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940A - 권취식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식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940A
KR20060009940A KR1020057021832A KR20057021832A KR20060009940A KR 20060009940 A KR20060009940 A KR 20060009940A KR 1020057021832 A KR1020057021832 A KR 1020057021832A KR 20057021832 A KR20057021832 A KR 20057021832A KR 20060009940 A KR20060009940 A KR 20060009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guide
movable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208B1 (ko
Inventor
미쯔히코 치노
요지 카모사와
히로쯔구 토다
Original Assignee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키 한바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가, 스크린을 권취축에 감아서 개방했을 때에, 건물의 개구 프레임 상에 남지 않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건물의 개구 프레임(60) 상과 고정 프레임(2) 또는 가동 프레임(3)의 내부의 사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 가이드에 피걸어맞춤홈(12b)을 형성함과 아울러, 스크린(5)에 있어서의 스크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끝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부재(9)를 설치하여, 가동 프레임(3)의 조작에 의한 스크린의 감기, 풀기에 따라, 스크린 가이드가 출몰하고, 풀려진 스크린의 걸어맞춤부재가 스크린 가이드의 피걸어맞춤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권취식 스크린 장치{WINDING-UP SCREEN DEVICE}
본 발명은, 방진, 차광, 단열, 방충 등을 목적으로 하여,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장착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권취축에 감겨진 스크린을,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과, 그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프레임 사이에 지지하고, 그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을 권취축에 감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풀어내서 개폐 조작할 수 있게 한 권취식 스크린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양 끝 가장자리부와, 건물의 개구 프레임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스크린이 방충망인 경우에는, 상기 간극을 통해서 모기나 파리 등의 벌레가 실내에 침입하기 쉽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고 평01-061158호 공보에 있어서, 방충망의 끝 가장자리부에, 다수의 돌출자 열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테이프 반체(半體)를 설치하고,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홈이 형성된 레일을 설치하고, 그 레일의 홈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테이프 반체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함과 아울러, 상기 돌출자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 권취식 스크린 도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이러한 권취식 스크린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방충망의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레일을 고정할 필요성이 있고, 그 때문에, 방충망이 권취축으로 감겨서 개방된 상태에 있어도, 상기 개구 프레임 상에 홈이 형성된 레일이 남겨져서 외관을 손상시켜 버린다. 또한, 상기 권취식 스크린 도어 장치를, 상하방향으로 개폐 조작하는 세로 당김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일의 높이만큼, 개구폭이 좁아져 버리고, 또한, 그것을 가로방향으로 개폐 조작하는 가로 당김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높이만큼, 개구 높이가 좁아져 버리거나, 개구 프레임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하는 바닥에 상기 레일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어서, 그것이 상기 개구 프레임을 통해서 실내로 출입할 때의 장해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가, 스크린을 권취축에 감아서 개방했을 때에, 건물의 개구 프레임 상에 남지 않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는,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평행하게 또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권취축에 감겨져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사이에 신장(tensioned)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권취축에 감기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풀려져서 개폐되는 스크린과, 길이가 길고 또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그 내부로 만곡하여 출입하고,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상기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그 상기 스크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걸어맞춤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스크린측에 배치된 내측면에 피걸어맞춤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를,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있어서, 서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고정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스크린을 상기 권취축에 감아서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는, 그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가, 고정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건물의 개구 프레임 상에 남지 않으므로,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개구의 폭이나 높이를 좁히거나 하는 일이 없고, 상기 개구 프레임을 통해서 실내에 출입할 때의 장해로 되는 일도 없다.
여기서,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예컨대, 상기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에 고정한 테이프 형상체의 일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의 돌출자를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1쌍의 연결구멍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가, 이들 1쌍의 연결구멍에 가요성의 와이어 부재를 각각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1쌍의 볼록부와 그 볼록부를 수용하기 위한 1쌍의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가, 그들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각각 설치된 회전이동축과 그 베어링 구멍을 회전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때,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단면끼리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내측면측에 대한 볼록형상의 만곡이 억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가동 프레임의 내부에 출입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가동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을 유지하여 그 스크린을 감는 상기 권취축이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그 일단이 상기 가동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출입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고정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을 유지하여 그 스크린을 감는 상기 권취축이 가동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 프레임 상에 볼록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걸쳐진 오목홈을, 상기 내측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 프레임 상에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스크린 가이드의 슬라이드 동작이 보다 안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린이, 상기 가동 프레임의 가로이동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도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프레임이, 그 상단에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에 고정한 슬라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단, 상기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각각 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권취식 스크린 장치는, 긴 끈이 그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평행을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스크린을 방충망으로 형성해서 스크린 도어 장치로서 사용하는데에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B-B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있어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걸어맞춤부재가 장착된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b는 걸어맞춤부재가 스크린 가이드의 피걸어맞춤홈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가 상기 스크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에 있어서의 스크린 가이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있어서의 C-C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에 있어서의 D-D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5에 있어서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있어서의 E-E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있어서의 F-F단면도이다.
