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986B1 -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986B1
KR102372986B1 KR1020210061312A KR20210061312A KR102372986B1 KR 102372986 B1 KR102372986 B1 KR 102372986B1 KR 1020210061312 A KR1020210061312 A KR 1020210061312A KR 20210061312 A KR20210061312 A KR 20210061312A KR 102372986 B1 KR102372986 B1 KR 10237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whole chicken
chain gear
chicken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문진
Original Assignee
남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문진 filed Critical 남문진
Priority to KR102021006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구이기 본체(1)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2)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21)에 축설된 구동체인기어(22)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지지축(23)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24)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체인기어(22)의 회전동력을 연동체인기어(24)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체인(25)과,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봉(3)과,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에서 각 회전봉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체인(25)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기어(4)와,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구이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 각각에서 점화된 불꽃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와는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를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통닭 자동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봉(3) 및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복수의 제올라이드 가열부(7) 사이에 형성되는 왕복이동 공간부(9)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를 연결하는 체인(25)에 연결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숯불(8)을 담아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전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방사하는 복수의 열기방출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기공(82)이 형성되어 있는 숯불통체(8)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Charcoal-grilled whole chicken automatic grilling}
본 발명은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닭구이기에 가스버너와 전열기구를 함께 설치하여 통닭을 굽고자 할 때 가스버너의 열원이나 전열기구의 열원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을 선택하여 구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가스버너와 전열기구가 함께 설치되어 있는 통닭구이기에 숯불을 담는 숯불통체를 추가 설치하는 수단으로, 가스버너 및 전열기구 중 하나의 열원을 선택하여 통닭을 구울 때 숯불을 함께 이용하여 통닭을 굽도록 함으로써 통닭 전체를 고르게 굽는 동시에 숯불향이 통닭의 육질속으로 스며들도록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하여 통닭을 먹을 때에는 숯불향의 풍미를 느끼면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닭을 굽는 방법으로는, 닭을 기름에 통째로 튀기거나 전기열이나 숯불 등을 이용하여 굽는 방법 등이 있다.
닭을 기름에 튀길 경우에는 닭의 표면에 기름이 잔재하게 될 뿐 아니라 닭의 육질속으로 기름이 스며들게 되므로 별도의 과정을 기름을 제거해야 하며, 또한 닭을 튀기는 기름을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전기열을 이용하여 닭을 굽는 방법으로는, 그 대표적인 것으로 전기 통닭구이기가 알려져 있으나, 이는 전기 통닭구이기의 전방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통닭꽂이에 통닭을 꽂아놓은 상태에서 상기 통닭꽂이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열원으로 가열시키는 방법으로 통닭꽂이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굽게 되는데, 이러한 전기 통닭구이기는 통닭꽂이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통닭의 표면은 쉽게 구워지는 반면에, 속은 제대로 구워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닭을 굽는 시간을 늘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통닭을 굽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숯불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에는 숯불향이 통닭에 스며들 수 있도록 구울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지만, 숯불로 통닭을 굽고자 할 때에는 숯불 위에 올려놓은 석쇠에 통닭을 펼쳐놓고 굽게 되는데, 이때 사람이 통닭을 석쇠위에서 굽고 있는 통닭을 수시로 뒤집어주어야만 타지 않게 구울 수 있기 때문에 통닭을 자동으로 구울 수는 없었고 반드시 사람이 직접 구워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179호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가스버너의 열원을 이용하여 맥반석을 가열하여 가열된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가스버너의 간접열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도록 함으로써 맥반석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통닭을 살균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겠지만, 구워진 통닭에서 가스불맛 이외의 새로운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울 수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남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20179호(2001. 04. 16. 공고)
