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01Y1 -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001Y1
KR200237001Y1 KR2020010009620U KR20010009620U KR200237001Y1 KR 200237001 Y1 KR200237001 Y1 KR 200237001Y1 KR 2020010009620 U KR2020010009620 U KR 2020010009620U KR 20010009620 U KR20010009620 U KR 20010009620U KR 200237001 Y1 KR200237001 Y1 KR 200237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locking
insect screen
piec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훈
Original Assignee
정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훈 filed Critical 정장훈
Priority to KR2020010009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01Y1/ko

Link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록킹장치(1)는 롤러식방충망에서 방충망(2)의 하단에 장착되고, 저면(11)과 상기 저면(11)에 인접한 전후면(12)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조립슬릿(13A, 13B)이 형성된 방충망프레임(10);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조립슬릿들(13A, 13B) 중 2개의 조립슬릿(13A, 13B)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2개의 조립편(22)을 구비한 조립부(21), 상기 조립부(21)로부터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과 평행하게 돌출된 록킹편(23) 및 상기 조립부(21)로부터 돌출된 손잡이편(24)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조립슬릿(13A, 13B)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방충망프레임(10)에 조립되는 록킹부재(20); 상기 조립편(22)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13A, 13B)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재(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 상기 조립편(22)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13A, 13B)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부재(20)와 상기 스프링(30)의 좌우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40); 및 상기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편(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문틀(7)에 고정되고 상기 록킹편(23)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51)이 형성된 걸림부재(5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Locking Tool for Roller-Type Moth-proof Net}
(기술분야)
본 고안은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방충망을 말아 올리는 롤러식방충망에 장착되어 상기 방충망이 출입문이나 창문 등에 처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롤러식방충망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해충을 차단하기 위해 출입문이나 창문 등의 각종 도어에 설치되는 방충망으로서는, 도어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고정식과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치고 걷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이 있으며, 후자의 개폐식으로는 도어에 대하여 방충망을 좌우로 미닫는 미닫이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회전롤러가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10), 회전롤러에 풀리고 감기는 방충망(120), 및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방충망이 도어를 따라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해충이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예, 취침시간)에만 하우징(110)으로부터 롤러식으로 방충망(120)을 인출하여 가이드(130)를 따라 방충망(120)을 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우징(110) 내로 방충망(120)을 말아 올려서 걷는, 소위롤러식방충망(100)이 그 편리성을 이유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런 롤러식방충망(100)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방충망(120)을 말아 올리는 구조임으로 펼친 방충망(120)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하우징(110)으로 감기려는 힘을 받게 됨으로 방충망(120)이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되려면 그 감김을 차단하는 소정의 록킹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록킹구조의 종래의 예로서는 방충망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충망을 평평하게 유지시켜주는 방충망프레임에 다수의 영구자석을 부착하고 창틀이나 문틀의 상기 영구자석의 대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자력에 의해 방충망이 쳐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 또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걸고리를 장착하여 방충망 양측의 가이드의 걸림구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 또는 방충망프레임에 소정의 걸고리를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이 걸고리에 방충망프레임을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자석을 이용한 구조는 자력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고 의도하지 않게 방충망이 말아 올려져 버리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며, 이와 같은 문제는 출입문 등에 설치되는 큰 규모의 롤러식방충망에서 특히 심각하다.
가이드를 이용한 구조는 록킹장치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여 비용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프레임이 정확히 수평을 이루지 않으면 그 양측의 걸고리가 양측 가이드의 걸림구 모두에 정확히 록킹되지 않게 됨으로, 방충망을 록킹하는 데 적지 않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충망프레임에 소정의 걸고리를 나사못으로 고정한 구조는 방충망프레임에 나사못을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을 천공하여야 하고 일단 한번 걸고리를 장착하고 나면 방충망프레임에 기존의 나사공 자국이 남게 되어 걸고리의 위치를 조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방충망프레임에 나사공을 천공할 필요가 없이 그 장착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충망을 안전하게 록킹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가 장착된 롤러식방충망의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사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예시적인 록킹부재와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록킹부재와 걸림부재가 사용된 록킹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록킹부재와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록킹부재와 걸림부재가 사용된 록킹장치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록킹장치 2: 방충망 4: 손잡이
7: 문틀 8: 줄손잡이 10: 방충망프레임
11: 저면 12: 전후면 13: 조립슬릿
20: 록킹부재 21: 조립부 22: 조립편
23: 록킹편 24: 손잡이편 30: 스프링
40: 제한부재 50: 걸림부재 51: 걸림편
52: 고정편 53: 삽입구 60: 고정부재
본 고안에 따라, 방충망프레임, 록킹부재, 스프링, 제한부재 및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충망프레임은 롤러식방충망에서 방충망의 하단에 장착되며, 저면과 상기 저면에 인접한 전후면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조립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조립슬릿들 중 2개의 조립슬릿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2개의 조립편을 구비한 조립부, 상기 조립부로부터 상기 방충망프레임의 저면과 평행하게 돌출된 록킹편 및 상기 조립부로부터 돌출된 손잡이편을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조립슬릿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방충망프레임에 조립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조립편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조립편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부재와 상기 스프링의 좌우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문틀에 고정되며 상기 록킹편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록킹장치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상기 록킹편이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편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다른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가 장착된 롤러식방충망의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사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예시적인 록킹부재와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록킹부재와 걸림부재가 사용된 록킹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록킹부재와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록킹부재와 걸림부재가 사용된 록킹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록킹장치(1)는, 방충망프레임(10), 록킹부재(20), 스프링(30), 제한부재(40) 및 걸림부재(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록킹장치(1A)를 설명한다.