도 11a는 가이드 부재 및 스크린 가이드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1b는 가이드 부재 및 스크린 가이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는 가이드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스크린 가이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F : 권취식 스크린 장치 2,20 : 고정 프레임
3,30 : 가동 프레임 2a,20b : 고정 프레임의 내부
2b,30b : 슬릿형상 개구 3,30 : 가동 프레임
3b,30a : 가동 프레임의 내부 3a,20a : 개구
3c,20c : 걸림홈 3d,30c : 손잡이 홈
3e,30d : 슬라이드 부재 3f,30e : 전동자
4 : 권취축 5 : 스크린
6,6A~6C : 스크린 가이드 7,70,71: 슬라이드 프레임
7a : 슬라이드 레일 7b,71b : 가이드 벽
70a : 바닥면 71a : 레일 홈
8 : 걸림 프레임 8a : 걸림편
9 : 걸어맞춤부재 9a : 테이프 형상체
9b : 돌출자 10,10A~10C : 가이드 부재
11 : 측벽 11a : 측면
12 : 내측벽 12a : 내측면
12b : 피걸어맞춤홈 12c : 내면측 개구 가장자리
13 : 단면 13a : 볼록부
13b : 오목부 13c : 회전이동축
13d : 베어링 구멍 13e : 테이퍼부
14 : 연결구멍 15 : 결합벽
16,18 : 오목홈 17 : 가이드 레일
18a : 플랜지부 40,41,42,43: 와이어 기구
40a,40b,41a,41b,42a,42b,43a,43b : 긴 끈
50 : 와이어 부재 60 : 건물의 개구 프레임
60a,60b : 세로 프레임 60c,60d: 상하 프레임
t : 테이퍼형상 노치부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를 가로 당김식의 방충 스크린 도어로서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는, 가로 당김식에 한정되는 일없이 세로 당김식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용도에 대해서도, 방충에 한정되는 일없이, 차광, 가리개 또는 단열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우선, 도 1 및 도 2a∼도 2c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권취식 스크린 장치(1A)는, 건물에 있어서의 창틀이나 출입구 등, 1쌍의 세로프레임(60a,60b)과 상하 프레임(60c,60d)으로 이루어지는 개구 프레임(60)에 장착해서 가로 당김에 의해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개구 프레임(60)에 있어서의 한쪽의 세로프레임(60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2)과, 상기 1쌍의 세로프레임(60a,60b) 사이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2)에 대해서 평행하게 또한 왕복 조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가동 프레임(3)과, 상기 고정 프레임(2) 내의 권취축(4)에 감겨져서 상기 고정 프레임(2)과 가동 프레임(3) 사이에 신장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가동 프레임(3)의 왕복 조작과 함께 상기 권취축(4)에 감기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풀려져서 개폐되는 스크린(5)과,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왕복 조작과 함께 상기 가동 프레임(3) 내에 출입하여,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에 있어서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6)와,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상측 프레임(60c)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 (3)을 그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기 위한 슬라이드 프레임(7)과, 상기 개구 프레임(60)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세로프레임(60b)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을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걸기 위한 걸림 프레임(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가이드(6)는, 길이가 길고 또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일단이 고정 프레임(2)의 하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단이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자유단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프레임(3)의 개폐 조작에 따라, 그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3a)로부터 그 내부(3b)로 만곡하여 출입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도 1에서는 우측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스크린(5)이 풀려지면, 동시에 스크린 가이드(6)가 가동 프레임(3) 내로부터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에 스크린(5)에 있어서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그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프레임(8)은, 단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속에 걸림편(8a)을 구비하고 있고, 폐쇄 조작된 가동 프레임(3)을 상기 걸림편(8a)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거는 것에 의해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을 상기 개구 프레임(60)에 신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5)은 방충망으로 이루어지고,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걸어맞춤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가이드(6)에는, 그 상기 스크린(5)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면하는 내측면(12a)에, 피걸어맞춤홈(12b)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권취축 (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의 걸어맞춤부재(9)가, 가동 프레임(3)으로부터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6)의 피걸어맞춤홈(12b)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걸어맞춤부재(9)는, 피걸어맞춤홈(12b)에 대해서, 그 개구방향으로는 이탈이 불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방충망으로서의 스크린(5)을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에 의해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린(5)의 걸어맞춤부재(9)가 하측 프레임(60d) 상으로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6)의 피걸어맞춤홈(12b)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크린(5)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와 스크린 가이드(6) 사이, 및 그 스크린 가이드(6)와 하측 프레임(60d) 사이의 어디에도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곳으로부터 실내로 모기나 파리 등의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5)을 가동 프레임(3)의 개방조작(도 1에서는 좌측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권취축(4)에 감긴 상태에 있어서는, 스크린 가이드(6)가 가동 프레임(3) 내에 수용되어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에 남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 가이드(6)에 의해, 외관이 손상되거나, 개구 높이가 좁혀지거나 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 가이드(6)가, 개구 프레임(60)을 통해서 실내로 출입할 때의 장해가 되는 일도 없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 프레임(2)은 중공이며, 그 내부(2a)에는, 상기 스크린(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을 유지하여 상기 스크린(5)을 감는 상기 권취축(4)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 (2)에 있어서의 가동 프레임(3)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크린(5)이 출입하기 위한 슬릿형상 개구(2b)가 세로방향[고정 프레임(2)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면의 하단부에, 상기 스크린 가이드(6)의 일단이, 그 바닥면을 상기 고정 프레임(2)의 하단면과 대략 면일하게 해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축(4)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스프링에 의한 자동 권취기구가 내장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린(5)을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에 의해 풀었을 때에 상기 코일스프링에 되돌림의 회전 가압력이 축적되게 되어 있고, 그 회전 가압력이 축적된 코일스프링을 구동원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5)을 상기 권취축(4)에 감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 프레임(3)도 마찬가지로 중공이며, 그 상기 고정 프레임(2)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크린(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홈(3c)이 세로방향[가동 프레임(3)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개폐 조작에 제공하는 손잡이 홈(3d)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2)과 대향하는 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6)를 상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3a)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프레임(3)의 개방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고정 프레임(2) 내의 권취축(4)에 감았을 때에는, 일단이 고정 프레임(2)에 고정된 상기 스크린 가이드(6)가, 상기 개구(3a)를 통해서, 그 자유단인 타단측으로부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수용되고, 반대로,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풀었을 때에는,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수용된 스크린 가이드(6)가, 그 개구(3a)로부터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에, 스크린(5)의 하측의 끝 가장 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그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3)의 상단에는, 롤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3e)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부재(3e)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7)의 