본 발명은 종래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대의 통닭구이기에 가스버너의 열원이나 전열기구의 열원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을 선택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특히 상기한 가스버너나 전열기구 중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고자 할 때 숯불도 함께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닭의 표면은 물론이고 통닭의 육질 깊숙한 곳까지 충분히 익도록 구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통닭의 표면과 육질에 숯불향이 스며들도록 구울 수 있게 되므로 통닭을 먹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통닭에서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이기 본체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축설된 구동체인기어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체인기어의 회전동력을 연동체인기어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체인과,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봉과,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에서 각 회전봉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체인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기어와,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구이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와,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 각각에서 점화된 불꽃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와는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통닭 자동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봉 및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와 복수의 제올라이드 가열부 사이에 형성되는 왕복이동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에 연결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숯불을 담아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전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방사하는 복수의 열기방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숯불통체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이기 본체의 내부에는 복수의 회전봉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통닭꽂이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전기열을 열원으로 하여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전,후방 전열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숯불통체는 일측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의 일단은 상기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는 구이기 본체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직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왕복이동 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숯불통체가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작동을 감지하는 상부 감지센서 및 하부 감지센서에 의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숯불통체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기 본체는 가스버너 가열부를 이용하여 통닭을 굽거나 또는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므로 야외나 실외 또는 실내에서 통닭을 굽고자 할 때에는 가스버너 가열부를 이용하거나 전열기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며, 또한 가스버너 가열부 또는 전열기구 중 선택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해서 통닭을 자동으로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구이기 본체는 가스버너 가열부와 전열기구 중 선택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고자 할 때 구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숯불통체에 숯불을 담아준 다음 상기 숯불통체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으로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하여 통닭에 숯불향이 스며들도록 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통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가스버너 가열부의 열원이나 전열기구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 이와 동시에 숯불통체에 담긴 숯불의 열원을 함께 이용하게 되므로 통닭을 굽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숯불향을 느낄 수 있는 구운 통닭의 주문량을 많이 늘리게 되더라도 그 주문량을 원활하게 소화할 수 있으므로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숯불구이 통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구이기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 단면도로서,
도 2는 숯불통체가 하강이동할 때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숯불통체가 상승이동할 때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숯불통체에 형성된 어태치먼트의 양단이 체인 및 수직안내레일에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숯불통체에 형성된 어태치먼트가 수직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구이기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구이기 본체(1)는 유리로 된 투시창(11)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도어(12)의 일측에 개폐용 손잡이(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도어(12)는 경첩(14)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 하측에는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작동이 가능한 서보모터 내지 정,역 방향으로 회전작동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정역모터 등으로 구성된 모터(2)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의 구동축(21)에는 구동체인기어(22)가 축설되어 있다.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 상측에는 좌,우측으로 횡설되는 상부 지지축(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지지축(23)에는 연동체인기어(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체인기어(24)는 모터(2)의 구동축(21)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22)과 수직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를 체인(25)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 사이에는 상,하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봉(3)이 횡설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는 체인(2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봉(3)과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체인기어(4)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체인(25)은 복수의 체인기어(4) 각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체인기어(4)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3의 화살표방향 참조)
