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02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025B1
KR100201025B1 KR1019950049566A KR19950049566A KR100201025B1 KR 100201025 B1 KR100201025 B1 KR 100201025B1 KR 1019950049566 A KR1019950049566 A KR 1019950049566A KR 19950049566 A KR19950049566 A KR 19950049566A KR 100201025 B1 KR100201025 B1 KR 10020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al
refrigerator
closed
se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181A (ko
Inventor
타쯔오 미야치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다다시
마쯔시다 레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다다시, 마쯔시다 레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다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02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바라지식의 문짝이 있는 쌍바라지문짝식 냉장고에 있어서, 물품의 출납을 행할때에 개구를 넓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으로서, 그 구성에 있어서, 시일기둥(4)을 세로설치한 제1문짝(2)을 폐쇄하고, 제2문짝(3)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시일기둥(4)은 제1문짝(2)으로부터 제2문짝(3)을 향해서 돌출하지 않는 후퇴위치에 있어서 제1문짝(2)에 존재하고, 제1문짝(2)과 제2문짝(3)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는, 시일기둥(4)은 제2문짝(3)을 향해서 일부가 돌출한 상태에서 제1문짝(2)의 배면부에 존재하고, 시일기둥(4)과 제1문짝(2), 제2문짝(3)에 의해 냉장고를 시일하는 구성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두짝열개식의 냉장고의 제1문짝과 제2문짝의 상태를 표시한 개략상면도.
제2도는 동냉장고의 시일기둥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동냉장고의 시일기둥장치내의 연동레버부분과, 시일기둥의 상단부에 형성한 가이드체와의 관계를 표시한 상면도.
제4도는 동냉장고의 가이드체부분의 요부사시도.
제5도는 동냉장고의 제1문짝고 제2문짝과의 관계를 시일기둥구동장치내의 상태에 의해서 설명하는 요부상면도.
제6도는 동냉장고의 제1문짝과 제2문짝이 이상한 관계에 있는 경우를 시일기둥구동장치내의 상태에 의해서 설명하는 요부상면도.
제7도는 동냉장고의 제1문짝과 제2문짝이 다른 이상한 관계에 있는 경우를 시일기둥구동장치내의 상태에 의해서 설명하는 요부상면도.
제8도는 종래예의 냉장고의 시일기둥을 구비한 문짝의 사시도.
제9도는 동냉장고의 개구부분을 표시한 정면도.
제10도는 동냉장고의 문짝부분을 표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문짝 3 : 제2문짝
4 : 시일기둥 5 : 시일기둥구동장치
6 : 연동레버 7 : 케이스
7a : 상부케이스부재 7b : 하부케이스부재
9 : 핀안내홈 11 : 작용부
11a : 제1당접부 11b : 제2당접부
12 : 핀미끄럼긴구멍 13 : 구동핀
16 : 돌기(조작체) 18 : 가이드체
19 : 캠홈
본 발명은 좌우 2개의 문짝을 가지고 좌우양쪽으로 개방할 수 있는, 즉 쌍바라지식문짝(biparting doors)을 가진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쌍바라지식문짝을 가진 냉장고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 62-63692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 구성의 개략을 표시하면 제8도, 제9도, 제10도와 같다.
즉, 문짝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시일기둥(21)은 수납부재(22)내에 수납해둔다. 다음에 문짝A를 폐쇄해가면, 시일기둥(21)의 걸어맞춤부(21A)가 안내홈(23)의 문짝쪽의 입구로부터 안내홈(23)내에 침입하고, 다음에 돌출부재(24)의 곡면(24A)에 구석부분이 당접하고, 그것에 안내되어서 회동된다.
이에 의해서 시일기둥(21)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시일기둥(21)앞면은 개구(25)와 거의 한면으로되어, 문짝A,B의 가스킷(26)의 착자면(着磁面)을 구성하고, 이에 의해서 개구(25)는 밀폐된다.
