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129A -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 Google Patents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129A
KR20200012129A KR1020180087022A KR20180087022A KR20200012129A KR 20200012129 A KR20200012129 A KR 20200012129A KR 1020180087022 A KR1020180087022 A KR 1020180087022A KR 20180087022 A KR20180087022 A KR 20180087022A KR 20200012129 A KR20200012129 A KR 2020001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rail
clip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익
Original Assignee
고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익 filed Critical 고상익
Priority to KR102018008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129A/ko
Publication of KR2020001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식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방충망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바람이나 힘에 의해 방충망이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Pleats type Casement Window Screen having Function of Prevent Break Away from Rail}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여닫이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 식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방충망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바람이나 힘에 의해 방충망이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는 곤충이나 모기의 침입을 막기 위해 창문 뒤편에 고정식 방충망을 설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출입문에도 곤충이나 모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여닫이 방충망이 출입문과 별도로 설치되고 있다.
여닫이 방충망으로는 탄성을 이용한 롤식 방충망과, 주름을 이용한 주름식 방충망으로 크게 구분되며, 최근에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단문형 양문형 등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주름식 방충망이 각광 받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주름식 양문형 방충망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문형 방충망(10)은, 외곽 프레임(F)과, 외곽 프레임(F)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식 방충망(M)으로 이루어진다. 방충망(M)은 외곽 프레임(F) 내부 좌우 방향에 각각 한 쌍 설치되며, 방충망(M)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 프레임(MF)이 구비되어 여닫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방충망(M)의 양쪽 단부에는 고정 프레임(FF)이 구비되어 방충망(M)의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한 쌍의 이동 프레임(MF)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힘 구조를 갖는 방충망 시트가 펼쳐지고 이동 프레임(MF)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방충망 시트가 접히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주름식 방충망은 이동 프레임(MF) 이동 시 외곽 프레임(F)의 상측과 하측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방충망(M) 역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바람이나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이동 프레임(MF)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곽 프레임(F)의 레일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지만, 방충망(M)은 유연한 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곽 프레임(F)의 레일을 이탈하게 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방충망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식 방충망의 변형이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끈과 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끈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탈방지클립을 통해 방충망이 프레임의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탈방지클립은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간단히 추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은, 내부에 제1 레일(111)이 형성되며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110, 120)과 상기 한 쌍의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110, 120)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0, 140)을 통해 내부에 방충망 이동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방충망 이동 공간에 설치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주름(232)을 통해 형성된 다수의 단위면(231)을 포함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111)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충방부(200); 및 일단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110, 120)에 형성된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방충방부(200)와 연결되는, 이탈방지클립(500);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충망은,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방충망부(20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단위면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타단에 상기 가이드부(300)가 관통되는 클립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110, 120)과, 상기 가이드부(30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클립홀(521)은,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슬릿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클립홀(521)과,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의 둘레를 연결하는 절개부(5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522)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머리부(510)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510)는, 제2 레일(112)이 끼워지도록 상기 머리부(510)보다 작은 폭을 연결부(5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13)는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으며, 상기 머리부(510)의 면방향 폭(w1)은 상기 제2 레일(1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되, 머리부(510)의 두께 방향 폭(w2)은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충망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0, 140) 중 어느 하나에 접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프레임(110, 120) 사이에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210)에서 수평 방향 이격되고 단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프레임(110, 120) 상에 형성된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220); 및 상기 이동 프레임(220)과 프레임(100) 그리고 고정 프레임(210) 사이에 배치되는 방충망 시트(230);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방충망 시트(23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단위면(231)과 이웃하는 단위면(231a) 사이에 상기 주름(232)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방충망부(230) 신축 시 상기 주름(232)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복수 개가 상기 방충망부(200)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300)는,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가이드부(300) 