상기와 같이 구이기 본체(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2)의 구동축(21)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22)와, 상기 구이기 본체(1) 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24)에 연결되는 체인(25)에 엇갈리게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기어(4)와, 상기 복수의 체인기어(4)가 하나씩 축설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봉(3)들은 전면도어(12)에 투명한 유리로 된 투시창(11)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통닭꽂이(5)에 부착되어 있는 통닭이 구워지는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 후방측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통닭을 굽기 위한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가스버너 가열부(6)와 제올라이트 가열부(7) 각각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상,하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의 도시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는 상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는 하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는 상,하 방향을 향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대칭을 이루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에서 점화된 불꽃열기가 복수의 회전봉(3)에 끼워져 있는 복수의 통닭꽂이(5)에 부착되어 있는 통닭을 간접적으로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버너 가열부(6)의 불꽃열기에 의하여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 각각에 작은 크기의 돌멩이 상태로 채워져 있는 제올라이트(zeolite : 沸石)를 가열토록 함으로써 제올라이트 가열부(7)에서 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는 체인(25)에 부착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하나의 숯불통체(8)가 상,하로 왕복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봉(3)과 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통닭꽂이(5) 및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7)와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 사이에 왕복이동 공간부(9)가 마련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왕복이동 공간부(9)의 상,하측에는 모터(2)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상,하부 감지센서(9a)(9b)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숯불통체(8)가 상승하는 작동으로 상부 감지센서(9a)에 감지되는 상측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이를 상기 상부 감지센서(9a)가 감지하여 모터(2)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는 달리 상기 숯불통체(8)가 하강하는 작동으로 하부 감지센서(9b)에 감지되는 하측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이를 상기 하부 감지센서(9b)가 감지하여 모터(2)를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2)는 체인(25)에 연겯되어 있는 숯불통체(8)가 왕복이동 공간부(9)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숯불통체(8)은 숯불(80)을 담아 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전면도어(12)를 향하는 전면에는 숯불(80)의 열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열기방출공(81)이 일정간격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좌,우측에는 숯불(8)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공(82)이 일정간격으로 타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불통체(8)의 일측 상단에는 체인(25)에 연결 부착시키기 위한 어태치먼트(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83)의 일단은 체인(25)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단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84)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직안내레일(8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버너 가열부(6)와 함께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구이기 본체(1)에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전열기구(5a)는 전면도어(12)의 내면과 복수의 회전봉(3)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 전열기구(5b)는 숯불통체(8)가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왕복이동 공간부(9)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전,후방 전열기구(5a)(5b)에는 방열되는 전기열을 통닭꽂이(5)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갓(51)(5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통닭꽂이(5)에 끼워지는 통닭을 전,후방 전열기구(5a)(5b) 각각에서 방열되는 전기열이 통닭꽂이(5) 각각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집중 가열하여 구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온(on)/오프(off)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전면도어(12)의 일측에는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 각각에 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조절스위치(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의 상부에는 통닭을 구울 때 발생하게 되는 각종 냄새 및 배출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6)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1)를 이용하여 가스버너 가열부(6)의 열원이나 또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의 열원 중 어느 하나의 열원을 선택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스버너 가열부(6) 또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 중 선택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에는 상기 숯불통체(8)에 담긴 숯불(80)의 열원을 함께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1)는 실외 내지 야외 등에서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버너 가열부(6)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며, 또는 실내 등에서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다.
먼저, 상기 구이기 본체(1)를 실외 내지 야외 등에서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버너 가열부(6)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횡설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복수의 통닭꽂이(5)를 설치한 다음, 상기의 각 통닭꽂이(5) 각각에 통닭을 1~3마리씩 끼워놓고 모터(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각 통닭꽂이(5)에 끼워놓은 통닭들이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의 전면도어(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스조절스위치(15) 각각을 온(on) 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 각각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점화되고, 점화된 가스불꽃이 상기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있는 통닭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 각각에서 점화된 가스불꽃은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있는 