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94B1 -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94B1
KR101402694B1 KR1020130003289A KR20130003289A KR101402694B1 KR 101402694 B1 KR101402694 B1 KR 101402694B1 KR 1020130003289 A KR1020130003289 A KR 1020130003289A KR 20130003289 A KR20130003289 A KR 20130003289A KR 101402694 B1 KR101402694 B1 KR 101402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lock
door
image
loc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찬
류근관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또는 잠금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내장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내장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또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광원을 조사하고, 영상촬영장치에 구비된 광 감지센서에서 수광되는 빛의 감지량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도어락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 정보와 강제 해정 신호를 원격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도어락 시스템의 보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DIGITAL DOOR LOOK SYSTEM INCLUDING CAMERA}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또는 잠금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내장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보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의 출입문(도어)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면서 방범의 목적으로 도어 개폐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도어 개폐 장치는 기계적인 구조의 접합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열쇠와 자물쇠로 구성되는 기계식 도어 개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기계식 도어 개폐 장치는 기계적인 구조가 마모되거나, 열쇠의 분실로 인하여 정상적인 개폐 동작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계식 도어 개폐 장치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밀 번호 입력이 가능한 키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 번호와 설정된 비밀 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경우, 별도의 열쇠를 휴대하지 않고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서 비밀 번호가 제 3자에게 노출되는 경우에는 그 안전성과 보안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안전성과 보안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0811245호는 영상전송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도어락 외측에 콜버튼과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고, 디지털 도어락 및 홈네트워크 서버에 설치가 용이하고 저렴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각각 장착함으로써 외부 방문객이 있는 경우 원격지에서도 홈네트워크 서버와 이동통신단말 간의 영상 단문메시지를 통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댁내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콜버튼을 동작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영상을 촬영할 뿐,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잠금 상태의 도어를 불법적인 수단을 통해 강제로 개방하는 경우, 보안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내장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광원을 조사하고, 영상촬영장치에 구비된 광 감지센서에서 수광되는 빛의 감지량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을 제어하는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 장착되고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부를 활성화시키는 키패드 활성화부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활성화된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비밀번호 비교부와, 상기 비밀번호 비교부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를 해정하는 해정신호를 생성하는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도어락 제어부에서 생성된 해정신호를 수신하여 잠금 상태의 도어를 해정하는 도어락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촬영 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감지모듈은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키패드 활성화부는 활성화된 키패드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도어와 벽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감지부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도어락 제어부를 통해 해정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비정상 해정으로 판단하여 강제 해정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에서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에 근거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원격의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부를 통해 강제 해정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정보 및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도어의 외측에 대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키패드부에 장착되는 제 1 발광부 및 상기 도어의 외측에 대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제 1 발광부 및 제 2 발광부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촬영 감지모듈을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발광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도어락 제어부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발광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닫힘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발광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저장부가,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장착되고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부를 활성화시키고, 영상 촬영부를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키패드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활성화된 상기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를 해정하는 해정신호를 생성하는 제 5 단계 및 생성된 해정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정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키패드부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 6 단계에서 해정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비정상 해정으로 판단하여 강제 해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에 근거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강제 해정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와 함께 원격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내장된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도어락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또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동시 광원을 조사하고, 영상촬영장치에 구비된 광 감지센서에서 수광되는 빛의 감지량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도어락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한 후 영상 정보와 강제 해정 신호를 원격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도어락 시스템의 보안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에 