중 상기 상측 프레임(110) 또는 하측 프레임(120)과 근접한 가이드부(30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은, 바람이나 사람의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주름식 방충망이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틈새 발생으로 인한 해충의 유입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탈방지클립은 방충망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충망 제조 설비의 구조나 설계 변경 없이 추가 적용이 가능하여 기존 생산 설비의 변경에 따는 비용이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 정면도(단문형)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 분해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의 가이드부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의 이탈방지클립 결합 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의 이탈방지클립 결합 상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의 이탈방지클립 결합 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클립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름식 여닫이 방충망 정면도(양문형)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1000, 이하 '방충망')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1000)은 외부 둘레를 따라 틀을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여닫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방충망부(200)와, 주름 방식으로 이루어진 방충망부(200)의 쳐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도록 방충망부(2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00)와,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방충망(1000)은 바람이나 사람의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방충망부(200)가 프레임(100) 외부로 이탈하여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프레임(100)과, 가이드부(300)를 연결하는 이탈방지클립(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프레임(100), 방충망부(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1000, 이하 '방충망')의 분해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한 쌍이 상하 이격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110)과 하측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100)은 한 쌍이 좌우 이격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130)과 우측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즉 좌측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10)의 좌측 단부와 하측 프레임(120)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며, 우측 프레임(140)은 상측 프레임(110)의 우측 단부와 하측 프레임(120)의 우측 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각각의 프레임(110-140)의 연결부에는 연결블록(400)이 구비된다. 연결블록(400)은 각각의 프레임(110-14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함체상의 몸체(410)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420) 및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430)를 포함한다. 즉 상측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예를 들어 볼 때, 연결블록(400)의 제1 돌출부(420)가 상측 프레임(110)의 좌측 단부 내면에 끼움 결합되고, 제2 돌출부(430)가 좌측 프레임(130)의 상측 단부 내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측 프레임(110)과 좌측 프레임(1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방충망부(200)는 고정프레임(210), 이동프레임(220) 및 방충망 시트(230)로 구성된다. 고정프레임(210)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단이 상측 프레임(110)의 우측 단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하측 프레임(120)의 우측 단부에 고정되고, 측단이 우측 프레임(14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의 좌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단이 상측 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1 레일(111, 도 6 참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단이 하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1-2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220)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프레임(220) 상에는 손잡이(221)가 구비될 수 있다. 방충망 시트(230)는 통상의 방충망 재질로 이루어지며, 우측이 고정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좌측이 이동프레임(220)에 고정된다. 또한, 방충망 시트(23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주름이 폭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어 좌우 폭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방충망 시트(230)의 상측은 상측 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제1-1 레일(111, 도 6 참조)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하측은 하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형성된 제1-2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면을 기준으로 이동프레임(22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방충망 시트(230)가 펼쳐져 방충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동프레임(2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방충망 시트(230)가 접혀져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300)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름을 통해 접혀진 방충망 시트(230)의 복수의 단위면(231, 도 7 및 8 참조)을 각각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300)를 통해 방충망 시트(230)의 변형이나 쳐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300)는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00)는 방충망 시트(230)의 접힘이나 펼침 시 일정 높이와 텐션을 유지하며, 펼침 시 개방 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바 이를 위한 세부 구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아울러, 방충망(1000)은 바람이나 사람의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방충망 시트(23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방충망 시트(230)의 상측이나 하측이 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클립(500)을 구비한다. 이탈방지클립(500)의 구성이나 세부 결합 관계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3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는 가이드끈(310)과, 가이드끈(310)의 단부 고정을 위한 제1 및 제2 고정클립(321, 322)과, 가이드끈(310)의 텐션을 유지한 상태에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 및 제2 도르래(331, 332)를 포함한다. 가이드끈(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 시트(230)의 주름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단위면(231)을 관통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끈(310)의 우측 단부는 제1 고정클립(321)을 통해 고정프레임(210)또는 우측 프레임(140)에 고정되고, 가이드끈(320)의 좌측 단부는 제2 고정클립(322)을 통해 좌측프레임(130) 또는 상측 프레임(110)의 좌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클립(321)의 높이는 방충망 시트(230) 상에 다수의 주름(232)을 통해 구획되는 단위면(231)을 관통하는 가이드끈(31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고정클립(322)의 높이는 방충망 시트(230)가 접혀졌을 때 개방된 통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좌측 프레임(13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끈(310)의 높이가 상측 프레임(110)에 가까울 경우에는 제2 고정클립(322)이 좌측 프레임(130)의 상단에 구비되지만, 가이드끈(310)의 높이가 하측 프레임(120)에 가까울 경우에는 제2 고정클립(322)이 좌측 프레임(13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고정클립(321)과 제2 고정클립(322)의 높이가 상이함에 따라 이동프레임(220) 상에는 가이드끈(310)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제1 및 제2 도르래(331, 332)가 구비된다. 