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00B1 -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00B1
KR101932400B1 KR1020180032353A KR20180032353A KR101932400B1 KR 101932400 B1 KR101932400 B1 KR 101932400B1 KR 1020180032353 A KR1020180032353 A KR 1020180032353A KR 20180032353 A KR20180032353 A KR 20180032353A KR 101932400 B1 KR101932400 B1 KR 10193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emi
window
side por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보
Original Assignee
정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보 filed Critical 정창보
Priority to KR102018003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부 수평 프레임, 하부 수평 프레임, 우측 수직 프레임 및 좌측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외곽 프레임부, 상부 수평 프레임과 하부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좌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 측면부, 제1 이동 측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우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2 이동 측면부 및 제1 이동 측면부와 제2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1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이동 창호부, 좌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이동 창호부의 제1 이동 측면부와 접할 때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고정 측면부와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우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이동 창호부의 제2 이동 측면부와 접할때 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고정 측면부와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2 반고정 창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A PLURALITY OF WRINKLE SCREEN WINDOW SYSTEM HAVING A STRUCTURE STRONG AGAINST THE INFLUENCE OF WIND}
본 발명은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시스템의 외부에서 창호면으로 작용하는 외풍의 영향에도 견딜 수 있는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와 같은 거주 장소에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 유입과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방충망과 블라인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창호 시스템은 방충망이 양 측에 설치되거나 혹은 블라인드가 양 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양개형 창호 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개형 창호 시스템은 외곽 프레임과 외곽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방충망 또는 블라인드로 이루어진다. 외곽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수평 프레임, 하부 수평 프레임, 양 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측 수직 프레임, 우측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곽 프레임의 내부에 방충망이 설치되거나 혹은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방충망과 블라인드는 외곽 프레임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방충망 또는 블라인드는 외곽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 사이에 접힘 구조를 가지는 방충망 시트 또는 블라인드 시트가 설치된다.
한 쌍의 이동 프레임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힙 구조를 가지는 방충망 시트 또는 블라인드 시트가 펼쳐지고 이동 프레임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방충망 시트 또는 블라인드 시트가 접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창호는 방충만만을 사용하거나 혹은 블라인드만을 사용하는 관계로 방충망과 블라인드를 따로 설치해야 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개발된 기술은 2017년 12월 27일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814616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1814616호의 특허기술은 양개형 창호시스템으로 이 기술은 방충망과 블라인드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음에도 차지하는 공간이 많지 않으므로 창호 시스템의 크기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개선된 발명이다.
본 출원인은 양개형 창호 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 및 양산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양개형 창호 시스템은 크기가 커질 경우에 방충망 및 블라인의 면적도 커지게 되고, 방충망 및 블라인드의 면적이 커지면, 표면에 가해지는 외풍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방충망 처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창호 시스템의 크기를 일정 크기 이하로 제한하여 시공해야 하겠지만, 이러한 경우에 시공 단가가 올라간다. 따라서, 종래의 창호 시스템에서 방충망의 면적이 커지지 않으면서도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외풍의 영향에도 강인한 특성을 갖는 새로운 방식의 창호 시스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93900호(2005.09.23.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22907호(1994.10.20. 공개) 특허문헌 3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639호(2012.07.20. 공고) 특허문헌 4 : 한국 공개특허 재10-2008-0029057호(2008.04.03.공개) 특허문헌 5 :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5221호(2010.05.20. 공개)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의 크기를 증가시켜도 외풍에 의한 영향으로 방충망이 쳐지는 현상이 없고,
또한, 복수의 주름 방충망에 구비된 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강한 외풍에도 줄이 끊어지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상부 수평 프레임, 하부 수평 프레임, 우측 수직 프레임 및 좌측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외곽 프레임부;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 측면부,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2 이동 측면부 및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1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이동 창호부;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상기 이동 창호부의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접할때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상기 고정 측면부와 상기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상기 이동 창호부의 상기 제2 이동 측면부와 접할때 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상기 고정 측면부와 상기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2 반고정 창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창호부는,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 측면부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또는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에 인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를 경유하는 폐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로프(guide rope),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이동 창호부를 경유하는 폐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창호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 로프 및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프가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2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4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가이드 로프는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4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3 주름 방충망의 하부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제2 주름 방충망의 상부면 및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으로 제1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로프 부재 및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2 주름 방충망의 하부면,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4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3 주름 방충망의 상부면 및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으로 제2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로프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하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하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복수의 지지 로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이동 창호부의 제1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6 