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95Y1 -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 Google Patents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95Y1
KR200440295Y1 KR2020070006770U KR20070006770U KR200440295Y1 KR 200440295 Y1 KR200440295 Y1 KR 200440295Y1 KR 2020070006770 U KR2020070006770 U KR 2020070006770U KR 20070006770 U KR20070006770 U KR 20070006770U KR 200440295 Y1 KR200440295 Y1 KR 200440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rail bracket
space portion
traveling body
fo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완
Original Assignee
최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완 filed Critical 최성완
Priority to KR2020070006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루프와, 양 측벽과,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로 형성되며 주행체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양 측벽이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과 하측벽으로 분할되며; 상기한 상측벽과 루프,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 의해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와, 상기한 하측벽과 가이드 레일, 그리고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긴 슬롯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되며, 본 고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는 출입문의 내측에 위치하여 출입문 개방 시 방충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접이식 현관 내문이나 베란다의 차광용 목재 접이문, 또는 벽체 내장형 장롱의 접이문, 또는 욕실 등의 접이 개폐문 등에 있어서 주행체의 이동에 의한 접이문의 개폐 시 원활하고 안정적인 안내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접이문 개폐 시 손을 다칠 염려가 거의 없는 높은 개폐 안전성을 부여한다.
접이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수평바퀴, 수직바퀴, 주행체

Description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GUIDE RAIL BRACKET FOR FOLDABLE DO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적용되는 주행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적용되는 주행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주행체가 장착되는 결착구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주행체가 접이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도 3의 주행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주행체가 접이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도 4의 주행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 상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A-A선 단면도와 B-B선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적용된 예시적인 접이문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본 고안의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2: 하우징 3: 루프
4: 측벽 4a: 상측벽
4b: 하측벽 4c: 돌출부(돌출대: 突出帶)
5: 바닥부 6: 수직 연장부
7: 가이드 레일 7a; 단턱
7b: 돌출부(돌출대) 8: 가이드 레일
8a: 단턱 8b: 돌출부(돌출대)
9: 슬롯(또는 개구) 9a: 슬롯(또는 개구)
C1: 제1 공간부 C1a: 좌측 제1 공간부
C1b: 우측 제1 공간부 C2: 제2 공간부
10: 제1 문편
11: 격자 12: 방충망
20: 제2 문편
21: 격자 22: 방충망
30: 힌지
40: 결착구
41: 측벽 42: 플랜지
43: 환형테 43a: 환형공
44: 삽입공
50, 50a: 주행체
52: 몸체 52a: 바닥부
52b: 날개부 52c: 롤러 고정부
53: 고정축 53a: 받침부
53b: 삽입축 57: 수직 바퀴
58: 롤러 58a: 헤드
59: 수평 바퀴 60: 핀
100: 접이문
110, 120: 수직 문틀 130, 140: 수평 문틀
본 고안은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바로 내측에 위치하여 출입문 개방 시 방충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접이식 현관 내문이나 베란다 경계의 다수의 짝으로 이루어지는 차광용 목재 접이문,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 공간의 벽체 내장형 장롱의 접이문, 또는 욕실 등의 접이 개폐문 등에 있어서 주행체의 이동에 의한 접이문의 개폐 시 원활하고 안정적인 안내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접이문의 개폐 시 손을 다칠 염려가 거의 없어서 높은 개폐 안전성을 부여할 수가 있는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현관 내문, 베란다 문, 벽체 내장형 장롱문, 욕실문 등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반으로 접히거나 또는 다절(多節) 식으로 접힘 가능한 접이문 또는 창문은 어느 것이나 개폐 동작 시 접힘을 위한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접혀지는 자유단의 일측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는 한 쌍의 수직 바퀴가 장착된 다양한 주행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주행체가 장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는 루프와 양 측벽과 저면에 긴 슬롯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로서의 바닥부로 형성되는 통체 형상, 또는 상기한 슬롯의 단부가 상향으로 절곡된 통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프레임의 사이즈가 크고 중량이 큰 현관 내문 등의 경우, 합성 수지제로 형성되는 수직 바퀴 지지 구조체가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슬롯이나 슬릿 내측 면 또는 그 단턱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됨으로써 개폐 조작이 원활치 못하게 되거나 또는 마찰에 의해 귀에 거슬리는 강한 소음을 내게 된다거나 또는 심할 경우 상기한 수직 바퀴 지지 구조체 자체가 파손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한 동일자 출원은 수직 바퀴 외에 수평 바퀴도 아울러 장착된 주행체를 제안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한 주행체를 만족스럽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는 접이문의 개폐 동작 종료 시점에 인접한 시점에서 주행체의 운동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손 부상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는 구조는 본 출원인이 파악하고 있는 한 전혀 제안되어 있는 바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접이문의 개폐 조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 바퀴가 장착된 주행체가 가이드 레일의 주행 경로를 통하여 우수한 주행 작동성을 나타내도록 원활하고 안정적이며 신뢰성 있는 안내 특성을 나타내는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접이문의 개폐 조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접이문의 개폐 동작 종료 시점에 인접한 시점에서 주행체의 운동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손 부상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는 안전성이 