제1 도르래(331)는 제1 고정클립(321)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가이드끈(310)의 좌측단부를 상방으로 전환시키고, 제2 도르래(331)는 제2 고정클립(322)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전환된 가이드끈(310)의 좌측단부를 좌측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제2 도르래(331)를 통해 방향 전환된 가이드끈(310)의 좌측단부는 상측 프레임(110) 내부를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어 방충망 시트(230)를 접거나 펼칠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와 같은 가이드부(300)의 구성을 통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끈(310)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면서도 방충망 시트(230)의 단위면(231)을 관통하는 가이드끈(31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텐션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방충망 시트(230)의 변형이나 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가이드부(300)는 도면상에 1개로 도시하였으나,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끈(310)의 높이가 상측에 가까운 경우 가이드끈(310)의 좌측 단부가 상방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며, 가이드끈(310)의 높이가 하측에 가까운 경우 가이드끈(310)의 좌측 단부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클립(5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클립(5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측 프레임(110)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상측 프레임(1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측 프레임(110) 상에는 내면에 제1 레일(111)이 형성되어 이동프레임(220)과 방충망 시트(230)가 제1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고, 제1 레일(111)의 내면 상측에는 제1 레일(111) 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2 레일(112)이 형성되어 이탈방지클립(500)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탈방지클립(500)은 상측이 상기 제2 레일(112)에 끼워져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하측에는 가이드끈(310)이 관통하는 클립홀(521)이 형성되어 가이드끈(3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탈방지클립(500)은 가이드끈(310)과, 상측 프레임(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끈(310)은 방충망 시트(230)를 관통하여 방충망 시트(230)를 지지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궁극적으로 이탈방지클립(500)은 방충망 시트(230)가 상측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클립(500)은 방충방 시트(230)에 폭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다수의 주름(232)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단위면(2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위면(231)과 이웃하는 단위면(23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프레임(220)을 통해 방충망 시트(23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주름(232)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단위면(231)을 따라 좌우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클립(500)은 도면상에 상측 프레임(110)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도 있다. 위와 같은 이탈방지클립(5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클립(500)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클립(500)은 제2 레일(112)에 끼워지는 머리부(510)와, 가이드끈(310)이 관통하는 몸통부(520)로 구성된다.
머리부(510)는 제2 레일(112)의 상측에 끼워지는 제1 몸체(511)와, 제2 레일(112)의 하측에 끼워지는 제2 몸체(512)와, 제1 및 제2 몸체(511, 512)를 연결하는 연결부(51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몸체(511, 512)는 제2 레일(1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연결부(513)는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511, 512)의 면방향 폭(w1)은 제2 레일(1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지만, 제1 및 제2 몸체(511, 512)의 두께 방향 폭(w2)은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 몸체(511, 512)의 두께 방향을 제2 레일(112)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제2 레일(112)에 끼움 결합한 후 제1 및 제2 몸체(511, 512)의 면방향이 제2 레일(112)과 평행하게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간편하게 이탈방지클립(500)을 제2 레일(112)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충망(1000)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클립(500)의 추가 설치가 간편해진다.
몸통부(520) 상에는 가이드끈(310)이 관통하는, 클립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홀(521)은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이탈방지클립(500)이 가이드끈(310)을 따라 수월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어느 정도 높이가 다른 레이아웃을 갖는 방충망의 가이드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통부(520)상에는 클립홀(521)과 몸통부(520)의 외면이 연결되도록 절개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522)를 따라 가이드끈(310)이 클립홀(521)에 끼워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이탈방지클립(500)을 가이드부(300) 설치단계에서 결합시킬 필요 없이 가이드부(300) 설치가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도 쉽게 이탈방지클립(5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절개부(552)는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클립홀(521)에 끼워진 가이드끈(310)이 쉽게 절개부(552)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2000, 이하 '방충망')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2000)은 외부 둘레를 따라 틀을 형성하는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여닫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방충망부(600, 700)와, 주름 방식으로 이루어진 방충망부(600, 700)의 쳐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도록 방충망부(2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00)와,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방충망(1000)은 바람이나 사람의 힘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방충망부(200)가 프레임(100) 외부로 이탈하여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프레임(100)과, 가이드부(300)를 연결하는 이탈방지클립(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실시 예에서는 하측 프레임에도 이탈방지클립(550)이 추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위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2000)은 방충망부(600, 700)가 한 쌍이 구비된 양문형으로 이루어져, 보다 넓은 공간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개방부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방충망
100 : 프레임
110 : 상측 프레임 111 : 제1 레일
112 : 제2 레일 120 : 하측 프레임
130 : 좌측 프레임 140 : 우측 프레임
200 : 방충망부
210 : 고정 프레임 220 : 이동 프레임
230 : 방충망 시트
