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162B1 -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162B1
KR100927162B1 KR1020090045049A KR20090045049A KR100927162B1 KR 100927162 B1 KR100927162 B1 KR 100927162B1 KR 1020090045049 A KR1020090045049 A KR 1020090045049A KR 20090045049 A KR20090045049 A KR 20090045049A KR 100927162 B1 KR100927162 B1 KR 10092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peration panel
groove
fire do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0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피난계단쪽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문틀을 이사를 위한 물건의 이동시 부딪히지 않고 보다 원활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적으로 확개할 수 있는 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 방화문의 문틀구조에 있어서,
설치된 방화문(20) 반대측 문틀의 내부를 중공(中空)상태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안내통로(10b)가 형성되며, 그 양측에 돌출홈(10a)이 형성된 일측방 문틀(10)과;
일정구간 수평방향으로 출몰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안내통로(10b)에 끼워져 방화문(20)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고, 끼워진 내입측은 소정 경사각의 가이드레일(12a)이 형성된 스톱블록(12)과;
일측면에 상기 스톱블록(12)의 가이드레일(12a)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경사면(13a)을 갖는 슬라이더(13)와;
상기 슬라이더(13)의 타측면과 고정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13)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14a)(14b)가 형성되며, 일측방 문틀(10)의 돌출홈(10a)을 통해 출몰이동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조작이나 발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조작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방화문, 문틀, 스톱블록, 가이드레일, 경사각, 슬라이더, 벽체