제고된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루프와 양 측벽과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로 형성되며 주행체가 수납되는 하우징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양 측벽이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과 하측벽으로 분할되며; 상기한 상측벽과 루프,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 의해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와, 상기한 하측벽과 가이드 레일, 그리고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긴 슬롯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루프와 양 측벽과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로 형성되며 주행체가 수납되는 하우징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양 측벽이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과 하측벽으로 분할되고, 상기한 루프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한 수직 연장부 단부에 그 양측으로 상기한 제1 가이드 레일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상기한 상측벽과 루프,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그리고 상기한 수직 연장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며, 상기한 수직 연장부에 의하여 좌측 제1 공간부와 우측 제1 공간부로 분할되어 있는 제1 공간부와, 하측벽과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그리고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두 개의 긴 슬롯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양태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제2 공간부의 하측벽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 다.
본 고안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양태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제1 공간부의 가이드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상면 영역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단부에 인접할수록 그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전히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단부에 인접할수록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져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양태에 따르면, 접이문의 자유단 상측 및/또는 하측이 상기한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주행 경로 내에서 출입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 없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안내되어 개폐되며, 접이문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의 종료 시점에 이르면 주행체의 운동량을 저감시켜 손 부상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에 대한 사시도로서, 그 주요 구성은 루프(3)와, 양 측벽(4)과, 긴 슬롯(9)을 갖는 바닥부(5)로 형성되는 하우징(2)과, 상기한 양 측벽(4)으로부터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7)을 갖는 하우징(2)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양 측벽(4)은 가이드 레일(7)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4a)과 하측벽(4b)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상측벽(4a)과 루프(3), 그리고 가이드 레일(7)에 의해 한정되고 주행체(미도시: 도 3과 도 7 참조)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C1)와, 상기한 하측벽(4b)과 가이드 레일(7), 그리고 긴 슬롯(9)을 갖는 바닥부(5)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C2)를 가지며, 상기한 제1 공간부(C1)와 제2 공간부(C2)가 긴 슬롯 또는 개구(9a)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루프(3)의 형상은 본 고안에 있어 선택적이나 통상은 양단부가 만곡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 레일(7)의 연장 단부는 그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상방으로 절곡된 단턱(7a)을 두어 주행체(미도시) 수직바퀴가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고안에 있어 임의적이다.
도시된 예에서, 그 A-A선 및 B-B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 10 및 11을 함 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벽(4b)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다수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대(突出帶)(4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이 있는 천연 또는 합성 수지재의 수평바퀴(미도시)가 주행하여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면 상기한 돌출대(4c)에 의하여 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개폐 동작의 종료 부분에서 손이 문틈에 끼어 부상하게 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7)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다수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대(7a)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이 있는 천연 또는 합성 수지재의 수직바퀴(미도시)가 주행하여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면 상기한 돌출대(7a)에 의하여 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개폐 동작의 종료 부분에서 손이 문틈에 끼어 부상하게 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하측벽(4b) 또는 가이드 레일(7)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대(4c) 또는 돌출대(7a)는 접이문의 자유단(즉, 이동단)이 위치하는 단부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는 접이문의 자유단(즉, 이동단)이 위치하는 단부와 고정단이 위치하는 단부 모두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돌출대(4c) 또는 돌출대(7a)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단부로 갈수록 그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높여 둠으로써 주행체의 주행 속도를 단부로 갈수록 더 높은 정도로 감속 제어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그 돌출 높이를 동일하게 하되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단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밀집도를 높여 주행체의 주행 속도가 단부로 갈수록 더 높은 정도로 감속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들 두 가지 감속 제어 수단을 각각 독립적 으로 채택하거나 또는 이들 이들을 병용하여 채택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한 가지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모두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접이문의 개폐 시에 개폐 동작 종료 시점에서의 주행체의 주행 속도 감속에 의한 손 부상 방지를 위한 것이라면,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이 반원형인 