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53B1 -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53B1
KR101529853B1 KR1020150020117A KR20150020117A KR101529853B1 KR 101529853 B1 KR101529853 B1 KR 101529853B1 KR 1020150020117 A KR1020150020117 A KR 1020150020117A KR 20150020117 A KR20150020117 A KR 20150020117A KR 101529853 B1 KR101529853 B1 KR 10152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liding door
movable fram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102015002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는 문틀에 설치되어 밀어서 개폐시키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이 고정 프레임의 일측으로 수평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단이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주름 접힘 구조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구비되는 메쉬 스크린과; 복수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측 끝단이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쉬 스크린의 상·하측을 따라 일측 수직면으로 굽힘 배치되는 상·하 레일과; 상기 상·하 레일의 각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상·하 브라켓트와; 상기 상·하 브라켓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풀리와; 상기 상·하 풀리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 브라켓트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연동되게 상기 상·하 브라켓트에 각 일단이 교호 연결되는 규제 와이어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내측 상·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 레일과 문틀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접촉하는 상·하 가이드롤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는, 미닫이문의 일측에 설치하는 간소한 구조이므로 기존의 미닫이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저해하지 않으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충도어의 개폐 동작시 상·하 가동레일이 서로 일치되게 규제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정확하고 안정된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특히 상·하 가동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하 가동레일이 문틀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하 가이드부에 의해 간접 구름접촉됨에 따라 마찰에 따른 소음과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용 방충장치{Sliding Doors For Preventing Insect}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홈이나 레일상을 수평 이동하여 개폐하는 미닫이문에 제공되어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나 연동도어의 일측에 세로틀에 매립 설치되어 필요시에만 방충스크린이 전개 또는 접힘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아울러 전개 또는 접힘시의 연동 동작을 통하여 안정된 동작을 보장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동작의 신뢰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화물이 드나드는 출입문은 크게 여닫이문과 회전문 그리고 미닫이문으로 구분되고, 상기 여닫이문은 일측의 세로틀에 부착한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문을 밀거나 당겨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실내외 출입문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도어 클로저(Door Closer)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저절로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문은 문짝을 회전시켜 출입하는 문을 일컫는 것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십자형으로 장치한 4개의 문짝 중심을 출입구의 중앙에 설치한 수직축 위에 고정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출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문은 설치면적이 크고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대형 빌딩이나 호텔 등과 같이 비교적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한 곳에 설치된다.
끝으로, 미닫이문은 출입구가 있는 문틀의 상·하측으로 문이 열리는 방향을 따라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을 따라 문이 이동될 수 있도록 문의 상·하측에 롤러 등의 구름요소를 부착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문을 옆으로 밀어서 여닫게 되어 있다. 이러한 미닫이문은 비교적 구조가 간소하고 문의 개폐에 따른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사무실이나 일반 가정집 등의 실내용 창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실내 거주공간에는 여닫이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 활용도가 높은 미닫이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편의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하절기에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환기는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는 그 형태나 개폐 구조에 따라 크게 미닫이형과 롤스크린형으로 대별된다.
상기 미닫이형 방충장치는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레일홈을 형성하고, 이 레일홈을 따라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방충망이 일체로 결합된 방충망 프레임을 설치하는 구조로서, 출입문에 적용하는 경우 도어와 방충망 프레임을 각각 개폐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 롤스크린형의 경우에는 방충망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롤프레임을 미닫이문 앞 또는 뒤쪽에 설치한 것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또는 밀어내는 힘에 의해 방충망이 전개 또는 롤형태로 권회되는 구조로서 상기 미닫이형 방충장치와 마찬가지로 출입을 위해서는 도어와 롤프레임을 각각 개폐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미닫이문은 대부분 하나의 도어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에는 출입통로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2~5개의 도어를 연결하여 된 연동도어가 보급되고 있다.
