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152A -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152A
KR20090034152A KR1020070099374A KR20070099374A KR20090034152A KR 20090034152 A KR20090034152 A KR 20090034152A KR 1020070099374 A KR1020070099374 A KR 1020070099374A KR 20070099374 A KR20070099374 A KR 20070099374A KR 20090034152 A KR20090034152 A KR 2009003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hair
close contact
fixed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146B1 (ko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9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0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unted on si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미서기 창호의 창틀 바닥면에 밀착되는 필링 피스와, 상기 고정창 및 이동창의 몰딩 마감부에 장치된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에 장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접촉하는 하부 레일사이에 장치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이동창의 하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수평 창짝이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 수직 창짝이 접촉하는 측면 수직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측면 수직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의 상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창의 상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상부 수평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수평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창짝의 잠금시 하강되거나 창짝을 오픈할때 상승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모헤어와 가스켓 그리고 필링 피스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밀, 필링 피스, 모헤어 가스켓

Description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Airtight apparatus for Lift and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미서기 창호의 창틀 바닥면에 밀착되는 필링 피스와, 상기 고정창 및 이동창의 몰딩 마감부에 장치된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에 장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접촉하는 하부 레일사이에 장치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이동창의 하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수평 창짝이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 수직 창짝이 접촉하는 측면 수직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측면 수직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의 상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창의 상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상부 수평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수평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라고 하는 것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 내부에 2짝 또는 4짝으로 창짝(20)이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을 밀어서 열게되면 2짝의 창짝(20)이 겹쳐져서 서게 되는 창호를 말한다.
이러한 창호를 열거나 닫는 방식으로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의 시스템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을 작동시키면 작동 플레이트(P)가 작동되어 러너(3)를 통해 창짝(도시되지 않음)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창짝은 다운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가 핸들(5)을 돌려 상기 러너(3)를 작동시키면 상기 창짝은 업 상태 즉 상승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구성으로서 창호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도 창호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특허발명 제721455호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의 미서기 창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의 하나는 고정되어 있는 고정창(SF1)과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이동창(SF2)으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도 1c에서는 이러한 고정창(SF1)과 이동창(SF2)의 측면 수직 창틀(23)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고정창(SF1)과 이동창(SF2)은 단면이 동일함이 일반적이며, 상기 창 주위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몰딩 마감부(24)를 장치하게 된다.
상기 몰딩 마감부(24)는 통상 동일 단면을 가지되 상호 끼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몰딩 마감부(24)는 상기 측면 수직 창틀(23)을 둘러싸되 상기 이동창(SF2) 및 고정창(SF1)에 각각 장치되어 서로 대향되는 대향면(24-2)과 상기 몰딩 마감부(24)가 상호 접촉하는 경우 즉 이동창(SF2)이 완전히 닫히는 경우 상호 쐐기형상으로 상호 끼움되는 경사면(24-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의 경우에 종래와 같이 창호의 특정 부분에만 장치되는 모헤어나 가스켓으로는 기밀을 유지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종래의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의 미서기 창호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업 앤 다운하며 운동하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창호의 특정 부분에만 모헤어나 가스켓을 장치해서는 상술한 업 앤 다운 운동시 이격되는 부분이 생겨 기밀성능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미서기 창호의 창틀 바닥면에 밀착되는 필링 피스와, 상기 고정창 및 이동창의 몰딩 마감부에 장치된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에 장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접촉하는 하부 레일사이에 장치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이동창의 하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수평 창짝이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 수직 창짝이 접촉하는 측면 수직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측면 수직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와, 상기 이동창의 상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창의 상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상부 수평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수평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창이 업 앤 다운 즉 승하강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창짝의 잠금시 하강되거나 창짝을 오픈할때 상승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모헤어와 가스켓 그리고 필링 피스에 의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필링 피스(3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필링 피스(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서기 창호의 창틀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박스 형상의 본체(35)와 상기 본체(35)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31)로 구성된다.(청구항 제1항)
이때 상기 요홈부(31)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창(SF1)의 몰딩 마감부(2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링 피스(30)상에 이동창(SF2)이 장치된다. 결국 상기 이동창(SF2)의 바닥에 상기 필링 피스(30)가 밀착됨으로서 기밀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도 2a에서는 상기 본체(35)는 상기 요홈부(31) 양측의 길이가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은 형상으로 되어있으나,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딩 마감부(24)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35)중 길이가 짧은 부분은 상기 몰딩 마감부(24) 내부에 삽입되는데, 그 삽입되는 길이에 의해 상기 길이가 짧은 부분의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필링 피스(30)는 요홈부(31)에 의해 상기 몰딩 마감부(23)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그 형상의 길고 짧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필링 피스(30)의 형상을 변경하여 보다 탄력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바, 앞서 살펴본 도 2a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링 피스(30) 본체(35)의 타측, 다시 말해서 상기 요홈부(31)가 형성되는 반대측면에 판체형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3)와, 상기 연장부(33)와 동일 방향이되, 상기 연장부(33)의 하측에서 돌출되는 삽입부(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제2항)
