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259B1 -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 Google Patents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259B1
KR102450259B1 KR1020210076123A KR20210076123A KR102450259B1 KR 102450259 B1 KR102450259 B1 KR 102450259B1 KR 1020210076123 A KR1020210076123 A KR 1020210076123A KR 20210076123 A KR20210076123 A KR 20210076123A KR 102450259 B1 KR102450259 B1 KR 10245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pair
guide
handrail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시스템(주) filed Critical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1007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92Means allowing the closures to be shifted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레일; 한 쌍의 측부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방충망; 상기 측부레일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방충망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링부; 및 상기 방충망의 양측에는 형상이 유지되도록 소정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인장벨트;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하부에 구비된 롤링부의 회전에 의하여 방충망이 측부레일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Screen Structure for Railing}
본 발명은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레일 사이에 방충망이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측부레일의 상,하부에는 한 쌍의 롤링부가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방충망이 상하로 이동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복층의 공동주택에는 건축물의 외부와 접하도록 발코니가 설치된다.
발코니와 베란다가 혼용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측으로 연장된 공간을 발코니라 지칭하며, 국내에서는 2005년 12월부터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함으로써 일정 면적 이상의 대피공간과 스플링 쿨러를 갖추는 것을 조건으로 벽면과 지붕이 바닥면과 함께 설치된 확장형 발코니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재실자들은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전망, 휴식, 운동 등의 목적은 물론 창고나 다용도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국내 건축법에서는 발코니의 외측에 필수적으로 추락방지 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모든 공동주택에는 1.2m 높이의 난간을 설치하거나, 1.2m 높이까지 개방이 불가능한 강화유리창을 설치하고, 대신 1.2m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만 개방이 가능하도록 미닫이 창이나 여닫이 창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 1a와 같이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아가 가려 개방감이 저하되고, 난간에 각종 생활용품을 거치함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었으며, 난간과 유리창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청소가 어려우며, 무엇보다 난간을 설치하는데 드는 시공상의 번거로움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화유리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개방감이 확보될 수는 있으나, 환기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유리의 넓은 표면적에 의하여 강한 풍하중에 유리가 파손될 위험성이 높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6373호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2018. 6. 4.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방충망(1)을 에워싸도록 프레임(2)이 형성되고, 하부에 구비되는 권취부(3)에 방충망(1)이 권취된 상태로 탄성체(4)의 복원력과 권취부(3)의 회전 복원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방충망(1)의 반자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상기 방충망(1)의 상단에는 난간바(5)가 구비되어 일정 높이 이하로는 이동하지 않고, 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1.2m 이상의 범위에서 방충망(1)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탄성체(4)는 물론 권취부(3)에도 회전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프링과 와이어 등이 구비되는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에 어려움이 있었고, 그에 따라 비용이 상승되었으며, 특히 내구성도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잦은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속의 형상과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방충망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되어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롤링부에 의하여 방충망의 상하 이동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상기 방충망과 측부레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조작이 용이하며, 아울러 내구성이 확보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는, 수직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방충망(20); 상기 측부레일(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방충망(2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링부(30); 및 상기 방충망(20)의 양측에는 형상이 유지되도록 소정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인장벨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인장벨트(40)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 사이에 회전이 가능도록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레일(10)에는 방충망(20)이 가이드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릿(11)은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슬릿 웨브(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 웨브(1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슬릿 플랜지(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충망(20)의 상단에는 난간바(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바(50)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레일(1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11)에는 일정 높이에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상기 난간바(50)의 하부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바(50)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롤러(31)를 덮도록 상부 커버(6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6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52)이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돌기(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에 