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64Y1 -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64Y1
KR900005064Y1 KR2019870004860U KR870004860U KR900005064Y1 KR 900005064 Y1 KR900005064 Y1 KR 900005064Y1 KR 2019870004860 U KR2019870004860 U KR 2019870004860U KR 870004860 U KR870004860 U KR 870004860U KR 900005064 Y1 KR900005064 Y1 KR 900005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latch
operating rod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080U (ko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4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064Y1/ko
Publication of KR880020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제1도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도.
제2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도.
제3도는 몸체 내에 설치된 회전원판의 상세도.
제4도는 종래 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래치
2a : 후크부 7 : 회전원판
8 : 후크삽입홈 8a : 직각면
9 : 안내홈 10 : 정지홈
11 : 걸림돌기 13 : 작동봉
15 : 스프링 16 : 마이크로스위치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를 외측으로 당겨서 여는 풀 아웃(Pull Out) 방식의 전자레인지에 적용하여 적은 힘으로 도어를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 아웃 방식의 도어를 가진 전자레인지는 제4도와 같이 도어(1)의 항, 하방에 후크부(21a)를 가진 2개의 래치(Latch)(21)가 핀(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몸체(5)에는 래치(21)가 삽입되는 래치홀(22)과 마이크로 스위치(16) 그리고 누름바(23)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의 개폐시 래치(21)가 스프링(4)의 탄력에 의해 핀(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래치홀(22)의 하방 경사 걸림턱(22a)에 걸리거나 경사 걸림턱(22a)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있다.
즉, 도어(1)를 닫을 때에는 후크부(21a)의 외측면이 경사 걸림턱(22a)을 따라 미끄러짐과 동시에 래치(21)가 스프링(4)을 인장시키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래치홀(22) 내부로 삽입되고, 후크부(21a)가 래치홀(22)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21)가 하방으로 당겨져 후크부(21a)가 경사 걸림턱(22a)에 걸림과 동시에 누름바(23)가 후크부(21a)에 의해 눌러져 마이크로 스위치(16)가 작동되며, 반대로 도어(1)를 열 때에는 후크부(21a)의 내측면과 경사걸림턱(22a)에 의해 래치(21)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래치홀(22)에서 빠지고 이에 따라 누름바(23)도 원위치로 복귀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6)가 작동을 멈추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도어(1)를 열 때 후크부(21a)가 경사 걸림턱(22a)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크부(21a)의 내측면 각도가 필연적으로 둔각(통상 120도 정도임)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둔각으로 형성된 후크부(21a)를 경사 걸림턱(22a) 후방에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4)을 사용해야 하므로 도어(1)를 열 때 상당한 힘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둔각으로 된 후크부(21a)에 의해 도어(1)의 닫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고주파가 누설된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 작동이 용이하면서도 도어의 닫힘 상태가 양호해질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장치를 제공코져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어(1)의 상,하방에 설치되는 래치(2)와 몸체(5)내에 설치되어 래치(2)와 결합되는 회전원판(7) 그리고 회전원판(7)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봉(1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래치(2)의 후단부에 내측면이 직각을 이루는 후크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래치(2)는 핀(3)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4)에 의해 항상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고 있으며 몸체(5)에는 래치홀(6)이 형성되어 래치(2)가 래치홀(6)을 통해 몸체(5)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몸체(5)내에 핀(12)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원판(7)에는 제3도와 같이 후크삽입홈(8), 안내홈(9), 정지홈(10)등 3개의 홈과 걸림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후크삽입홈(8)의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직각면(8a)과 경사면(8b)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원판(7)의 후방에는 작동봉(13)이 설치되어 회전원판(7)의 회전에 따라 작동봉(13)이 안내홈(9)에 끼워지거나 정지홈(10)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이 작동봉(13)은 케이싱(14)내에 내장된 상태로 스프링(15)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고 있는데, 회전원판(7)에 형성된 정지홈(10)은 안내홈(9)보다 간격(t2)만큼 깊게 형성되어 있고 작동봉(13)은 회전원판(7)의 중심핀(12)보다 간격(t1)만큼 수직 상으로 하방에 설치되어서 작동봉(13)이 정지홈(10)에 끼워진 상태(제2도)에서는 회전원판(7)에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으나 작동봉(13)이 안내홈(9)에 끼워진 상태(제1도)에서는 스프링(15)에 의해 회전원판(7)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회전원판(7)의 하방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6)가 설치되어 제1도와 같이 작동봉(13)이 안내홈(9)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6)의 액튜에이터(Actuater)가 회전원판(7)의 원주면에 눌려져 스위치가 작동되다가 회전원판(7)이 회전하면 동시에 액튜에이터가 원주면에서 벗어나 작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원판(7)에 형성된 걸림돌기(11)는 액튜에이터의 작동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간격(t3)만큼 원주면보다 내측으로 형성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6)의 작동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도어(1)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부터 설명한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도와 같이 도어(1)에 설치된 래치(2)가 몸체(5)에 형성된 래치홀(6)을 통해 삽입되어 후크부(2a)가 회전원판(7)의 후크삽입홈(8)에 끼워져 있게 되고 케이싱(14)내에 내장된 작동봉(13)이 회전원판(7)의 안내홈(9)에 끼워져 있게 되며 마이크로 스위치(16)는 회전원판(7)의 원주면에 의해 눌려져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4)에 의해 