이때, 상기 연장부(33)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링 피스(30)의 외측면 표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상기 이동창(SF2)의 정숙한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삽입부(34) 역시 상기 필링 피스(30) 본체(35)의 타측에서 돌출되는데, 그 방향은 상기 연장부(33)와 동일 방향 즉 나란히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삽입부(34)가 상기 고정창(SF1) 바닥면의 단면에 끼움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도 2a에 도시된 형상의 필링 피스(30)를 뒤집어서 장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 도 2b 및 도 2c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창(SF1) 바닥면의 단면은 상기 삽입부(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면 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필링 피스(3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링 피스(30)상에서 상기 이동창(SF2)이 이동할때 상기 필링 피스(30)의 이탈을 방지하여 기밀성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2a에서는 상기 삽입부(34)내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부(34a)를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공간부(34a)에 의해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창(SF1) 바닥면의 단면에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필링 피스(30)에 연장부(33)와 삽입부(34)를 형성하였는데, 이때 상기 필링 피스(30) 본체(35)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본체(35)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한편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있는 공간부(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3항)
이는 상기 공간부(32)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창(SF2)과 밀착시 탄성을 부여하여 밀착되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기밀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필링 피스(30)에 의해 기밀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창짝이 승하강하는 경우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헤어와 가스켓을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헤어라고 하는 것은 솔(brush)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가스켓은 창틀과 창짝사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헤어와 가스켓을 몰딩 마감부, 이동창의 하부, 측면 부, 상부등에 각각 장치하게 된다.
우선 상기 몰딩 마감부에 장치되는 구성에 대해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는 앞서 살펴본 도 1a에서 D-D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3a는 고정창(SF1)과 이동창(SF2)이 떨어져 있는 경우 즉, 이동창(SF1)이 열려져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고정창(SF1)과 이동창(SF2)이 접촉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이동창(SF2)이 완전히 닫혀 있는 경우의 단면도인 것이다.
한편, 상기 몰딩 마감부(2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창(SF1) 또는 이동창(SF2)의 측면수직창짝(23)에 장치되며, 상기 이동창(SF2)이 완전히 닫히는 경우에 상기 각 몰딩 마감부(2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맞물리는 몰딩 마감부(24)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몰딩 마감부(24)에 모헤어를 장치하는 것이 기밀유지에 유리하다.(청구항4항)
한편, 상기 몰딩 마감부(24)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 상기 측면 수직 창짝(23)을 둘러싸되, 상호 대향되는 대향면(24-2)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4-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향면(24-2)에 모헤어(41,43)를 장치함은 물론, 상기 경사면(24-1)에도 모헤어(42,44)를 장치하는 것이 기밀유지에 유리하다.(청구항5항)
이상 상기 몰딩 마감부(24)에 모헤어를 장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상기 이동창(SF2)에 장치되는 스토퍼(S)에 밀착패드를 장치 하는 구성에 대해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stopper)(S)라고 하는 것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창이 닫힐때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 이동창의 최하부측에 장치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S)와 상기 스토퍼(S)가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12)의 하부 레일(12a)사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50)를 장치하면 기밀향상에 도움이 된다.(청구항6항)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창이 잠금시에는 다운되고 열리는 때에는 업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서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바, 이하 가스켓과 모헤어를 사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가스켓과 모헤어는 동일 구성이나 장치되는 부분이 상이한데, 이하 장치되는 부분에 따라 도면부호를 따로이 새겨 설명한다.
도 5에는 이동창(SF2)의 하부 수평 창짝(22)과 창틀(10) 중 하부수평 창틀(12)이 접촉하는 부위에 가스켓(61)을 장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앞서 살펴본 도 1a에서 C-C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켓(61)은 상기 이동창(SF2)의 하부 수평 창짝(22)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수평 창짝(22)이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12)에 밀착되도록 장치되며, 이에 의해 기밀을 향상시키게 된다.(청구항7항)
또한, 도 6은 도 1a에서 B-B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동창(SF2)의 측면 수직 창짝(23)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 수직 창짝(23)이 접촉하는 측면 수직 창 틀(13)에 밀착되는 가스켓(62)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 수직 창틀(13)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이동창(SF2)의 측면 수직 창짝(23)에 밀착되는 모헤어(71)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청구항8항)
또한, 도 7은 도 1a에서 A-A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창(SF2)의 상부 수평 창짝(21)에 장치되는 한편 창틀(10) 중 상부 수평 창틀(11)의 상부 레일(11a)에 밀착되는 가스켓(63)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상부 수평 창틀(11)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수평 창짝(21)에 밀착되는 모헤어(72)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a는 종래의 미서기 창호에 대한 개념도,
도 1b는 종래의 리프트 및 슬라이딩 장치의 개념도,
도 1c는 도 1a의 D-D 단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필링 피스에 대한 사시도,
도 2b 및 2c는 본 발명의 필링 피스가 장치되느 것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a의 D-D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모헤어가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는 종래의 스토퍼가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대용 사진.
도 4b는 본 발명의 밀착패드가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a의 C-C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켓이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a의 B-B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켓 및 모헤어가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1a의 A-A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켓과 모헤어가 장치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필링 피스 31 : 요홈부
32 : 공간부 33 : 연장부
34 : 삽입부 35 : 본체
41 : 고정창 모헤어 42 : 고정창 경사면 모헤어
43 : 이동창 모헤어 44 : 이동창 경사면 모헤어
50 : 밀착패드

