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353Y1 -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353Y1
KR860002353Y1 KR2019840010257U KR840010257U KR860002353Y1 KR 860002353 Y1 KR860002353 Y1 KR 860002353Y1 KR 2019840010257 U KR2019840010257 U KR 2019840010257U KR 840010257 U KR840010257 U KR 840010257U KR 860002353 Y1 KR860002353 Y1 KR 860002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door
locking
cassette
guide rail
loc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288U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0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353Y1/ko
Publication of KR860005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제1 도는 본고안 개폐장치가 설치된 카세트 테이프레코더의 일부 절결사시도.
제2(a)(b)도는 본고안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카세트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종단면도.
(b)는 카세트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제2(a)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 케이싱부 4 : 카세트도어
5 : 작동부 5a : 걸림면
5b : 미끄럼면 6 : 안내레일
7 : 보스 9 : 로크홀더
10 : 걸림편 10' : 걸림돌기
11 : 안내돌기
본고안은 카세트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괘지장치가 이젝트(eject)레버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카세트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괘지장치와, 카세트도어를 열리는 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지장치를 일체로 구성한 카세트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괘지장치를 이젝트레버와 일체로 형성하지않은 여러가지의 카세트도어 개폐장치가 고안, 사용되어 왔으나, 그들의 대부분 괘지장치는 이젝트레버에 연동되게 착설하고, 탄지장치는 카세트도어가 축으로하여 회전하게되는 힌지등에 스프링을 설치한 것으로, 그 괘지장치와 탄지장치가 각기 별도로 구성되어 많은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게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그 장치가 복잡하는 등 여러가지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카세트도어의 하단부에는 걸림면과 미끄럼면을 가지는 작동부를 형성하고, 작동부일측의 전면 케이싱부 내벽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로크홀더를 전방으로 탄지되게 착설하여, 카세트도어의 개폐시걸림돌기가 작동부의 걸림면과 미끄럼면에 접촉되면서 카세트도어를 괘지 및 탄지시키는 두가지 장치를 겸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고안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1)의 이젝트버튼(2)을 누르면, 이젝트버튼(2)의 하부에 착설된 누름대(2')가 이젝트 레버(3)를 회전시켜 카세트도어(4)를 여는 카세트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카세트도어(4)의 하단부에는 절곡부(5')를 사이에 두고 걸림면(5a)과 미끄럼면(5b)을 가지는 작동부(5)를 형성하고, 작동부(5)의 일측 즉,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1)의 전면 케이싱부('1)내벽에는자형 안내레일(6)을 착설하며, 그 안내레일(6)과 상기 작동부(5)사이의 전면 케이싱부(1')내벽에는 보스(7)를 착설하여, 그 보스(7)에 스프링(8)으로 로크홀더(9)가 전방으로 탄지되게 착설하되, 로크홀더(9)의 일측에는 걸림편(10)을 상향돌설시키고, 걸림편(10)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0')를 돌설하고 상기 작동부(5)와 접촉 즉, 카세트도어(4)의 개폐시 걸림돌기(10')가 작동부(5)의 걸림면(5a)과 미끄럼면(5b)에 접촉되게하며, 로크홀더(9)의 타측에는 상기 안내레일(6)에 끼워지는 안내돌기(11)를 돌설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스프링(8)의 탄성력은 이젝트버튼(2)을 눌러 이젝트레버(3)가 카세트도어(4)를 미는 힘보다 작게 구성하고, 도면 중 미 설명부호 12 스프링(8)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 13은 와셔(12)를 고정시키는 보울트, 14,15는 힌지이며, 16은 카세트테이프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안내돌기(11)가 안내레일(6)을 따라 전후로 이동자재되게 로크홀더(9)를 보스(7)에 끼운 후, 스프링(8)을 개재하여 보울트(13)로 와셔(12)를 고정시키는 간단한 조립공정을 갖는 것으로, 이와같이 조립되는 본고안의 개폐장치를 카세트 테이프레코더(1)에 착설한 후, 카세트도어(4)를 열 경우에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젝트버튼(2)을 눌러 누름대(2')가 이젝트레버(3)를 회전시키면, 이젝트레버(3)는 카세트도어(4)를 일정각도만큼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이 때 카세트도어(4)는 회전하면서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부(5)의 걸림면(5a)에 접촉되어 