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92B1 -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92B1
KR102503392B1 KR1020210156446A KR20210156446A KR102503392B1 KR 102503392 B1 KR102503392 B1 KR 102503392B1 KR 1020210156446 A KR1020210156446 A KR 1020210156446A KR 20210156446 A KR20210156446 A KR 20210156446A KR 102503392 B1 KR102503392 B1 KR 10250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rotating shaft
frame
housing frame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중식
Original Assignee
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중식 filed Critical 금중식
Priority to KR102021015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식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출입문용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름 방충망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쳐 창호를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고,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구를 개방토록 하되, 상기 자동화를 출입문 창호를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인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된 장력 조절 부재를 통해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이 회전축에 감기는 동작에 의해 손잡이 프레임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좌측 쫄대에 부착 고정되는 주름 방충망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방향으로 근접 이동되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친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보다 개선된 구조를 갖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A PLURALITY WRINKLE SCREEN WINDOW SYSTEM OF ENTRANCE}
본 발명은 접힘 구조를 갖는 출입문용 주름 타입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 식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출입문용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름 방충망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쳐 창호를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고,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구를 개방토록 하되, 상기 자동화를 출입문 창호를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인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된 장력 조절 부재를 통해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이 회전축에 감기는 동작에 의해 손잡이 프레임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좌측 쫄대에 부착 고정되는 주름 방충망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방향으로 근접 이동되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친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보다 개선된 구조를 갖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출입문(단문형,양문형 등)용 주름 타입 방충망은 대부분이 내구성을 고려하여 수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바, 이는 필요에 따라 주름 방충망의 펼침 및 절첩 모두를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을 인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출입문 등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주름 방충망은 접힘 구조를 갖는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방충망이 고정된 이동 가능한 손잡이 프레임을 록크부재가 부설된 우측 외곽프레임 측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펼치면서 출입문의 창호를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고, 반대로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록크부재를 풀고 손잡이 프레임을 좌측 외곽프레임 측으로 근접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혀지게 함으로써, 출입문의 창호를 개방하는데 이때, 손잡이 프레임과 그에 연결된 주름 방충망은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조립 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절첩 이동되어 좌측 외곽프레임에 근접 이동되면서 차례로 밀착 절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름 방충망은 펼침 및 절첩 모두를 사용자에 의한 수동방식에만 의존하는 것이어서 사용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방식에 의한 주름 방충망은 접힘기능을 갖도록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을 손잡이 프레임 및 좌, 우측 외곽프레임과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면에 매립시켜 상호 연결함에 따라 그 작업이 까다로워 시공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그로 인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도 지적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2129(2020. 2. 5) 일본(JP)특개평 9-296669(1997. 11. 18)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접힘 구조를 갖는 주름 타입의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주름 방충망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쳐 창호를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고,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접히게 하되, 상기 자동화를 출입문의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외곽 프레임인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된 장력 조절 부재를 통해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축에 연결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이 회전축의 역회전에 의한 감기는 동작으로 손잡이 프레임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좌측 쫄대에 부착 고정되는 주름 방충망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방향으로 근접 이동되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친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문의 개방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름 방충망의 사용성을 향상시킨 보다 개선된 구조의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 방충망의 접힘 구조를 갖도록 하는 핵심기능인 다수의 가이드 끈을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과 좌, 우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에 간편하게 연결시키되, 회전축에 연결시 좌측 쫄대의 외면에 탈, 부착되는 가이더를 통해 가이드 끈이 회전축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기도록 하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규격화로 제품화된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사용자가 출입문의 높이에 맞게 임의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조립 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의 상, 하단에는 