리치(2)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회전원판(7)은 스프링(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후크부(2a)의 내측면과 후크 삽입홈(8)의 일측 직각면(8a)은 서로 밀착되고 따라서 도어(1)는 양호한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를 외측으로 당기면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원판(7)이 핀(1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원판(7)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봉(13)이 안내홈(9)으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16)가 회전원판(7)의 누름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스위치의 작동이 정지되고 회전원판(7)이 계속 회전하여 정지홈(10)이 작동봉(13)의 위치에 오게되면 제2도와 같이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작동봉(13)은 다시 정지홈(10)으로 삽입되어 회전원판(7)의 회전이 정지되며, 이와 동시에 후크 삽입홈(8)에 끼워져 있던 후크부(2a)는 일측 경사면(8b)을 따라 후크삽입홈(8)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정지홈(10)과 안내홈(9)이 간격(t2)만큼의 깊이 차이가 있어 작동봉(13)이 정지홈(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5)은 완전히 인장되고 작동봉(13)은 케이싱(14)에 걸려 더 이상 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지 않게 되므로 회전원판(7)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회전원판(7)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어(1)가 열려진 상태에서 도어(1)를 닫으면 다시 후크부(2a)의 외측면과 회전원판(7)의 경사면(8b)에 의해 회전원판(7)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부(2a)가 후크삽입홈(8)에 삽입됨과 동시에 작동봉(13)은 안내홈(9)에 끼워지고 마이크로 스위치(16)의 액튜에이터는 눌려지는 제1도와 같은 상태로 환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1)에 설치된 래치(2)가 몸체(5)내에 설치된 회전원판(7)과 맞물리는 구조이어서 도어(1)를 열 때에는 회전원판(7)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게 되고 도어(1)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래치(2)와 회전원판(7)의 회전에 의해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게 되고 도어(1)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래치(2)와 회전원판(7)에 가해지는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력에 의해 양호한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고주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자레인지 몸체(5)내에 래치(2)가 후크삽입홈(8)를 형성한 회전원판(7)이 구성되고 그 하방에 마이크로 스위치(16)를 설치한 전자레인지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1)에 장착된 래치(2)가 출입되는 래치홀(6)내에 후크삽입홈(8)과 안내홈(9), 그리고 정지홈(10)을 가진 회전원판(7)을 설치하고 그 후방에는 작동봉(13)을 스프링(15)으로 탄력 설치하여 도어(1)를 닫으면 래치(2) 후단의 후크부(2a)가 후크삽입홈(8)에 삽입됨과 동시에 작동봉(13)이 안내홈(9)에 끼워져 결합되고 도어(1)를 열면 래치(2)의 후크부(2a)가 후크삽입홈(8)를 이탈하면서 회전원판(7)이 회전되어 작동봉(13)이 정지홈(10)에 끼워지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봉(13)을 회전원판(7)의 중심보다 간격(t1)만큼 수평상으로 낮게 설치하고 정지홈(10)의 길이를 안내홈(9)의 깊이보다 간격(t2) 만큼 깊게 형성하여 작동봉(13)이 안내홈(9)에 끼워지면 회전원판(7)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도록 하여서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후크부(2a)의 내측면을 직각으로 형성하고 후크삽입홈(8)의 일측에 직각면(8a)을 형성하여 직각면(8a)이 후크부(2a)의 내측면과 접속되도록 하여서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원판(7)의 정지홈(10) 일측에 걸림돌기(11)를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11)를 마이크로 스위치(16)의 작동거리보다 크거나 같은 간격(t3)만큼 원주면의 내측으로 형성하여서된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2019870004860U 1987-04-09 1987-04-09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5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860U KR900005064Y1 (ko) 1987-04-09 1987-04-09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860U KR900005064Y1 (ko) 1987-04-09 1987-04-09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80U KR880020080U (ko) 1988-11-29
KR900005064Y1 true KR900005064Y1 (ko) 1990-06-08

Family

ID=1926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860U KR900005064Y1 (ko) 1987-04-09 1987-04-09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0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80U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682B1 (ko) 도어 개폐장치
KR100199198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카세트 테이프 취출시 자동 도어 열림장치
KR90000506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CN216866294U (zh) 一种自动门锁
KR97000198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프리 오픈(pre-open)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200223979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225898Y2 (ko)
KR200202460Y1 (ko) 도어록의 백세트
KR910003308Y1 (ko) 가전제품의 회전형 콘트롤도어 개폐장치
KR920000819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콘트롤부 도어 개폐장치
KR890005824Y1 (ko) 문 개폐장치
KR910003961Y1 (ko) 전자 제품 제어반의 주기능 버튼 커어버 개폐 장치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011537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열림장치
KR890004464Y1 (ko) 푸쉬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
KR880003821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록 장치
KR200185329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251970B1 (ko) 버스 정비용 플랩도어 래치구조
GB2268970A (en) Casing and fastening in particular for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closure door
KR92000389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880003822Y1 (ko) 전자렌지의 문 개폐장치
KR900011107Y1 (ko) 오디오랙용 도어정
KR860002872Y1 (ko) 전자 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4698Y1 (ko) 고주파 가열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