있던 걸림돌기(10')를 후방으로 밀어 로크홀더(9)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로크홀더(9)는 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하면서 걸림면(5a)에 접촉되어 있던 걸림돌기(10')가 절곡부(5')를 지나 미끄럼면(5b)에 닿게되므로, 로크홀더(9)는 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10')가 미끄럼면(5b)을 밀어 주게되고, 이에 따라 이젝트레버(3)의 회전에 의해 일정각도만큼 열려 있던 카세트도어(4)는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와같이 로크홀더(9)의 걸림돌기(10')가 미끄럼면(5b)을 밀어 카세트도어(4)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카세트도어(4)에 카세트테이프(16)를 장착시킨 후, 상기의 열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카세트도어(4)를 밀면, 상기와는 반대로 로크홀더(9)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미끄럼면(5b)에 접촉되어 있던 걸림돌기(10')가 절곡부(5')를 지나 걸림면(5a)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따라 걸림면(5a)은 걸림돌기(10')에 괘지되어 카세트도어(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의 카세트도어 개폐장치는 그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장치가 간단하여 원가절감은 물론, 카세트도어(4)의 개폐시 그 동작이 매우 원할하여 제품에 신뢰성을 부여 하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카세트도어(4)를 개폐시는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도어(4)의 하단부에는 걸림면(5a)과 미끄럼면(5b)을 가지는 작동부(5)를 형성하고, 작동부(5)일측의 전면케이싱부(1') 내벽에는자형 안내레일(6)을 착설하며, 안내레일(6)과 작동부(5)사이에는 보스(7)를 착설하여 그 보스(7)에 로크홀더(9)가 전방으로 탄지되게 설치하되, 로크홀더(9)의 일측에는 걸림편(10)을 상향돌설하여, 걸림편(10)의 선단부에 상기 작동부(5)와 접촉되는 걸림돌기(10')를 돌설하고, 로크홀더(9)의 타측에는 상기 안내레일(6)에 끼워지는 안내돌기(11)를 돌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KR2019840010257U 1984-10-18 1984-10-18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KR860002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257U KR860002353Y1 (ko) 1984-10-18 1984-10-18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0257U KR860002353Y1 (ko) 1984-10-18 1984-10-18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288U KR860005288U (ko) 1986-05-10
KR860002353Y1 true KR860002353Y1 (ko) 1986-09-20

Family

ID=7016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257U KR860002353Y1 (ko) 1984-10-18 1984-10-18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3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288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6628Y2 (ko)
JPH0896891A (ja)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KR900007836Y1 (ko) 카세트의 창셔터 개폐기구
KR950034928A (ko) 이젝트 기구 부착형 카드 에지 커넥터
KR940021869A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US598438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KR100201025B1 (ko) 냉장고
KR890001458Y1 (ko) 문짝용 핸들장치
KR860002353Y1 (ko)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US7273239B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KR97000198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프리 오픈(pre-open)장치
JPS59227064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US4953045A (en) Cassette tape player with door operating mechanism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KR920004449Y1 (ko) 테이프레코더의 도어 개폐장치
JP2899447B2 (ja) 埋設式把手装置
KR91000095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삽입 방지장치
KR900009247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890003501Y1 (ko) 도어 개폐장치
KR890001195Y1 (ko)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JPS5932703Y2 (ja) 錠前
KR860003309Y1 (ko) 냉장고 도어의 록크장치
KR90000508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카세트 도어 결합장치
JPH0611334Y2 (ja) ラッチ作動型平面ハンドル装置
JPH0631074Y2 (ja) 反転ラッチヘッド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