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165U -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165U
KR19990013165U KR2019970026377U KR19970026377U KR19990013165U KR 19990013165 U KR19990013165 U KR 19990013165U KR 2019970026377 U KR2019970026377 U KR 2019970026377U KR 19970026377 U KR19970026377 U KR 19970026377U KR 19990013165 U KR19990013165 U KR 19990013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locking
open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4849Y1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1997002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8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8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05C7/06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a fastening device for one wing being actuated or controlled by closing another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한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설치하여 그 여닫이 문을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적어도 한쌍의 여닫이 문을 갖는 가구의 천정벽부에는 어느 일부만을 개방되게하여 사각통체를 이루게 형성한 케이싱을 그 개방부위가 여닫이 문과 대향되게 취부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닫이 문과 접촉 작동되게 돌설되어 어느 일측 여닫이 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타측의 여닫이 문을 괘해지하는 걸림레버와 누름레버로 된 괘해지용 레버를 회동되게 힌지하고, 상기 여닫이 문에 있어서 괘해지용 레버의 걸림레버와의 대면측에는 그 걸림레버가 삽탈되게 한 걸림공을 제공하는 걸림편을 취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여닫이 문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본 고안은 적어도 한 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사무용 가구나 혹은 가정용 가구 등에 설치되는 여닫이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닫이 문을 순차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 장농(欌籠) 등의 가구에는 물품의 수납 및 이탈을 편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어도 한 쌍으로된 여닫이 문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여닫이문이 설치된 가구에는 그 여닫이 문을 용이하게 개방되지 못하도록 하기위한 목적으로 걸림편과 그 걸림레버에 의해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걸림레버로 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닫이 문에 설치된 잠금장치는 그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혹은 해제시에는 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일일이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르고 있다. 또한 장기 사용할 때 잠금력이 쉽게 약화되는 결점으로 인해 어느 일측의 문을 개방시 같이 개방되게 되는 문제들도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 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느 일측 여닫이 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타측 여닫이 문을 개폐하는 잠금장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여닫이 문을 보다 안정성있고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물품 수용실과, 그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있어서, 어느 일부분을 개방시킨 사각통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물품 수용실의 천정벽부에 그 개방부위가 여닫이 문과 대향되게 취부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닫이 문과 접촉 작동되게 돌설되어 그 케이싱 내부에 탄성적으로 회동되게 힌지되고, 어느 일측 여닫이 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타측의 여닫이 문을 괘해지하는 걸림레버와 누름레버로 된 괘해지용 레버와, 상기 여닫이 문에 있어서 괘해지용 레버의 걸림레버와의 대면측에 취부되어 그 걸림레버가 삽탈되게한 걸림공을 제공하는 걸림편으로 된 괘해지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의 작용 일예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도면으로,
(A)도는 여닫이 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도는 여닫이문의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구용 본체12 : 물품 수용실
14a, 14b : 여닫이 문20 : 케이싱
22, 39 : 취부공24 : 개방부
30 : 괘해지구32 : 걸림편
33 : 누름 레버34 : 괘해지용 레버
35 : 걸림레버35a, 35b : 절곡부
36 : 걸림공37 : 힌지부
38 : 링크부40 :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는 물품 수용실(12)를 갖는 가구본체(10)의 천정벽부에 취부되는 케이싱(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20)은 알루미늄으로서 어느 일측벽부와 상부가 개방(24)된 대략 사각통체의 형상을 이루게 제작되며, 또한 상기 케이싱(20)에는 가구 본체(10)의 천정벽부에 착탈되게 취부 하기 위한 취부공(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싱(20)은 여닫이 문들(14a, 14b)가 만나는 부위에 위치되게 설치되며 그 개방부(24)는 한 쌍의 여닫이 문들(14a, 14b)와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20)과 어느 하나의 여닫이 문(14b)에는 그 여닫이문(14b)을 괘해지(locking or unlocking)하도록 한 괘해지구(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괘해지구(30)은 상기 케이싱(20)의 개방부(24)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여닫이 문들(14a, 14b)와 대면되게 설치된 괘해지용 레버(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괘해지용 레버(34)는 적어도 2개의 절곡부들(35a, 35b)를 형성하며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게 형성된 걸림레버(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레버(35)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 회동되게 힌지(37)되어있는 반면, 타단부는 후술하는 걸림편(32)와 대면되는 상태로서 자유롭게 위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걸림레버(35)의 절곡부(35a)의 단부에는 직선형상을 이루게 제작한 누름레버(33)의 일단이 절곡 가능하게 링크(38)로 되어있으며, 그 반대단부는 상기 여닫이문(14a)와 대면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괘해지용 레버(34)에 있어서 걸림레버(35)측에는 스프링(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인장 스프링으로서 어느 일단은 상기 걸림레버(35)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 타단부는 케이싱(20)으로부터 일체로 설치된 고정돌기(2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괘해지용 레버(34)는 케이싱(2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40)으로부터 부여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회동된다.