통닭들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동시에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를 가열하게 되므로 상기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 각각은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열기와 함께 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에서 방출되는 열기는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회전하는 통닭들을 간접 가열하여 굽게 되는 동시에 각 제올라이트 가열부(7)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통닭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해로운 물질을 살균 및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 각각에서 점화된 가스불꽃의 열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하고 있는 통닭들을 간접 가열하는 방법으로 굽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숯불통체(8)에 담겨있는 숯불(80)의 열기를 이용하여 통닭을 굽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숯불통체(8)는 왕복이동 공간부(9)를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서 제자리 회전하고 있는 통닭들을 골고루 가열하는 작동으로 통닭들을 태우지 않고 균등하게 굽게 되며, 또한 상기 숯불통체(8)의 숯불(80)에서 발생하는 숯불향에 의해 간접 가열되는 작동으로 구워지고 있는 통닭들의 표면과 육질속으로 스며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숯불통체(8)가 모터(2)가 회전하는 구동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가상선부분과 같이 상부 감지센서(9a)에 감지되는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가 되면, 이를 상기 상부 감지센서(9a)가 감지하여 상기 모터(2)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모터(2)의 구동축(21)에 축설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25)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숯불통체(8)는 도 2에 도시된 실선부분과 같이 하부 감지센서(9b)를 향해 하강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모터(2)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안에는 체인(25)에 연결되어 있는 숯불통체(8)는 왕복이동 공간부(9)에서 하강 이동하는 상태이며, 상기 숯불통체(8)가 하부 감지센서(9b)의 위치까지 하강 이동한 상태가 되면, 이를 상기 하부 감지센서(9b)가 감지하여 모터(2)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숯불통체(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감지센서(9b)의 위치까지 하강한 상태(실선부분 참조)에서는 상승 이동하게 되는 상태가 되며, 이어서 상기 숯불통체(8)가 상부 감지센서(9a)의 위치까지 상승한 후에는 다시 하강하는 작동을 반복 되풀이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이기 본체(1)의 왕복이동 공간부(9)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는 숯불통체(8)는 그에 담겨있는 숯불(80)의 열기로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통닭들을 간접 가열하게 되며, 또한 상기 숯불통체(8)에 담겨있는 숯불(80)에서 발생하는 숯불향이 구이기 본체(1) 내부에 확산되므로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통닭꽂이(5)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통닭들은 표면과 육질에 숯불향이 스며드는 상태로 구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이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 왕복이동 공간부(9)를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숯불통체(8)에 숯불(80)을 담고 통닭을 굽게 되면 통닭을 간접 가열하는 방법으로 구울 수 있게 되므로 통닭을 태우지 않고 굽게 될 뿐 아니라 통닭의 표면 및 육질속으로 숯불향이 스며들게 통닭을 구울 수 있게 되어 사람들에게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워진 통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상기 구이기 본체(1)를 실내 등에서 전,후방 전열기구(5a)(5b)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다.
상기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전면도어(1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스위치(50)를 온(on)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전,후방 전열기구(5a)(5b)는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전기열의 열기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후방 전열기구(5a)(5b)는 복수의 회전봉(3)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통닭꽂이(5)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향해 전기열을 방출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전,후방 전열기구(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갓(51)(52) 각각은 전,후방 전열기구(5a)(5b)에서 발생하는 전기열이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회전하는 통닭을 향해 집중적으로 반사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전,후방 전열기구(5a)(5b)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복수의 회전봉(3)과 같이 회전하는 통닭에 집중 가열시키는 작동으로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이용하여 통닭을 굽고자 할 때에도 모터(2)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숯불통체(8)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왕복이동 공간부(9)의 상,하부 감지센서(9a)(9b) 사이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숯불통체(8)는 상,하로 왕복 승강이동하면서 숯불(80)의 열기로 통닭을 굽게 되므로 통닭을 굽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때에도 상기 숯불통체(8)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숯불통체(8)에 담긴 숯불(80)의 열기로 통닭을 구울 수 있게 되므로 통닭을 태우지 않고 구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통닭의 표면 및 육질속까지 숯불향이 스며들게 통닭을 굽게 되므로 사람들에게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구운통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이기 본체(1)는 가스버너 가열부(6)의 가스불꽃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굽거나 전,후방 전열기구(5a)(5b)의 전기열의 열원을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스버너 가열부(6)의 열원과 전,후방 전열기구(5a)(5b)의 열원 중 선택된 하나의 열원과 함께 숯불통체(8)에 담긴 숯불(80)의 열기를 동시에 이용하여 통닭을 구울 수 있으므로 통닭을 태우지 않고 구울 수 있되 굽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통닭에 숯불향이 스며들게 자동으로 구울 수 있으므로 사람들에게 숯불향의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워진 구운 통닭을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구이기 본체 11 : 투시창
12 : 전면도어 13 : 개폐용 손잡이
14 : 경첩 15 : 가스조절스위치
16 : 배출구 2 : 모터
21 : 구동축 22 : 구동체인기어
23 : 상부 지지축 24 : 연동체인기어
25 : 체인 3 : 회전봉