포함되는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어(2)에 장착되고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도어(2)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2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의 (a)는 커버(2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커버(20)가 본체(10)에서 개방(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해 상방으로 슬라이드 개방되면, 본체(10)에 구비되는 키패드부(10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커버(20)가 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영상 촬영부(104)까지 덮는 구성으로 커버(20)의 개방에 따라 영상 촬영부(104)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3)가 도어(2)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락(100)을 구동시키는 경우, 영상 촬영부(104)를 통해 촬영되는 영역은 도면 부호(a)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고휘도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구성되는 제 1 발광부(109) 또는 제 2 발광부(110)를 통해 조사되는 빛은 도면 부호(b)와 같은 영역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발광부(109) 또는 제 2 발광부(110)를 통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영상 촬영부(104)를 통해 사용자(3)에 대해 보다 선명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발광부(109) 및 제 2 발광부(110)는 후술하는 촬영 감지모듈(104_2)을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또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도어락 제어부(107)에 의해 빛이 조사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의 디지털 도어락(100)은 커버(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1), 키패드 활성화부(102), 다수의 버튼(11) 및 제 1 발광부(109)가 구비되는 키패드부(103),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04_1) 및 카메라 모듈(104_1)의 촬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촬영 감지모듈(104_2)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부(104), 영상 저장부(105), 비밀번호 비교부(106), 도어락 제어부(107), 도어락 구동부(109) 및 커버(20)에 구비되는 제 2 발광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 활성화부(102)에서는 제 1 감지부(101)를 통해 커버(20)가 개방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키패드부(103)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다수의 버튼(11)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부(109)에서는 도어(2)의 외측, 즉 도어의 바깥 쪽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일정량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촬영부(104)의 촬영 감지모듈(104_2)에서는 수광되는 빛의 양을 판단하여 카메라 모듈(104_1)을 통해 촬영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부(104)가 가려져 촬영 감지모듈(104_2)을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활성화된 키패드부(103)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촬영 감지모듈(104_2)은 수광되는 빛의 양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하는 포토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촬영 감지모듈(104_2)에서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104_1)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3)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 저장부(105)는 영상 촬영부(104)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예를 들어 날짜, 시간 등이 포함)를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 저장부(105)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스틱 형태로 이루어져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컴퓨터에 백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밀번호 비교부(106)는 활성화된 키패드부(103)의 버튼(11)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부(107)는 잠금 상태의 도어(2)를 해정할 수 있는 해정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락 구동부(108)에 송신한다.
정상적인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사용자를 위해 도어락 구동부(108)에서는 도어락 제어부(107)에서 송신된 해정신호를 수신하여 잠금 상태의 도어(2)를 해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1)은 제 2 감지부(200),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300) 및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감지부(200)는 도어(2)와 벽(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전류를 일정 시간 흘려 다시 받는 식으로 정상적으로 도어(2)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감지부(200)는 도어락 제어부(107)를 통해 정상적으로 해정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2)가 개방되면 비정상 해정으로 판단하여 강제 해정 신호를 출력하고, 도어락 제어부(107)에서는 강제 해정 신호에 근거하여, 스피커 등의 알람부(200)를 제어함으로써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감지부(200)를 통해 강제 해정 신호가 출력되면, 도어락 제어부(107)는 영상 촬영부(104)를 통해 도어(2)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도어락 제어부(107)는 제 2 발광부(110)를 통해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고, 커버(2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발광부(109)를 통해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제어부(107)는 영상 저장부(105)에 저장되는 영상정보와 강제 해정 신호를 통신부(400)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불법적으로 도어(2)가 해정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격의 서버는 아파트 경비실, 경비업체, 치안센터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서버에서는 수신되는 강제 해정 신호에 대해 등록된 휴대폰 등의 사용자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대기 상태에서 제 1 감지부(101)를 통해 커버(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S101). 커버(20)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2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발광부(109)에서는 도어(2)의 외측에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 또는 촬영 감지모듈(104_2)을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따라 빛을 조사한다(S102).
이후,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11)이 구비되는 키패드부(103)를 활성화시키고, 촬영 감지모듈(104_2)을 통해 도어(2)의 외측에 조사된 빛을 수광한다(S103).
촬영 감지모듈(104_2)에서는 수광되는 빛의 양을 판단하여(S104),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시스템을 정지, 즉, 영상 촬영부(104)의 카메라 모듈(104_1) 및 키패드부(103)가 동작하지 않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시키고,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키패드부(103)의 활성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04_1)을 통해 도어의 외측 영상(사용자 영상)을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정보를 영상 저장부(105)에 저장한다(S105).
그리고, 비밀번호 비교부(106)에서는 활성화된 키패드부(103)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여(S106),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 제어부(107)에서는 도어(2)의 잠금 상태를 해정할 수 있는 해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S107), 출력된 해정신호는 도어락 구동부(108)에 수신되어 도어락 해정 구동을 수행한다(S108).
