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04B1 -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04B1
KR102067204B1 KR1020180138066A KR20180138066A KR102067204B1 KR 102067204 B1 KR102067204 B1 KR 102067204B1 KR 1020180138066 A KR1020180138066 A KR 1020180138066A KR 20180138066 A KR20180138066 A KR 20180138066A KR 102067204 B1 KR102067204 B1 KR 10206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rizontal reciprocating
reciprocating bar
main body
bod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943A (ko
Inventor
정건모
송기현
Original Assignee
덕인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인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인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는: 유리패널이 끼워지는 창문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일측 측방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왕복 바아;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시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되면 창문틀과 창문틀이 끼워지는 창틀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풍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창문의 폐쇄시에 창문과 창틀의 이격된 틈새를 반자동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바람과 공기의 유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창문의 개방시에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통풍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windbreak device for windows and airtight window system compris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자동식 탄성 풍지판을 포함하여 창문 개방시엔 통풍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하고 창문 폐쇄시엔 외풍이 견고하게 차단되도록 할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호(窓戶)는 건물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건축물에 있어 이러한 창호는 채광이나 실내 공기의 순환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서, 건물의 시공시 벽체의 소정 위치에 사각의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설치한다.
창호의 종류나 크기 또는 설치위치나 개수 등은 공기조화나 실내의 보온이나 채광 등은 물론 건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2106호(2005년04월0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창문을 닫더라도 창문과 창틀의 틈새 사이로 외풍이 그대로 유입되어 난방 또는 냉방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거나 초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공기 질이 악화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2106호(2005년04월08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의 폐쇄시에 창문과 창틀의 이격된 틈새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의 바람과 공기의 유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창문의 개방시에는 통풍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는: 유리패널이 끼워지는 창문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일측 측방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왕복 바아;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시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 브래킷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되면 창문틀과 창문틀이 끼워지는 창틀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수평왕복 바아가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풍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풍지판을 향해 물림 돌기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풍지판에는 상기 물림 돌기부가 맞물려 상기 수평왕복 바아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상기 풍지판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캠 가이드 슬롯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밀 창호 시스템은: 유리패널과, 상기 유리패널이 끼워지는 창문틀로 이루어진 창문; 상기 창문이 끼워져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지지하는 창틀; 및, 상기 창문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창문의 개방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풍지판이 내부로 숨겨지며, 상기 창문의 폐쇄시 측방 가압에 의해 풍지판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틀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도록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의 폐쇄시에 창문과 창틀의 이격된 틈새를 반자동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바람과 공기의 유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창문의 개방시에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통풍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기밀 창호 시스템의 창문틀에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가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일부 영역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창호 시스템의 창문이 개방되어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의 풍지판이 내부로 숨겨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 창호 시스템의 창문이 폐쇄되어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의 풍지판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패널(11)이 끼워지는 창문틀(1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케이싱(110)과,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일측 측방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왕복 바아(120)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수평왕복 바아(120)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30)과, 본체 케이싱(110) 및 수평왕복 바아(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시 수평왕복 바아(12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140)와,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서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게 구비되어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되면 창문틀(15)과 창문틀(15)이 끼워지는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풍지판(15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0)의 폐쇄시에 창문(10)과 창틀(20)의 이격된 틈새를 반자동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바람과 공기의 유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0)의 개방시에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통풍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수평왕복 바아(120)와 풍지판(150)을 비롯한 부품들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마련된다.