구름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구름부재에 축설된 복수의 구름롤러가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좌, 우 이동을 원활하도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장력 조절 부재에는 감속 회전체를 통한 토션스프링의 장력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의 드라이버 홈을 스크류에 맞물림 되는 중앙 웜기어를 기점으로 양방향에 노출되게 형성하여 창호 시스템의 시공이 끝난 후, 사용 과정에서도 장력 조절 부재의 노출 된 드라이버 홈을 통해 토션 스프링의 장력을 간편히 조정 가능토록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형 출입문 뿐 아니라 양문형 출입문 모두에 적용 가능토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내부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회전축의 상, 하단 내경에는 상, 하측 지지구가 삽입되어 상측 지지구를 통해 토션스프링과 감속 회전체가 서로 연결되고, 토션스프링은 스토퍼로 지지되어 회전축에 토션스프링의 비틀림 탄성에 의한 회전력이 부여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장력 조절 부재와;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 부재 및 우측 코너 캡을 통해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손잡이 프레임과; 상기 손잡이 프레임 및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여서 된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구조를 갖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은 상기 주름 방충망의 좌, 우 에는 좌, 우측 쫄대가 부착 고정되어 좌측 쫄대는 좌측 하우징 프레임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우측 쫄대는 손잡이 프레임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면서, 상기 좌, 우측 쫄대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을 통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과 손잡이 프레임에 각각 연결 되는바, 이때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은 좌측 쫄대의 외면에 탈, 부착되는 가이더를 통해 가이드 끈이 회전축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가이더는 브라켓의 중앙으로 가이드 끈이 통과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반원 홈과 반원 홈에서 연장되는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면서, 반원 홈 상에 장방형 롤러가 얹혀져 안내장공을 통해 안내되는 가이드 끈이 롤러를 타고 간섭이나 마찰 됨이 없이 회전축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어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며, 또 상기 안내장공과 연통되는 브라켓의 후방에는 테이퍼진 단부와 절결홈을 구비한 끼움돌부가 형성되어 좌측 쫄대의 체결공에 탈, 부착 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규격화로 제품화된 본 발명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입문의 높이에 맞게 임의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는바, 이는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축의 길이가 하우징 프레임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회전축의 하단에 하측 지지구가 연결되고, 상기의 하측 지지구를 통해 하우징 프레임 내면에 삽입되는 중간 캡으로 마감 처리되어 중간 캡 이하부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조립 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의 상, 하단에는 체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구름부재가 체결되고, 체결편과 대향지게는 복수의 구름롤러가 축설되어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의 좌, 우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 부재에는 감속 회전체를 통한 토션스프링의 장력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의 드라이버 홈을 스크류에 맞물림 되는 중앙 웜기어를 기점으로 양방향에 노출되게 형성하여 장력 조절 부재의 양방향에 노출된 드라이버 홈을 통해 간편히 조정 가능토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은 접힘 구조를 갖는 주름 타입의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주름 방충망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펼쳐 창호를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고,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출입문 창호를 구성하는 외곽프레임인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상단에 마감 조립된 장력 조절 부재를 통해 토션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이 회전축에 감기는 동작에 의해 손잡이 프레임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손잡이 프레임의 좌측 쫄대에 부착 고정되는 주름 방충망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방향으로 근접 이동 되면서 펼쳐진 주름 방충망을 자동으로 절첩 시켜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바, 이때 상기 가이더의 안내장공을 타고 안내되는 가이드 끈이 반원 홈 상에 얹혀있는 장방형 롤러를 타고 간섭되거나 마찰 됨이 없이 회전축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어 회전축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면서 주름 방충망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은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축의 길이가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회전축의 하단에 삽입되는 하측 지지구를 통해 하우징 프레임의 내면에 삽입되는 중간 캡으로 마감 처리되므로 중간 캡 이하부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규격화로 제품화된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을 사용자가 출입문의 높이에 맞게 임의로 절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수평으로 조립 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의 상, 하단에는 구름부재가 체결되어 구름부재에 축설된 복수의 구름롤러가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의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손잡이 프레임의 좌, 우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것이다.
그리고 장력 조절 부재의 감속 회전체를 통한 토션스프링의 장력 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의 드라이버 홈을 스크류에 맞물림 되는 중앙 웜기어를 기점으로 양방향에 노출되게 형성하여 창호 시스템으로 시공이 끝난 사용 중에도 장력 조절 부재의 양방향에 노출된 드라이버 홈을 통해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분리상태 사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부(회전축, 좌측 쫄대, 가이더, 가이드 끈, 주름 방충망의 연관관계)의 확대 사시 도면
도 3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더의 확대 상태 사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일부(좌측의 하우징 프레임을 분해하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과 중간 캡의 연관 관계를 나타냄)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부재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 사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조립상태 사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바,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하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시스템의 분리 상태 전체 사시 도면과 주요부 연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사시 도면이다.