또, 문짝A를 개방하면, 시일기둥(21)은 돌출부(27)의 곡면(27A)을 따라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수납부재(22)내에 수납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문짝A를 폐쇄한채, 문짝B를 개방하였을경우에는 시일기둥(21)이 문짝A의 앞면과 평행하게 존재하며, 따라서 개구(25)를 좁아지게하는 상태에 있고, 문짝B를 개방한채 물품을 냉장고내에 출납할때의 면적을 작게하는 결과가 되고, 시일기둥(21)은 방해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바깥쪽이 힌지에 의해 냉장고에 축지지되어 있는 1쌍의 문짝을 이루는 제1문짝과 제2문짝을 가지고, 제1문짝이 폐쇄되어 있고 제2문짝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1문짝의 개방쪽으로 세로설치한 시일기둥은, 제1문짝으로부터 제2문짝을 향해서 돌출하지않는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제1문짝을 폐쇄한 후에 제2문짝을 폐쇄하였을 경우에,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의해서 연동해서 상기 시일기둥을 제2문짝을 향해서 그 일부를 돌출해서, 상기 제1문짝과 제2문짝을 시일기둥에 의해서 수납고를 시일하는 위치에 전진하고, 제1문짝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는, 시일기둥은 제2문짝을 향해서 돌출하지않는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은,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시일기둥의 전진 또는 후퇴를 제1문짝에 대해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은,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시일기둥의 전진 또는 후퇴를 제1문짝에 대해서 미끄럼하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은,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당접하는 작용부가 시일기둥구동장치내의 연동레버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동레버에 있어서 그 작용부로부터 회동중심을 넘어서 반대단부에 핀미끄럼긴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핀미끄럼긴구멍에 삽입한 구동판은 시일기둥구동장치의 하부케이스에 형성한 핀안내홈을 통해서 시일기둥상부의 캠홈에 삽입해서 시일기둥을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은,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연동레버는 시일기둥구동장치의 케이스내에 회동자재하게 수납되고, 연동레버의 작용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해서 제2문짝의 조작체에 닿는 위치에 배치하고, 연동레버의 구동핀은 시일기둥상부의 캠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해서 상기 케이스를 냉장고상부에 고착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6의 발명은, 본 발명의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당접하는 작용부에, 제2문짝이 잘못하여 폐쇄되지 않도록 제2문짝의 조작체가 당접하기 위한 제1당접부와 제2당접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1문짝을 폐쇄한 채 제2문짝을 개방하였을 경우에, 제1문짝에 장착한 시일기둥은 제2문짝의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존재한다.
또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은, 케이스를 냉장고상부에 고착함으로써, 상기 작용을 하는 시일기둥구동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6의 발명은, 잘못하여 문짝을 폐쇄해서 제1문짝과 제2문짝의 사이에 단차(段差)가되는 갭을 형성해서, 문짝의 개폐를 다시할 것을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냉장고(1)의 수납고는 쌍바라지식의 1쌍의 문짝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이며, 이 1쌍의 문짝을 이루는 제1문짝과 제2문짝은 각각 바깥쪽이 힌지에 의해 냉장고(1)에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문짝(2)의 개방단부쪽에는, 제2문짝(3)쪽으로 진퇴하도록 회동하는 시일기둥(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시일기둥(4)의 동작은, 제1문짝이 개방되어 있는 제1도의 (a)에 표시한 상태에서는 동시일기둥(4)이 안쪽회동위치, 즉 제1문짝(2)의 개방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후퇴위치에 있으며, 이 후퇴위치는 제1문짝(2)이 폐쇄되고, 제2문짝(3)이 개방된 제1도의 (b)에 표시한 상태까지 유지된다. 또한, 시일기둥(4)은 상기 후퇴위치의 쪽으로 도시하지 않는 부세수단에 의해서 부세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2문짝(3)을 폐쇄하면, 이 폐쇄동작과 연동해서 수납고위쪽내면에 배치한 시일기둥구동장치(상세한 것을 후술함)과 시일기둥(4)을 후퇴위치에 부세하는 힘에 대항해서 시일기둥(4)을 제1도의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문짝(3)쪽으로 돌출하는 전진위치까지 회동하여, 제1문짝(2), 제2문짝(3)사이의 시일을 확실하게 행한다.
그리고 수납고내의 물품을 인출할 경우에는, 제2문짝을 개방하면 제1도의 (d)에 표시한 바와같이 시일기둥구동장치를 개재해서 시일기둥(4)이 재차후퇴위치까지 회동되고, 또 제1문짝(2)을 개방하고, 제2문짝(3)을 폐쇄해도 제1도의 (e)에 표시한 바와같이 시일기둥(4)은 후퇴위치에 회동된다.
