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68B1 -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 Google Patents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968B1
KR101973968B1 KR1020180118670A KR20180118670A KR101973968B1 KR 101973968 B1 KR101973968 B1 KR 101973968B1 KR 1020180118670 A KR1020180118670 A KR 1020180118670A KR 20180118670 A KR20180118670 A KR 20180118670A KR 101973968 B1 KR101973968 B1 KR 10197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ver
side frame
insec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방충망에 권취되는 방충망 원단의 양측단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가 구비된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 원단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방충망 프레임의 내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방충망 원단이 외부 요인에 변형되거나 방충망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고, 방충망 원단의 권취시 권취되는 방충망 원단의 양측단과 외측면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슬라이딩의 오작동 발생율을 감소시키는 안전성이 뛰어난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Both sides end supporting structure of mosquito net}
본 발명은 롤방충망에 권취되는 방충망 원단의 양측단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가 구비된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충망 원단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방충망 프레임의 내부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방충망 원단이 외부 요인에 변형되거나 방충망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고, 방충망 원단의 권취시 권취되는 방충망 원단의 양측단과 외측면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슬라이딩의 오작동 발생율을 감소시키는 안전성이 뛰어난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창호 외부에 설치한다. 방충망은 창호의 가장 바깥쪽에 설치하는데, 통상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는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별도의 가이드레일 위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방충망용 틀에 방충망을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충망틀은 미닫이 창호의 다른 창문들과 마찬가지로 미닫이 방식 즉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고 닫게 되는데, 항상 창문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또한 그러한 경우 조망권을 저해하게 되고, 더구나 창틀프레임에 방충망틀의 슬라이딩을 위해 별도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해야 하므로 창틀프레임의 제조비용 및 설치 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롤 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충망이 개발되었으나, 권취되는 롤 방충망의 원단으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이 따랐으며, 방충망 원단의 측면을 완전히 지지해주지 못해 외력이나 바람이 부는 경우 방충망 원단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방충망 원단의 양측이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권취되는데, 반복되는 개폐 동작으로 인해 원단이 프레임에 걸리면서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ㅇ
따라서, 방충망 원단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반복되는 개폐동작에 따른 오작동 발생율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충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450호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출원일자 2004.06.28)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361호 '롤식 방충망' (출원일자 2005.04.04) 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720호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의 원단 지지구조' (출원일자 2006.05.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충망 원단이 바람이나 외부요인에 의해 프레임에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방충망 원단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며, 반복되는 개폐동작에도 오작동 없이 원활한 작동이 진행될 수 있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은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110)가 형성되는 롤러하우징(100);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200); 상기 측면프레임(200) 각각의 끝단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300);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권취되며, 일측단이 롤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충망시트(400);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손잡이부(500); 상기 손잡이부(50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수단(600);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300)과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수단(700);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200)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연결수단(700)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가이드봉(800);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봉(80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방충망시트(400)을 닫는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측면프레임(200)과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가이드커버(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600)은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1 몸체(610); 상기 제1 몸체(610)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몸체(610)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620); 상기 손잡이부(5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몸체(6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합로드(6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6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800)이 상기 가이드커버(900)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커버(900)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는 가이드링(6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커버(900)는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며,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슬라이딩커버(910); 상기 슬라이딩커버(9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링(611)에 고정되는 고정커버(9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고정커버(920)가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는 경우 상기 고정커버(920)가 상기 가이드링(611)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커버고정핀(6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버고정핀(640)이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링(611)과 고정커버(9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고정핀 안착홈(611-1)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7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닥판(710); 상기 바닥판(7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단이 개방된 함입홈(721)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제1 