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148B1 -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148B1
KR102603148B1 KR1020230033686A KR20230033686A KR102603148B1 KR 102603148 B1 KR102603148 B1 KR 102603148B1 KR 1020230033686 A KR1020230033686 A KR 1020230033686A KR 20230033686 A KR20230033686 A KR 20230033686A KR 102603148 B1 KR102603148 B1 KR 10260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door
hole
lock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03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1Foot-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olding wings, e.g.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2Guides for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딩도어의 접이식 도어 또는 도어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장착이 편리하고, 발(foot)로서 락(lock)을 걸거나 해제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도어용 기능성 풋락 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작동레버의 전방가이드홀을 형성한 전방부와, 좌/우측 가이드돌기의 후방가이드홀이 형성된 후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하되 상기 전방가이드홀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가 형성되고, 탄성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락돌기와, 상기 후방좌/우측가이드홀에 안착이 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내부락작동부;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굽히지 않고 서있는 상태에서 락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Foot Locks Device}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도어의 접이식 도어 또는 도어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장착이 편리하고, 사용자는 발(foot)로서 락(lock)을 걸거나 해제가 되도록 내부 탄성력을 이용한 풋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접이식 폴딩도어는 직사각형 창호 프레임이 연속해서 연결되어 둘 이상의 도어가 접히면서 열리거나 닫히는 장치로서, 내부와 외부가 직접 통하도록 외부와의 개방도를 높이고, 동시에 통풍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많이 사용되는 도어 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어와 다르게 특성상 각 창호 프레임 자체에 하중이 많이 걸려 크게 만들 수 없어, 일정 크기로 제작하여 연속 연결하여 많이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 특성상 열거나 닫을 때 각 창호 프레임 마다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핸들 손잡이를 작동하여야 하는 점이 단점이다.
상기 핸들 손잡이의 잦은 사용은 고장의 원인으로 A/S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폴딩도어를 이루는 각 창호 프레임의 개방 후, 각 창호 프레임에 설치한 핸들 손잡이 핸들부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시스템으로서, 폴딩도어를 닫을 때에는 핸들 손잡이를 작동하지 않아도 각 창호 프레임을 직접 밀어 반자동 방식으로 닫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핸들 손잡이의 사용을 최소화였으며, 핸들 손잡이는 창호 프레임 개방할 때만 사용하여, 핸들 손잡이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이에 따라서, 핸들 손잡이의 사용 횟수가 줄어들어 결국 핸들 손잡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폴딩도어를 사용한 후, 사용자가 닫을 때, 핸들 손잡이를 돌리면서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창호 프레임을 넘어 헤더가 프레임에 형성된 락 홈에 잠기기 때문에 핸들 손잡이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비용이 증가되어 설치비용과 제품가격의 증가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842834호(2018.03.2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23-0035961호(2023.03.1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사용시에 허리를 굽히지 않고 쉽게 발(Foot)로 작동할 수 있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어방식으로 사용되는 기존방식은 미사용시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로 인한 작동이 어려운 것을 해결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하여 수직으로 이동하여 락(Lock)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작동레버의 전방가이드홀을 형성한 전방부와, 좌/우측 가이드돌기의 후방가이드홀이 형성된 후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하되 상기 전방가이드홀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가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한 탄성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갖는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와, 상기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락돌기와, 상기 후방좌/우측가이드홀에 안착이 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내부락작동부;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방가이드홀 또는/및 후방좌/우측가이드홀을 'L'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수직홀로 형성함으로 상기 내부락작동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평홀에 락이 걸리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는 장착이 편리하고, 이물질의 삽입시에도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어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굽히지 않고 서서 발로 락기능과 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폴딩도어에 장착한 사용실시예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를 방문 도어에 장착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는,
작동레버(200)를 장착하도록 전방가이드홀(180)을 형성한 전방부(310)와, 좌/우측 가이드돌기(330,340)를 장착하도록 후방가이드홀(170)이 형성된 후방부(320)와, 수직락돌기(140)가 삽입되도록 하부관통구(210)를 포함하는 본체부(400);
상기 본체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하되, 상기 전방가이드홀(310)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200)가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스프링(13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130)와, 상기 좌/우측스프링고정돌기(130)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락돌기(140)와, 상기 후방가이드홀인 후방좌/우측가이드홀(150,160)에 안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가이드돌기(330,340)를 포함하는 내부락작동부(30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부(400)는 내부락작동부(300)가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발로 눌러서 체결이 가능하도록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에 각각 전방가이드홀과 후방가이드홀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방가이드홀(310) 또는/및 후방좌/우측가이드홀(150,160)는, 'L'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수직홀(110)로 형성함으로 상기 내부락작동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의 수평홀(120)에 락(Lock)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전방가이드홀(100)과 후방가이드홀(170)은 'L'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방향의 경사홀(110)로 이동시에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가이드홀(100)의 수직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수직홀(110)로 형성함으로 상기 내부락작동부(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의 수평홀(120)에 락(Lock)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후방부(320)의 후방가이드홀(170)은 후방좌측가이드홀(150)과 후방우측가이드홀(160)로 형성하였다.
상기 후방좌측가이드홀(150)와 후방우측가이드홀(160)는 상기 전방가이드홀(100)과 같이 수직방향의 경사면을 갖도록 양측 가이드홀에 형성하였다.
상기 후방좌측가이드홀(150)와 후방우측가이드홀(160)는 각각에 수직홀(110-1)로 형성함으로 상기 내부락작동부(30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의 수평홀(120-1)에 락(Lock)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부(400)의 바닥면에는 스프링(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본체돌기(130-1)를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내부락작동부(300)는 본체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하되, 상기 전방가이드홀(100)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20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작동레버(200)를 고정하기 위해 전면밀착형 돌출지지판(260)을 형성하여 본체부 내부에 형성한 좌/우측가이드지지면(280,290)에 따라 이동시 가이드가 되도록 돌출된 특징이 있다. 상기 전방가이드홀(180)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200)의 사이에는 전방커버(250)를 형성하여 도어의 하단에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370)과 고정피스구(380)를 형성하여 고정피스(360)로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190)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좌우측면에 좌/우측에 스프링고정돌기(130)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상부에는 좌/우측에 스프링고정돌기(130)와 본체부에는 내에는 스프링고정돌기(130-1)를 각각 형성하여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좌/우측의 스프링고정돌기(130)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락돌기(140)는 문틀 사이에 삽입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후방좌/우측가이드홀(150,160)에 안착이 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가이드돌기(330,340)를 형성하여 후방좌/우측가이드홀(150,160)에 끼워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부(40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350)를 형성하여 고정피스(360)로 고정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작동레버(200)의 헤드부(200-1)는 원형, 타원형, 각형구조로 형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친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도록 본체부의 측면에 장착구가 형성된 장착돌기부(230)를 각각 형성하여 고정피스로 정정하여 장착한 특징이 있다.
상기 내부락작동부(300)의 수직락돌기(140)는 끝단에 미끄럼방지재 또는 고무패킹(220)을 끼워서 미끄러짐을 방지한 특징이 있다. 상기 고무패킹(220)은 내부가 나선형으로 돌려서 상하부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하부면에 장착이 편리하도록 형성하여 바람이 불거나 방문이 잠기지않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100: 전방가이드홀 110: 수직홀
120: 수평홀 130: 스프링고정돌기
140: 수직락돌기 150: 후방좌측가이드홀
160: 후방우측가이드홀 170: 후방가이드홀
180: 후방가이드홀 190: 스프링
200: 작동레버 210: 하부관통구
` 220: 고무패킹 230: 장착돌기부
300: 내부작동부 400: 본체부