따라서 제1문짝(2), 제2문짝(3)의 어느한쪽의 문짝을 개방하였을 경우 및 양쪽문짝을 개방하였을 경우 시일기둥(4)은 제1문짝(2)의 후퇴위치에 있으며, 수납고의 개구를 넓게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에 상기 시일기둥구동장치(5)의 구성을 표시한다. 즉, 중간이 축지지된 연동레버(6)가 케이스(7)에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7)는 상부케이스부재(7a)와 하부케이스부재(7b)를 결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하부케이스부재(7b)에, 연동레버(6)의 중간을 축지지하는 보스(8)와, 동연동레버(6)의 회전궤적보다도 안쪽으로 경사한 핀안내홈(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기둥구동장치(5)는 수납고위쪽내면, 상세하게는 제1문짝(2)에 의해 개폐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고 위쪽벽(1a)에 보강판(10)을 개재해서 상부케이스부재(7a)가 고정되어 있다. 연동레버(6)는, 일단부가 케이스(7)밖으로 나와있어서 작용부(11)를 이루고 있으며, 또 케이스(7)내에 위치하는 타단부쪽에는 핀미끄럼긴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13)은 상기 핀미끄럼긴구멍(12) 및 핀안내홈(9)을 관통해서 하부케이스부재(7b)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구동핀으로서, 그상단부에는 연동레버(6)에의 유지를 목적으로한 대직경두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연동레버(6)는 스프링(15)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 자유상태에서 작용부(11)가 제2문짝(8)의 개폐동작범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문짝(3)을 폐쇄해가면 동 제2문짝(3)에 형성된 조작체로서의 돌기(16)가 작용부(11)를 누르고, 제3도의 (a)에 표시한 상태에서 (c)에 표시한 상태로 변화하여 스프링(15)에 대항해서 제3도의 (c)에 표시한 바와같이 연동레버(6)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연동레버(6)의 반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서, 구동핀(13)은 핀미끄럼구멍(12)을 미끄럼하면서 핀안내홈(9)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시일기둥(4)은 후퇴회동위치에 있어서 제1문짝(2)의 수납부(17)에 수납된 모양으로 있으며, 그 상단부에 가이드체(1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문짝(3)의 개폐와 연동해서 핀안내홈(9)을 이동하는 구동핀(13)의 이동궤적에 대항해서 이가이드체(18)에 캠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레버(6)가 제3도의 (a)의 상태에 있을때는, 가이드체(18)는 제3도의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동레버(6)에 직교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가이드체(18)의 하부에 장착한 시일기둥(4)을 후퇴위치에 있어서 제1문짝의 수납부(17)에 수납한다. 그리고 연동레버(6)가 제3도의 (c)의 상태에 있을때는, 가이드체(18)는 제3도의 (d)에 표시한 바와같이 연동레버(6)에 평행하게 되고, 가이드체(18)의 하부에 장착한 시일기둥(4)은 제2문짝(3) 쪽으로 돌출하는 전진위치까지 회동한다. 또한, 제3도의(b), (d)에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한 동그라미표시는 시일기둥(4)이 회동하는 지지점이다.
이상과 같이, 제1도의 (a), (b), (d)에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2문짝(3)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16)가 작용부(11)를 누르고 있지않는 상태이기때문에, 제3도의(a)와 (b)에 표시한 상태로되어 있어서 시일기둥(4)은 제1문짝(2)의 후퇴위치에 있으며, 제1도의 (c)에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2문짝(3)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16)가 작용부(11)를 눌러서 제3도의 (c)와 (d)에 표시한 상태로되어 시일기둥(4)은 제2문짝(3)쪽으로 돌출하는 전진위치까지 회동한다. 또 제1도의 (e)의 상태에서는 제2문짝(3)의 돌기(16)가 작용부(11)를 눌러도, 제1문짝(2)이 개방되어 있어서 제1문짝(2)의 시일기둥(4)의 상단부에 있는 가이드체(18)는, 시일기둥구동장치(5)의 구동핀(13)에 걸어맞춤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도시하지않는 부세수단에 의해서 부세되어서 가이드체(18)는 제3도의 (b)의 상태에 있고 가이드체하단부에 있는 시일기둥(4)은 제1문짝(2)의 후퇴위치에 있다.