다수의 돌출대(4c) 또는 (7a)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수의 돌출 도트(dot) 형상으로 하거나, 지그재그(zigzag)형이나 파형(波形) 돌출부로 하거나, 다수의 요철부로 하거나, 그물눈 형상으로 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바닥부(5)의 일측이 하우징(2)의 저면 외측으로 연장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부(5)의 양측이 하우징(2)의 저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연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a)에 대한 사시도로서, 그 주요 구성은 루프(3)와, 양 측벽(4)과, 긴 슬롯(9)을 갖는 바닥부(5)와, 상기한 양 측벽(4)으로부터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7)과, 상기한 루프(3)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6)와, 상기한 수직 연장부(6)의 단부에 그 양측으로 상기한 제1 가이드 레일(7)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8)을 갖는 하우징(2)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양 측벽(4)은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7)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4a)과 하측벽(4b)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상측벽(4a)과 루프(3), 제1 가이드 레일(7), 수직 연장부(6), 그리고 제2 가이드 레일(8)에 의해 한정되고 주행체(미도시: 도 3과 도 7 참조)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는 좌측 제1 공간부(C1a)와, 상기 좌측 제1 공간부(C1a)와 동일하며 수직 연장부(6)를 이웃하여 그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제1 공간부(C1b)와, 상기한 하측벽(4b)과 가이드 레일(7), 그리고 긴 슬롯(9)을 갖는 바닥부(5)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C2)를 가지며, 상기한 좌측 및 우측 제1 공간부(C1a,C1b)와 제2 공간부(C2)는 각각 긴 슬롯 또는 개구(9a)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 외 나머지 사항은 도 1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그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에 적용되는 주행체(50)에 대한 사시도로서, 고정축(53)과, 상기한 고정축(53)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며 롤러 고정부(52c)를 갖는 몸체(52)와, 상기한 롤러 고정부(52c)에 결합되는 롤러(58) 양단부의 수직 바퀴(67)와, 상기한 고정축(53)과 몸체(52) 사이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는 수평 바퀴(59)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한 몸체(52)는 바닥부(52a)와 한 쌍의 날개부(52b), 그리고 상기한 날개부(52b) 상에 형성되는 롤러 고정부(52c)로 형성된다.
상기한 롤러 고정부(52c)는 몸체(52)의 양 날개부(52b) 상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부품수 및 공수 감소를 위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몸체(52)와 고정축(53) 사이에는 수평바퀴(59)가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며, 몸체(52)는 예컨대 도시된 핀(60) 등과 같은 임의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축(5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수평바퀴(59)는 몸체(52)의 바닥부(52a) 저면과 고정축(53)의 받침부(53a) 상면 사이에 회전자재(回轉自在)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고정축(5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축(53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착구(40)에 삽지(揷止) 고정되며, 상기한 수평바퀴(59)와 몸체(52)의 바닥부(52a) 저면 및 고정축(53)의 받침부(53a) 상면 사이에는 각각 수평바퀴(59)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도록 와셔(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8a는 롤러 헤드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a)에 적용되는 주행체(50a)에 대한 사시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도 3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주행체(50a)는 도 3에 나타낸 주행체(50)와 대비하여 롤러(58)가 2개이고, 따라서 수직바퀴(57)가 총 4개로 형성되는 예이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몸체(52)의 롤러 고정부(52c) 2개의 각각에 수직 바퀴(57)가 그 내외에 설치된다.
그 외 나머지 사항은 도 3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주행체(50 또는 50a)가 장착되는 결착구(40)에 대한 일부 절결 사시도로서, 결착구(40)는 접이문의 자유단 쪽 수직 프레임(미도시)의 상방 및/또는 하방에 장착되며, 플랜지(42)를 갖는 측벽(41)과 상기 측벽(41)으로부터 내부에 환형테(43)를 갖는 환형공(43a)이 형성되어, 전술한 주행체(50 또는 50a)의 고정축(53)의 삽입축(53b)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환형공(43a)의 하방에 형성된 삽입공(44) 후방으로부터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결착구(40)와 주행체(50 또는 50a를 상호 고정하게 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환형공(43a)의 하방에 암나사를 갖는 삽입공(44)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술한 주행체(50 또는 50a)의 삽입축(53b)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의 주행체(50)가 접이문(1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접이문(100)은 힌지(30)에 의해 피벗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문편(門片)(10)과 제2 문편(20)으로 구성되며 제1, 2 문편(10, 20)의 프레임 내측에는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 격자(grid)(11, 21)와 방충망(12, 22)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이문(100)은 제1 문편(10)의 고정단{즉, 힌지(30) 설치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이 문틀(미도시)에 고정되고 제2 문편(20)의 자유단{즉, 힌지(30) 설치단에 대향하는 타측단}은 개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행체(50)가 제2 문편(20)의 상기한 자유단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미도시, 도 1 및 도 6 참조)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에 도 3의 주행체(5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 상태도로서,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는 수평 문틀(130) 내에 끼워지며 나사 등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9)을 갖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양 측벽(4)으로부터 중앙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조의 가이드 레일(7)과, 상기 가이드 레일(7)의 단부로부터 직교하는 상방으로 연장된 이탈 방지용 단턱(7a)과, 상기한 한 쌍의 단턱(7a) 사이의 슬롯(9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하우징(2)은 도 3에 나타낸 주행체(50)의 수직 바퀴(57)가 가이드 레일(7) 상에 위치하는 제1 공간부(C1)와, 수평바퀴(59)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C2)를 가진다.