하면측으로 개구하는 슬라이드 레일(7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춤으로써, 가동 프레임(3)이 슬라이드 프레임(7)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7)은, 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1쌍의 가이드 벽(7b)에 의해,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의 양측면이 가이드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재(9)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형상체(9a)와, 상기 테이프 형상체(9a)의 일단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된 복수의 돌출자(9b)에 의해 파스너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테이프 형상체(9a)를 스크린(5)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용착이나 봉합 등의 수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크린(5)의 끝 가장자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 가이드(6)는, 도 4a,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10)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 가이드 부재를 가요성을 갖는 와이어 부재(50)를 이용하여 일렬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0)는, 1쌍의 측면(11a,11a)과, 이들 1쌍의 측면(11a,11a)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스크린(5)측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면(12a)을 갖고 있어서, 상기 내측면(12a)의 대략 중앙에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0)의 내측면(12a)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는, 연결구멍(14,14)이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을 따라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10)는, 그들의 연결구멍(14,14)에 각각 와이어 부재(50,50)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서로 그 내측면(12a)측 즉 스크린(5)측으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6)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크린 가이드(6) 전체가, 상기 내측면(12a)측, 즉 가이드하는 스크린(5)측에 대해서 오목형상으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부재(10)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한 것이며, 상기 1쌍의 측면(11a,11a)을 형성하는 1쌍의 측벽(11,11)과, 이들 측벽(11,11)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면(12a)을 형성하는 내측벽(12)과, 상기 1쌍의 측벽(11,11) 사이에 가설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벽(15)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중공이며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0)를 구성하는 1쌍의 측벽(11,11), 내측벽(12) 및 결합벽(15)은, 모두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멍(14)은, 상기 1쌍의 측벽(11,11)과 내측벽(12)이 교차하는 양쪽 각이 진 코너부를 따라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멍(14,14)에 삽입통과되어 가이드 부재(10)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 부재(50,50)의 단부에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빠짐방지처리가 각각 실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은, 내측벽(12)의 대략 중앙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고,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5)의 끝 가장자리부에 장착된 상기 걸어맞춤부재(9)의 테이프 형상체(9a)를,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재(9)의 돌출자(9b)의 베이스부를, 피걸어맞춤홈(12b)의 홈 폭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여,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에 있어서의 내측벽(12)의 내면측 개구 가장자리(12c)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스크린(5)의 끝 가장자리부가 스크린 가이드(6)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가이드 부재(10)는,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스크린 가이드(6)가 개구 프레임(60) 상에 직선적으로 도출된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10)의 축방향 단면(13)끼리를 서로 접촉시켜서 간극 없이 배치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스크린(5)측[내측면(12a)측]에 대한 스크린 가이드(6)의 볼록형상의 만곡, 즉 개구 프레임(60)으로부터의 스크린 가이드(6)의 부상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면(12a)을 기준으로 하는 연결구멍(14)의 위치 등에 따라, 상기 와이어 부재(50)의 길이를, 연결한 다수의 가이드 부재(10)의 실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거나, 또는, 가이드 부재(10)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면(12a)과 단면(13)이 교차하는 코너부에,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테이퍼형상 노치부(t)를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스크린 가이드(6)를,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출입시킬 때에, 원활하게 스크린(5)측[내측면(12a)측]에 대해서 오목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a∼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1A)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B)의 상기 스크린 장치(1A)와의 주된 차이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6)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개폐 조작과 함께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20a)로부터 그 내부(20b)에 출입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스크린(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을 유지하여 상기 스크린(5)을 감는 상기 권취축(4)이 가동 프레임(30) 내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린(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이 고정 프레임(20)에 유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동 프레임(30)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내부(30a)에 상기 권취축(4)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에 있어서의 고정 프레임(20)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크린(5)을 출입시키기 위한 슬릿형상 개구(30b)가 세로방향[가동 프레임(3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면의 하단부에, 상기 스크린 가이드(6)의 일단이, 그 바닥면을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면과 대략 면일하게 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양측면에는 개폐 조작에 제공하는 손잡이 홈(30c)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30)의 상단에는, 롤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부재(30d)가 설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부재(30d)를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7)의 하면측으로 개구하는 슬라이드 레일(7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가동 프 레임(30)이 슬라이드 프레임(7)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20)도 동일하게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상기 가동 프레임(30)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크린(5)의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홈(20c)이 세로방향[고정 프레임(2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 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6)를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30)의 개방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가동 프레임(30) 내의 권취축(4)에 감았을 때에는,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에 고정된 상기 스크린 가이드(6)가, 상기 개구(20a)를 통해서, 그 타단측부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수용되고, 반대로, 가동 프레임(30)의 폐쇄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풀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수용된 스크린 가이드(6)가, 그 개구(20a)로부터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에, 스크린(5)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상기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1A)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C)의 상기 스크린 장치(1A)와의 주된 차이는, 긴 끈(40a,40b)이 그 장력에 의해 고정 프레임(2)과 가동 프레임(3)의 평행상 태를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긴 끈(40a)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고정되어서, 그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그리고, 그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C)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상기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서 리턴되어, 스크린 장치(1C)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2)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고정 