다음에, 제5도의 (a), (b), (c), (d)에 의해 제1문짝(2)이 폐쇄되어 있고, 제2문짝(3)이 여러가지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표시한다. 제5도의 (a)는 제1문짝(2), 제2문짝(3)의 양쪽이 폐쇄되어 있고 가이드체(18)따라서 가이드체(18)의 상단부에 장착한 시일기둥은 냉장고의 개구면에 평행으로되어 있어서 시일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도의 (b)는 제2문짝(3)을 약간개방하기 시작했을때이고, 제5도의 (c)는 제2문짝(3)을 더욱 개방해간 경우이다. 이때 가이드체 따라서 시일기둥은 도어백체에 따르도록 즉 제1문짝(2)의 후퇴위치에 회동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5도의 (d)에 있어서 제2문짝(3)을 화살표와 같이 폐쇄해가면 가이드체(18) 따라서 시일기둥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5도의(a)에 표시한 방향을 향해서 이동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동레버(6)는 제2문짝(3)의 돌기(16)에 의해서 회동하고, 연동레버(6)의 회동에 대해서 구동핀(13)이 핀미끄럼긴구멍(12)과 핀안내홈(9)내를 이동해서 시일기둥의 상단부에 장착한 가이드체(18)를 시계회전방향 또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따라서 시일기둥(4)의 회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의 (a), (b), (c)에 표시한 상태는 제1문짝(2)이 폐쇄되어 있고 제2문짝(3)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가이드체(18)따라서 시일기둥(4)을 (b)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2문짝(3)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도록 물품 또는 손가락등으로 잘못하여 회동시켰을 경우에는, 제2문짝(3)의 돌기(16)는 작용부(11)의 바깥쪽에 있는 사선으로 표시한 제1당접부(11a)에 당접해 버려 연동레버(6)를 충분히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고 따라서 제2문짝(3)을 폐쇄할 수 없게되어, 폐쇄된 상태의 제1문짝(2)과 제2문짝(3)과의 사이에는 갭G가 발생하여 단차가 일어난다. 이 경우는 또한번 제1문짝(2)과 제2문짝(3)을 개방해서, 다시 폐쇄할 필요가 있다.
또 제7도의 (a), (b), (c)에 표시한 상태는 제1문짝(2)을 개방하고 있을때에 (a)에 표시한 바와같이 시일기둥 따라서 가이드체(18)를 전진위치에 잘못하여 회동시킨채, (b)에 표시한 바와같이 폐쇄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에 제2문짝(3)을 제7도의 (b),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폐쇄해가면, 제2문짝(3)의 돌기(16)는 작용부(11)의 벽부분인 사선을 친 제2당접부(11b)에 당접해서, 연동레버(6)를 충분히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으며 따라서 제2문짝(3)은 폐쇄할 수 없고, 제1문짝(2)과 제2문짝(3)과의 사이에는 G라고하는 갭이 발생해서 단차가 일어난다. 이 경우는 또한번 제1문짝(2)과 제2문짝(3)을 다시 개방한 다음 폐쇄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문짝의 반개방상태를 강제적으로 작용부(11)에 당접부(사선부) (11a), (11b)로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주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시일기둥(4)은 제1문짝(2)의 후퇴위치와 전진위치에의 회동에 의해서 변화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이와같은 회동이 아니고 시일기둥의 전진후퇴를 미끄럼에 의해서 행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일기둥을 구비한 제1문짝을 폐쇄한 채, 제2문짝을 개방하였을 경우에, 제1문짝의 시일기둥은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있게되어 제2문짝을 개방한 내림을 좁게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장고의 수납고에 물품을 넣거나 또는 꺼내기가 행하기쉬운 실용적인 효과가 크다. 물론 제1문짝과 제2문짝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는 제1문짝의 시일기둥이 제2문짝쪽으로 전진해서 돌출하고, 시일기둥과 제1문짝 및 제2문짝에 의해서 수납고를 시일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문짝을 개방했을 경우, 제1문짝의 시일기둥은 제1문짝의 배후에 후퇴하고, 제1문짝의 취급이 편리한 것이다.