방충망프레임(10)은 알루미늄새시 등으로 형성된 바부재이며, 롤러식방충망의 방충망(2)의 하단에 장착되어 방충망(2)을 평평하고 평행하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방충망프레임(10)에는 방충망(2)을 연결하기 위한 망고정슬릿(3)과 손잡이(4)를 조립하기 위한 손잡이슬릿(5)이 구비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과 이 저면(11)에 인접한 전후면(12)에는 가로방향으로 각각 조립슬릿(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방충망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조립슬릿(13A)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전면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의 방충망프레임에도 방풍용 웨더스트립을 조립하기 위해 본 조립슬릿(13A, 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상적으로 조립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방충망프레임(10)의 슬릿(13A, 13B)에도 록킹부재(20)가 장착되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바람직하게 웨더스트립(6)을 삽입 장착할 수 있다.
록킹부재(20)는 예를 들어 고강도 스테인리스스틸 강판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각종 금속의 다이케스팅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작되며, 기능적으로 조립부(21), 록킹편(23) 및 손잡이편(24)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슬릿(13A, 13B)을 이용하여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 쪽에 좌우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조립부(21)는 2개의 조립슬릿(13A, 13B)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과 각도로 형성된 2개의 조립편(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조립편(22)을 방충망프레임(10)에 형성된 3개의 조립슬릿들(13A, 13B) 중 2개의 조립슬릿(13A, 13B)에 방충망프레임(10)의 일측 단부로부터 각각 슬라이딩 삽입시킴으로써 록킹부재(20)는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방충망프레임(10)에 조립된다. 즉, 록킹부재(20)는 그 2개의 조립편(22)을 2개의 전후면 조립슬릿(13A)에 슬라이딩 삽입하거나, 또는 하나의 전후면 조립슬릿(13A)과 하나의 저면 조립슬릿(13B)에 슬라이딩 삽입함으로써 방충망프레임(10)에 조립된다. 록킹부재(20)는 자체의 탄성적 특성에 따라 방충망프레임(1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지만 유동되지는 않는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록킹부재(20)는 그 두 조립편(22)을 두 전후면 조립슬릿(13A)에 각각 하나씩 삽입함으로써 방충망프레임(10)에 장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립부(21)에는 판상의 록킹편(23)이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록킹편(23)은 후술하는 걸림부재(50)의 걸림편(51)에 걸릴 수 있을 정도로 방충망프레임(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방충망(2)을 끌어올리는 하우징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절단되거나 접혀지지 않는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스테인리스스틸을 프레스 가공하여 록킹부재(20)를 형성하는 경우 록킹편(23)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부(21)에 용접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지만, 조립부(21)의 일부를 ㄷ자로 절단하여 저면(11)과 평행하게 접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록킹편(23)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3A)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걸림편(51)의 걸림돌기(51A)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부(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편(2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구체예의 록킹장치(1A)는, 실내와 실외 양측 모두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편(24)을 방충망프레임(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손잡이편(24)도 조립부(21)에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지만, 조립부(21)를 형성할 때 그 양측에 ㄷ자로 여유부분을 남겨 전후면(12)에 대해 수직으로 접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후방쪽의 손잡이편(24)을 위로 높게 신장시켜 형성한 이유는 손잡이편(24)이 후면쪽에 있는 문이나 창문의 프레임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립편(22)이 삽입된 조립슬릿 중 하나(도시된 도2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전면의 조립슬릿)에는 록킹부재(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이 삽입되고, 록킹부재(20)와 스프링(30) 양측(도시된 구체예에서 록킹부재의 좌측과 스프링의 우측)의 조립슬릿(13A)에는 각각 나사못과 같은 제한부재(40)가 체결되어 록킹부재(20)와 스프링(30)의 좌우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즉 스프링(30)은 그 우측의 제한부재(40)에 의해 좌측의 록킹부재(20) 쪽으로만 탄성력을 가하고, 록킹부재(20)는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그 좌측의 제한부재(40)까지만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2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제한부재(40)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4)의 양단을 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는 조립슬릿(13A)까지 연장하여 이를 제한부재(40)로 이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롤러식방충망이 장착되는 출입문의 문틀(7)에는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에서의 록킹편(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부재(50)가 고정 설치된다. 