연동도어는 대부분 아파트 현관 등에서 공간분리를 하기 위한 중문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복수의 도어가 각각의 독립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게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미닫이식으로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동도어는 복수의 도어와, 이들 도어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상·하부 레일을 제공하는 도어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연동도어의 경우 방충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어프레임에 방충망이 일체로 설치된 방충망 레일을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레일의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도어가 겹쳐졌을 때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동도어의 개폐와 별도로 방충망 프레임을 개폐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소비자의 만족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닫이용 방충장치는 무게가 가벼우므로 레일에 마찰 접촉된 상태로 좌·우 수평 이동됨에 따라 이동시 소음발생이 심할 뿐만 아니라 유격에 의한 흔들거림 그리고 전체적인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수평 이동이 어렵고 레일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5121,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2쪽 청구항 1, 도면 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힘 구조 메쉬 스크린 및 이 메쉬 스크린을 상·하측에서 지지하는 상·하 가동레일의 수평 이동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개폐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는, 문틀에 설치되어 밀어서 개폐시키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이 고정 프레임의 일측으로 수평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단이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주름 접힘 구조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구비되는 메쉬 스크린과; 복수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측 끝단이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쉬 스크린의 상·하측을 따라 일측 수직면으로 굽힘 배치되는 상·하 레일과; 상기 상·하 레일의 각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상·하 브라켓트와; 상기 상·하 브라켓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풀리와; 상기 상·하 풀리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 브라켓트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연동되게 상기 상·하 브라켓트에 각 일단이 교호 연결되는 규제 와이어와; 상기 가동 프레임의 내측 상·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 레일과 문틀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접촉하는 상·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하 가이드롤러부는 상·하 레일의 외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상·하 레일롤러와; 상기 상·하 레일롤러의 외측에 구비되어 마찰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문틀에 구름접촉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문틀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메쉬 스크린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메쉬망이며, 상기 가동 프레임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하 문틀롤러는 수평 이동시 상기 상 문틀롤러와 하 문틀롤러의 회전속도가 일치되게 ′X′자형으로 회전비 조절와이어가 권회 구성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는, 미닫이문이 설치되는 프레임의 세로 프레임 즉, 미닫이문의 일측 세로틀에 설치하는 간소한 구조이므로 기존의 미닫이문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닫이문에 대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저해하지 않으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충도어의 개폐 동작시 상·하 가동레일이 서로 일치되게 규제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정확하고 안정된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특히 상·하 가동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하 가동레일이 문틀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하 가이드부에 의해 간접 구름접촉됨에 따라 마찰에 따른 소음과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사용상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가 적용되는 미닫이문을 예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실시례에 따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가 적용된 미닫이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일측에 메쉬 스크린(s)이 전개된 미닫이문용 방충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는 방충장치를 구성하는 메쉬 스크린(s)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메쉬 스크린(s)이 반쯤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편의상 손잡이(11a)를 구성한 가동 프레임(11)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동도어 또는 미닫이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3)과, 이 고정 프레임(13)과 메쉬 스크린(s)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가동 프레임(11) 그리리고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안내하는 상·하 레일(21,23)과, 이들 상·하 레일(21,23)을 이동을 일치되게 규제하는 요소인 상·하 브라켓트(42,44) 및 상·하 풀리(41,43) 및 규제 와이어(45)와, 상기 상·하 레일(21,23)의 수평 이동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구름 요소인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로 이루어진 미닫이문용 방충장치(1)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수직하게 세워지는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 그리고 이들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단이 각각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에 연결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가동 프레임(11)의 좌·우 수평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메쉬 스크린(s)과,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측에 배치되되 각 일측 끝단이 고정 프레임(13)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11)의 이동시 타측 끝단이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 수평면에서 일측 수직측면으로 굽힘 연동되는 상·하 레일롤러(31a,33a)와, 상기 상·하 레일(21,23)이 서로 일치되게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규제하는 규제요소인 상·하브라켓트(42,44) 및 상·하 풀리(41,43) 및 규제 와이어(45)와, 상기 상·하 레일(21,23)의 이동시 문틀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름 요소인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로 이루어진 미닫이문용 방충장치(1)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1)는 미닫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연동도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미닫이 도어(d)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크게 미닫이 도어(d)의 일측이나 또는 문틀의 수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3)과, 상기 고정 프레임(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좌·우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동 프레임(11)과, 상기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주름접이로 구비되는 메쉬 스크린(s)과,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쉬 스크린(s)의 각 상·하단부 일부를 수용 지지하는 상·하 레일(21,23)과, 상기 상·하 레일(21,23)의 이동량을 일치되게 규제하는 규제요소인 상·하브라켓트(42,44) 및 상·하 풀리(41,43) 및 규제 와이어(45)와, 상기 상·하 레일(21,23)과 문틀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로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13)은 문틀(미부호)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일종의 기둥 요소로 목재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 가능하다.
가동 프레임(11)은 상기 고정 프레임(13)의 일측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둥 요소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측에 손잡이(11a)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3)은 문틀에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11)은 상기 고정 프레임(13)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미닫이 동작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 사이에는 메쉬 스크린(s)과, 상·하 레일(21,23)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된다.
메쉬 스크린(s)은 상기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단이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되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메쉬망이 사용된다.
이러한 메쉬 스크린(s)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 접힘 구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펼쳐지거나 일정한 폭으로 겹쳐지는 것에 의해 접힘된다. 미설명 부호 (l)은 수직 접힘선을 나타낸 것이다.