단계(S106)에서, 비밀번호 비교부(106)가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대기 상태로 되돌아 잠금 상태의 해정을 위한 공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강제 해정, 즉 불법적인 잠금 상태의 해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9).
도어(2)와 벽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감지부(200)를 통해 도어락 제어부(107)를 통해 정상적으로 해정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2)가 개방되면 비정상 해정으로 판단하여 강제 해정 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알람부(300)를 통해 불법적인 잠금 상태 해정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경고음을 출력한다(S110).
또한, 도어락 제어부(107)는 영상 촬영부(104)를 통해 도어(2)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와 함께 통신부(400)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전송한다(S111).
상기에서는, 커버(20)를 개방한 후 불법적인 강제 해정이 발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강제 해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10 : 본체 20 : 커버
100 : 디지털 도어락 101 : 제 1 감지부
102 : 키패드 활성화부 103 : 키패드부
104 : 영상 촬영부 105 : 영상 저장부
106 : 비밀번호 비교부 107 : 도어락 제어부
108 : 도어락 구동부 109 : 제 1 발광부
110 : 제 2 발광부 200 : 제 2 감지부
300 : 알람부 400 : 통신부

Claims (10)

  1. 도어에 장착되고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수행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부를 활성화시키는 키패드 활성화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상기 활성화된 키패드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비밀번호 비교부;
    상기 비밀번호 비교부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를 해정하는 해정신호를 생성하는 도어락 제어부;
    상기 도어락 제어부에서 생성된 해정신호를 수신하여 잠금 상태의 도어를 해정하는 도어락 구동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개방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촬영 감지모듈을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측에 대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키패드부에 장착되는 제 1 발광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상기 커버가 닫힘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또는 상기 촬영 감지모듈을 통해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도어락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측에 대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촬영 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감지모듈은 수광되는 빛의 양이 설정된 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키패드 활성화부는 활성화된 키패드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은,
    상기 도어와 벽 사이에 장착되는 제 2 감지부;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도어락 제어부를 통해 해정신호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비정상 해정으로 판단하여 강제 해정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에서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에 근거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며,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도어의 외측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원격의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감지부를 통해 강제 해정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정보 및 출력된 강제 해정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 및 제 2 발광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저장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03289A 2013-01-11 2013-01-11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40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89A KR101402694B1 (ko) 2013-01-11 2013-01-11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89A KR101402694B1 (ko) 2013-01-11 2013-01-11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94B1 true KR101402694B1 (ko) 2014-06-03

Family

ID=5113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89A KR101402694B1 (ko) 2013-01-11 2013-01-11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3588A (zh) * 2018-01-11 2018-05-18 张中兴 可视化家居安全防护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313A (ko) * 1992-02-06 1993-09-21 정몽헌 Af카메라의 매크로및 무한대시 셔터로크 시스템
KR20090077437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3815A (ko) * 2009-02-17 2010-08-26 권선민 단말을 이용한 도어개폐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313A (ko) * 1992-02-06 1993-09-21 정몽헌 Af카메라의 매크로및 무한대시 셔터로크 시스템
KR20090077437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티이씨앤코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3815A (ko) * 2009-02-17 2010-08-26 권선민 단말을 이용한 도어개폐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3588A (zh) * 2018-01-11 2018-05-18 张中兴 可视化家居安全防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69B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1758A (ko) 감시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감시방법
TWM527479U (zh) 智能化門禁系統
KR101781054B1 (ko) IoT 기반의 도어락 보안 시스템
KR100922831B1 (ko) 디지털 도어락, 그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4930A (ko) 자동 감지 개폐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 방화문
JP2008208656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101452874B1 (ko) 주택 보안 시스템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9883U (ko) 원격 출입 보안시스템이 적용된 도어록
KR101402694B1 (ko)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190035369A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93724B1 (ko) 도어상태 알림장치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TWI599991B (zh)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KR101107011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101778863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JP5618864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44032B1 (ko) 홈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337850A (zh) 安全提醒系統及安全提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