걸림부재(50)는 록킹편(23)이 삽입되었을 때 그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51)과 걸림부재(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52)을 구비하고, 본 걸림편(51)의 아래로는 록킹편(23)이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53)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편(51)에는 록킹편(23)의 걸림돌기(23A)에 대응하는 걸림돌기(51A)를 형성하여 록킹편(23)이 걸림편(51)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내지 도4의 구체예는 사람의 출입이 있는 출입문용 롤러식방충망에 적용하되 문틀(7)의 수평면에 걸림부재(50)를 고정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따라서 사람의 출입시 걸림부재(50)가 장해물이 되지 않도록 걸림부재(50)는 가능한 한 낮고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구체예의 록킹장치(1A)는, 방충망프레임(10)의 한쪽 단부로부터 전후면 조립슬릿(13A)으로 스프링(30)과 록킹부재(20)를 차례로 삽입하고, 록킹장치(1)가 위치될 지점에 나사못과 같은 별도의 제한부재(40)나 손잡이(4)에 일체화된 제한부재(40)를 조립함으로써 제한부재(40) 사이에 록킹부재(20)와 스프링(30)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로 문틀(7)에 걸림부재(50)를 고정시키되 그 고정위치를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에서의 록킹편(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설치된다.
이하, 본 구체예에 따른 록킹장치(1A)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방충망(2)이 쳐 있지 않은 상태에서 록킹부재(20)는 스프링(30)의 탄성력을 받아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50)의 위치보다 좌측에 있게 된다(도2의 A참조).
방충망(2)을 쳐서 록킹하고자 할 경우, 우선 손잡이(4)를 잡고 방충망프레임(10)을 문틀(7)까지 최대한 내린 후에 손잡이편(24)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록킹부재(20)의 록킹편(23)이 걸림부재(50)의 걸림편(51) 아래 삽입구(53)로 삽입되도록 하고, 이어서 먼저 손잡이(4)를 놓고 다음에 손잡이편(24)으로부터 손을 떼면 방충망(2)은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2의 B 참조).
즉, 손잡이편(24)에 가하던 힘이 제거되어 록킹부재(20)가 스프링(30)에 의해 좌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아도 방충망프레임(10)이 하우징의 스프링에 의해 위로 올라가려는 힘을 받게 되어 록킹편(23)이 걸림편(51)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됨으로, 록킹부재(20)가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방충망(2)을 다시 걷으려면 손으로 방충망프레임(10)을 아래로 살짝 눌렀다 놓으면 된다. 즉, 방충망프레임(10)을 아래로 살짝 누르면 걸림편(51)의 저면으로부터 록킹편(23)이 이탈하게 되고 동시적으로 록킹부재(20)가 스프링(30)에 의해 좌로 이동하게 되어 더 이상 걸림편(51)이 록킹편(23)의 상측 이동을 차단하지 못하게 됨으로 방충망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출입문에 장착되는 롤러식방충망에 있어서는 방충망(2)을 쳤을 때 밖에서는 방충망을 열 수 없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구체예의 록킹장치(1A)에는, 록킹부재(20)의 록킹편(23)이 걸림부재(50)의 걸림편(51)에 걸린 상태에서 록킹편(23)과 걸림편(51)의 밀착 상태가 없어지더라도, 즉 방충망을걷기 위해 방충망프레임을 살짝 내림으로써 스프링(30)의 탄성력이 록킹부재(20)를 좌로 가압하더라도, 록킹부재(20)의 좌측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6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50)의 고정편(52)을 삽입구(53) 쪽으로 길게 연장시켜 걸림턱(54)을 형성하여 걸림턱(54)과 걸림편(51) 사이에 고정부재(60)를 삽입할 수 있는 안착부(55)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60)에는 손잡이편(24)이 삽입되는 요홈(6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60)의 구성에 따라, 록킹장치(1A)로 방충망(2)을 록킹시킨 상태에서 상기 요홈(61)에 손잡이편(24)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55)에 고정부재(60)를 삽입하여 두면, 밖에서 방충망(2)을 걷기 위해 방충망프레임(10)을 아래로 눌러도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한 록킹부재(20)의 좌측 이동이 고정부재(60)에 의해 제한됨으로 밖에서는 방충망(2)을 걷을 수 없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60)로서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제한되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롤러식방충망에 설치되는 줄손잡이(8)의 손잡이편(8A)을 고정부재(60)로 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록킹장치(1B)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의 록킹장치(1B)는, 록킹부재(20)의 형상이 약간 다르고 손잡이편(24)이 1개이고 걸림부재(50)의 형상이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2 내지 도4의 구체예와 그 기본 구성이 동일함으로, 이들 다른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구체예의 록킹장치(1B)는 상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여닫이식으로 열리는창문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록킹부재(20)는 하나의 전후면 조립슬릿(13A)과 하나의 저면 조립슬릿(13B)을 이용하여 방충망프레임(10)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상기 도3의 구체예에서는 두 조립부(21)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지만 본 구체예는 90도의 각도를 두고 위치한다.