4 : 체인기어 5 : 통닭꽂이
5a,5b : 전,후방 전열기구 51,52 : 반사갓
6 : 가스버너 가열부 7 : 제올라이트 가열부
8 : 숯불통체 81 : 열기방출공
82 : 통기공 83 : 어태치먼트
84 : 가이드롤러 85 : 수직안내레일
9 : 왕복이동 공간부 9a,9b : 상,하부 감지센서

Claims (4)

  1. 구이기 본체(1)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동력원인 모터(2)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21)에 축설된 구동체인기어(22)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지지축(23)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는 연동체인기어(24)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체인기어(22)의 회전동력을 연동체인기어(24)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체인(25)과, 상기 구이기 본체의 내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동체인기어와 연동체인기어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봉(3)과,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에 하나씩 설치된 상태에서 각 회전봉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체인(25)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기어(4)와, 상기 복수의 회전봉 각각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구이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 각각에서 점화된 불꽃열기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와는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상,하 복수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올라이트 가열부(7)를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되는 통닭 자동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봉(3) 및 상기 복수의 가스버너 가열부(6)와 복수의 제올라이드 가열부(7) 사이에 형성되는 왕복이동 공간부(9)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를 연결하는 체인(25)에 연결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숯불(8)을 담아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전면에는 숯불의 열기를 방사하는 복수의 열기방출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통기공(82)이 형성되어 있는 숯불통체(8)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이기 본체(1)의 내부에는 복수의 회전봉(3)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통닭꽂이(5)에 끼워져 있는 통닭을 굽기 위하여 전기열을 열원으로 하여 통닭을 굽도록 하는 전,후방 전열기구(5a)(5b)를 더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체(8)는 일측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83)의 일단은 상기 구동체인기어(22)와 연동체인기어(24)를 연결하는 체인(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어태치먼트(83)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롤러(84)는 구이기 본체의 전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직안내레일(85)을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는 왕복이동 공간부(9)에 설치되어 있는 숯불통체(8)가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작동을 감지하는 상부 감지센서(9a) 및 하부 감지센서(9b)에 의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숯불통체(8)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KR1020210061312A 2021-05-12 2021-05-12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KR10237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12A KR102372986B1 (ko) 2021-05-12 2021-05-12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312A KR102372986B1 (ko) 2021-05-12 2021-05-12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986B1 true KR102372986B1 (ko) 2022-03-10

Family

ID=8081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312A KR102372986B1 (ko) 2021-05-12 2021-05-12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9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453Y1 (ko) * 1999-10-30 2000-04-15 이태수 바베큐장치
KR200220179Y1 (ko) 2000-11-28 2001-04-16 전운용 통닭 자동 구이기
JP2002028081A (ja) * 2000-07-14 2002-01-29 Ajinomoto Co Inc 炭火焼き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341148Y1 (ko) * 2003-11-06 2004-02-11 남기홍 화덕 이동 장치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US20210131667A1 (en) * 2019-11-06 2021-05-06 The Magnum Barbeque Company, Llc Coo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453Y1 (ko) * 1999-10-30 2000-04-15 이태수 바베큐장치
JP2002028081A (ja) * 2000-07-14 2002-01-29 Ajinomoto Co Inc 炭火焼き食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220179Y1 (ko) 2000-11-28 2001-04-16 전운용 통닭 자동 구이기
KR200341148Y1 (ko) * 2003-11-06 2004-02-11 남기홍 화덕 이동 장치
KR100984964B1 (ko) * 2010-03-15 2010-10-04 주식회사 파세코 튀김기
US20210131667A1 (en) * 2019-11-06 2021-05-06 The Magnum Barbeque Company, Llc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366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CN102378591B (zh) 移动烤肉炉
EP2845528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KR20100015098A (ko) 참숯 훈연-원적외선 오븐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2078499B1 (ko) 구이판 승강 및 양방향 조리 구조를 갖는 테이블용 구이기
KR102372986B1 (ko) 숯불 통닭 자동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160107875A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44633Y1 (ko) 치킨 구이기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CN211482652U (zh) 一种食品加工设备
KR100835267B1 (ko) 수평 및 수직회전이 동시 가능한 바비큐장치
KR100707385B1 (ko)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20010048114A (ko) 회전식 바베큐구이기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CN207784963U (zh) 自动高效无烟电烧烤炉
KR200448049Y1 (ko) 구이용 전열조리장치
KR101894774B1 (ko) 가열헤드의 위치 가변이 가능한 적외선 조리기
KR101489761B1 (ko) 이동식 구이기
KR20090100744A (ko) 육류 구이장치
CN220275419U (zh) 一种多功能自动无烟烧烤炉
KR102027580B1 (ko) 회전식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