휴대용 그릴
KR200264439Y1 (ko) 테이블용 구이기
KR200424158Y1 (ko) 숯불구이기용 고기꽂이의 구조
KR101580445B1 (ko) 라운드 슬로우 쿠킹 바비큐 그릴 장치
KR200341148Y1 (ko) 화덕 이동 장치
KR20030066053A (ko) 숯불 바베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