300 : 가이드부
310 : 가이드끈 321, 322 : 고정 클립
331, 332 : 도르래
400 : 연결블록 410 : 몸체
420 : 제1 돌출부 430 : 제2 돌출부
500 : 이탈방지클립
510 : 머리부 520 : 몸통부
521 : 클립홀 522 : 절개부

Claims (10)

  1. 내부에 제1 레일(111)이 형성되며 상하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110, 120)과 상기 한 쌍의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110, 120)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0, 140)을 통해 내부에 방충망 이동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방충망 이동 공간에 설치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주름(232)을 통해 형성된 다수의 단위면(231)을 포함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111)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신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방충방부(200); 및
    일단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110, 120)에 형성된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방충방부(200)와 연결되는, 이탈방지클립(500);
    을 포함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은,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되 상기 방충망부(20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단위면을 관통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타단에 상기 가이드부(300)가 관통되는 클립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하측 프레임(110, 120)과, 상기 가이드부(300)를 연결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홀(521)은,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 형태로 이루어진 슬릿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클립홀(521)과,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의 둘레를 연결하는 절개부(522)가 형성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522)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제2 레일(112)을 따라 이동하는 머리부(510)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510)는, 제2 레일(112)이 끼워지도록 상기 머리부(510)보다 작은 폭을 연결부(51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13)는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으며,
    상기 머리부(510)의 면방향 폭(w1)은 상기 제2 레일(1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되, 머리부(510)의 두께 방향 폭(w2)은 제2 레일(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130, 140) 중 어느 하나에 접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프레임(110, 120) 사이에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210)에서 수평 방향 이격되고 단부가 상기 상측 및 하측 프레임(110, 120) 상에 형성된 제1 레일(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220); 및
    상기 이동 프레임(220)과 프레임(100) 그리고 고정 프레임(210) 사이에 배치되는 방충망 시트(230);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방충망 시트(230)에 연결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단위면(231)과 이웃하는 단위면(231a) 사이에 상기 주름(232)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방충망부(230) 신축 시 상기 주름(232)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복수 개가 상기 방충망부(200)의 신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300)는,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되, 상기 이탈방지클립(500)은, 상기 가이드부(300) 중 상기 상측 프레임(110) 또는 하측 프레임(120)과 근접한 가이드부(300)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KR1020180087022A 2018-07-26 2018-07-26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KR20200012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22A KR20200012129A (ko) 2018-07-26 2018-07-26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22A KR20200012129A (ko) 2018-07-26 2018-07-26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29A true KR20200012129A (ko) 2020-02-05

Family

ID=6951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22A KR20200012129A (ko) 2018-07-26 2018-07-26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12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34U (ko) 2022-03-30 2022-04-18 전상남 상온경화형옻칠한 주름방충망을 포함하는 접이식 보조문
KR20220082210A (ko)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비웨이브시스템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WO2022151519A1 (zh) * 2021-01-18 2022-07-21 朱林 一种自由尺寸驱蚊加香夜光防蚊门、窗帘
KR200496365Y1 (ko) 2021-12-09 2023-01-10 금중식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102503392B1 (ko) 2021-11-15 2023-02-23 금중식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20230031394A (ko) 2021-08-27 2023-03-07 곽재석 여닫이식 방충망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210A (ko)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비웨이브시스템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WO2022151519A1 (zh) * 2021-01-18 2022-07-21 朱林 一种自由尺寸驱蚊加香夜光防蚊门、窗帘
KR20230031394A (ko) 2021-08-27 2023-03-07 곽재석 여닫이식 방충망 장치
KR102503392B1 (ko) 2021-11-15 2023-02-23 금중식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200496365Y1 (ko) 2021-12-09 2023-01-10 금중식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20220000834U (ko) 2022-03-30 2022-04-18 전상남 상온경화형옻칠한 주름방충망을 포함하는 접이식 보조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2129A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주름 식 여닫이 방충망
KR102015284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US20120048479A1 (en) Roman shade with protected operating cords
US20140299279A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20130118694A1 (en) Screen device
KR101814616B1 (ko) 주름식 방충망과 블라인드가 동시에 구비되는 창호
KR100651633B1 (ko) 아코디언식 방충망
KR200382345Y1 (ko) 격자형 자바라
KR101932400B1 (ko)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1218254B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KR102281951B1 (ko) 접철식 방진(충)망이 다수개 설치된 출입문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200372757Y1 (ko) 자바라 셔터식 방범창
JP6998220B2 (ja) 止水パネル
KR100439670B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200386321Y1 (ko) 매립형 현관문용 자동 방범장치
KR20230002153U (ko) 출입문 주름 방충 시스템용 합성수지 방충 바의 이음 구조
JP2895737B2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装置
KR20230172090A (ko) 출입문 주름 방충망 창호 프레임의 상/ 하 가이드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결합구조
JP2781831B2 (ja) 横引き式伸縮開閉スクリーン装置
KR20230031394A (ko) 여닫이식 방충망 장치
KR20050013983A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US7509989B2 (en) Window blind system
JP2605104Y2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