한편, 미설명부호 40은 결착구로써 그에 형성된 결착공(미도시) 내에 주행체(50)의 삽입축(3c)이 삽입 결착된다.
주행체(50)의 수직 바퀴(57)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제1 공간부(C1)의 가이드 레일(7) 상에서 주행하며, 수평 바퀴(59)는 제2 공간부(C2)의 양 측벽을 따라 주행한다. 따라서, 주행체(50)는 수직바퀴(57)에 의해 접이문의 개폐 방향으로 주행할 때, 수평 바퀴(59)에 의해 상기한 개폐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이문에 비틀림 힘이 가해지더라도 접이문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접이문을 정위치로 부드럽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주행체(50)의 날개부(52b)가 슬롯(9a)과 마찰되거나 또는 핀(60)이 슬롯(9)에 마찰되어 귀에 거슬리는 마찰음을 발생시킨다거나 또는 핀(60)이나 날개부(52b)가 부러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이 안전하고도 원활하게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 트(1)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하측벽(4b)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다수의 종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대(突出帶)(4c)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바퀴(59)가 주행하여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면 상기한 돌출대(4c)에 의하여 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개폐 동작의 종료 부분에서 손이 문틈에 끼어 부상하게 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가이드 레일(7)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다수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대(7a)가 형성되어 있어서, 수직바퀴(57)가 주행하여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이르면 상기한 돌출대(7a)에 의하여 속도가 감속되도록 함으로써 개폐 동작의 종료 부분에서 손이 문틈에 끼어 부상하게 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하측벽(4b) 또는 가이드 레일(7)의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대(4c) 또는 돌출대(7a)는 일단부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양단부에 형성할 수 있음도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돌출대(4c) 또는 돌출대(7a)를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단부로 갈수록 그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높여 두거나, 또는 돌출 높이는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의 단부로 갈수록 그 간격을 좁게 하거나, 이들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고, 다수의 돌출 도트(dot) 형상으로 하거나, 지그재그(zigzag)형이나 파형(波形) 돌출부로 하거나, 다수의 요철부로 하거나, 돌출 그물눈 형상으로 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도 4의 주행체(50a)가 접이문(10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주행체(50a)가 수직 바퀴(도면부호 미부여)를 4개 갖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a)에 도 4의 주행체(50a)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 상태도로서, 도 7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7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9에서 도 7의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a)를 형성하는 하우징(2)에서 주행체(50a)의 수직 바퀴(57)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가 루프(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6)에 의해 좌측 제1 공간부(C1a)와 우측 제1 공간부(C1b)로 분할되며, 상기한 좌측 제1 공간부(C1a)와 우측 제1 공간부(C1b) 각각에 주행체(50a)의 롤러 고정부(52c)와 2 개의 수직 바퀴(57)가 수용되며, 상기한 두 개의 수직 바퀴(57) 중 하나는 측벽(4)으로부터 중앙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레일(7) 상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수직 연장부(6) 단부로부터 그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레일(8) 상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수평 바퀴(59)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C2)는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가이드 레일(8) 상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마루대(8a)가 형 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레일(8)의 연장 단부는 그에 직교하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직 바퀴(57) 이탈 방지용 단턱(8a)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단턱(8a)은 본 고안에 있어 임의적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A-A선 단면도와 B-B선 단면도로서 도 1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하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돌출대(4c)(7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간격을 단부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시키거나 또는 단부에 위치하는 돌출대(4c)(7a)의 돌출 높이를 이격한 돌출대(4c)(7a) 보다 약간씩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할 수도 있고, 그 형상도 다수의 돌출 도트(dot) 형상, 돌출 지그재그(zigzag)형, 돌출 파형(波形), 다수의 요철형상, 돌출 그물눈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고안의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 또는 1a)가 적용된 예시적인 접이문(100)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접이문(100)은 방범용 격자(11)와 방충망(12)을 갖는 제1 문편(10)과 이에 힌지 결합되며 방범용 격자(21)와 방충망(22)을 갖는 제2 문편(20)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1, 2 문편(10, 20)은 각각 한 조의 수직 프레임과 한 조의 수평 프레임, 그리고 하나의 중간 프레임을 가지나, 상기한 중간 프레임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중간 프레임에는 잠금부와 그립(grip)부, 그리고 필요하다면 조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2 문편(10, 20)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그리고 중간 프 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는 방범용 격자(11, 21)와 방충망(21, 22)이 형성된다.