Description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APPARATUS FOR SPREADING DOOR FRAME}
본 발명은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피난계단쪽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문틀을 이사를 위한 물건의 이동시 부딪히지 않고 보다 원활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적으로 확개할 수 있는 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오피스빌딩 등 대부분의 건축물의 파난계단쪽에는 화재의 발생시 화염의 번짐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의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0)개구부의 외곽틀로 이루어지는 문틀(100)의 일측에 경첩(210)에 힌지결합된 방화문(200)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문틀(100)의 측면에는 방화문(200)의 회전궤적을 한정하여 여닫이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전면에 걸쳐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틀(100)의 걸림턱(120)이 차지하는 폭은 사람이 드나드는 개구부의 공간에 비해 미미하다 할 수 있지만 방화문 개구부의 폭과 거의 같거나 큰 물건의 이동시 그 걸림턱에 걸려 이동이 쉽지 않다. 무리한 작업을 강행하게 되면 이송하는 물건의 파손은 물론 걸림턱 부분의 손상도 초래되기 십상이어서 부득이 다른 운송통로를 이용하거나 물건을 분해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의 피난계단쪽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문틀을 이사를 위한 물건의 이동시 부딪히지 않고 보다 원활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임의적으로 확개할 수 있는 구조 및 장치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방화문의 문틀구조에 있어서,
설치된 방화문 반대측 문틀의 내부를 중공(中空)상태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안내통로가 형성되며, 그 문틀의 양측에 돌출홈이 형성된 일측방 문틀과;
일정구간 수평방향으로 출몰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안내통로에 끼워져 방화문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고, 끼워진 내입측은 소정 경사각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스톱블록과;
일측면에 상기 스톱블록의 가이드레일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면과 고정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가 형성되며, 일측방 문틀의 돌출홈을 통해 출몰이동이 자유롭 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조작이나 발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조작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조작판의 양측부에 보조 조작판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덧 구성하는 한편, 마주하는 상기 조작판과 보조 조작판은 각각의 포켓홈에 개재되는 아령 형상의 연결구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조작판의 포켓홈에는 연결구가 90°범위내에서 조작판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고, 보조 조작판의 포켓홈에는 위치이동하는 연결구를 항상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된 복원스프링이 구비되어, 돌출홈으로부터 돌출상태인 보조 조작판을 벽체쪽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방화문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기 위해 문틀 전면에 형성된 종래의 걸림턱을 없애고 문틀 상부와 하부에만 걸림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화문 개구부의 공간폭을 넓혔을 뿐만 아니라 문틀 상부 및 하부에 구성된 본 발명의 걸림구조 역시 조작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문틀 내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방화문의 회전궤적을 한정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고 이삿짐 등 물건의 통과이동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될 시 문틀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어 물건파손이나 문틀의 손상 없이 이송작업을 원활하게 할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요부를 확대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C - C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서 보조 조작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상에 방화문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턱이 문틀의 전면에 거쳐 형성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이송물건의 통과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틀 전면에 걸쳐 돌출된 종래의 걸림턱을 제거하고, 그 걸림수단(스톱블록(12))을 문틀의 상부와 하부에만 위치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걸림수단을 작업자의 의지에 의해 문틀 내부로 출몰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20)이 설치된 문틀의 반대측 일측방 문틀(10) 내부는 비어있는 중공(中空)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방 문틀(10)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스톱블록(12)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통로(10b)가 형성되고, 그 문틀(10)의 양 측방에는 후술되는 조작판(14) 및 보조 조작판(15)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홈(10a)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스톱블록(12)은 일정구간 수평방향으로 출몰이동이 자유롭도록 안내통로(10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편, 일측방 문틀(10)에 내입된 상태의 반대측은 소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2a)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면에 상기 스톱블록(12)의 가이드레일(12a)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경사면(13a)을 갖는 슬라이더(13)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13)의 후측면에는, 일측방 문틀(10)의 일측 내측면과 타측 내측면에 간섭되어 그 슬라이더(13)의 이동구간을 결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14a)(14b)가 형성되고 일측방 문틀(10)의 양 돌출홈(10a)을 통해 출몰이동이 자유로운 조작판(14)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14)은 문틀 상부측은 수조작으로 문틀 하부측은 발조작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작판(14)의 양측부에 보조 조작판(15)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덧 구성할 수 있는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상기 조작판(14)과 보조 조작판(15)의 내부에 각각의 포켓홈(14c)(15a)을 형성하고, 각 포켓홈(14c)(15a)으로 가로질러 개재되는 아령 형상의 연결구(16)에 의해 상기 조작판(14)과 보조 조작판(15)이 연결 결합되되, 상기 조작판(14)의 포켓홈(14c)에는 상기 연결구(16)가 90°범위내에서 조작판(14)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개홈(14d)이 형성되고, 보조 조작판(15)의 포켓홈(15a)에는 위치이동하는 연결구(16)를 항상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된 복원스프링(15b)이 구비되어, 돌출홈(10b)으로부터 돌출상태인 보조 조작판(15)을 벽체(30)쪽으로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돌출상태의 조작판(14)이 그 문을 통과하는 사람이나 물건의 동선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미설명부호 15c는 복귀스프링(15b)에 인가된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스테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14)의 왼쪽단(보조 조작판(15)이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조 조작판(15)의 왼쪽단)이 일측방 문틀(10)의 왼쪽 돌출홈(10a)으로 돌출된 상태에는 스톱블록(12)이 안내통로(10b)로부터 돌출되어 방화문(20)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기 위한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톱블록(12)을 일측방 문틀(10) 내부로 인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14)의 왼쪽단(보조 조작판(15)이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조 조작판(15)의 왼쪽단)을 그 반대방향(오른쪽)으로 밀게 되면 조작판(14)의 오른쪽단(보조 조작판(15)이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조 조작판(15)의 오른쪽단)이 스토퍼(14b)의 간섭이 작용되는 지점의 거리만큼 반대방향의 돌출홈(10a)으로 튀어나옴과 동시에 이와 연동하여 직선이동하는 슬라이더(13)는 일정 경사각도상에서 슬라이딩 결합된 스톱블록(12)을 끌어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조작판(14)의 직선이동이 슬라이더(13)와 스톱블록(12)간 경사각도상에서 결합된 슬라이딩 결합관계에 의해 조작판(14)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움직임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스톱블록(12)은 안내통로(10b)에 가이드되어 일측방 문틀(10) 내부로 인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위치상태에서 다시 스톱블록(12)을 스토퍼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 동은 상기의 역순 또는 반대로 실현되기 때문에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한편, 보조 조작판(15)이 결합된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3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상당하여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를 통과하는 사람이나 이송물건의 동선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b와 같이 벽체쪽으로 절첩할 수 있는 작용을 갖는다.
즉, 도 6a에서 조작판(14)의 포켓홈(14c)과 보조 조작판(15)의 포켓홈(15a) 및 각 포켓홈(14c)(15a)에 개재된 아령 형상의 연결구(16)가 일직선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보조 조작판(15)을 절첩하게 되면 도 6b에서와 같이 연결구(16)의 목부분(좁은 부분)이 절개홈(14d)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조 조작판(15)은 조작판(14)과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는데(가상선 부분), 이 때 벌어진 만큼의 차이는 상기 보조 조작판(15)의 포켓홈(15a)에 위치된 연결구(16)의 슬라이딩이동과 복귀스프링(15b)의 압축작용으로 발현되고, 완전히 절첩상태의 위치에 이르게 될 때 복귀스프링(15b)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환원된다.
도 1a는 종래 방화문의 문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 - A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 요부를 확대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C - 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서 보조 조작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일측방 문틀, 10a: 돌출홈,
10b: 안내통로, 12: 스톱블록,
12a: 가이드레일, 13: 슬라이더,
13a: 슬라이딩 경사면, 14: 조작판,
14a, 14b: 스토퍼, 14c: 포켓홈,
14d: 절개홈, 15: 보조 조작판,
15a: 포켓홈, 15b: 복원스프링,
15c: 스프링 스테이, 16: 연결구,
20: 방화문, 30: 벽체,

Claims (2)