의하면 상,하부에 구비된 롤링부의 회전에 의하여 방충망이 측부레일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충망의 양측에는 인장벨트가 결합되어 방충망의 이동간에도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부여되어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부속이나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인장벨트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하부 롤러 사이에 거치되어 충분한 마찰력이 확보되므로 롤링부의 회전에 따라 인장벨트도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인장벨트에 결합된 방충망도 측부레일에 가이드된 상태로 가이드 슬릿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슬릿 웨브 사이에 가이드 슬릿이 마련되고, 상기 슬릿 웨브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슬릿 플랜지가 형성되어 방충망의 상하 이동에 따른 방충망 및 인장벨트의 간섭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부속의 개수와 형상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방충망의 상하 이동에 따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의 상단에는 난간바가 결합되어 조작이 용이하고, 특정 높이에 구비됨에 따라 난간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부레일의 일정 높이에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난간바의 하부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a 종래의 발코니에 설치된 창과 난간을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의 (a)개방된 상태와 (b)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의 개방된 상태와 닫힌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을 생략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의 닫힌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부레일의 (a)A-A 단면도 및 (b)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가 구비된 측부레일의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S)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되게 한 쌍의 측부레일(10)이 구비되고,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에 방충망(20)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부레일(10)의 상,하부에는 각각 롤링부(30)가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방충망(2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측부레일(10)은 방충망(20)이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단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방충망(2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하부에 구비된 롤링부(30) 사이에 충분한 인장력을 지니도록 거치되어 상기 롤링부(30)가 회전함에 따라 마찰력에 의하여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에 의하면 상,하부에 구비된 롤링부(30)의 회전에 의하여 방충망(20)이 측부레일(10)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가 난간을 형성하는 1.2m 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b)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 롤링부(3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충망(20)이 (a) 상태에서 (b) 상태로 닫히도록 변화하는 경우, 상기 롤링부(3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충망(20)은 (b) 상태에서 (a) 상태로 개방되도록 변화한다.
또한, 상기 롤링부(30)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롤러(3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롤러(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롤러(31)는 상부 커버(60)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롤러(32)는 하부 커버(70)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60)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 커버(70)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창문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60)와 하부 커버(70)의 측면에는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의 회전축(33)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부 롤러(31)(32)가 회전함에 있어서 간섭 없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베어링(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링부(30)의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는 방충망(20)에 형성된 난간바(50)를 바탕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로프를 이용하여 외력이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터(M)와 같은 외부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충망(20)의 양측에는 상하 이동간에 주름이나 접힘이 발생됨이 없이 플랫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벨트(4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장벨트(40)는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지니도록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인장벨트(40)는 방충망(2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넓은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충분한 표면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벨트(40)는 방충망(2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하 이동하는 이동 방향을 따라 충분한 인장력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강성이 확보되어 이동간에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장벨트(4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 사이에 회전이 가능도록 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장벨트(40)의 일부 또는 전체에 방충망(20)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인장벨트(40)는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 사이에 충분한 인장력을 지니도록 거치되어 상기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찰력에 의하여 함께 인장벨트(40)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장벨트(40)에 결합된 방충망(20)도 함께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가 난간을 형성하는 1.2m 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는 개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닫힌 상태에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충망(20)이 개방된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방충망(20)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변화한다.