상기 여닫이용 문들(14a, 14b)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35)와 대면되는 상기 여닫이 문(14b)에는 걸림공(36)을 갖는 걸림편(32)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32)에는 여닫이 문(14b)에 착탈되게 결합 하기 위한 취부공(3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공(36)은 상기 걸림레버(35)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레버(35)의 어느 절곡부(35a)는 그 걸림레버(35)의 회동에 따라 상기 걸림편(32)의 걸림공(36)으로부터 삽탈된다. 도면부호(15)는 취부공들(22, 39)를 통하여 가구본체(10)과 여닫이 문(14b)에 결합하기 위한 취부용 나사를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의 작용 일예를 위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도면으로, (A)도는 여닫이 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도는 여닫이문의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가구본체(10)에 대해 여닫는 작용을 하는 한쌍의 여닫이 문들(14a, 14b)가 가구본체(10)에 대하여 닫힌 상태로 있을 때에는 상기 여닫이 문들(14a, 14b)중 어느 하나의 여닫이 문(14a)는 누름레버(33)의 어느 끝단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여닫이 문(14b)로부터 상기 누름레버(33)측으로 작용되는 압력은 그 누름레버(33)과 절곡가능하게 링크(38)된 걸림레버(35)의 어느 일측 절곡부(35a)를 밀게된다.
상기 누름 레버(33)의 압력을 받게되는 걸림레버(35)는 상기 케이싱(20)에 힌지된 힌지부(38)을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인장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상기 여닫이 도어(14b)에 설치된 걸림편(32)를 향해 회동된다. 따라서 걸림레버(35)의 회동선상에 위치된 상기 걸림편(32)의 걸림공(36)의 내부로는 그 걸림레버(35)의 절곡부(35b)가 자동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여닫이문(14b)는 걸림레버(35)에 걸린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2A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여닫이 문(14a)를 개방하지 않는한 상기 괘해지용 레버(34)의 걸림레버(35)가 걸림편(32)에 걸린 상태를 이루고 있게 되므로 상기 여닫이 문(14b)가 개방되는 일은 없게된다.
상기 여닫이 문들(14a, 14b)에 있어서 여닫이 문(14a)를 개방하면 걸림레버(35)와 링크(38)로서 결합한 누름레버(33)으로부터는 압력이 해제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그동안 누름레버(33) 및 걸림레버(35)를 통해 강제적으로 신장되어 있던 스프링(40)은 상기 누름레버(33)과 걸림레버(35)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의 해제시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40)과 연결된 걸림레버(35)역시 복귀되는 스프링(40)으로부터 부여되는 인장력으로 상기 힌지부(37)을 지지점으로하여 회동됨과 아울러 그 걸림레버(35)에 연결되어 있던 누름레버(33)은 링크(38)을 통하여 회절되면서 신장되고, 상기 걸림레버(35)의 절곡부(35b)는 상기 여닫이 문(14b)에 취부된 걸림편(32)의 걸림공(36)으로부터 신속히 이탈되게하여 상기 여닫이 문(14b)를 괘해지용 레버(34)의 걸림레버(35)로부터 해지된 상태를 이루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2B에 표시한 상태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여닫이 문들(14a, 14b)를 가구 본체(10)에 대하여 자유스럽게 개폐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닫이 문들(14a, 14b)를 개방할 시의 작용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여닫이 문들(14a, 14b)를 닫을 때에는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걸림 레버(35)와 대향위치된 여닫이 문(14b)를 먼저 닫은 후 상기 누름 레버(33)과 대향 위치된 여닫이 문(14a)를 닫으면 된다. 즉, 상기 여닫이 문(14a)의 개폐에 따른 괘해지용 레버(34)의 누름부(33)으로부터의 압압력을 해지하거나 혹은 가하는 것에 의하여 그 여닫이 문(14a)와 반대측에 있는 여닫이 문(14b)를 괘지하거나 혹은 해지되게하여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적어도 한쌍의 여닫이 문을 갖는 가구본체와 그 여닫이문에는 괘해지용 레버와 걸림편으로 된 괘해지구를 설치한 것에 의해, 단지 어느 한쪽에 여닫이 문만을 개폐하는 것에 따라서 반대측의 여닫이 문을 잠김상태로 있게 하거나 혹은 해지상태를 이루게 하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 어느 일측의 여닫이 문을 개방하기 전에는 타측의 문이 용이하게 개방되는 일이 없게되는 안정적인 효과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4)

