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65B1 -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65B1
KR102418665B1 KR1020210161217A KR20210161217A KR102418665B1 KR 102418665 B1 KR102418665 B1 KR 102418665B1 KR 1020210161217 A KR1020210161217 A KR 1020210161217A KR 20210161217 A KR20210161217 A KR 20210161217A KR 102418665 B1 KR102418665 B1 KR 102418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vacuation
hatch
escape
biometric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주
Original Assignee
(주)이노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이노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21016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사회취약계층의 보다 안전한 디지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노인요양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노유자(老幼者)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화재에 대한 초기 경보 시스템, 긴급 피난통로 확보, 안전한 대피를 도와주는 피난기구, 화재 시 현장에 대한 영상과 건물에 잔존하는 인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Escape by using Biometr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비상 탈출 기구는 크게 완강기 타입과 피난기구대로 나뉘고 건물의 용도와 환경, 법령에 따라 건물에 설치하게 되어 있다.
1990년대 초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모델이 대다수이고 이를 개선한 몇 개의 제품이 개발 되었다. 하지만,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보급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종래의 층간 피난기구는 아래층으로 피난하는 기구로서, 상시 개방되어야 하며, 아파트만 적용 가능하다. 간이 피난공간은 별도의 공간 대피 장소로서, 구조될 때까지 내부에서 대기해야 되는 고가의 제품이다.
현재, 대형화재에 대한 장애인, 노약자 거주시설의 안전시설 설치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도심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과 복지시설의 고층화에 따른 비상사태 발생시 계단 이용이 불가능하고 연기의 확산으로 인한 질식사 위험이 높은 상황이 발생한다.
종래의 화재 감지시스템과 피난기구는 화재 시 중증장애인과 고령자에게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화재 감지시스템과 피난기구는 신체조건이나 활동능력을 반영하지 않아 장애인 거주시설이나 전문요양 기관의 장애인과 고령자가 사용하기에는 너무 어렵고 힘들게 제작되어 있다.
종래의 간이 완강기는 일반적으로 100Kg ~ 150Kg까지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나 아동이나 거동이 불편하면 사용할 수가 없으며 일회용이 많이 보급되어 다중시설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과 신개념 탈출시스템을 융합하여 누구나 손쉽게 화재나 비 상시에 탈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사회 취약계층의 보다 안전한 디지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노인요양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노유자(老幼者)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화재에 대한 초기 경보 시스템, 긴급 피난통로 확보, 안전한 대피를 도와주는 피난기구, 화재 시 현장에 대한 영상과 건물에 잔존하는 인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부 환경을 감지한 외부 환경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외부 환경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락을 잠금해제한 후 비상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폐부; 입력된 생체 정보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생체 인증부; 및 상기 생체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해치를 개방시키는 해치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회취약계층의 보다 안전한 디지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과 노인요양원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노유자(老幼者)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화재에 대한 초기 경보 시스템, 긴급 피난통로 확보, 안전한 대피를 도와주는 피난기구, 화재 시 현장에 대한 영상과 건물에 잔존하는 인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의 도어 개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화재연기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b,c,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치 개방에 따른 난연성 탈출튜브의 전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피용 비상 탈출 시스템은 비상 탈출 장치(100), 관리 서버(160)를 포함한다. 대피용 비상 탈출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화재연기감지에 따른 생체신호 반응형 비상 도어, 다양한 생체인증 방식을 통한 출입 제어, 관리 시설물 별 인가자 등록 및 개폐 권한 부여, 게이트 잠금 단계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안전 대피를 위한 첨단 소재를 이용한 외부 탈출기구, 신속한 구조를 위한 구조물 시각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출입통제 시스템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장치를 의미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개인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던 암호, PIN 방식과 같이 암기가 필요없으며, 도난의 우려, 노유자의 임의 개방으로 인한 무단탈출, 과실사를 방지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화재연기감지에 따른 반응형 비상 도어를 포함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화재연기감지 디바이스, 비상 도어 제어 IoT 디바이스, 이벤트 발생시 영상녹화와 인체 감지를 위한 레이더 센서, IoT 디바이스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외부 탈출을 위한 신소재 탈출 튜브를 포함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에 포함된 신소재 탈출 튜브는 신소재 적용에 대한 품질 검사가 완료된 튜브로서 하강속도 제어용 제어밴드, 바닥용 매트리스를 포함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대피경로 게이트 표시 모듈, 모듈 간 중계/증폭을 위한 RF Repeater & Amplifier, 다중 노드와 라우터 간 무선 신호처리모듈, RFAM(Radio Frequency Amplifier)을 이용한 MAC ID 전송 모듈, 동일 대역대 RF 전파 간섭방지를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100)는 센서부(110), 도어 개폐부(120), 생체 인증부(130), 해치 개폐부(140), 제어부(150), 관리 서버(16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외부 환경을 감지한 외부 환경 신호를 생성한다.