Claims (6)

  1. 바깥쪽의 힌지에 의해 냉장고에 축지지되어 있는 1쌍의 문짝을 이루는 제1문짝 및 제2문짝과, 제1문짝의 개방쪽에 세로 설치한 시일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기둥은, 제1문짝이 폐쇄되어 있고 제2문짝을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1문짝으로부터 제2문짝을 향해서 돌출하지 않는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제1문짝을 폐쇄한 후에 제2문짝을 폐쇄하였을 경우에,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의해서 연동해서 상기 시일기둥을 제2문짝을 향해서 그 일부를 돌출해서, 상기 제1문짝과 제2문짝을 상기 시일기둥에 의해서 수납고를 시일하는 위치에 전진하고, 제1문짝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시일기둥은 제2문짝을 향해서 돌출하지 않는 제1문짝의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기둥은 제1문짝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제1문짝의 전진위치 또는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기둥은 제1문짝에 대한 미끄럼에 의해서 제1문짝의 전진위치 또는 후퇴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당접하는 작용부가 시일기둥구동장치내의 연동레버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동레버에 있어서 그 작용부로부터 회동중심을 넘어서 반대단부에 핀미끄럼긴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핀미끄럼긴구멍에 삽입한 구동핀은 시일기둥구동장치의 하부케이스에 형성한 핀안내홈을 통해서 시일기둥상부의 캠홈에 삽입해서 시일기둥을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연동레버는 시일기둥구동장치의 케이스내에 회동자재하게 수납되고, 연동레버의 작용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해서 제2문짝의 조작체에 닿는 위치에 배치하고, 연동레버의 구동핀은 시일기둥상부의 캠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해서 상기 케이스를 냉장고상부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제2문짝에 장착한 조작체에 당접하는 작용부에, 제2문짝이 잘못하여 폐쇄되지 않도록 제2문짝의 조작체가 당접하기 위한 제1당접부와 제2당접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50049566A 1994-12-15 1995-12-14 냉장고 KR100201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107494A JP3286828B2 (ja) 1994-12-15 1994-12-15 冷蔵庫
JP94-311074 199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81A KR960024181A (ko) 1996-07-20
KR100201025B1 true KR100201025B1 (ko) 1999-06-15

Family

ID=1801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566A KR100201025B1 (ko) 1994-12-15 1995-12-14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86828B2 (ko)
KR (1) KR100201025B1 (ko)
CN (1) CN110303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65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54888A (ko) * 2014-11-07 201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8812C (zh) * 2003-06-27 2007-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冷藏库
DE102006015991A1 (de) * 2006-04-05 2007-10-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ei Türen
KR101721883B1 (ko) * 2015-01-2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8844B1 (ko) 2015-02-23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5803B1 (ko) * 2015-12-24 2017-02-22 (주)청호시스템 냉장고용 필러 어셈블리
CN111089447B (zh) * 2019-05-20 2020-10-3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4076484B (zh) * 2020-08-19 2023-06-2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对开门储物柜
CN115289739B (zh) * 2022-03-24 2024-02-0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2B (zh) * 2022-03-24 2024-01-30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3B (zh) * 2022-03-24 2024-02-0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4B (zh) * 2022-03-24 2024-02-0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235166B (zh) * 2022-03-24 2024-02-06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65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04521B1 (ko) 2014-01-07 2020-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54888A (ko) * 2014-11-07 201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27045B1 (ko) * 2014-11-07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684062B2 (en) 2014-11-07 2020-06-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181A (ko) 1996-07-20
JP3286828B2 (ja) 2002-05-27
JPH08170871A (ja) 1996-07-02
CN1103038C (zh) 2003-03-12
CN1129791A (zh) 199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025B1 (ko) 냉장고
US5921612A (en) Initially opening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US20070290513A1 (en) Latch For Sliding Closures
JP2000341812A (ja) 引出形回路遮断器の収納箱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4674308A (en) Lock cover mechanism
JP2017166281A (ja) ルーフロック装置
KR200153282Y1 (ko) 차량용 시디 체인저의 도어 로킹장치
KR200319587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KR102183383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920006100Y1 (ko) Vtr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48881Y1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KR860002353Y1 (ko)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KR200152404Y1 (ko) 대형버스의 화물칸 도어용 록킹장치
RU2182634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с засовом с крюком
JPH089330Y2 (ja) ガードアーム錠のサムターン固定装置
KR0118300Y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US6369975B1 (en)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506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JPH026560Y2 (ko)
KR100271450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도어 및 스마트 카드리더 개폐장치
KR200257604Y1 (ko) 자동 도어 록킹장치
KR200226817Y1 (ko) 디지탈 캠코더의 밧데리 도어 개폐장치
JP2651896B2 (ja) ロック付き錠前装置
JPH1061283A (ja) 引戸用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