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501B1 -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501B1
KR102057501B1 KR1020170096782A KR20170096782A KR102057501B1 KR 102057501 B1 KR102057501 B1 KR 102057501B1 KR 1020170096782 A KR1020170096782 A KR 1020170096782A KR 20170096782 A KR20170096782 A KR 20170096782A KR 102057501 B1 KR102057501 B1 KR 10205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operating
suppor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968A (ko
Inventor
차명길
곽노황
김연선
Original Assignee
차명길
곽노황
김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길, 곽노황, 김연선 filed Critical 차명길
Priority to KR102017009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5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0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unted on si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 커버(2)를 개폐가능하게 구비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어 경첩이 설치된 문틀에 대향된 케이스 측부면에서 단부가 돌출되어 도어 폐쇄시 돌출 단부가 눌려져 수평 이동하는 작동부(10), 및 상기 작동부재의 하측에서 연동하여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하여 도어 저면과 바닥면을 차폐시키도록 설치된 차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차폐수단이 하강하도록 되어 차폐장치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효과와, 기존의 도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도어 하단의 정면에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발포고무를 차폐수단으로 사용하여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A Floor Sealing Device For Doors}
본 발명은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나 주택에서 영유아나 노약자 보호를 위해 문틀이 제거된 도어 하측의 바닥면에 대하여 도어 하단 사이를 밀폐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특히 벽체의 출입구에 문틀을 설치하고, 그 측부에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문틀에는 하부에 폭방향으로, 소위 문지방이 돌출되어 환자, 노약자나 영유아들에게 장벽으로 작용하여 실내 움직임에 어려움과 위험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최근에는 바닥면 문틀을 제거하여 시공하고 있으나, 도어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갭을 통한 소음 전달의 문제와, 갭을 통한 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의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종래 도어와 바닥면 사이의 갭 발생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7104호(등록일자 1998년11월19일)에는 도어(2)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우징(5)과, 상기 도어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를 닫았을 때는 문틀(4)과 접속되어 내부로 수용되게 하우징내에 탄력 설치된 슬라이더(6)와, 상기 슬라이더에 복수개의 링크(9)로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수평이동에 따라 수직상태로 승강운동하는 승강편(8)과, 상기 승강편의 양측면에 접속되게 하우징의 저면양측에 스프링(11)으로 탄력설치된 회동판(10)으로 구성된 도어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의 밀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에서의 밀폐장치 구조는 두개의 회동판 단부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정도로는 소음의 완전한 차단이 불가능하고, 열전달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83호(공개일자 2017년04월03일)에 개시된 도어용 갭 차단장치에는 내부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바디고정수단과 작동수단이 결합할 수 있는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의 하부 양측에 차단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차단레일과, 상기 차단레일 사이에 차단수단과 작동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도어의 하단에 밀착되는 장치바디와, 고정수단으로 도어와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장치바디의 어퍼레일 양단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게 한 결합판을 형성하여 장치바디를 도어의 하단과 밀착시켜 유지하는 바디고정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의 하측에 결합되어 도어 하단부와 바닥 사이의 갭을 차단하는 차단수단과, 상기 장치바디와 차단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차단수단을 하강 또는 상승시켜 차단수단이 갭을 차단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의 갭차단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여전히 소음 차단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7104호(등록일자 1998년11월19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383호(공개일자 2017년04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바닥면과 도어 저면 사이의 소음 차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더어의 개폐시 문틀과 접촉되는 작동부에 연동하여 도어 하단에서 차폐부재가 하방으로 동작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는 전면 커버를 개폐가능하게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어 경첩이 설치된 문틀에 대향된 케이스 측부면에서 단부가 돌출되어 도어 폐쇄시 돌출 단부가 눌려져 수평 이동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재의 하측에서 연동하여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하여 도어 저면과 바닥면을 차폐시키도록 설치된 차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는 바 형태로서 케이스의 배면에 이격되어 고정된 두개의 가이드부재들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작동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케이스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단부가 도어가 닫힐 때 문틀의 측부에 눌려져 케이스 속에서 수평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재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경사부가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차폐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어와 바닥면 사이를 차폐하도록 된다.