도 3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더의 확대 상태 사시 도면으로서 (c)는 좌측 쫄대 와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을 분리하여 회전축과 중간 캡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은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회전축(2)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회전축(2)의 상, 하단 내경에는 상, 하측 지지구(3a,3b)가 삽입되어 상측 지지구(3a)를 통해 토션스프링(4)과 감속 회전체(5)가 서로 연결되고, 토션스프링(4)은 스토퍼(6)로 지지되어 회전축(2)에 토션스프링(4)의 비틀림 탄성에 의한 회전력이 부여되며, 상기 토션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2)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장력 조절 부재(7)와;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부재(7) 및 우측 코너 캡(8a)을 통해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과; 상기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손잡이 프레임(11)과; 상기 손잡이 프레임(11) 및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주름 방충망(10)을 포함하여서 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은 상기 주름 방충망(10)의 좌, 우측에는 좌, 우측 쫄대(14a,14b)가 부착 고정되어 좌측 쫄대(14a)는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우측 쫄대(14b)는 손잡이 프레임(11)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면서, 상기 좌, 우측 쫄대(14a,14b)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끈(15)을 통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2)과 손잡이 프레임(11)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에 연결되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15)은 좌측 쫄대(14a)의 외면에 탈, 부착되는 가이더(16)를 통해 가이드 끈(15)이 회전축(2)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가이더(16)는 브라켓(17)의 중앙으로 가이드 끈(15)이 통과하는 안내장공(18)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반원 홈(19)과 반원 홈(19)에서 연장되는 선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되면서, 반원 홈(19)상에 장방형 롤러(21)가 얹혀져 안내장공(18)을 통해 안내되는 가이드 끈(15)이 장방형 롤러(21)를 타고 간섭이나 마찰 됨이 없이 회전축(2)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어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며, 또 상기 안내장공(18)과 연통되는 브라켓(17)의 후방에는 테이퍼진 단부(22)와 절결홈(23)을 구비한 끼움돌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좌측 쫄대(14a)의 체결공(25)에 탈, 부착 되게 구성된다.
또한, 규격화로 제품화된 본 발명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은 사용자가 출입문의 높이에 맞게 임의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축(2)의 길이가 하우징 프레임(1a)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회전축(2) 하단에 하측 지지구(3b)가 연결되고, 상기의 하측 지지구(3b)를 통해 하우징 프레임(1a) 내면에 삽입되는 중간 캡(26)으로 마감 처리되어 중간 캡(26) 이하부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창호 시스템(S)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조립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11)의 상, 하단에는 체결편(27)이 일체로 형성된 구름부재(28)가 체결되고, 체결편(27)과 대향지게는 복수의 구름 롤러(28a)가 축설되어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의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손잡이 프레임(11)의 좌, 우 이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 부재(7)에는 감속 회전체(5)를 통한 토션스프링(4)의 장력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29)의 드라이버 홈(30)을 스크류에 맞물림 되는 중앙 웜기어(31)를 기점으로 양방향에 노출되게 형성하여 장력 조절 부재(7)의 양방향에 노출된 드라이버 홈(30)을 통해 간편히 조정 가능토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b)는 우측 고정 프레임, (8b)는 좌측 코너 캡을 지칭하며, (5b)는 웜휠을 지칭하고, (13)은 록크부재, (32)는 감속 회전체(5)에 지지구(3a)를 고정시키는 스냅링을 지칭하며, (33)은 지지 캡을 지칭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은 도 1에서와 같이 분해된 각 부품이 조립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창호시스템(S)으로 제품화 되고, 이같이 제품화 된 창호 시스템(S)을 출입문의 뒤쪽에 시공 설치한 후, 접힘 구조를 갖는 주름 방충망(10)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가 손잡이 프레임(11)를 잡고 우측 고정 프레임(1b) 측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10)을 인위적으로 펼치면서 손잡이 프레임(11)의 록크부재(13)를 통해 우측 고정 프레임(1b)에 잠금되게 함으로써, 창호 시스템(S)의 주름 방충망(10)이 출입문을 막아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방지토록 하는바, 이는 기존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과 동일한 것이며, 반면에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 프레임(11)의 록크부재(13)를 통해 우측 고정 프레임(1b)에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토션스프링(4)의 비틀림 탄성으로 회전축(2)이 역회전 되어 회전축(3)에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 끈(15)이 회전축(2) 상에 급속하게 