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04Y1 - 자동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04Y1
KR200257604Y1 KR2020010023373U KR20010023373U KR200257604Y1 KR 200257604 Y1 KR200257604 Y1 KR 200257604Y1 KR 2020010023373 U KR2020010023373 U KR 2020010023373U KR 20010023373 U KR20010023373 U KR 20010023373U KR 200257604 Y1 KR200257604 Y1 KR 200257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case
door lock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홍길
Original Assignee
(주) 두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두원테크 filed Critical (주) 두원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3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04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록킹/언록킹 여부를 감지하여 잠겨있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도어를 록킹시켜 줄 수 있는 자동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는 복원 스프링(120)과, 복원 스프링(120)을 밀어주는 주고,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안내돌기(131)가 결합되어 직선 이동되는 직선 이동부(130)와,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결합되고, 역시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가이드 돌기(141)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접지돌기(142)에 의해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움직여 주는 회동부(140)와, 상기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151)는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타단부 부근의 하우징에 부착되는 센서(16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도어 록킹장치{Automatically Door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도어의 록킹/언록킹 여부를 감지하여 잠겨있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도어를 록킹시켜 줄 수 있는 자동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2001년 05월 29일자(특허출원번호:2001-29780)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되고 부품들을 내장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0)와, 상기 구동기어(20)에 결합되는 피동기어(30)와,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잠금쇠(40)와, 상기 구동기어(20)의 축으로 이용되고 그 가운데 형성된 결합홈(51)에 핸들 레바축을 결합하며 회전 가능한 암부(50)와, 상기 암부(50)의 끝부분에 결합되고 탄발 스프링(61)에 의해 좌측으로 힘이 쏠린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암부(50)의 회전력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쇠(60)와, 상기 구동기어(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7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잠금쇠(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41)을 형성하고, 피동기어(30)에는 장공(41)에 결합되는 결합핀(31)을 형성시켜 피동기어(3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잠금쇠(40)가 좌우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전동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특허출원을 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전동 도어 록킹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도어(1)에 설치하되, 도어의 내측면에는 손잡이(2), 레바(3) 및 개폐 버튼(4)을 설치하고, 도어의 외측면에는 손잡이(2a), 레바(3) 및 잠금 버튼(6)이 구비된 키 박스(5)를 설치함으로써, 도어(1) 안에서 잠글 경우에는 개폐 버튼(4)을 눌러주면 도어가 잠기게 되고, 도어(1) 밖에서 잠글 경우에는 잠금 버턴(6)을 눌러 주면 도어가 잠긴다.
상기한 록킹장치의 잠금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 안에서는 개폐 버튼을 또는 도어 밖에서는 잠금 버튼을 눌러 주면, 도 2에서와 같이, 구동부(70)에 전류가 공급되어 구동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피동기어(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피동기어(30)의 회전력에 따라 결합핀(31)은 장공(41)을 따라 움직이면서 잠금쇠(40)에 좌측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잠금쇠(40)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도어를 잠그게 된다.
그리고, 도어를 열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구동부(70)에 전류가 공급되면 구동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피동기어(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피동기어(30)의 회전력에 따라 결합핀(31)은 장공(41)을 따라 움직이면서 잠금쇠(40)에 우측방향으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잠금쇠(40)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도어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출원한 전동 도어 록킹장치는 개폐 버튼(4) 또는 잠금 버튼(6)을 눌러 주어야만 도어를 잠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어의 열린 상태를 자동으로 잠그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선출원 건은 도어를 잠글 때마다 개폐 버튼(4) 또는 잠금 버튼(6)을 눌러야만 도어를 잠글 수 있는 것이므로, 도어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잠글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 도어 록킹장치에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 후 도어가 열려 있을 때 자동으로 도어를 록킹시켜 주는 자동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 도어 록킹장치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3은 종래 전동 도어 록킹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를 전동 도어 록킹장치의 내부에 설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록킹시켜 주는 예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로서 도어가 열려진 상태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로서 도어가 안쪽에서 닫힌 상태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도어 록킹장치로서 도어가 바깥쪽에서 닫힌 상태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동 도어 록킹장치, 100:자동 록킹 작동부,
110:케이스, 111:안내홈,
120:복원 스프링, 130:직선 이동부,
131:안내돌기, 140:회동부,
141:가이드 돌기, 142:접지돌기,
150:레바, 151:타단부,
160:센서.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도어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는 탄성수단인 복원 스프링(120)과, 복원 스프링(120)을 밀어주고,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안내돌기(131)가 결합되어 직선 이동되는 직선 이동부(130)와,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결합되고, 역시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가이드 돌기(141)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접지돌기(142)에 의해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직선 이동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움직여 주는 회동부(140)와, 상기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151)는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타단부 부근의 하우징(도6a참조)에 부착되는 센서(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도어가 열려서 접지돌기(14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로서, 이 때는 접지돌기(142)가 복원 스프링(120)의 압축력에 의해 케이스(110) 외부로(좌측으로) 돌출된다. 즉, 복원 스프링(120)에 의해 직선 이동부(130) 및 회동부(140)는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150)도 좌측으로 이동되어 레바의 타단부(151)는 센서(160)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를 전동 도어 록킹장치(1) 내에 설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도 6a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서 이 때는 접지돌기(142)가 밖으로 돌출되어 레바(150)의 타단부(151)가 센서(16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5b에서는 도어가 닫혀 있어 접지돌기(142)가 케이스(110)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서, 이 때는 복원 스프링이 압축력을 받게 되고, 직선 이동부(130) 및 회동부(140)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150)도 우측으로 이동되어 레바의 타단부(151)가 센서(160)에까지 이동되어 센서(160)는 레버(150)를 즉시 감지하여 키 박스(5)(도1참조)로 신호를 보내준다.