상기 차폐수단은 바 형태의 지지부재의 저면에 탄성 흡음부재로 된 차폐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경사부와 연동하여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종동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종동부재는 정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경사부와 맞물려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상기 종동부재는 작동부재의 상면에 제공된 롤러로서 작동부재의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작동부재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봉의 외주면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봉의 헤드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부재 하측에서 케이스의 배면측에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상기 지지봉이 관통하도록 장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내에 미리 부품들을 조립한 바닥면 차폐장치를 도어 하단에 장착하여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차폐수단이 하강하도록 되어 차폐장치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하는 효과와, 기존의 도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도어 하단의 정면에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발포고무를 차폐수단으로 사용하여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에서 내부 구조를 볼 수 있도록 전면 커버가 분해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폐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차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변형예의 종동부재를 채용한 차폐장치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도어 닫힘에 따라 작동부가 수평이동할 때 변형예의 종동부재가 작동부재와 연동하여 차폐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는 전면 커버(2)를 개폐가능하게 구비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문틀, 도어 경첩이 설치된 문틀에 대향된 케이스 측부면에서 단부가 돌출된 작동부(10), 상기 작동부재의 하측에서 연동하여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차폐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폐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단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작동부(10)는 바 형태로서 케이스의 배면에 이격되어 고정된 두개의 가이드부재(5)들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작동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11)는 케이스(1)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단부(12)에 고정된 반구형체(13)를 구비하여,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중, 도어가 닫힐 때 문틀(17)의 측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반구형체(13)가 접촉되면서 돌출단부(12)가 밀려서 작동부재(11)가 케이스 속에서 수평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경사부(14)가 적어도 한 곳에,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격된 위치에서 두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4)는 정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돌출단부(12) 쪽에서 반대쪽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1)에는 적어도 한 곳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곳에 장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폐수단은 바 형태의 지지부재(20)의 저면에 발포고무나 스펀지와 같은 탄성 흡음부재로 된 차폐부재(2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와 연동하여 지지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종동부재(2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종동부재(2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면에서 볼 때 단순한 삼각형상으로 상면이 상기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에 대응되게 경사져 맞물려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1)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할 때 그 저면의 경사부(14)에 맞물리는 종동부재(25)가 경사부(14)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차폐수단의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에 접촉되어 밀폐 또는 차폐하게 된다.
상기 종동부재(25)의 변형예로서, 상기 종동부재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 위에 브라켓(26)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27)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와 접촉되는 롤러(27)가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가 작동부재(11)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탄성수단으로서 스프링(30)이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30)은 지지부재(20)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봉(3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봉(31)의 헤드(32)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부재(20) 하측에서 케이스의 배면측에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33)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봉(31)은 지지부(33)를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차폐수단의 지지부재(2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차폐장치는 도어의 하단부에, 예를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하단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어를 닫을 때, 도어 힌지가 설치된 문틀(17)에 대향된 도어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단부(12)의 반구형체(13)가 눌려져 작동부재(11)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 차폐장치는 도어 하단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부재(20)의 종동부재(25)가 상기 작동부재의 저면에 고정된 경사부(14)와 접촉되어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하여 도어 저면과 바닥면 사이를 차폐하게 되며, 차폐부재가 흡음재로 구성되어 소음이 차단되며, 도어 하단의 갭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방이동시 지지봉(31)이 하방이동하는 동안 그 외측에 배치된 스프링(30)이 도 5와 같이 압축된다. 그런 다음, 도어를 열게 되면, 상기 스프링(30)이 탄성력으로 도 4와 같이 복귀되면서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는 바닥면과의 접촉된 상태에서 상승하면서 작동부재(11)는 도면에서 도 5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된다.