감겨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일 측면의 좌측 쫄대(14a)에 부착된 주름 방충망(10)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에 근접 이동되어 접히면서 손잡이 프레임(11)을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 쫄대(14a)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주름 방충망(10)을 차례로 절첩시켜 주름 방충망(10)이 자동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회전축(2) 상에 급속하게 감기는 다수의 가이드 끈(15)은 좌측 쫄대(14a)의 외면에 탈, 부착되는 가이더(16)의 안내장공(18)을 타고 안내되어 반원 홈(19) 상에 얹혀있는 장방형 롤러(21)를 타고 간섭되거나 마찰됨이 없이 회전축(2)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어 회전축(2)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 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더(16)는 안내장공(18)과 연통되는 브라켓(17)의 후방에 끼움돌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끼움돌부(24)의 테이퍼진 단부(22)와 절결홈(23)을 통해 자체 텐션이 부여되어 좌측 쫄대(14a)의 체결공(25)에 용이하게 탈,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의 비틀림 압축에 의한 순간 탄성으로 회전축(2)이 역회전 할 때, 그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바, 이는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 부재(7)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스크류(29)의 드라이버 홈(30)에 드라이버를 끼워 양방향 예컨대 창호 시스템(S)의 내, 외측에서 조정하면 조정 스크류(29) 중앙의 웜기어(31)가 감속 회전체(5)의 웜휠(5b)에 맞물림 되어 토션스프링(4)의 장력이 조절되면서 회전축(2)의 회전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창호 시스템(S)으로 시공이 끝난 사용 중에도 장력 조절 부재(7)의 양방향에 노출된 드라이버 홈(30)을 통해 토션스프링(4)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으로 조립설치된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11)의 상, 하단에 구름부재(28)의 체결편(27)을 끼우면 대향진 방향에 축설된 복수의 구름롤러(28a)가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의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손잡이 프레임(11)의 좌, 우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주름 방충망(10)의 펼침 및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S)은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2)의 길이가 하우징 프레임(1a)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회전축(2)의 하단이 하측 지지구(3b)를 통해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삽입되는 중간 캡(26)에 의해 마감 처리되므로 중간 캡(26) 이하부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규격화로 제품화된 창호 시스템(S)을 사용자가 출입문의 높이에 맞게 임의로 절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S : 창호 시스템 1a : 좌측 하우징 프레임
1b : 우측 고정 프레임 2 : 회전축
4 : 토션스프링 5 : 감속 회전체
7 : 장력 조절 부재 9a,9b : 상/ 하 가이드 프레임
10 : 주름 방충망 11 : 손잡이 프레임
14a,14b : 좌, 우측 쫄대 15 : 가이드 끈
16 : 가이더 18 : 안내 장공
19 : 반원 홈 21 : 장방형 롤러
24 : 끼움 돌부 25 : 체결공
27 : 체결편 28 : 구름 부재
28a : 구름 롤러 29 : 조정 스크류
30 : 드라이버 홈 31 : 웜기어

Claims (5)

  1.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회전축(2)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회전축(2)의 상, 하단 내경에는 상, 하측 지지구(3a,3b)가 삽입되어 상측 지지구(3a)를 통해 토션스프링(4)과 감속 회전체(5)가 서로 연결되고, 토션스프링(4)은 스토퍼(6)로 지지되어 회전축(2)에 토션스프링(4)의 비틀림 탄성에 의한 회전력이 부여되며, 상기 토션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하는 회전축(2)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장력 조절 부재(7)와;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상단에 마감 조립되는 장력 조절 부재(7) 및 우측 코너 캡(8a)을 통해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과; 상기 상/ 하부 가이드 프레임(9a,9b)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손잡이 프레임(11)과; 상기 손잡이 프레임(11) 및 좌측 하우징 프레임(1a)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주름 방충망(10)을 포함하여서 되는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S)에 있어서,
    상기 주름 방충망(10)의 좌, 우에는 좌, 우측 쫄대(14a,14b)가 부착 고정되어 좌측 쫄대(14a)는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고, 우측 쫄대(14b)는 손잡이 프레임(11)의 일 측면에 부착 고정되면서, 상기 좌, 우측 쫄대(14a,14b)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끈(15)을 통해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2)과 손잡이 프레임(11)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끈(15)은 좌측 쫄대(14a)의 외면에 탈, 부착되는 가이더(16)를 통해 가이드 끈(15)이 회전축(2)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면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감겨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가이더(16)는 브라켓(17)의 중앙으로 가이드 끈(15)이 통과하는 안내장공(18)이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반원 홈(19)과 반원 홈(19)에서 연장되는 선단에 걸림턱(20)이 