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195Y1 -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195Y1
KR890001195Y1 KR2019850016347U KR850016347U KR890001195Y1 KR 890001195 Y1 KR890001195 Y1 KR 890001195Y1 KR 2019850016347 U KR2019850016347 U KR 2019850016347U KR 850016347 U KR850016347 U KR 850016347U KR 890001195 Y1 KR890001195 Y1 KR 890001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closing door
clo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355U (ko
Inventor
유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6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195Y1/ko
Publication of KR870010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개폐 및 록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폐문을 폐방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동구에 개폐문의 걸림간이 걸려진 상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본체 2 : 개폐문
3 : 고정캡 3a : 내벽
4 : 돌출봉 5,5a : 돌기
6 : 내공 7 : 코일스프링
8,8a : 수평가이드홈 9,9a : 호형가이드홈
10 : 단턱 11 : 회동구
11a : 걸림턱 12 : 걸림간
12a : 절곡턱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개폐문을 열고 닫음에 있어서 개폐문을 눌러주기만 하는 동작으로서 개폐문이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아질 수 있도록 구성한 도어개폐 및 록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개폐문의 개폐작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푸쉬개폐식 스위치는 스위치노브의 표면에 하트형 캠홈을 설치하고 상기 캠홈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볼 또는 걸림핀이 도어의 푸쉬의 동작에 따라 하트모양의 캠홈 상측이나 하측에 걸려 도아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캠홈이 사용횟수에 따라 볼 또는 걸림핀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여 볼 또는 걸림핀이 이탈될 우려가 있어 도어의 푸쉬개폐에 따른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기기본체에 코일스프링을 탄설하여 유착시킨 회동구에 걸림턱을 돌설하여 개폐문에 고정시킨 걸림간의 선단부에 형성한 절곡턱에 의하여 걸림되고 벗어남에 따라서 개폐문이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중앙에 돌출봉(4)과 내벽(3a)후방에 돌기(5)(5a)를 돌설시킨 고장캡(3)을 기기본체(1)에 고정하여 내공(6)에 코일스프링(7)을 수장하여 동체면에 수평가이드홈(8)(8a)과 호형가이드홈(9)(9a)에 단턱(10)을 주어 연설시킨 회동구(11)의 선단 일측에 반원걸림턱(11a)을 형성하여 개폐문(2)에 고정설치한 걸림간(12)의 선단부에 돌출시킨 절곡턱(12a)에 걸림되거나 벗어남에 따라 개폐문(2)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개폐문(2)이 폐방된 상태에서 개폐문(2)을 한번 눌렀다가 놓아주게되면 개폐문(2)의 내벽면에 고정설치된 걸림간(12)의 선단부에 돌출되어 회동구(11)의 걸림턱(11a)에 물림된 상태로서 회동구(11)를 눌러주게 되는데 이때에 고정캡(3)의 내벽(3a)에 돌출시킨 돌기(5)(5a)에 지지된 상태인 회동구(11)에 형성된 수평가이드홈(8)(8a)의 단턱(10)을 벗어나면서 코일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구(11)가 후퇴하게 되는데 회동구(11)는 호형가이드홈(9)(9a)에 의하여 180°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동구(11)의 걸림턱(11a)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걸림간(12)에 걸림된 절곡턱(12a)을 벗어나게 됨에 따라서 개폐문(12)이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며 또한 개폐문(2)을 닫을때에는 개폐문(2)을 눌러주었다가 놓아주게되면 상기 작동에 의하여 회동구(11)가 180°회전하여 회동구(11)의 수평가이드홈(8) (8a)의 전방턱(10)에서 돌기(5)(5a)가 벗어나게 되어 후방턱(10)의 위치에 걸려지게 됨에 따라 걸림턱(11a)을 원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걸림턱(11a)과 절곡턱(12a)이 걸림되어 지면서 개폐문(2)이 폐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개폐문에 설치하여 개폐문을 눌러주기만 하면은 개폐문의 개폐동작 및 록크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므로 개폐문의 개폐작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중앙에 돌출봉(4)과 내벽(3a) 후방에 돌기(5)(5a)를 돌설시킨 고장캡(3)을 기기본체(1)에 고정하여 내공(6)에 코일스프링(7)을 수장하여 동체면에 수평가이드홈(8)(8a)과 호형가이드홈(9)(9a)에 단턱(10)을 주어 연설시킨 회동구(11)의 선단 일측에 반원걸림턱(11a)을 형성하여 개폐문(2)에 고정설치한 걸림간(12)의 선단부에 돌출시킨 절곡턱(12a)에 걸림되거나 벗어남에 따라 개폐문(2)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도어개폐 및 록크장치.
KR2019850016347U 1985-12-07 1985-12-07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KR890001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347U KR890001195Y1 (ko) 1985-12-07 1985-12-07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347U KR890001195Y1 (ko) 1985-12-07 1985-12-07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355U KR870010355U (ko) 1987-07-11
KR890001195Y1 true KR890001195Y1 (ko) 1989-03-30

Family

ID=1924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347U KR890001195Y1 (ko) 1985-12-07 1985-12-07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1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355U (ko) 198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9705C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US4502182A (en) Over-center hinge
US4044429A (en) Locking safety pin and key carrier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KR840001695A (ko) 가열조리기의 문 개폐장치
KR890001195Y1 (ko)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KR900016579A (ko) 래치 장치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60010728Y1 (ko) 커버도어 개폐장치
KR870002513Y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랫치구조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860002353Y1 (ko)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JPS6349604Y2 (ko)
KR013885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장치
KR900009671Y1 (ko) 도어 록 장치
JP2899447B2 (ja) 埋設式把手装置
KR890003501Y1 (ko) 도어 개폐장치
KR920002155Y1 (ko) 가전제품의 도어 고정장치
KR950008521Y1 (ko) 카세트 출입문 잠금 장치
KR890002112Y1 (ko) 도어의 이단 열림장치
KR200208168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걸림핀 이탈방지구조
KR90000506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JPS597493Y2 (ja) ドア−キヤツチヤ−
KR970012482A (ko) Vcr의 프론트도어열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