프레임(2)의 내부(2a)의 그 하단부에 도입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2)의 하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C)의 하단부를 따라 다시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타단이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2 긴 끈(40b)은, 그 일단이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가동 프레임(3)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에 도입되고, 그리고, 그 가동 프레임(2)의 하단부에서 리턴되어, 그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의 그 상단부에 도입되고, 계속해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C)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타단이 고정 프레임(2)의 내부(2a)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1B)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D)의 상기 스크린 장치(1B)와의 주된 차이는, 긴 끈(41a,41b)이 그 장력에 의해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4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긴 끈(41a)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의 내부(30a)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D)의 상단부를 따라 상기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그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서 리턴되어, 스크린 장치(1D)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의 그 하단부에 도입되고, 그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D)의 하단부를 따라 다시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또한,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타단이 가동 프레임(30)의 내부(30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2 긴 끈(41b)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의 내부(30a)에 고정되어서, 그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D)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그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의 그 하단부에 도입되고, 또한, 그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서 리턴되어, 그 타단이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고정 프레임(20)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다.
도 9a,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1A)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E)의 상기 스크린 장치(1A)와의 주된 차이는,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가동 프레임(3)의 개폐 조작에 따라, 상기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3a,3a)로부터 그 내부(3b)로 각각 만곡하여 출입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에 따라, 이들 스크린 가이드(6,6)가 각각, 고정 프레임(2) 내의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의 상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도출되어, 상기 양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한 점, 및, 긴 끈(42a)이 그 장력에 의해 고정 프레임(2)과 가동 프레임(3)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42)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2a)에 상기 권취축(4)이 지지된 고정 프레임(2)에는, 그 상기 가동 프레임(3)과 대향하는 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의 일단이, 그것들의 바닥면을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2)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대략 면일하게 해서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 프레임(3)에는, 그 상기 고정 프레임(2)과 대향하는 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를 각각 상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출입시키기 위한 1쌍의 개구(3a,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3)의 개방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고정 프레임(2) 내의 권취축(4)에 감았을 때에는, 일단이 고정 프레임(2)에 고정된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각각 상기 개구(3a,3a)를 통해서, 그들의 타단측부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수용되고, 반대로, 가동 프레임(3)의 폐쇄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풀었을 때는,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수용된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상기 개구(3a,3a)로부터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상측 프레임(60c) 및 하측 프레임(60d) 상에, 스크린(5)의 상하 각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이들 양 끝 가장자리부를 각각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3)의 상하단에는, 1쌍의 전동자(3f,3f)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상측 프레임(60c)에는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의 슬라이드 프레임(70)이 하향으로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3)의 상단에 있어서는, 전동자(3f)가 슬라이드 프레임(70)의 바닥면(70a) 상을 전동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양측면이 슬라이드 프레임(70)의 대향하는 1쌍의 가이드 벽(7b)에 의해 가이드되고, 한편, 가동 프레임(3)의 하단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자(3f)가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을 전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긴 끈(42a)은, 그 일단이 상측의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가동 프레임(3)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상측의 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위치에서 상방으로 리턴되어, 그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E)의 상단부를 따라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그 걸림 프레임(8)의 상단부에서 리턴되어, 다시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3)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전향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내부(3b)의 하단부에 도입되고, 계속해서, 상기 가동 프레임(3)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리턴되어, 그 타단이 하측의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가동 프레임(3)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하측의 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식 스크린 장치(1B)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6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F)의 상기 스크린 장치(1B)와의 주된 차이는,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가동 프레임(30)의 개폐 조작에 따라,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20a,20a)로부터 그 내부(20b)로 각각 만곡하여 출입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동 프레임(30)의 폐쇄 조작에 따라, 이들 스 크린 가이드(6,6)가 각각, 가동 프레임(30) 내의 권취축(4)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5)의 상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도출되어, 그 양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도록 구성한 점, 및, 긴 끈(43a,43b)이 그 장력에 의해 고정 프레임(20)과 가동 프레임(30)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43)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30a)에 상기 권취축(4)이 지지된 가동 프레임(30)에는, 그 상기 고정 프레임(20)과 대향하는 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의 일단이, 그들의 바닥면을 각각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대략 면일하게 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20)에는, 그 상기 가동 프레임(30)과 대향하는 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를 각각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출입시키기 위한 1쌍의 개구(20a,2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30)의 개방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가동 프레임(30) 내의 권취축(4)에 감았을 때에는,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에 고정된 상기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각각 상기 개구(20a,20a)를 통해서, 그들의 타단측부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수용되고, 반대로, 가동 프레임(30)의 폐쇄 조작에 의해 스크린(5)을 상기 권취축(4)으로부터 풀었을 때에는,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에 수용된 1쌍의 스크린 가이드(6,6)가, 상기 개구(20a,20a)로부터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상측 프레임(60c) 및 하측 프레임(60d) 상에, 스크린(5)의 상하 각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이들 양 끝 가장자리부를 각각 가이드 하게 되고 있다.