형성되면서, 반원 홈(19)상에 장방형 롤러(21)가 얹혀져 안내장공(18)을 통해 안내되는 가이드 끈(15)이 장방형 롤러(21)를 타고 간섭이나 마찰 됨이 없이 회전축(2) 상에 원활하게 공급되며, 상기 안내장공(18)과 연통되는 브라켓(17)의 후방에는 테이퍼진 단부(22)와 절결홈(23)을 구비한 끼움돌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좌측 쫄대(14a)의 체결공(25)에 탈, 부착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하우징 프레임(1a)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축(2)은 그 길이가 하우징 프레임(1a)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회전축(2)의 하단이 하측 지지구(3b)를 통해 고정 프레임(1a) 내부에 삽입되는 중간 캡(26)에 의해 마감 처리되어 중간 캡(26) 이하부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부재(7)에는 감속 회전체(5)를 통한 토션스프링(4)의 장력상태를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29)의 드라이버 홈(30)을 스크류에 맞물림 되는 중앙 웜기어(31)를 기점으로 양방향에 노출되게 형성하여 장력 조절 부재(7)의 양방향에 노출된 드라이버 홈(30)을 통해 간편히 조정 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1020210156446A 2021-11-15 2021-11-15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10250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46A KR102503392B1 (ko) 2021-11-15 2021-11-15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46A KR102503392B1 (ko) 2021-11-15 2021-11-15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92B1 true KR102503392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446A KR102503392B1 (ko) 2021-11-15 2021-11-15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493U (ja) * 1992-10-20 1994-05-20 株式会社丸忠 網 戸
JPH09296669A (ja) 1996-04-30 1997-11-18 Seiki Juko Kk 折り畳みスクリーン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スクリーン交換方法
KR20120003479U (ko) * 2012-04-23 2012-05-18 서한호 롤 방충망의 장력조절장치
KR101500908B1 (ko) * 2014-10-13 2015-03-10 금중식 롤 방충망의 장력 조절장치
KR101796670B1 (ko) *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2065296B1 (ko) * 2019-03-13 2020-01-10 남이식 방충망프레임에 착탈되는 필터방충망
KR20200012129A (ko) 2018-07-26 2020-02-05 고상익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493U (ja) * 1992-10-20 1994-05-20 株式会社丸忠 網 戸
JPH09296669A (ja) 1996-04-30 1997-11-18 Seiki Juko Kk 折り畳みスクリーン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スクリーン交換方法
KR20120003479U (ko) * 2012-04-23 2012-05-18 서한호 롤 방충망의 장력조절장치
KR101500908B1 (ko) * 2014-10-13 2015-03-10 금중식 롤 방충망의 장력 조절장치
KR101796670B1 (ko) *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20200012129A (ko) 2018-07-26 2020-02-05 고상익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KR102065296B1 (ko) * 2019-03-13 2020-01-10 남이식 방충망프레임에 착탈되는 필터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61B2 (en) Adjustment mechanisms for shades
EP0311304B1 (en) Vertical shade assembly
CN108930500A (zh) 用于具有可调整滚筒位置的遮盖物的底部轨条总成,以及相关方法
WO2013064308A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20220136324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feature having a bottom rail leveling mechanism
US20100116448A1 (en) Tensioning system for retractable screens and shades
KR102503392B1 (ko)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CZ2000286A3 (cs) Stínící uspořádání a brzdné zařízení
KR200496730Y1 (ko)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회전축 보강 구조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KR200496546Y1 (ko)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200496365Y1 (ko)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AU2006220376B2 (en) Draw cord arrangement
KR101533198B1 (ko) 출입문용 자동방충망
IT202100007952A1 (it) Zanzariera a scorrimento orizzontale dotata di dispositivi per l’agevolazione del montaggio e della regolazione dell’assetto di posizionamento
IT202100001655U1 (it) Zanzariera a scorrimento orizzontale dotata di dispositivi per l’agevolazione del montaggio e della regolazione dell’assetto di posizionamento
IT201800009260A1 (it) Tenda con telo avvolgibile ad azionamento manuale
IT201600092253A1 (it) Tenda con telo avvolgibile dotata di un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 tensione
CA2549110C (en) Pull down, push up, shade assembly
JP2756915B2 (ja) 出入口用折畳式網戸
JP2558690Y2 (ja) 折り畳み式網戸
JP2922813B2 (ja) 建物開口部用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