도어 개폐부(120)는 출입문의 도어 개폐를 통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어 개폐부(120)는 외부 환경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락을 잠금해제한 후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킨다. 도어 개폐부(120)는 외부 환경 신호에 포함된 연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CO 가스 농도가 2000PPm 이상이면, 1Sec 이내에 도어락을 개방시킨다.
생체 인증부(130)는 사람을 식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사람마다 상이한 생체 정보(지문, 홍채, 얼굴, 음성, 손모양 등)를 추출한 후 저장부에 저장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출입을 원하는 사람으로부터 입력받은 생체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정합성이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위변조 및 노출 방지를 위해 생체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생체정보 DB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저장하며, DB 고속 검색 기술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고속으로 검색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지문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얼굴 인식, 정맥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구비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이미지화한 후 홍채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인 고유의 홍채 코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기 설정된 인식 가능 거리(예컨대, 35cm) 이내로 사람이 진입한 경우 사람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응답 속도(예컨대, 1초 미만) 이내로 기 설정된 인식 성공률(예컨대, 99.99%)로 생체 인증을 수행한 후 기 설정된 해상도(예컨대 250픽셀)로 결과를 출력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입력된 생체 정보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지문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얼굴 인식, 정맥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생체 정보가 권한별 출입자, 시설물 별 인가자, 개폐 권한 부여자, 사용자 로그 관리자 중 어느 하나로 매칭되는 경우에만 생체 정보를 인증하는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해치 개폐부(140)는 생체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해치(230)를 개방시킨다.
제어부(150)는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통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다중입력 다중 출력 멀티모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6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연기 감지 신호, 비상 도어를 개방 여부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비상 도어(210)와 해치(230)가 개방되면 LED(310)를 제어하여 바닥면을 향해 대피 경로를 화살표로 표시되도록 발광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연기 감지 센서(이온화식 감지 센서와 광전식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열 감지 센서(정온식 감지 센서와 차동식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열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비상 도어(210) 및 해치(230)가 개방된 후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Wi-Fi, BLE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측위한다.
제어부(150)는 비상 도어(210) 및 해치(230)가 개방된 후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비상 도어(210)로 출입하는 출입자를 카운트한다. 제어부(150)는 비상 도어(210) 및 해치(230)가 개방된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상 도어(210)로 출입하는 사람을 촬영한 녹화 영상을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비상 도어(210) 및 해치(230)가 개방된 후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위한 기 설정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녹화 영상을 보호자 단말기 또는 가족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유관기관 또는 경찰서로 화재 신고 신호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160)는 출입통제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관리 서버(160)는 제어부(150)와 연동하여 권한별 출입자 관리, 시설물 별 인가자 등록 및 개폐 권한 부여, 사용자 로그 관리를 수행한다. 관리 서버(160)는 다중입력 다중 출력 멀티모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어부(150)와 통신을 수행한다.