또한, 가동 프레임(30)의 상하단에는, 1쌍의 전동자(30e,30e)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상측 프레임(60c)에는, 내측에 레일 홈(71a)을 구비한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의 슬라이드 프레임(71)이, 하향으로 개구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30)의 상단에 있어서는, 전동자(30e)가 슬라이드 프레임(71)의 레일 홈(71a)을 따라 전동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양측면이 슬라이드 프레임(71)의 대향하는 1쌍의 가이드 벽(71b)에 의해 가이드되고, 한편, 가동 프레임(30)의 하단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자(30e)가 상기 개구 프레임(60)의 하측 프레임(60d) 상을 전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긴 끈(43a)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의 내부(30a)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그 가동 프레임(30)의 상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F)의 상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그리고, 그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전향되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의 하단부에 도입되고,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서 리턴되어, 그 타단이 하측의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고정 프레임(20)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하측의 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긴 끈(43b)은, 그 일단이 가동 프레임(30)의 내부(30a)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부에 도입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30)의 하단부에서 전향되어서, 스크린 장치(1F)의 하단부를 따라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 걸쳐져 가설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전향되어서, 그 고정 프레임(20)의 내부(20b)의 상단부에 도입되고, 계속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상단부에서 리턴되어, 그 타단이 상측의 스크린 가이드(6)에 있어서의 고정 프레임(20) 내에서 가장 끝에 연결된 가이드 부재(10)[상측의 스크린 가이드(6)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a, 도 11b는, 상기 스크린 가이드(6) 및 상기 가이드 부재(10)의 각종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여기서는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스크린 가이드(6) 및 가이드 부재(10)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에 나타내는 스크린 가이드(6A)의 가이드 부재(10A)에 있어서는, 1쌍의 측벽(11,11)이 그 중간부에서 결합벽(15)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어서, 측벽(11,11)의 내면과 결합벽(15)의 바닥면에 의해, 상기 내측면(12a)과는 반대측의 면, 즉 스크린(5)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면에 오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오목홈(16)이 개구 프레임(60) 상에 볼록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17)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걸침으로써, 상기 개구 프레임(60) 상에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6B)가 가이드 레일(17)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11b에 나타내는 스크린 가이드(6B)의 가이드 부재(10B)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10A)와 마찬가지로 하여 오목홈(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오목홈(18)의 각 개구 가장자리에 각각 플랜지부(18a)가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18)이, 개구 프레임(60)에 볼록하게 설치된 대략 T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19)에 상기 플랜지부(18a)를 걸어맞춰, 상기 가이드 레일(19)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걸쳐짐으로써, 상기 개구 프레임(60) 상에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6B)가 가이드 레일(19)에 의해 가이드되게 되어 있다. 단, 이 도 11b에 나타내는 스크린 가이드(6B) 및 가이드 부재(10B)는, 상기 제2실시예, 제4실시예, 제6실시예와 같은,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대해서 스크린 가이드가 출입하는 타입의 권취식 스크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2a, 도 12b는, 스크린 가이드 및 가이드 부재의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스크린 가이드(6) 및 가이드 부재(10)와는 다른 구성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의 공통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가이드 부재(10C)는, 그 내측면(12a)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12b)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그 축방향 양단면(13,13) 중 한쪽의 단면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된 1쌍의 볼록부(13a)와, 적어도 다른쪽의 단면(13) 및 내측면(12a)에 걸쳐져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10C)의 볼록부(13a)를 수용하는 1쌍의 오목부(13b)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이들 볼록부(13a) 및 오목부(13b)에는, 서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회전이동축(13c) 및 그 베어링 구멍(13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10C,10C)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13a)와 오목부(13b)를, 상기 회전이동축 (13c)과 베어링 구멍(13d)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가이드 부재(10C)가 연결되어 스크린 가이드(6C)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 부재(10C)에 있어서, 한쪽의 단면(13)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1쌍의 볼록부(13a,13a)는, 그 외주면이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 부재(10C)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기 베어링 구멍(13d)을 각각 갖고 있다. 한편, 상기 1쌍의 오목부(13b,13b)는, 측면(11a)과 내측면(12a)과 다른쪽의 단면(13)에 걸쳐져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 부재(10C)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돌출된 상기 회전이동축(13c)을 각각 갖고 있고, 상기 오목부(13b)의 내주면도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린 가이드(6C)에 있어서도, 서로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10C) 사이에 있어서의, 볼록부(13a)의 외주면과 오목부(13b)의 내주면의 접촉에 의한 회전이동 범위의 제한, 및, 상술한 단면(13)끼리의 접촉에 의해, 스크린 가이드(6C)의 상기 스크린(5)측[내측면(12a)측]에 대한 볼록형상의 만곡, 즉 개구 프레임(60)으로부터의 스크린 가이드(6C)의 부상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내측벽(12)에 있어서의 축선방향의 양단에는, 테이퍼부(13e,13e)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10C) 상호의 내측면(12a)측에 대한 매끄러운 굴절, 즉, 스크린 가이드(6C)의 내측면(12a)측에 대한 매끄러운 오목형상의 만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Claims (13)