수평왕복 바아(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본체 케이싱(110)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일측은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가 설치된 창문(10)과 함께 창호의 개폐를 미서기 방식으로 이뤄지게 하는 상대편 창문이 닫힐 때에 그 충격에 의해 수평왕복 바아(120)가 밀려나는 수평이동이 이뤄지게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타측은 본체 케이싱(110)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가 직접 설치된 창문(10)과 함께 미서기 방식으로 창호를 열고 닫는 상대편 창문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가 직접 설치된 창문(10)을 향해 근접되면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수평왕복 바아(120)의 일측이 먼저 가압 되어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 밀려남 이동에 의해 풍지판(150)의 승강 동작이 연동 되어 창문틀(15)과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손쉽고 용이하게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왕복 바아(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풍지판(150)을 향해 물림 돌기부(121)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림 돌기부(121)가 풍지판(150)의 후술할 캠 가이드 슬롯(151)에 맞물려 풍지판(150)이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어 본체 케이싱(110)의 내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승강 동작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지판(150)의 캠 가이드 슬롯(151)을 관통한 물림 돌기부(121)의 단부에는 물림 돌기부(1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이나 크기를 갖는 걸림부(12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림 돌기부(121)가 캠 가이드 슬롯(151)에서 빠지게 되어 풍지판(150)이 수평왕복 바아(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이 걸림부(123)에 의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림 돌기부(121)는 수평왕복 바아(120)에 복수 개로 돌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왕복 바아(120)의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일측 단부에는 조절 헤드(125)가 구비되어 시공자나 사용자에 의해 돌림 조작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시공자나 사용자가 조절 헤드(125)를 잡고 돌려주면 후술할 길이조절나사(160)와 함께 수평왕복 바아(120)가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측의 노출 길이가 조절되어 창문틀(15)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수평왕복 바아(120)의 노출 길이는 최소화되도록 하면서도 풍지판(150)의 승강 동작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조절 헤드(125)는 상대편 창문의 근접에 의한 창호 폐쇄시 받게 되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커버로 감싸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브래킷(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관통되는 수평왕복 바아(1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는 풍지판(150)의 좌우 양측 부가 맞물리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며 풍지판(150)의 상하 승강 동작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31)이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1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왕복 바아(120)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타측 단부와 본체 케이싱(11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대편 창문과의 창호 닫힘 상태에서 창호 개방 상태로 상대편 창문이 멀어져 조절 헤드(125)의 가압 해제시 수평왕복 바아(120)가 탄성 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풍지판(150)이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숨겨지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탄성 부재(140)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지판(1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평판의 형태로 마련되며, 좌우 양측 부는 지지 브래킷(130)의 가이드 레일(131)에 맞물려 승강이 안내되도록 구비되고,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승강이 연동 되게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지판(150)에는 수평왕복 바아(120)의 물림 돌기부(121)가 맞물려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풍지판(15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캠 가이드 슬롯(151)이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풍지판(150)의 캠 가이드 슬롯(151)에 물림 돌기부(121)가 맞물려 안내되어 창호의 폐쇄시 상대편 창문이 조절 헤드(125)를 가압하게 되면 풍지판(150)이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인출(창문틀(15)의 상부에서는 상승, 창문틀(15)의 하부에서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고, 창호의 개방시 상대편 창문이 조절 헤드(125)에서 멀어지게 되어 조절 헤드(125)의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물림 돌기부(121)가 캠 가이드 슬롯(151)을 타고 원위치로 복귀되어 풍지판(150)이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인입(창문틀(15)의 상부에서는 하강, 창문틀(15)의 하부에서는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캠 가이드 슬롯(151)은 물림 돌기부(121)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천공 형성되되, 각각은 수평 직진의 형태로 형성되다가 일정 구간 이후엔 물림 돌기부(121)의 수평이동에 의해 풍지판(150)이 상승 되도록 우상향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왕복 바아(12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140)는 길이조절나사(160)에 의해 본체 케이싱(110)에 결합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길이조절나사(160)를 돌려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탄성 부재(14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의 동작이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서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밀 창호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패널(11)과 유리패널(11)이 끼워지는 창문틀(15)로 이루어진 창문(10)과, 창문(10)이 끼워져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지지하는 창틀(20)과, 창문틀(1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고 창문(10)의 개방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풍지판(150)이 내부로 숨겨지며 창문(10)의 폐쇄시 측방 가압에 의해 풍지판(150)이 외부로 돌출되어 창문틀(15)과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도록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창문(10)의 폐쇄시에 창문(10)과 창틀(20)의 이격된 틈새를 반자동식으로 차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바람과 공기의 유입이 손쉽고 용이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창문(10)의 개방시에는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통풍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는 기밀 창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창문 11 : 유리패널
15 : 창문틀 20 : 창틀
100 :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110 : 본체 케이싱
120 : 수평왕복 바아 121 : 물림 돌기부
130 : 지지 브래킷 140 : 탄성 부재
150 : 풍지판 151 : 캠 가이드 슬롯

Claims (3)