한편, 문틀은 한 조의 좌우 수직틀(110, 120)과 한 조의 상하 수평틀(130, 140)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이문(100)의 자유단{즉, 제2 문편(20)의 힌지 측에 대향하는 타측단} 상단 및/또는 하단에 고정된 결착구(도 5 참조)에 결착 고정된 주행체(50, 50a)는 그 수직 및 수평 바퀴(57, 59)에 의해 한 조의 상하 수평틀(130, 140) 내에 삽지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1, 1a) 내에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신뢰성 높게 안내됨과 아울러, 접이문(100)의 개폐 시 손 부상의 염려도 거의 없으므로 높은 개폐 안전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를 이용하면, 접이문의 개폐 조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직 바퀴는 물론, 수평 바퀴도 안내하므로 수직 및 수평 바퀴를 갖는 주행체가 가이드 레일의 주행 경로를 통하여 우수한 주행 작동성을 나타내도록 원활하고 안정적이며 신뢰성 높은 안내 특성을 나타냄과 아울러, 접이문의 개폐 동작 종료 시점에 인접한 시점에서 주행체의 운동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손 부상의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어서 높은 안전성을 나타낸다.

Claims (8)

  1. 루프와, 양 측벽과,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로 형성되며, 주행체가 수납되는 하우징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에 있어서,
    상기한 양 측벽이 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각각 상측벽과 하측벽으로 분할되며;
    상기한 상측벽과, 루프와, 가이드 레일에 의해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직 바퀴와 롤러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와, 상기한 하측벽과, 제1 가이드 레일, 그리고 긴 슬롯을 갖는 바닥부에 의하여 한정되고 주행체의 수평 바퀴가 위치하는 제2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한 제2 공간부의 하측벽의 양 단부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긴 슬롯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guide rail bracke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루프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한 수직 연장부 단부에 그 양측으로 상기한 제1 가이드 레일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가지며; 상기한 제1 공간부가 상측벽과, 루프,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 그리고 상기한 수직 연장부에 의하여 한정되며, 상기한 수직 연장부에 의하여 좌측 제1 공간부와 우측 제1 공간부로 분할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공간부의 가이드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상면 영역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단부에 인접할수록 돌출부의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단부에 인접할수록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져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의 단부에 인접할수록 돌출부의 돌출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대됨과 동시에,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져 있는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수의 돌출부가 돌출대(突出帶), 돌출 도트(dot), 돌출 지그재그(zigzag)형, 돌출 파형(波形), 요철형, 또는 돌출 그물눈 형상인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KR2020070006770U 2007-04-24 2007-04-24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KR200440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70U KR200440295Y1 (ko) 2007-04-24 2007-04-24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770U KR200440295Y1 (ko) 2007-04-24 2007-04-24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95Y1 true KR200440295Y1 (ko) 2008-06-05

Family

ID=4163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770U KR200440295Y1 (ko) 2007-04-24 2007-04-24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6212B1 (en) Screen device
NL2007194C2 (en) Retractable and extendable covering device.
JPH08177340A (ja) 建物用シャッタ装置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74753B1 (ko) 폴딩도어
KR200440295Y1 (ko) 접이문용 가이드 레일 브라켓트
KR102216704B1 (ko) 자바라식 출입문
US5492164A (en) Window safety system for a child or the like
KR102249877B1 (ko) 롤 스크린 방충망 장치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200440296Y1 (ko) 접이문용 주행체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JPH0328710Y2 (ko)
EP1366261B1 (en) Device in door arrangement
KR102450259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0401417B1 (ko) 여닫이문의 안전장치 설치구조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102603148B1 (ko)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JP7404431B2 (ja) 間仕切り及び室内システム
KR102406890B1 (ko) 차량의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102503392B1 (ko)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JP2814196B2 (ja) 折畳み式扉
JP3479156B2 (ja) 横開きシャッターのコーナ部の遮蔽構造
KR20110000835U (ko) 미닫이 창문용 다목적 잠금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