  1. 건물의 개구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과, 그 고정 프레임에 대해서 평행하게 또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프레임과, 권취축에 감겨져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가동 프레임 사이에 신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권취축에 감기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풀려져서 개폐되는 스크린과, 길이가 길고 또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그 내부로 만곡하여 출입하고,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직선적으로 도출되어 그 끝 가장자리부를 가이드하는 스크린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그 상기 스크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걸어맞춤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상기 스크린측에 배치된 내측면에 피걸어맞춤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를,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있어서, 서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상기 걸어맞춤부재가, 고정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끝 가장자리부에 고정된 테이프 형상체의 일단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돌출자를 고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1쌍의 연결구멍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는, 이들 1쌍의 연결구멍에 가요성의 와이어 부재를 각각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내측면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걸어맞춤홈을 사이에 둔 양측부에, 1쌍의 볼록부와 그 볼록부를 수용하기 위한 1쌍의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끼리는, 그들의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각각 설치된 회전이동축과 그 베어링 구멍을 회전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인접하는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단면끼리의 접촉에 의해, 상기 내측면측에 대한 볼록형상의 만곡이 억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그 가동 프레임의 내부에 출입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가동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의 타단을 유지하여 그 스크린을 감는 상기 권취축이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그 일단이 상기 가동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그 가동 프레임의 왕복이동과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출입하고,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고정 프레임에 유지되어 있고, 그 스크린의 타단을 유지하여 그 스크린을 감는 상기 권취축이 가동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 프레임 상에 볼록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치는 오목홈을, 상기 내측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 프레임 상에 도출된 스크린 가이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가로이동에 의해 개폐되 고,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하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그 상단에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그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에 고정된 슬라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는, 상기 권취축으로부터 풀려진 스크린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따라 각각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긴 끈이 그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평행을 유지하도록 가설되어 이루어지는 와이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방충망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식 스크린 장치.
KR1020057021832A 2003-05-21 2004-05-10 권취식 스크린 장치 KR100715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3862 2003-05-21
JP2003143862A JP4109573B2 (ja) 2003-05-21 2003-05-21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40A true KR20060009940A (ko) 2006-02-01
KR100715208B1 KR100715208B1 (ko) 2007-05-08

Family

ID=3347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832A KR100715208B1 (ko) 2003-05-21 2004-05-10 권취식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95850B2 (ko)
EP (1) EP1640554B1 (ko)
JP (1) JP4109573B2 (ko)
KR (1) KR100715208B1 (ko)
CN (1) CN100570121C (ko)
AU (1) AU2004242017B2 (ko)
CA (1) CA2524941C (ko)
ES (1) ES2586660T3 (ko)
TW (1) TWI254766B (ko)
WO (1) WO20041043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853B1 (ko) * 2015-02-10 2015-06-17 이광재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1230A1 (ja) 2003-06-30 2005-01-06 Seiki Hanbai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ES2445161T3 (es) 2003-10-21 2014-02-28 Seiki Hanbai Co., Ltd. Puerta corredera de pantalla
WO2005121487A1 (ja) * 2004-06-14 2005-12-22 Seiki Juko Co., Ltd. 横引きロール網戸
CA2581744C (en) 2004-10-07 2011-09-13 Seiki Sogyo Co., Ltd. Sliding screen door
US7717152B2 (en) 2004-10-07 2010-05-18 Seiki Sogyo Co., Ltd. Net guide for wire screen and wire scr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732906B2 (ja) * 2006-01-24 2011-07-27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ITRE20060025A1 (it) * 2006-02-24 2007-08-25 I R S S P A Guida flessibile per rete di zanzariera
JP2007291689A (ja) * 2006-04-24 2007-11-08 Seiki Hanbai Co Ltd 通気・防水性を有する扉
TW200743722A (en) * 2006-05-16 2007-12-01 Onwell Curtain & Screen Co Ltd Modular window blind assembly allowing easy replacement of blinds
JP4794373B2 (ja) * 2006-06-23 2011-10-19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ITTO20060670A1 (it) * 2006-09-21 2008-03-22 Effe S R L Dispositivo di schermo avvolgibile.
JP4954676B2 (ja) * 2006-11-10 2012-06-20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4956236B2 (ja) * 2007-03-09 2012-06-20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US7810543B2 (en) 2007-12-11 2010-10-12 Effe S.R.L. Roller screen device
ITTV20080020A1 (it) * 2008-02-01 2009-08-02 Bettio Service Spa Zanzariera con catena guidarete a scomparsa per rete a scorrimento orizzontale.