록킹부재(20)의 판상의 록킹편(23)은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과 평행하게 후면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재(50)는 문틀(7)의 수직면에 고정되고 그 걸림편(51)은 록킹편(23) 쪽으로 수평하게 신장되어 있다. 또한, 본 구체예는 창문용임으로 손잡이편(24)은 실내 쪽에 1개만 형성되어 있다.
본 구체예의 록킹장치를 장착하는 방법 및 그 작동은 제1 구체예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롤러식방충망용 록킹장치(1)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록킹부재(20)를 방충망프레임(10)에 조립함에 있어서 나사공을 천공하거나 나사를 체결할 필요 없이 조립슬릿(13A, 13B)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20)의 위치는 조립슬릿(13A, 13B)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록킹부재(20)의 위치를 변경시켜도 나사공 자국이 남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 스프링이 방충망프레임에 가하는 상측으로의 힘에 의해록킹편(23)이 걸림편(51)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되어 방충망(2)이 록킹됨으로 의도하지 않게 방충망(2)이 걷어지게 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방충망(2)을 걷을 때에도 방충망프레임(10)을 살짝 내리는 동작만으로 용이하게 걷을 수 있다.

Claims (4)

  1. 롤러식방충망에서 방충망(2)의 하단에 장착되고, 저면(11)과 상기 저면(11)에 인접한 전후면(12)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조립슬릿(13A, 13B)이 형성된 방충망프레임(10);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조립슬릿들(13A, 13B) 중 2개의 조립슬릿(13A, 13B)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2개의 조립편(22)을 구비한 조립부(21), 상기 조립부(21)로부터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저면(11)과 평행하게 돌출된 록킹편(23) 및 상기 조립부(21)로부터 돌출된 손잡이편(24)을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조립슬릿(13A, 13B)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방충망프레임(10)에 조립되는 록킹부재(20); 상기 조립편(22)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13A, 13B)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재(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0); 상기 조립편(22)이 삽입된 상기 조립슬릿(13A, 13B)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부재(20)와 상기 스프링(30)의 좌우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재(40); 및 상기 스프링(30)이 압축된 상태에서의 상기 록킹편(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문틀(7)에 고정되고 상기 록킹편(23)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편(51)이 형성된 걸림부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편(22)은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전후면에 형성된 조립슬릿들(13A)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손잡이편(24)이 전후 2개이며, 상기 걸림부재(50)는 상기 문틀(7)에 수평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방충망의록킹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0)에는 상기 록킹부재(20)의 이동일 제한하는 고정부재(6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편(22)은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전후면(12)에 형성된 하나의 조립슬릿(13A)과 상기 저면(11)에 형성된 조립슬릿(13B)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손잡이편(24)이 전방에 1개이며, 상기 걸림부재(50)는 상기 문틀(7)에 수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KR2020010009620U 2001-04-06 2001-04-06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KR200237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20U KR200237001Y1 (ko) 2001-04-06 2001-04-06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20U KR200237001Y1 (ko) 2001-04-06 2001-04-06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01Y1 true KR200237001Y1 (ko) 2001-10-11

Family

ID=7309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20U KR200237001Y1 (ko) 2001-04-06 2001-04-06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9940A (ko) 권취식 스크린 장치
US9038240B2 (en) Detachable hanger for covering of building&#39;s opening
US20110108209A1 (en) Door with retractable screen
JP6126898B2 (ja) サッシ
KR102023481B1 (ko) 창호의 가변식 스토퍼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JP4823608B2 (ja) ロール網戸
JP4937543B2 (ja) ロール網戸
KR200237001Y1 (ko)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KR101973968B1 (ko)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US6183023B1 (en) Door with integrated fire exit device
JP2002295148A (ja) 巻き取り式建築用閉鎖装置
KR20140006475U (ko) 방충망 개폐장치
JP2003176667A (ja) 上げ下げ窓
EP1781886B1 (en) Improved rolling mosquito net provided with foldaway guides
JP3391714B2 (ja)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AU2010201406B2 (en) Slide Handle
KR200177191Y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200336941Y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롤러식방충망의 개폐손잡이
JP3256135B2 (ja) 扉の落し錠装置
US3527489A (en) Window lock
JPH0650639Y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JP2001234679A (ja) 収納網戸
JPH0853986A (ja) 網 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