  1. 유리패널(11)이 끼워지는 창문틀(1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케이싱(11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일측 측방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왕복 바아(12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30);
    상기 본체 케이싱(110)과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14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되면 창문틀(15)과 창문틀(15)이 끼워지는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풍지판(150);
    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풍지판(150)을 향해 물림 돌기부(12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풍지판(150)에는 상기 물림 돌기부(121)가 맞물려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상기 풍지판(15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캠 가이드 슬롯(151)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일측 단부에는 조절 헤드(125)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 헤드(125)는 상대편 창문의 근접에 의한 창호 폐쇄시 받게 되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탄성 재질의 커버로 감싸져 구비되며,
    상기 풍지판(150)의 캠 가이드 슬롯(151)을 관통한 상기 물림 돌기부(121)의 단부에는 물림 돌기부(1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이나 크기를 갖는 걸림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는 상기 풍지판(150)의 좌우 양측 부가 맞물리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풍지판(150)의 상하 승강 동작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31)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상기 탄성 부재(140)는 길이조절나사(160)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싱(110)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2. 삭제
  3. 유리패널(11)과, 상기 유리패널(11)이 끼워지는 창문틀(15)로 이루어진 창문(10);
    상기 창문(10)이 끼워져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것을 지지하는 창틀(20); 및
    상기 창문틀(1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창문(10)의 개방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풍지판(150)이 내부로 숨겨지며, 상기 창문(10)의 폐쇄시 측방 가압에 의해 풍지판(150)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창문틀(15)과 상기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도록 하는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
    를 포함하되,
    상기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100)는:
    유리패널(11)이 끼워지는 창문틀(15)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케이싱(11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일측 측방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왕복 바아(12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30);
    상기 본체 케이싱(110)과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14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연동 되게 구비되어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수평이동되면 창문틀(15)과 창문틀(15)이 끼워지는 창틀(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가 외부로부터의 가압 해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는 풍지판(150);
    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풍지판(150)을 향해 물림 돌기부(12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풍지판(150)에는 상기 물림 돌기부(121)가 맞물려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상기 풍지판(150)의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캠 가이드 슬롯(151)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일측 단부에는 조절 헤드(125)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 헤드(125)는 상대편 창문의 근접에 의한 창호 폐쇄시 받게 되는 충격이 완충 되도록 탄성 재질의 커버로 감싸져 구비되며,
    상기 풍지판(150)의 캠 가이드 슬롯(151)을 관통한 상기 물림 돌기부(121)의 단부에는 물림 돌기부(1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이나 크기를 갖는 걸림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브래킷(130)의 내부에는 상기 풍지판(150)의 좌우 양측 부가 맞물리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풍지판(150)의 상하 승강 동작을 안내하며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31)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왕복 바아(12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상기 탄성 부재(140)는 길이조절나사(160)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싱(110)에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KR1020180138066A 2018-11-12 2018-11-12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KR10206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066A KR102067204B1 (ko) 2018-11-12 2018-11-12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066A KR102067204B1 (ko) 2018-11-12 2018-11-12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943A KR20180127943A (ko) 2018-11-30
KR102067204B1 true KR102067204B1 (ko) 2020-01-15

Family

ID=6456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066A KR102067204B1 (ko) 2018-11-12 2018-11-12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888U (ja) * 1991-09-19 1993-04-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障子の下框気密装置
JP3282788B2 (ja) * 1996-10-07 2002-05-20 鹿島建設株式会社 引込戸
JP3663273B2 (ja) * 1997-02-10 2005-06-22 株式会社シブタニ ドアボトムのシール装置
KR200382106Y1 (ko) 2005-01-19 2005-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943A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10B1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KR101724120B1 (ko) 신축형 풍지판이 결합된 미서기문
KR102055623B1 (ko)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101778283B1 (ko)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KR20180015197A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016203B1 (ko) 미닫이 창호의 슬라이딩 틈새 밀봉장치
KR102067204B1 (ko) 창호용 바람막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밀 창호 시스템
KR102265338B1 (ko) 창문기밀용 브래킷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101310495B1 (ko) 창호용 호차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101798202B1 (ko) 레일과의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 장치가 장착된 미닫이 창문
JP4487289B2 (ja) 引戸の気密構造
US4594813A (en) Window vent
KR102276872B1 (ko) 창호용 틈새 방지구
KR20190099873A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210147842A (ko) 틈이 없는 미닫이 창호 레일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53957B1 (ko) 창호
KR20220063487A (ko) 창호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