결합몸체(720);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함입홈(721)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압몸체(7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몸체(730)와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봉안착홈(721,731)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압몸체(730)가 삽입된 상기 가이드봉(800)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몸체(730)를 기준으로 상기 봉안착홈(721,731)과 대칭을 이루는 상기 가압몸체(730)와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사이에 제1 가압피스(74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바닥판(710)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몸체(750)가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결합몸체(750)의 이격된 사이로 제2 가압피스(76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충망시트의 측면을 안내하는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봉으로 인해 풍압이나 기타 요인들 때문에 방충망시트이 방충망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충망시트 표면의 장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망시트의 측면에는 가이드봉에 끼워지는 가이드커버가 더 구비되면서 방충망시트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진행될 수 있고, 가이드커버와 방충망 원단의 두께가 동일함에 따라 방충망 원단이 일정한 두께로 권취되어 방충망시트의 권취시, 방충망시트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롤방충망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수단 및 연결수단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면프레임, 슬라이딩수단 및 연결수단의 체결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과 측면프레임의 체결 일실시예와 가압피스의 삽입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및 절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롤방충망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수단 및 연결수단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면프레임, 슬라이딩수단 및 연결수단의 체결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수단과 측면프레임의 체결 일실시예와 가압피스의 삽입 일실시예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및 절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충망은 상단에 탄성을 갖는 권취롤러(110)에 권취된 방충망시트(400)의해 건물 또는 창틀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롤방충망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110)가 형성되는 롤러하우징(100)과 롤러하우징(100)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200)과 측면프레임(200) 각각의 끝단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300) 및 롤러하우징(100)에 권취되며, 일측단이 롤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충망시트(400), 방충망시트(4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방충망시트(400)와 결합되며, 양단이 측면프레임(200)에 안내되면서 측면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손잡이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손잡이부(500)와 측면프레임(200) 사이에 위치하며 손잡이부(50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는 한쌍의 슬라딩수단(600)이 더 구비된다. 슬라이딩수단(600)으로 인해 손잡이부(500)가 측면프레임(200)을 따라 안내되면서 방충망시트(40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300)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수단(700)이 더 구비된다. 연결수단(700)은 롤러하우징(100)과 대칭을 이루는 측면프레임(200)의 끝단에 각각 체결되고, 하부프레임(300)의 양측단이 연결수단(700)에 결합되면서 측면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300)은 상호 직각을 이루며 결합된다. 상기의 조합으로 인해 건물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방충망을 이룰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는 측면프레임(200)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가이드봉(800)이 구비된다. 가이드봉(8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내부가 채워진 봉 형상으로 일측이 연결수단(700)에 고정되면서 측면프레임(200)의 내부에 세워진다.
방충망시트(400)는 손잡이부(500)의 이동에 따라 권취롤러(110)에서 권취와 권출이 반복되는데, 이때, 방충망시트(400)의 좌우측단은 측면프레임(200)에 밀착되거나 일부가 측면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가이드커버(900)가 장착된다. 가이드커버(900)는 가이드봉(800)의 연장된 측면을 감싸며 양단이 방충망시트(400)의 가장자리에 결합(재봉)된다. 즉, 방충망시트(400)에 가이드커버(900)가 장착되는 경우 가이드커버(900)에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면서 방충망시트(400)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동시에 방충망시트(400)가 권출되어 개구부를 닫는 경우에는 방충망시트(400)에 외력이 가해져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측면프레임(200)에서 이격되거나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가이드커버(900)로 인해 해충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권취롤러(110)에 방충망시트(400)가 기울어지거나 접힌 상태로 권취되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한편, 가이드커버(900)의 두께는 방충망시트(4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커버(900)가 방충망시트(400)에 장착된 상태로 권취롤러(110)에 권취될 때 가이드커버(900)의 두께가 방충망시트(400)의 두께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방충망시트(400)의 권취시 한쪽방향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측면프레임(200)의 측면프레임(200)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측면프레임(200)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레일홈(210)이 형성된다. 레일홈(210)에 방충망시트(4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수단(600)이 끼워져 레일홈(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방충망시트(400)의 개폐를 가이드해준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슬라이딩수단(600)은 제1 몸체(610), 제2 몸체(620), 결합로드(630)를 포함한다.
제1 몸체(610)는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측며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고, 제2 몸체(620)는 제1 몸체(610)가 레일홈(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 몸체(610)와 연결된다. 이때, 제2 몸체(620)는 측면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결합로드(630)는 제2 몸체(6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500)의 끝단에 삽입된다. 따라서, 손잡이부(500)와 슬라이딩수단(600)은 일체로 측면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610)의 측면에는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는 가이드링(611)이형성된다. 가이드링(611)은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슬라이딩수단(60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해줄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그리고, 가이드링(611)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링(611)에 가이드커버(900)의 일측이 연결되면서 가이드커버(900)에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는 것을 안내해줄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가이드커버(900)는 슬라이딩커버(910)와 고정커버(92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커버(910)는 방충망시트(400)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며, 내측으로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봉(800)의 측면을 감싼다.