이렇게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를 도어 록킹장치(1) 내에 설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도 6b에서 보여주고 있다. 즉,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접지돌기(142)가 케이스(110) 안으로 들어가면 레버(150)도 우측으로 이동되어 센서(160)에 감지되고, 센서를 키 박스로 신호를 보내준다. 센서(160)로부터 신호를 받은 키 박스(5)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류를 구동모터(70)로 인가시켜 준다. 구동모터(70)는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되어 구동기어(20) 및 피동기어(30)를 각각 작동시킴으로써, 결국 잠금쇠(4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도어를 록킹시켜 주게 된다.
참고로, 도 7a는 도어가 열려진 상태에서 본 고안의 자동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 때는 접지돌기(142)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b는 도어가 안쪽에서 닫힌 상태에서의 본 고안 자동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 때는 접지돌기(142)가 케이스 안쪽으로 들어가되, 접지돌기의 끝부분이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도 7c는 도어가 바깥쪽에서 닫힌 상태에서의 본 고안 자동 도어 록킹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 때는 접지돌기(142)가 케이스 안쪽으로 들어가되, 접지돌기의 끝부분이 안쪽을 향하고 있다. 상기한 도 7b 내지 도 7c는 안팎으로 열고 닫히는 여닫이 문에 해당되는 것이다.
도어를 열 경우의 록킹장치의 작동은 선출원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는 문설주에 접지되어 케이스(110) 내부에 있던 접지돌기(142)가 복원 스프링(120)에 의해 케이스(110) 외부로(좌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접지돌기(142)와 한 몸체를 이루는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150)도 좌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센서(160)와 이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에 사용되는 전동 도어 록킹장치(1)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전동 방식으로 개폐하는 다른 형태의 록킹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록킹 작동부(100)는 전동 도어 록킹장치(1) 내부에 장착시켜 도어는 닫혀 있으나 아직 록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센서(160)가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록킹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도어를 개폐시키는 전동 도어 록킹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동 도어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는 탄성수단과;
    탄성수단을 밀어주고,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안내돌기(131)가 결합되는 직선 이동부(130)와;
    상기 직선 이동부(130)에 접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안내홈(111)에 가이드 돌기(141)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접지돌기(142)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동부(140)와;
    상기 회동부(140)의 가이드 돌기(141)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151)는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버(150)와;
    상기 레버(150)의 타단부 부근의 하우징에 부착되는 센서(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60)가 전동 도어 록킹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키 박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 록킹장치.
KR2020010023373U 2001-08-01 2001-08-01 자동 도어 록킹장치 KR200257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73U KR200257604Y1 (ko) 2001-08-01 2001-08-01 자동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373U KR200257604Y1 (ko) 2001-08-01 2001-08-01 자동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04Y1 true KR200257604Y1 (ko) 2001-12-24

Family

ID=7310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373U KR200257604Y1 (ko) 2001-08-01 2001-08-01 자동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571B2 (en) Door lock system
US7445256B2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US5833282A (en) Door locking device with an antitheft mechanism
JPH04265381A (ja) 電気機械式ドア錠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JP2832235B2 (ja)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257604Y1 (ko) 자동 도어 록킹장치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101924465B1 (ko) 일체형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US6575505B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0410697B1 (ko) 도어 록킹장치
JP4864595B2 (ja) 検出装置およびドア開閉制御装置
JP2884464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391810Y1 (ko) 디지털 도어록장치
JP3622335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JP3730169B2 (ja) 電気錠
JP392106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90049925A (ko) 모티스 록 장치
JP4362753B2 (ja) ドアクロ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