  1. 물품 수용실과, 그 물품 수용실의 개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한쌍의 여닫이문을 갖는 가구에 있어서,
    어느 일부분을 개방시킨 사각통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물품 수용실의 천정벽부에 그 개방부위가 여닫이 문과 대향되게 취부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닫이 문과 접촉 작동되게 돌설되어 그 케이싱 내부에 탄성적으로 회동되게 힌지되고, 어느 일측 여닫이 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타측의 여닫이 문을 괘해지하는 걸림레버와 누름레버로 된 괘해지용 레버와, 상기 여닫이 문에 있어서 괘해지용 레버의 걸림레버와의 대면측에 취부되어 그 걸림레버가 삽탈되게한 걸림공을 제공하는 걸림편으로 된 괘해지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과 걸림편은 여닫이 문에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취부용 체결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괘해지용 레버의 걸림레버는 적어도 2개의 절곡부를 이루게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어느 일측 절곡부만이 상기 케이싱에 회동되게 힌지되고, 또한 그 절곡부의 단부에는 직선형의 상기 누름레버의 어느 단부만이 상기 걸림레버에 대하여 절곡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19970026377U 1997-09-23 1997-09-23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164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377U KR200164849Y1 (ko) 1997-09-23 1997-09-23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377U KR200164849Y1 (ko) 1997-09-23 1997-09-23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165U true KR19990013165U (ko) 1999-04-15
KR200164849Y1 KR200164849Y1 (ko) 2000-01-15

Family

ID=1951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377U KR200164849Y1 (ko) 1997-09-23 1997-09-23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8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73A (ko) * 2001-12-28 2003-07-04 오알지 주식회사 벽면 부착용 보관함의 잠금장치 락플레이트
KR200449640Y1 (ko) * 2009-12-03 2010-07-27 정재항 사물함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30Y1 (ko) 2010-04-14 2010-11-04 주식회사 이노프 사물함 경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873A (ko) * 2001-12-28 2003-07-04 오알지 주식회사 벽면 부착용 보관함의 잠금장치 락플레이트
KR200449640Y1 (ko) * 2009-12-03 2010-07-27 정재항 사물함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849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164849Y1 (ko) 가구용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US4048822A (en) Locks for doors and the like
JPS592279Y2 (ja) スライド回転扉のストツパ装置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307419Y1 (ko) 미서기창에 사용되는 자물쇠 일체형 잠금장치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KR101002238B1 (ko)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KR0122544Y1 (ko) 사물함 문짝의 구조
KR200239625Y1 (ko) 도어잠금장치가구비된냉장고
KR19980035169U (ko) 창문의 잠금장치
KR900002192Y1 (ko) 전자기기의 도어장치
KR200271104Y1 (ko) 창문자동잠금장치의 구조
KR100314258B1 (ko) 도어용 보조키의 해정 방지장치
KR860001332Y1 (ko) 의류 건조기용 도어 개폐장치
JP3651151B2 (ja) 自動販売機の外扉固定装置
KR200182141Y1 (ko) 오토바이용 공구통
JP3264476B2 (ja) 扉の自然開放防止装置
KR200267795Y1 (ko) 금고의 잠금구
KR200152268Y1 (ko) 자물쇠 겸용 손잡이
KR0119867Y1 (ko) 매립형 손잡이 겸 자물쇠
RU2067659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50007588Y1 (ko) 배달물 투입구의 덮개 잠금장치
KR20170067113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H02269283A (ja) 左右両開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