고정커버(920)는 슬라이딩커버(9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가이드링(611)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커버(920)의 직경은 슬라이딩커버(9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유지하면서 가이드링(6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방충망시트(400)의 하단에는 시트지지대(410)가 장착되고, 제1 몸체(610)와 제2 몸체(620)의 상면에 시트지지대(410)가 끼워져 시트지지대(410)와 방충망시트(400)를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대고정부(650)가 더 구비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고정커버(920)가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고정될 때, 가이드링(611)과 고정커버(920)를 결속하는 커버고정핀(6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고정핀(640)은 가이드링(611)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가압한다.
그리고,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에는 고정핀 안착홈(611-1)이 함입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에 고정커버(920)가 씌워지면 커버고정핀(640) 고정핀 안착홈(611-1)에 끼워지면서 가이드링(611)과 고정커버(9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고정핀(640)은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연결수단(700)은 바닥판(710), 제1 결합몸체(720), 가압몸체(730)를 포함한다.
바닥판(7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의 넓이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제1 결합몸체(720)는 바닥판(7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과,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지면서 바닥판(710)을 측면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 결합몸체(720)의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함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함입홈(721)이 형성된다.
가압몸체(730)는 함입홈(721)의 내측공간에 형성되는데, 이때, 가압몸체(730)의 외측면과 함입홈(721)의 내측면, 즉,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가압몸체(730)와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 사이에는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봉안착홈(721,731)이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봉(800)이 봉안착홈(721,731)에 끼워지면서 제1 결합몸체(720)에 고정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가압몸체(730)가 삽입된 가이드봉(800)을 가압하도록 가압몸체(730)와 제1 결합몸체(7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제1 가압피스(740)가 삽입된다. 제1 가압피스(740)는 가압몸체(730)를 기준으로 봉안착홈(721,731)과 대칭을 이루는 가압몸체(730)와 제1 결합몸체(720)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제1 가압피스(740)는 바닥판(71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삽입홀(711)으로부터 삽입되면서 가압몸체(730)와 제1 결합몸체(720)의 간격을 넓히며 가이드봉(80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바닥판(710)의 상면에는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진다. 이때,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의 이격된 간격을 넓혀주면서 제2 결합몸체(750)가 측면프레임(200)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제2 결합몸체(750)의 이격된 사이에 제2 가압피스(760)를 삽입한다.
그리고, 바닥판(710)의 하면에는 제2 삽입홀(712)이 형성되며, 제2 가압피스(760)가 제2 삽입홀(712)로 삽입되면서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의 이격된 간격을 넓혀줄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몸체(720)의 일측에는 하부프레임(300)의 양측 끝단에 삽입되는 결합로드(770)가 돌출 형성되면서 연결수단(700)에 의해 측면프레임(200)과 하부프레임(300) 직각을 이루며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방충망은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봉(800)과 가이드커버(900)로 인해 방충망시트(400)의 표면장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충망시트(400)와 가이드커버(900)의 두께가 동일하여 방충망시트(400)의 권취시 일측으로 쏠리거나 기울어져 오작동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결수단(700)의 구성으로 인해 조립이 간편하여 노동시간 단축 및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롤러하우징 110 : 권취롤러
200 : 측면프레임 300 : 하부프레임
400 : 방충망시트 500 : 손잡이부
600 : 슬라이딩수단 610 : 제1 몸체
620 : 제2 몸체 630 : 결합로드
640 : 커버고정핀 650 : 지지대 고정부
700 : 연결수단 710 : 바닥판
720 : 제1 결합몸체 730 : 가압몸체
740 : 제1 가압피스 750 : 제2 결합몸체
760 : 제2 가압피스 770 : 결합로드
800 : 가이드봉 900 : 가이드커버

Claims (6)

  1.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110)가 형성되는 롤러하우징(100);
    상기 롤러하우징(100)의 양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200);
    상기 측면프레임(200) 각각의 끝단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300);
    상기 롤러하우징(100)에 권취되며, 일측단이 롤러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충망시트(400);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손잡이부(500);
    상기 손잡이부(50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수단(600);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300)과 상기 측면프레임(200)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수단(700);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프레임(200)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연결수단(700)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세워지는 가이드봉(800);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봉(80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방충망시트(400)을 닫는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측면프레임(200)과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방충망시트(400)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가이드커버(9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수단(600)은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1 몸체(610);