  1. 건축물 방화문의 문틀구조에 있어서,
    설치된 방화문(20) 반대측 문틀의 내부를 중공(中空)상태로 형성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안내통로(10b)가 형성되며, 그 양측에 돌출홈(10a)이 형성된 일측방 문틀(10)과;
    일정구간 수평방향으로 출몰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안내통로(10b)에 끼워져 방화문(20)의 회전궤적을 한정하고, 끼워진 내입측은 소정 경사각의 가이드레일(12a)이 형성된 스톱블록(12)과;
    일측면에 상기 스톱블록(12)의 가이드레일(12a)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는 슬라이딩 경사면(13a)을 갖는 슬라이더(13)와;
    상기 슬라이더(13)의 타측면과 고정 결합되고, 그 슬라이더(13)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14a)(14b)가 형성되며, 일측방 문틀(10)의 돌출홈(10a)을 통해 출몰이동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수조작이나 발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조작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14)의 양측부에 보조 조작판(15)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덧 구성하는 한편, 마주하는 상기 조작판(14)과 보조 조작판(15)은 각각의 포켓홈(14c)(15a)에 개재되는 아령 형상의 연결구(16)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조작판(14)의 포켓홈(14c)에는 연결구(16)가 90°범위내에서 조작판(14)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절개홈(14d)이 형성되고, 보조 조작판(15)의 포켓홈(15a)에는 위치이동하는 연결구(16)를 항상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된 복원스프링(15b)이 구비되어, 돌출홈(10b)으로부터 돌출상태인 보조 조작판(15)을 벽체(30)쪽으로 회전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KR1020090045049A 2009-05-22 2009-05-22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KR10092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49A KR100927162B1 (ko) 2009-05-22 2009-05-22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49A KR100927162B1 (ko) 2009-05-22 2009-05-22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162B1 true KR100927162B1 (ko) 2009-11-24

Family

ID=4160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049A KR100927162B1 (ko) 2009-05-22 2009-05-22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3222A1 (en) * 2012-12-04 2014-06-05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Frame of backlight module,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device
CN109091205A (zh) * 2018-07-31 2018-12-2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毛囊移植笔
KR20190079125A (ko) 2017-12-27 2019-07-05 (주)청운종합건설 확장형 방화문 구조
KR102231763B1 (ko) * 2020-06-09 2021-03-23 박형준 문틀 실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50Y1 (ko) 2000-04-21 2000-09-15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KR20010019720A (ko) * 1999-08-30 2001-03-15 우상철 개폐형 문지방
KR20010086961A (ko) * 2000-03-06 2001-09-15 허상은 문의 문턱장치
JP2002061469A (ja) 2000-08-23 2002-02-28 Mitsuboshi Belting Ltd 旋回ドアのシ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20A (ko) * 1999-08-30 2001-03-15 우상철 개폐형 문지방
KR20010086961A (ko) * 2000-03-06 2001-09-15 허상은 문의 문턱장치
KR200196550Y1 (ko) 2000-04-21 2000-09-15 주식회사아도무종합건축사사무소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JP2002061469A (ja) 2000-08-23 2002-02-28 Mitsuboshi Belting Ltd 旋回ドアのシー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3222A1 (en) * 2012-12-04 2014-06-05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Frame of backlight module,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device
US9360194B2 (en) * 2012-12-04 2016-06-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rame of backlight module,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device
KR20190079125A (ko) 2017-12-27 2019-07-05 (주)청운종합건설 확장형 방화문 구조
CN109091205A (zh) * 2018-07-31 2018-12-2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毛囊移植笔
KR102231763B1 (ko) * 2020-06-09 2021-03-23 박형준 문틀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8741A (ja) 扉をガイドするためのガイドシステム
KR100927162B1 (ko) 방화문 문틀의 확개장치
US20120260460A1 (en) Running gear arrangement having a guide rail for a sliding door
JPWO2008108340A1 (ja) 引戸具
JP5827156B2 (ja) 建具
JP6418563B2 (ja) 引戸装置
JP6375090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KR102340129B1 (ko) 턴/틸트 창호시스템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JP3671036B2 (ja) 引戸構造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KR102523467B1 (ko) 연동 도어 레일 구조체
KR101642955B1 (ko) 비계용 접이식 해치
JP5993311B2 (ja) 建具
JP2575328B2 (ja) 折れ戸
JP7317164B2 (ja) 建具
JP2559744Y2 (ja) 引き戸付き間仕切り壁
KR200483362Y1 (ko) 가구용 미닫이 도어의 댐핑장치
JP2016194213A (ja) 引戸用ランナー
JP7162437B2 (ja) 建具
JP3433145B2 (ja) 窓枠のレール構造
JP2009235766A (ja) 連絡通路用手摺
KR20210058309A (ko) 링크 연결식 프로젝트 창문
JP6235954B2 (ja) 建築用防火シャッター装置
JP6048862B2 (ja) 引戸装置及び引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