상·하 레일(21,23)은 복수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되는 띠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 레일(21)은 아래 방향으로 굽힘되게 구성되고, 하 레일(23)은 위 방향으로 굽힘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은 각각 일측 끝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13)의 상·하 일측에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의 타측단은 각각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배치되면서 일측 수직면 즉, 상기 가동 프레임(11)에 접하는 메쉬 스크린(s)의 수직면측으로 굽힘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단 일부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브라켓트(42,44)는 상기 상·하 레일(21,23)의 각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 레일(21,23)과 일체로 연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하브라켓트(42,44)는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폭방향으로 후술할 상·하 풀리(41,43)를 권회하는 규제 와이어(45)의 양단이 폭방향으로 좌·우에 각각 배선되도록 구성되되, 후술할 규제 와이어(45)는 도면을 기준으로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상·하 풀리(41,43) 중 어느 하나의 풀리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규제 와이어(45)의 다른 일단은 나머지 풀리의 우측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는 상기 상·하브라켓트(42,44) 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규제 와이어(45)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후술할 규제 와이어(45)가 상·하 풀리(41,43)를 순환하도록 배선되는 것에 의해 상기 규제 와이어(45)는 상기 상 브라켓트(42)와 하 브라켓트(44)의 폭 방향으로 두 가닥이 지나가는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상 브라켓트(4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규제 와이어(45)의 양단이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 브라켓트(42)를 지나가는 규제 와이어(45)의 두 가닥 중 좌측단은 상 브라켓트(42)에 용접이나 기타 기구적인 조립구조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우측단은 통과하도록 배선되며, 상기 하 브라켓트(44)를 지나가는 규제 와이어(45) 중 우측단은 연결 고정되고 좌측단은 통과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배선되어도 무방하다.
상·하 풀리(41,43)는 상기 상·하 브라켓트(42,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프레임(11)의 상·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요소로서, 후술할 규제 와이어(45)가 순환되는 형태로 권회될 수 있게 지지한다.
규제 와이어(45)는 상기 상·하 풀리(41,43)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 브라켓트(42,44)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연동되게 상기 상·하 브라켓트(42,44)에 각 일단이 교호 연결된다. 이러한 규제 와이어(45)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는 상기 가동 프레임(11)의 내측 상·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 레일(21,23)과 문틀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접촉을 통해 상기 상·하 레일(21,23)과 문틀과의 직접적인 마찰에 의한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하고 안정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요소로서, 크게 상·하 레일롤러(31a,33a)와, 상·하 문틀롤러(31b,33b)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하 레일롤러(31a,33a)는 상기 상·하 레일(21,23)의 외면에 각각 구름 접촉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요소이다. 이러한 상·하 레일롤러(31a,33a)는 마찰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 완충시킬 수 있도록 우레탄이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 등의 완충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 문틀롤러(31b,33b)는 상기 상·하 레일롤러(31a,33a)와 문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상·하 레일롤러(31a,33a)와 문틀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요소로서,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우레탄이나 실리콘 또는 고무재 등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하 문틀롤러(31b,33b)는 상기 고정 프레임(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미설명 부호 (31c,33c)는 상기 문틀롤러(31b,33b)와 레일롤러(31a,33a)를 상호 탄력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되게 탄성지지하는 탄성판을 나타낸 것이고, 미설명 부호 (31d,33d)는 상기 문틀롤러(31b,33b)를 가동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1a)를 구비한 가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3)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게 되면, 메쉬 스크린(s)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의 과정을 거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메쉬 스크린(s)이 전개됨과 동시에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 역시 연동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방향과 하방향측으로 배치 이동된다.