관리 서버(160)는 비상 대피 시 긴급 피난통로 영상, 안전한 대피를 도와주는 피난기구 영상, 화재 시 현장에 대한 영상과 건물에 잔존하는 인원을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시스템 운영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관리 서버(160)는 게이트 자동화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상문 개폐 원격 서비스, 제어부(150)에 연결된 출입통제 시스템 이상 여부 관리, 실시간 웹 기반의 시각화, 기관, 연계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리 서버(160)는 사용자 정보 검색 기술, 연계 플랫폼 데이터 공유, 검색 서비스, 데이터 관리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UI/UX 기반 모니터링 서비스, 이종 플랫폼과 연계를 위한 API 개발 및 통합, 서비스 시나리오 및 운영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관리 서버(160)는 생체인식 감지를 통한 게이트 자동화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관리 서버(160)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분산형 수집 관리 시스템, 다중 데이터 통합을 위한 공통 데이터 관리 모듈, Lustre/iRODS 기반 대용량 데이터 분산 저장장치, 데이터 전송구간 및 사용자 인증 암호화 모듈, 사용자 정보 검색 모듈, 연계 플랫폼, 데이터 관리 현황 모니터링 모듈, UI/UX 기반 모니터링 모듈, 이종 플랫폼과 연계를 위한 API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의 도어 개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건물 내의 비상 탈출이 필요한 일측 공간에 설치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비상구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평상시에 비상 도어(2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에 화재연기가 감지되거나 비상 도어(210) 개폐를 위해 생체 인증 정보가 입력되어 인증되는 경우에만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킨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1차적으로 화재연기가 감지된 후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키고 2차적으로 생체 인증 정보가 인증되는 경우 해치(230)를 개방 시킬 수 있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비상 도어(210)를 슬라이드 형태로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비상 도어(210), 벽체(220), 해치(230)를 포함한다. 벽체(220)에는 통로(피난로)(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치(230)는 난연성 탈출튜브(510, 520)를 포함한다.
비상 도어(210)는 실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된다. 벽체(220)는 통로(피난로)(320)를 구비하며, 비상 도어(210)가 개방되면, 벽면의 중앙에 통로(피난로)(320)가 노출되도록 한다. 해치(Hatch)(230)는 실외에 설치되어 힌지(330)를 기반으로 직각으로 펼쳐지는 방식으로 개방되며, 벽면의 중앙에 탈출 통로(340)가 형성된다. 벽체(220)의 하단부 일측과 해치(230)의 하단부 일측이 힌지(330)로 결합되어 직각으로 접히거나 펼쳐진다.
도 3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도어(210)의 외부 일측에 LED(310), 센서부(110), 생체 인증부(130)를 포함한다.
LED(310)는 현재 상태를 색깔로 표시하여 발광한다. LED(310)는 평상시 상태를 녹색으로 발광하다가 화재 경보 발생시 붉은색으로 발광시킨다. LED(31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화재 경보 발생시 바닥면을 향해 대피 경로를 표시되도록 발광한다. 여기서, 대피 경로는 화살표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레이더 센서, 카메라, 위치 감지 센서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 환경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110)는 화재연기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 연기를 감지하고, 연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110)는 연기에 대응하는 신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 경보를 발생한다. 화재연기감지센서는 연기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연기 감지 센서는 CO 가스를 감지한다.
연기 감지 센서는 이온화식 감지 센서와 광전식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연기 감지 센서는 감지기에 침투한 연기에 의한 변화를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이온화식 감지 센서는 충전전극 사이에 방사선 물질을 삽입시켜 이온화된 공기가 전자를 운반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이온화식 감지 센서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충전전극 사이로 들어와 이온화된 공기와 결합해 평상시에 흐르던 전류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런 변화량에 의해 릴레이가 작동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광전식 감지 센서는 연기가 빛을 차단하거나 반사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한다. 광전식 감지 센서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와 빛을 전기로 전환시키는 광전소자를 이용한다. 광전식 감지 센서는 화재 시 연기가 유입되면 발광소자에서 발한 빛이 산란현상을 일으키고 수광 소자는 이를 감지해 신호를 증폭시킨 뒤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한다.
열 감지 센서는 정온식 감지 센서와 차동식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열 감지 센서는 온도를 감지해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정온식 감지 센서는 일정하게 세팅된 온도값을 탑재한다. 정온식 감지 센서는 감지기 내부에 바이메탈이 내장돼 있어 일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바이메탈의 접점이 붙게되고 센서가 작동해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차동식 감지 센서는 외부의 열에 의해 감지기 내부가 열 팽창이 되며 팽창된 부분의 접점이 붙어서 열을 감지한다. 차동식 감지 센서는 평상시 온도에 비해 온도가 급격한 변화를 보이면 센서가 이를 감지해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부(110)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카운트한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110)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탈출에 따른 인원 카운트하고 실내 움직임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160)로 전송한다.
센서부(1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특정 커버리지를 촬영한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비상시 촬영을 수행한다. 센서부(1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재난 시 현장 영상 송출 및 파일 스토리지(File Storage)에 저장한다. 센서부(110)는 단전에 따른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내장한다.
센서부(110)는 반경 1~30m로 신호세기를 설정하고, 반경 10~30m 내의 커버리지로 실시간 측정 및 데이터 수집을 수행한다. 센서부(110)는 센싱된 데이터 손실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신 장애시 디바이스에서 버퍼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센서부(110)는 통신이 원활할 경우 버퍼링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재전송한다.