이때, 상기 방충망(20)은 인장벨트(40)가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바, 상기 망충망(20)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부속이나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벨트(40)가 360도 회전되도록 폐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에 거치되는 인장벨트(40)에 상대적인 전면과 후면이 형성되며, 상기 인장벨트(40)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측부레일(1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측부레일(10)에는 인장벨트(40)와 함께 방충망(20)이 가이드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의 (a)는 개방된 상태에서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 슬릿(11)에는 방충망(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충망(20)의 양측에 결합되는 인장벨트(4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므로 가이드 슬릿(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충망(20)은 인장벨트(40)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부여됨은 물론 일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인장벨트(40)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슬릿(11)에 걸리므로 폭방향으로도 충분한 인장이 부여되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도 5의 (b)는 개방된 상태에서의 B-B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는 전면에는 후술할 난간바(50)의 가이드편(51)이 가이드 슬릿(11) 사이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별도의 방충망(20)이 구비됨이 없이 내측으로 탄성벨트(40)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릿(11)은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슬릿 웨브(12)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슬릿 웨브(1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슬릿 플랜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 웨브(12)는 가이드 슬릿(11)을 마련함과 동시에 방충망(20)이나 난간바(50)의 가이드편(51)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 행하며, 상기 슬릿 웨브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슬릿 플랜지(13)는 탄성벨트(40)가 상하로 이동됨에 있어서 측부레일(10), 즉 측부레일(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1)과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면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슬릿 플랜지(13)에는 구리스 등을 도포하여 마찰 저항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는 전체적으로 부속의 개수와 형상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방충망(20)의 상하 이동에 따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방충방(20)의 상부에는 난간바(50)가 형성되어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난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레일(1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11)에는 일정 높이에 스토퍼(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난간바(50)의 가이드편(51)이 측부레일(10)의 가이드 슬릿(1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가운데, 상기 스토퍼(14)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되어 난간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바(50)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되고, 상부 롤러(31)를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 커버(6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52)이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돌기(61)가 형성되어 방충망(20)을 완전히 닫히도록 함에 있어서 걸림턱(52)이 걸림돌기(61)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추가적인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RS)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RS: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10:측부레일
11:가이드 슬릿 12:슬릿 웨브
13:슬릿 플랜지 14:스토퍼
20:방충망 30:롤링부
31:상부 롤러 32:하부 롤러
33:회전축 34:베어링
40:인장벨트 50:난간바
51:가이드편 52:걸림턱
60:상부 커버 70:하부 커버

Claims (11)

  1. 삭제
  2. 수직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방충망(20);
    상기 측부레일(1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상기 방충망(2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롤링부(30); 및
    상기 방충망(20)의 양측에는 형상이 유지되도록 소정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인장벨트(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벨트(40)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부 롤러(31)와 하부 롤러(32) 사이에 회전이 가능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레일(10)에는 방충망(20)이 가이드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11)은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슬릿 웨브(12)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웨브(12)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슬릿 플랜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20)의 상단에는 난간바(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바(50)는 한 쌍의 측부레일(10)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레일(1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11)에는 일정 높이에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상기 난간바(50)의 하부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바(50)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롤러(31)를 덮도록 상부 커버(6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6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52)이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돌기(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20210076123A 2021-06-11 2021-06-11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245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23A KR102450259B1 (ko) 2021-06-11 2021-06-11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23A KR102450259B1 (ko) 2021-06-11 2021-06-11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259B1 true KR102450259B1 (ko) 2022-10-06

Family

ID=8359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23A KR102450259B1 (ko) 2021-06-11 2021-06-11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633A (ko) * 2008-12-02 2010-06-10 이정오 롤스크린 장치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633A (ko) * 2008-12-02 2010-06-10 이정오 롤스크린 장치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1818A1 (en) Rolle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way
US9957749B2 (en) Sealing device for sealing a gap between a lintel and a roller shutter and a roller shutter with such a sealing device
US20180010387A1 (en) Hidden Insect Screen System for Double Hung, Tilt-to-Clean Windows
KR101694244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2450259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0409893Y1 (ko) 출입문용 도어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866373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JP7028470B2 (ja) 引き違い建具
KR100496491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낙하방지장치
KR101529853B1 (ko) 미닫이문용 방충장치
KR102558518B1 (ko) 교실용 안전 포켓도어
EP0086023B1 (en) Pivoting gauze screen door
RU91366U1 (ru) Рулонная штора
CN210858526U (zh) 一种卷闸门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2153038B1 (ko) 레일 미노출 구조를 갖는 창호
KR102415378B1 (ko) 유리 난간 방충망
JP4334257B2 (ja) 開閉体装置
JP3535409B2 (ja) 建 具
JPH0113187Y2 (ko)
KR102100584B1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충망
KR102072459B1 (ko) 회전식 방충 창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