Claims (9)

  1. 창호 개폐시 승하강되는 이동창과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창으로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의 기밀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 창호의 창틀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박스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요홈부로 구성되는 필링 피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미서기 창호의 고정창에 장치되는 몰딩 마감부에 상기 필링 피스의 요홈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필링 피스가 이동창 바닥에 밀착되어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피스 본체의 타측에 판체형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와 동일 방향이되,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서 돌출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창 바닥에 밀착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창 바닥의 단면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링 피스의 본체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한편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있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 및 이동창의 몰딩 마감부에 장치된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마감부 중 상호 대향되는 대향면 및 상호 끼움되는 경사면에 각각 모헤어가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에 장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가 접촉하는 하부 레일사이에 장치되는 밀착패드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의 하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하부 수평 창짝이 접촉하는 하부 수평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 수직 창짝이 접촉하는 측면 수직 창틀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측면 수직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이동창의 측면 수직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의 상부 수평 창짝에 장치되는 한편 창틀 중 상부 수평 창틀의 상부 레일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상부 수평 창틀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수평 창짝에 밀착되는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기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KR1020070099374A 2007-10-02 2007-10-02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KR10123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74A KR101238146B1 (ko) 2007-10-02 2007-10-02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374A KR101238146B1 (ko) 2007-10-02 2007-10-02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152A true KR20090034152A (ko) 2009-04-07
KR101238146B1 KR101238146B1 (ko) 2013-02-28

Family

ID=4076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374A KR101238146B1 (ko) 2007-10-02 2007-10-02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33B1 (ko) * 2008-05-15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기밀재
KR102618798B1 (ko) * 2022-11-16 2023-12-29 주식회사 영진산업 경사부를 가지는 창문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007Y1 (ko) * 1996-07-01 1999-06-15 염태섭 풍지판
JP4437751B2 (ja) 2005-02-10 2010-03-24 三協立山アルミ株式会社 風止め板
KR200400276Y1 (ko) 2005-08-23 2005-11-03 문수용 단열 및 방음이 뛰어난 틈새방지구조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200436432Y1 (ko) 2006-11-01 2007-08-16 이재효 미닫이문 손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33B1 (ko) * 2008-05-15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기밀재
KR102618798B1 (ko) * 2022-11-16 2023-12-29 주식회사 영진산업 경사부를 가지는 창문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146B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86B1 (ko) 다기능 안전 창호
KR20100001473A (ko) 비노출형 레일을 갖는 창호용 샤시
KR101238146B1 (ko) 리프트 및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장치
JP2012092563A (ja) 気密材及び建具
KR101858083B1 (ko) 창호용 기밀 유지 장치
KR200401750Y1 (ko) 창호용 필링피스
KR20190072202A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200434720Y1 (ko)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KR20140046513A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200246126Y1 (ko) 평평한 하부틀을 갖는 미닫이식 창호
JPH0860933A (ja) 引き違い窓用サッシ
KR102091186B1 (ko) 기밀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되는 창호문짝 스토퍼가 적용된 창세트
KR200196550Y1 (ko) 도어 개폐시 출몰되는 하단 차폐장치
KR200385189Y1 (ko) 주방용 창호의 샷시 및 주방용 가구와 장식장도어 샷시의 구조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279148Y1 (ko) 완충고무테와 겸용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부러시
KR101894436B1 (ko) 창틀 레일홈 은닉용 승강패널
KR100979571B1 (ko) 챔버형 창호용 엠씨
CN210948262U (zh) 一种高强度耐用三扇室内推拉门
KR200323602Y1 (ko) 일체형 이중창틀
KR200302194Y1 (ko) 도어 슬라이딩 장치
KR101464606B1 (ko) 창호의 승강식 기밀장치
JP2003193764A (ja) ドアボトムの閉鎖装置
KR200397747Y1 (ko) 교실 출입문의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