센서부(110)는 액티브(Active) 및 패시브(Passive) 방식으로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센서부(110)는 Wi-Fi, BLE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커버리지 내에서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센서부(110)는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리밍 데이터 캡쳐하고 변환한다. 센서부(110)는 대량의 데이터의 원활한 저장을 위한 스트리밍 로더 기법을 이용한다.
센서부(110)는 주기적으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16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손실율이 적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파일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센서부(110)는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이벤트를 감지·집계하여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저장한다.
관리 서버(160)는 비상 탈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데이터 및 누적·집계된 데이터를 시각화 서비스로 제공한다. 관리 서버(160)는 수신된 바이너리 데이터를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시간·지역별로 분석한 데이터는 RDBMS 저장한다. 관리 서버(160)는 분석 데이터를 API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부(110)는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160)로 전송시 데이터 전송 손실율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 서버(160)에 수신되는 로우 데이터 손실율을 줄이기 위해 분산 처리 및 로그 데이터 파일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얼굴인식센서, 정맥인식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인증한다. 생체 인증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얼굴 인식, 정맥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화재연기가 감지되거나 생체 인증부(130)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가 인증되면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킨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1차적으로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화재연기가 감지된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키고 이후 2차적으로 생체 인증부(130)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가 인증되면 해치(230)를 개방시킨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노유자의 임의 조작에 따른 오동작을 방직하고자 생체인식 시스템 적용하고, 잠금 장치를 이중화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의 화재연기감지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비상 도어(210) 개방 후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보호자 및 가족에게 현재 위치 및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벤트 발생 시 유관기관 및 경찰서로 신고 신호를 전송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RF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160) 또는 통합관제센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RF 신호 세기에 따라 센서 노드를 구분하고 판별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화재연기감지에 따라 반응하는 비상 도어(210)를 개방한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화재 연기를 감지하면 1차적으로 도어락을 잠금해제한 후 비상 도어(210)를 개방시키고, 생체 인증부(130)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생체 정보가 인식되면, 해치(230)를 개방시킨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화재연기 감지시 CO 가스농도가 2000PPm 이상이면, 1Sec 이내에 도어락을 개방시킨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가스감지 이벤트 발생시 센서부(1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녹화하고,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도 5a,b,c,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치 개방에 따른 난연성 탈출튜브의 전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상 탈출 장치(100)에 내의 해치(230) 내에 외부 탈출을 위한 난연성 탈출튜브(510, 520)를 포함한다. 난연성 탈출튜브는 외부 포지(510)와 내부 포지(520)로 구분된다.
난연성 탈출튜브(510, 520)는 사람의 탈출을 위한 무게 배분과 하강 속도 조절을 위한 기구적 매카니즘으로 사람이 하강시 바닥면에 설치된 매트리스로 위치되도록 한다.
난연성 탈출튜브(510, 520)는 난연등급3급 이상이고, 사람의 하강속도 3m/Sec로 소방법규에 지정된 범위 준수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난연성 탈출튜브의 내부 포지(510)는 사람 하강 속도 조절을 위한 기구적 구조를 갖는다. 난연성 탈출튜브의 외부 포지(520)는 탈출시 바닥면 설치된 매트리스로 연결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230)의 중앙에 형성된 탈출 통로(340)의 안쪽면은 벽체에 설치된 통로(피난로)의 바깥쪽면과 난연성 탈출튜브로 연결된 내부 포지(510)를 형성한다. 해치(230)의 중앙에 형성된 탈출 통로(340)의 바깥면은 바닥 매트리스(바닥면에 설치된 매트리스) 위치까지 난연성 탈출튜브로 연결된 외부 포지(520)를 형성한다.