Claims (5)

  1.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에 있어서,
    작동레버(200)를 장착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전방가이드홀(100)을 형성한 전방부(310)와, 좌/우측 가이드돌기(330,340)가 장착되며 경사면을 갖도록 후방가이드홀(170)이 형성된 후방부(320)와, 수직락돌기(140)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하부관통구(110)를 포함하는 본체부(400);
    상기 본체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하되, 상기 전방가이드홀(100)에 끼워지도록 작동레버(200)가 형성되고 탄성스프링(190)을 고정하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130)와,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30)의 사이에 형성된 수직락돌기(140)와, 상기 후방가이드홀(170)인 후방좌/우측가이드홀(150,160)에 안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좌/우측가이드돌기(330,340)를 포함하는 내부락작동부(300);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락작동부(300)가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발로 눌러서 체결이 가능하도록 전방부(310)와 후방부(320)에 각각 전방가이드홀과 후방가이드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이드홀(100) 또는 후방가이드홀(170)는,
    'L'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수직홀(110)로 형성함으로 상기 내부락작동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의 수평홀(120)에 락(Lock)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110)은
    경사각이 15도 내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200)의 헤드부(200-1)는,
    원형, 타원형, 각형구조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장착구가 형성된 장착돌기부(230)를 형성하여 고정피스로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본체부내에 형성된 내부락작동부(300)의 수직락돌기(140)는 끝단에 고무패킹(220)을 끼워서 바닥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도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KR1020230033686A 2023-03-15 2023-03-15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KR10260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686A KR102603148B1 (ko) 2023-03-15 2023-03-15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686A KR102603148B1 (ko) 2023-03-15 2023-03-15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148B1 true KR102603148B1 (ko) 2023-11-17

Family

ID=8896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686A KR102603148B1 (ko) 2023-03-15 2023-03-15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1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33Y1 (ko) * 2005-11-08 2006-01-20 최명진 도어버팀장치
KR101842834B1 (ko) 2017-06-09 2018-03-29 김은회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KR20230035961A (ko) 2021-09-06 2023-03-14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자체 잠금 및 지정 위치 자동 접힘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33Y1 (ko) * 2005-11-08 2006-01-20 최명진 도어버팀장치
KR101842834B1 (ko) 2017-06-09 2018-03-29 김은회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KR20230035961A (ko) 2021-09-06 2023-03-14 케이에스토스템 주식회사 자체 잠금 및 지정 위치 자동 접힘 폴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493A (en) Astragal housing seal and lock
US8205388B2 (en) Gat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513539B2 (en) Locking astragal and associated methods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US20030005643A1 (en) Safety door barrier with locking hinge and automatic latch
KR101076822B1 (ko) 셔터 장치에 있어서의 셔터 커튼의 들어올림 방지 구조
KR102603148B1 (ko) 도어용 기능성 풋락장치
KR102278462B1 (ko) 비상용 창호 설치형 안전난간대
KR101020615B1 (ko) 안전도어 및 안전바 동시 잠금장치
JP4848306B2 (ja) 開き窓における開口制限ストッパー装置
US20110049912A1 (en) Window or door frame having brace device
US20070283629A1 (en) Astragal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JP6802007B2 (ja) 内開き扉の遮蔽構造
JP4192074B2 (ja) 内倒し窓の換気ステー
KR20230133987A (ko) 폴딩도어용 잠금장치
JP4433414B2 (ja) 片開き窓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KR20090004785U (ko) 도어록의 스트라이크
JP5036335B2 (ja) 面格子
JP3225681U (ja) 窓締結器
JP4279106B2 (ja) 開き窓の開閉体用ロック装置
KR102226822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