    상기 제1 몸체(610)가 상기 레일홈(2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몸체(610)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620);
    상기 손잡이부(50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몸체(6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합로드(6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6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800)이 상기 가이드커버(900)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커버(900)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는 가이드링(611);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커버(900)는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며, 상기 방충망시트(400)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슬라이딩커버(910); 와
    상기 슬라이딩커버(9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가이드링(611)에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커버(9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커버(9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커버(920)가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감싸는 경우 상기 고정커버(920)가 상기 가이드링(611)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커버고정핀(6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링(611)의 외측면에는 상기 커버고정핀(640)이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링(611)과 고정커버(9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고정핀 안착홈(611-1)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닥판(710);
    상기 바닥판(7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단이 개방된 함입홈(721)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제1 결합몸체(720);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함입홈(721)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압몸체(7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몸체(730)와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가이드봉(800)이 삽입되도록 봉안착홈(721,731)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가압몸체(730)가 삽입된 상기 가이드봉(800)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몸체(730)를 기준으로 상기 봉안착홈(721,731)과 대칭을 이루는 상기 가압몸체(730)와 상기 제1 결합몸체(720)의 사이에 제1 가압피스(74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710)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하단에 끼워지는 한쌍의 제2 결합몸체(750)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몸체(750)가 상기 측면프레임(200)의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결합몸체(750)의 이격된 사이로 제2 가압피스(760)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KR1020180118670A 2018-10-05 2018-10-05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KR10197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70A KR101973968B1 (ko) 2018-10-05 2018-10-05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70A KR101973968B1 (ko) 2018-10-05 2018-10-05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968B1 true KR101973968B1 (ko) 2019-04-30

Family

ID=6628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70A KR101973968B1 (ko) 2018-10-05 2018-10-05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9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85B1 (ko) * 2019-07-04 2020-02-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20220007266A (ko) 2020-07-10 2022-01-18 김경군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623Y1 (ko) * 2001-10-11 2002-02-25 곽재석 방충망
KR200363450Y1 (ko)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0389361Y1 (ko) 2005-04-04 2005-07-14 이건 롤식 방충망
KR200422720Y1 (ko) 2006-05-15 2006-07-31 곽재석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의 원단 지지구조
KR101415901B1 (ko) * 2014-04-21 2014-07-04 허명희 전동식 롤 방충망
KR20180095308A (ko) * 2017-02-17 2018-08-27 문종배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623Y1 (ko) * 2001-10-11 2002-02-25 곽재석 방충망
KR200363450Y1 (ko)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0389361Y1 (ko) 2005-04-04 2005-07-14 이건 롤식 방충망
KR200422720Y1 (ko) 2006-05-15 2006-07-31 곽재석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의 원단 지지구조
KR101415901B1 (ko) * 2014-04-21 2014-07-04 허명희 전동식 롤 방충망
KR20180095308A (ko) * 2017-02-17 2018-08-27 문종배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85B1 (ko) * 2019-07-04 2020-02-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20220007266A (ko) 2020-07-10 2022-01-18 김경군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08B1 (ko) 권취식 스크린 장치
KR101851044B1 (ko) 롤스크린 장치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1973968B1 (ko)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CN108775221A (zh) 具备可替换的微尘阻隔用过滤网的防虫网组装体
JP6126898B2 (ja) サッシ
JP201717984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JP3484699B2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101473225B1 (ko) 수직 이동형 블라인드
KR200237001Y1 (ko) 롤러식방충망의 록킹장치
JP6983564B2 (ja) スクリーンの固定構造およびスクリーン装置
JPH0335039Y2 (ko)
KR930000599Y1 (ko) 스크리인 장치
KR20040067260A (ko)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