ITTV20080021A1 (it) 2008-02-01 2009-08-02 Bettio Service Spa Zanzariera con dispositivo di trascinamento della catena guida rete per rete a scorrimento orizzontale.
JP5602995B2 (ja) * 2008-08-06 2014-10-08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5159503B2 (ja) * 2008-08-06 2013-03-06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KR101005256B1 (ko) * 2008-08-06 2011-01-04 정장훈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JP5284239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JP5284238B2 (ja) * 2009-10-07 2013-09-11 株式会社メタコ スクリーン装置
IT1399028B1 (it) 2009-10-09 2013-04-05 Bettio Group Sas Di Bettio Denis &C Sistema di guida a cavi tesi per muovere la rete di protezione unita alla barra maniglia del tipo a scorrimento orizzontale, in una zanzariera del tipo con dispositivo di trascinamento della catena guida rete.
TWI499713B (zh) * 2009-11-06 2015-09-11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薄片活動遮門的薄片導引
FR2960162B1 (fr) 2010-05-19 2012-08-17 Millipore Corp Dispositif de filtration a jeu d'au moins une cassette filtrante
FR2960160B1 (fr) 2010-05-19 2012-08-17 Millipore Corp Bloc de liaison fluidique pour dispositif de filtration a jeu d'au moins une cassette filtrante
GR1007359B (el) * 2010-07-12 2011-07-27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Συστημα συγκρατησης αντικουνουπικου πανιου εντος αρθρωτου οδηγου
GR1007622B (el) 2010-09-30 2012-06-28 Αργυριος Διονυσιου Παπαδοπουλος Συστημα αντικουνουπικης σιτας
ITPD20110098A1 (it) * 2011-03-30 2012-10-01 Dennis Buggio Elementi strutturali di zanzariere avvolgibili
ITBO20110614A1 (it) * 2011-11-02 2013-05-03 Mv Line Spa Zanzariera mobile, particolarmente per finestre, porte e simili.
JP5830417B2 (ja) * 2012-03-16 2015-12-09 Ykk Ap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および、建具
TW201404281A (zh) * 2012-07-06 2014-01-16 Hon Hai Prec Ind Co Ltd 機櫃
SI2900894T1 (sl) * 2012-08-10 2017-04-26 Mv Line S.P.A. Krmilna in gibalna naprava za zaslone, zavese in podobno proti komarjem
US9359456B2 (en) 2012-09-24 2016-06-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atalytic hydroformylation of vinyl terminated polyolefins
US9284387B2 (en) 2012-09-24 2016-03-1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Hydroamination of aldehyde-containing macromonomers
CH707200A2 (de) * 2012-11-09 2014-05-15 Beat Guhl Führungsanordnung für einen Behang.
CH707169A1 (de) * 2012-11-09 2014-05-15 Beat Guhl Führungsschienenanordnung für einen Behang.
AU2014208656B2 (en) * 2013-01-23 2017-12-14 Seiki Juko Co., Ltd. Window screen with blind function
CN104407675B (zh) * 2014-12-12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卷绕系统及其控制方法
ES2639645T3 (es) 2015-02-13 2017-10-27 Bettio Service Spa Mosquitera con u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la cadena de guía de la malla y un sistema para facilitar el montaje y para corregir la disposición del posicionamiento
CN105987128B (zh) * 2015-03-23 2019-11-22 清展科技股份有限公司 屏幕装置之链条结构及其链接单元件
US9772657B2 (en) 2015-04-3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10347160B2 (en) 2015-04-30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device
JP6426534B2 (ja) * 2015-06-03 2018-11-21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バリアフリー型横引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6469530B2 (ja) * 2015-06-04 2019-02-13 セイキ住工株式会社 バリアフリー型横引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WO2016206607A1 (zh) * 2015-06-23 2016-12-29 金懋实业有限公司 一种可伸缩卫浴门
ITUB20153218A1 (it) * 2015-08-25 2017-02-25 Patrizia Vittore "catena di guida flessibile perfezionata per schermature, come ad esempio zanzariere e schermi oscuranti/filtranti"
WO2017047837A1 (ko) * 2015-09-15 2017-03-23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JP6612162B2 (ja) 2016-03-24 2019-11-27 セイキ販売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TWI708886B (zh) * 2016-03-30 2020-11-01 日商世紀販賣股份有限公司 捲軸屏幕裝置
ITUA20163337A1 (it) * 2016-05-11 2017-11-11 Mv Line S P A Dispositivo di guida e di tensionamento a scomparsa per schermature a scorrimento
KR102408844B1 (ko) * 2017-12-06 2022-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US11643864B2 (en) 2018-01-23 2023-05-09 Pella Corporation Screen edge retention and screen rethreading features for a hidden screen assembly and a fenestration assembly
EP3517805B8 (de) 2018-01-29 2022-04-13 Auto-Motion Shade Inc. Kette für eine abschirmvorrichtung
EP3596296B1 (en) * 2018-02-26 2021-10-13 Argyrios Papadopoulos Autonomous anti-mosquito net system for a fixed lower guide
IT201800011151A1 (it) * 2018-12-17 2020-06-17 Palagina S R L Tenda con telo avvolgibile