또한, 도 6과 7에 있어서, 변형예로서 종동부재로서 롤러를 채용한 차폐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작동부재(12)의 반구형체(13)가 문틀(17)에 눌려지면서 작동부재가 수평이동할 때, 작동부재 저면의 경사부(14)와 맞물린 롤러(27)가 경사부를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눌려져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가 하강하여 바닥면에 접촉되어 도어 저면과 바닥면 사이를 차폐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30)이 압축되어서, 도어가 개방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0)와 차폐부재(21)가 상승하면서 롤러(27)와 접촉된 경사부(14)가 이동하면서 작동부재(12)가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방향으로, 도어 측면에서 돌출된 작동부재(12)의 반구형체(13)가 도 6의 닫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문틀이 설치되지 않은 바닥면에 대하여 도어 하단의 틈새를 차폐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케이스 2 ; 전면 커버
5 : 가이드부재 11 : 작동부재
12 : 돌출단부 14 : 경사부
15 : 장공 17 : 문틀
20 : 지지부재 21 ; 차폐부재
25 : 종동부재 27 : 롤러
30 : 스프링 31 : 지지봉

Claims (7)

  1. 전면 커버(2)를 개폐가능하게 구비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도어 경첩이 설치된 문틀에 대향된 케이스 측부면에서 단부가 돌출되어 도어 폐쇄시 돌출 단부가 눌려져 수평 이동하는 작동부(10), 및 상기 작동부(10)의 작동부재 하측에서 연동하여 케이스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이동하여 바닥면과 접촉하여 도어 저면과 바닥면을 차폐시키도록 설치된 차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10)는 바 형태로서 케이스의 배면에 이격되어 고정된 두개의 가이드부재(5)들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작동부재(11)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1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경사부(14)가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4)의 경사면을 따라 차폐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어와 바닥면 사이를 차폐하도록 되고,
    상기 차폐수단은 바 형태의 지지부재(20)의 저면에 탄성 흡음부재로 된 차폐부재(2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와 연동하여 지지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종동부재가 제공된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도어 하단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부재(11)는 케이스(1) 측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단부(12)가 도어가 닫힐 때 문틀(17)의 측부에 눌려져 케이스 속에서 수평이동하도록 되며,
    상기 지지부재(20)가 작동부재(11)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0) 상측에 고정되는 지지봉(31)의 외주면에 스프링(3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봉(31)의 헤드(32)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부재(20) 하측에서 케이스의 배면측에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33)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11)에는 상기 지지봉(31)이 관통하도록 장공(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25)는 정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되어 상기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와 맞물려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것을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는 작동부재(11)의 상면에 제공된 롤러(27)로서 작동부재(11)의 경사부(1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것을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7. 삭제
KR1020170096782A 2017-07-31 2017-07-31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KR10205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82A KR102057501B1 (ko) 2017-07-31 2017-07-31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782A KR102057501B1 (ko) 2017-07-31 2017-07-31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68A KR20190012968A (ko) 2019-02-11
KR102057501B1 true KR102057501B1 (ko) 2019-12-19

Family

ID=653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782A KR102057501B1 (ko) 2017-07-31 2017-07-31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5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50Y1 (ko) * 2000-04-21 2000-09-15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50Y1 (ko) * 2000-04-21 2000-09-15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968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283B1 (ko)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KR100848204B1 (ko) 도어의 틈새 개폐장치
KR101280118B1 (ko) 수평밀착창호
KR20110090253A (ko) 방화문의 가스켓 오토씰링 장치
KR101393419B1 (ko) 방음기능이 우수한 공동주택용 실내도어구조
KR102057501B1 (ko) 도어용 바닥면 차폐장치
JP6570838B2 (ja) 防水シャッター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200473772Y1 (ko) 도어의 틈새 기밀유지장치
KR100984325B1 (ko) 바닥틈 폐쇄장치
KR101588239B1 (ko) 도어 차폐장치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101955653B1 (ko) 창문용 풍지판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20200137415A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20130126832A (ko) 출입이 용이한 기밀성 여닫이문 구조
KR100681846B1 (ko) 공동주택 실내의 방풍문턱
KR102274768B1 (ko)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KR200305314Y1 (ko) 밀봉유니트
KR20120103371A (ko)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조절기
KR102067204B1 (ko)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JPS61299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