한편,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의 각 끝단에 구비되는 상·하브라켓트(42,44) 역시 연동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브라켓트(42,44)를 사이에 두고 각 외측으로 구비되는 상·하 풀리(41,43)를 순환하도록 권회된 규제 와이어(45)는 상기 상·하브라켓트(42,44)에 각각 교호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 회전을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 프레임(11)을 고정 프레임(13)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은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측에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굽힘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이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다라 상기 상 레일(21)과 하 레일(23)의 각 끝단에 구비되는 상·하브라켓트(42,44) 역시 연동하여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고, 이때 상기 상 브라켓트(42)를 사이에 두고 각 외측으로 구비되는 상·하 풀리(41,43)를 순환하도록 권회된 규제 와이어(45)는 상기 상·하브라켓트(42,44)에 각각 교호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순환 회전을 이룬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미닫이문용 방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실시례에 따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의 미닫이문용 방충장치(1)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상기 상·하 문틀롤러(31b,33b)는 수평 이동시 상기 상 문틀롤러(31b)와 문틀롤러(33b)의 회전속도가 일치되게 ′X′자형으로 회전비 조절와이어(35)가 권회되는 구성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11 : 가동 프레임
11a : 손잡이 13: 고정 프레임
21,23 : 상·하 가동레일 31,33 : 상·하 가이드레일
35 : 견인 와이어 41,43 : 상·하 레일규제부
d : 도어 l : 접힘선
s: 메쉬 스크린

Claims (4)

  1. 문틀에 설치되어 밀어서 개폐시키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3) 및 이 고정 프레임(13)의 일측으로 수평 이동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11)과;
    상기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의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단이 고정 프레임(13)과 가동 프레임(11)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주름 접힘 구조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구비되는 메쉬 스크린(s)과;
    복수의 링크가 힌지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13)에 일측 끝단이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메쉬 스크린(s)의 상·하측을 따라 일측 수직면으로 굽힘 배치되는 상·하 레일(21,23)과;
    상기 상·하 레일(21,23)의 각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상·하 브라켓트(42,44)와;
    상기 상·하 브라켓트(42,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프레임(11)의 상·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풀리(41,43)와;
    상기 상·하 풀리(41,43)를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 브라켓트(42,44)간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때 연동되게 상기 상·하 브라켓트(42,44)에 각 일단이 교호 연결되는 규제 와이어(45)와;
    상기 가동 프레임(11)의 내측 상·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하 레일(21,23)과 문틀 사이에 위치되어 구름 접촉하는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가이드롤러부(31,33)는
    상·하 레일(21,23)의 외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상·하 레일롤러(31a,33a)와;
    상기 상·하 레일롤러(31a,33a)의 외측에 구비되어 마찰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문틀에 구름접촉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문틀롤러(31b,33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스크린(s)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메쉬망이며, 상기 가동 프레임(11)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측에 손잡이(11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문틀롤러(31b,33b)는 수평 이동시 상기 상 문틀롤러(31b)와 문틀롤러(33b)의 회전속도가 일치되게 ′X′자형으로 회전비 조절와이어가 권회되는 구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1020150020117A 2015-02-10 2015-02-10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10152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17A KR101529853B1 (ko) 2015-02-10 2015-02-10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117A KR101529853B1 (ko) 2015-02-10 2015-02-10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853B1 true KR101529853B1 (ko) 2015-06-17

Family

ID=5351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117A KR101529853B1 (ko) 2015-02-10 2015-02-10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1056A (ja) * 2018-09-25 2020-04-0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US20240102277A1 (en) * 2020-01-31 2024-03-28 Sekisui House, Ltd. Outdoo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940A (ko) * 2003-05-21 2006-02-01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권취식 스크린 장치
KR20060034656A (ko) * 2006-01-10 2006-04-24 (주)이룸에이치앤드티 표면 인쇄장치
KR20100018157A (ko) * 2008-08-06 2010-02-17 정장훈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101376101B1 (ko) * 2013-06-13 2014-03-19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현장 맞춤형 방충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940A (ko) * 2003-05-21 2006-02-01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권취식 스크린 장치
KR20060034656A (ko) * 2006-01-10 2006-04-24 (주)이룸에이치앤드티 표면 인쇄장치
KR20100018157A (ko) * 2008-08-06 2010-02-17 정장훈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101376101B1 (ko) * 2013-06-13 2014-03-19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크린 현장 맞춤형 방충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1056A (ja) * 2018-09-25 2020-04-0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JP7055374B2 (ja) 2018-09-25 2022-04-18 セイキ販売株式会社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US20240102277A1 (en) * 2020-01-31 2024-03-28 Sekisui House, Ltd. Outdoo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538B2 (en) Lateral restraint for a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8087444B2 (en) Movable partitions with lateral restrai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NL2020963B1 (en) Bottom rail assembly for a covering with adjustable roller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US5050660A (en) Screen door for large door opening
US8191312B2 (en) Automatic revolving door having foldable rotary wings
KR101860274B1 (ko) 여닫이와 미닫이 기능을 갖는 폴딩 도어
WO2013064308A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102216704B1 (ko) 자바라식 출입문
KR101552857B1 (ko)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KR101529853B1 (ko)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20110106153A (ko)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US20190323275A1 (en) Folding barn style door and hardware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20120004113U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2558518B1 (ko)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KR20050111559A (ko) 아코디언식 방충망
CN105569501B (zh) 墙体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1939680B1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CA2772729C (en) Garage door/track/coupler system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