IT202000003404A1 (it) * 2020-02-19 2021-08-19 Mv Line S P A Guida scorrevole a scomparsa per schermature a scorrimento dotata di sistema di tensionamento
TWI768537B (zh) * 2020-11-06 2022-06-21 清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遮擋裝置之屏幕及其遮擋裝置
CN112412318A (zh) * 2020-11-09 2021-02-26 清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遮挡装置之屏幕及其遮挡装置
US11505991B2 (en) * 2021-03-24 2022-11-22 Metaco Inc. Screen device
IT202100007952A1 (it) 2021-03-31 2022-10-01 Bettio Flyscreens S R L Zanzariera a scorrimento orizzontale dotata di dispositivi per l’agevolazione del montaggio e della regolazione dell’assetto di posizionamento
IT202100019895A1 (it) * 2021-07-26 2023-01-26 Palagina S R L Tenda con telo avvolgibile
IT202100019901A1 (it) * 2021-07-26 2023-01-26 Palagina S R L Tenda con telo avvolgibi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506A (en) 1982-11-24 1985-02-12 Panduit Corp. Tool for the automatic installation of discrete cable ties provided on a continuous ribbon of cable ties
JPS6019892A (ja) * 1983-07-09 1985-02-01 林口 精三 建物用網戸
JPS6461158A (en) 1987-08-31 1989-03-08 Sharp Kk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US4821786A (en) * 1987-09-04 1989-04-18 Johnston Bernard A Reelable door closure
JPH04122195A (ja) * 1990-09-13 1992-04-2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交換システム
JP2528590Y2 (ja) * 1991-04-22 1997-03-12 セイキ販売株式会社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CN2106220U (zh) * 1991-10-17 1992-06-03 姜济舟 半自动卷拉式纱门
JP2569974Y2 (ja) * 1992-10-16 1998-04-28 トーソー株式会社 横引きプリーツスクリーン
CN2145855Y (zh) * 1992-12-15 1993-11-10 沈金林 卷帘纱门窗
US6267168B1 (en) * 1994-07-28 2001-07-31 420820 Ontario Limited Screen cassette and compatible framing section therefor
US5505244A (en) * 1994-08-08 1996-04-09 Thumann; Pierce A. Retractable covering for a door opening
CN2226136Y (zh) * 1995-03-23 1996-05-01 李晓文 双管对卷式纱窗
JPH09279967A (ja) * 1996-04-11 1997-10-28 Katsuaki Tomita ロールスクリーン
US6186212B1 (en) * 1998-06-11 2001-02-13 Metaco Inc. Screen device
JP3229596B2 (ja) * 1999-02-12 2001-11-19 セイキ販売株式会社 横引き網戸におけるネットガイド
JP2000352280A (ja) 1999-06-10 2000-12-19 Tateyama Alum Ind Co Ltd プリーツスクリーン装置
AU2132401A (en) * 1999-12-06 2001-06-18 Screeline Innovations, Inc. Screen door fastening method and apparatus
JP3609716B2 (ja) * 2000-11-30 2005-01-12 Ykk Ap株式会社 巻取式網戸
US6463983B1 (en) * 2001-07-26 2002-10-15 Richard A. Lang Retracting screen frame and mechanism for door or window
ES2294259T3 (es) * 2002-01-23 2008-04-01 Mv Line S.R.L Mosquitera enrollable para marcos provista de guias plegables.
US6814127B2 (en) * 2003-02-07 2004-11-09 Pella Corporation Retractable screen door component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853B1 (ko) * 2015-02-10 2015-06-17 이광재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0554A4 (en) 2009-03-11
CA2524941A1 (en) 2004-12-02
ES2586660T3 (es) 2016-10-18
WO2004104357A1 (ja) 2004-12-02
TW200426295A (en) 2004-12-01
JP4109573B2 (ja) 2008-07-02
AU2004242017A1 (en) 2004-12-02
CN1791730A (zh) 2006-06-21
US20070039698A1 (en) 2007-02-22
TWI254766B (en) 2006-05-11
EP1640554A1 (en) 2006-03-29
EP1640554B1 (en) 2016-07-06
US7395850B2 (en) 2008-07-08
AU2004242017B2 (en) 2008-03-06
KR100715208B1 (ko) 2007-05-08
JP2004346578A (ja) 2004-12-09
CA2524941C (en) 2009-07-07
CN100570121C (zh)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08B1 (ko) 권취식 스크린 장치
US7694711B2 (en) Screen device
JP531679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680314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EP2703595A2 (en) Tilting roller blind with guides, especially for roof windows
KR200457717Y1 (ko) 롤방충망 장치
KR20050113338A (ko)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JP2002295148A (ja) 巻き取り式建築用閉鎖装置
JPH081654U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4084327B2 (ja) スクリーン装置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JPH0128236Y2 (ko)
JPH0650639Y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3391714B2 (ja)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JP3143021B2 (ja) 網 戸
JP3532805B2 (ja) 窓用スクリーン装置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200237001Y1 (ko)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JP2001140563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01140562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01164854A (ja) 窓サッシ用網戸の巻き出し装置
JP2554173Y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3192327B2 (ja) 網 戸
JP3192328B2 (ja) 網 戸
JPH09317352A (ja) 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