외부 포지(520)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체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외부로 기 설정된 임계각도로 휘어지는 기구적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비상 탈출 장치(100)는 화재 연기 발생 시 생체인증을 이용하여 비상 도어(210)를 개방하여 통로(피난로)(320), 탈출 통로(340)가 노출되도록 하여, 통로(피난로)(320), 탈출 통로(340)로 피난을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해치(230)는 난연성 탈출튜브로 형성된 내부 포지(510)와 외부 포지(52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가 해치(230)가 힌지(330)를 기반으로 직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개방되면서 내부 포지(510)와 외부 포지(520)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상 탈출 장치
110: 센서부
120: 도어 개폐부
130: 생체 인증부
140: 해치 개폐부
150: 제어부
160: 관리 서버
210: 비상 도어
220: 벽체
230: 해치
310: LED
320: 통로(피난로)
330: 힌지
340: 탈출 통로
510: 내부 포지
520: 외부 포지

Claims (5)

  1. 외부 환경을 감지한 외부 환경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외부 환경 신호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어락을 잠금해제한 후 비상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 개폐부;
    입력된 생체 정보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생체 인증부;
    상기 생체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해치를 개방시키는 해치 개폐부;
    실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방되는 상기 비상 도어;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 도어가 개방되면, 벽면의 중앙에 상기 통로가 노출되도록 하는 벽체;
    실외에 설치되어 힌지를 기반으로 직각으로 펼쳐지는 방식으로 개방되며, 벽면의 중앙에 탈출 통로가 형성되는 해치(Hatch);
    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의 하단부 일측과 상기 해치의 하단부 일측이 상기 힌지로 결합되어 직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해치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탈출 통로의 안쪽면은 상기 벽체에 설치된 상기 통로의 바깥쪽면과 난연성 탈출튜브로 연결된 내부 포지를 형성하며, 상기 해치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탈출 통로의 바깥면은 바닥 매트리스 위치까지 난연성 탈출튜브로 연결된 외부 포지를 형성하며, 상기 외부 포지는 내부를 통과하는 물체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외부로 기 설정된 임계각도로 휘어지는 기구적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해치는 상기 난연성 탈출튜브로 형성된 상기 내부 포지와 상기 외부 포지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가 상기 해치가 상기 힌지를 기반으로 직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개방되면서 상기 내부 포지와 상기 외부 포지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지문인식(fingerprint recognition), 홍채 인식(iris recognition), 얼굴 인식, 정맥 인식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부는,
    상기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생체 정보가 권한별 출입자, 시설물 별 인가자, 개폐 권한 부여자, 사용자 로그 관리자 중 어느 하나로 매칭되는 경우에만 상기 생체 정보를 인증하는 상기 생체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부는
    상기 외부 환경 신호에 포함된 연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CO 가스 농도가 2000PPm 이상이면, 1Sec 이내에 상기 도어락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 신호, 상기 비상 도어를 개방 여부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KR1020210161217A 2021-11-22 2021-11-22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KR10241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17A KR102418665B1 (ko) 2021-11-22 2021-11-22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17A KR102418665B1 (ko) 2021-11-22 2021-11-22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65B1 true KR102418665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217A KR102418665B1 (ko) 2021-11-22 2021-11-22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834A (ko) * 2011-06-07 2012-12-17 정현성 화재 대피용 금고시스템
KR102299403B1 (ko) * 2020-12-21 2021-09-06 이영일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834A (ko) * 2011-06-07 2012-12-17 정현성 화재 대피용 금고시스템
KR102299403B1 (ko) * 2020-12-21 2021-09-06 이영일 방화 기능을 구비한 풀 오픈 도어 및 이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625B2 (en) Drone control device
KR102108343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재실 인원 카운트 방법
US10223888B2 (en) Personnel authentication and tracking system
JP4035505B2 (ja) 出入りを得るための安全方法、出入り確認装置、エレベータ
WO2017073101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764012B2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US20230060136A1 (en) Smartlock system for improved fire safety
CN205750458U (zh) 楼宇智能化平台系统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KR102418665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대피용 비상 탈출 장치 및 방법
CN106331902A (zh) 一种楼宇对讲系统
KR101012738B1 (ko) 철도 역사의 테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21819A (ko) 댁내 보안시스템
CN104408793B (zh) 入户门安防方法及系统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KR102478398B1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 방지용 이중 인터로킹 출입문 도어 시스템
KR102326193B1 (ko) 영상 융합형 비상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TWI715388B (zh) 火警系統
KR102469066B1 (ko) 문 스트라이크 장치를 이용한 침입 방범 시스템
US11961381B2 (en) Life safety device with machine learning based analytics
AU2021107342A4 (en) A Temperature Check Cell and a Checking Method Thereof
KR20230071261A (ko) 스마트 도어락
TW202345943A (zh) 減緩火勢之門窗控制系統、方法及電腦可讀媒介
JP2022010512A (ja) 災害時安否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