복수의 고정 클립 및 상기 이동 창호부의 제2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7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하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하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제4 복수의 지지 로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는, 제1 내지 4 지지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는, 제5 내지 8 지지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4 지지 로프는, 상기 제5 내지 8 지지 로프와 교번하여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이 설치된 영역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에 연결되는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의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로프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로프 장력 조절부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홈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홈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의 장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은 창호 시스템의 크기를 증가시켜도 외풍에 의한 영향으로 방충망이 쳐지는 현상이 없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이동 창호부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이동 창호부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의 분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도면에서 A 방향으로 바라본 이동 창호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드 롤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반고정 창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반고정 창호부의 분해 상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면에서 B 방향에서 바라본 반고정 창호부의 평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도면에서 C 방향에서 바라본 반고정 창호부의 평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에서 지지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X 영역을 확대하여 내부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고정 창호부의 수평 이동을 위한 제1 가이드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고정 창호부의 주름망을 지지하는 지지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창호부의 주름망을 기지하는 지리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도면의 축적이나 비율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실시 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모양, 형태, 치수 또는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10)은 사각형 외곽 프레임부(100), 이동 창호부(200), 제1 반고정 창호부(300), 제2 반고정 창호부(400)를 포함한다. 사각형 외곽 프레임부(100)의 안쪽에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는 사각형 외곽 프레임부(100)의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창호부(200), 도 1에 도시된 외곽 프레임부(100)의 좌측에 맞닿게 위치하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 및 외곽 프레임(100)의 우측변에 맞닿게 위치하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창호 시스템(10)은 모든 창호가 닫혀진 항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동 창호부(200), 제1 반고정 창호부(300) 및 제2 반고정 창호부(400)에 의해서 모기와 같은 해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개방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좌측(Left) 방향으로 폴딩(folding)하여 수축시킨 상태이고, 제2 반고정 창호부(400)는 우측(Right) 방향으로 폴딩하여 수축시킨 상태이다. 이동 창호부(200)는 수평방향으로 수축시키지 않더라도 제1 반고정 창호부(300) 및 제2 반고정 창호부(400)를 수평 방향으로 폴딩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이동 창호부(200)의 좌측과 제1 반고정 창호부(300) 사이에 개방 면이 생기고, 이동 창호부(200)의 우측과 제2 반고정 창호부(400) 사이에 개방되는 면이 생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이동 창호부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2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200)를 제1 반고정 창호부(300) 방향(Left)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와 맞닿게 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창호부(2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창호부(200)의 수평 이동은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가 동시에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창호부(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와 맞닿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이동 창호부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2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200)를 제2 반고정 창호부(400) 방향(Right)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와 맞닿게 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창호부(2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창호부(200)의 수평 이동은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가 동시에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창호부(20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창호부(200)의 제2 이동 측면부(230)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와 맞닿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의 분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외곽 프레임부(100)는 상부 수평 프레임(110), 하부 수평 프레임(130), 좌측 수직 프레임(150) 및 우측 수직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상부 수평 프레임(110)과 하부 수평 프레임(130)은 주름 방충망 창호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수평 프레임(110)과 하부 수평 프레임(13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과 우측 수직 프레임(170)에 의해서 4각형 외곽 프레임부(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동 창호부(200)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와 제2 반고정 창호부(400)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반고정 창호부(300)와 제2 반고정 창호부(400) 사이를 수평 이동한다.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 창호부(2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다. 제2 반고정 창호부(400)는 우측 수직 프레임(17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 창호부(2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2 반고정 창호부(400)는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 창호부(200)는 제1 이동 측면부(210), 제2 이동 측면부(230) 및 제1 주름 방충망(250)을 포함한다. 제1 이동 측면부(210)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제2 이동 측면부(230)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이며, 메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창호부(200)의 수평 이동 및 수평 방향으로 신축 또는 수축되는 원리는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주름 방충망(250)을 경유하여 설치된 가이드 로프에 의해서 구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별도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창호부의 분해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이동 측면부(210)는 제1 주름 방충망(250)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2 이동 측면부(230)는 제1 주름 방충망(250)의 우측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 및 제2 이동 측면부(2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제1 주름 방충망(250)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또한, 이동 창호부(200)는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도 6에서 A 방향으로 바라보면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의 내부에는 가이드 롤러(211)가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8 참조).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 및/또는 제2 이동 측면부(230)를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이동 측면부(210) 및 제2 이동 측면부(230)에 연결된 제1 주름 방충망(250)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또는 제1 이동 측면부(210) 및 제2 이동 측면부(230)를 함께 특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도 특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는 제1 이동 측면부(210) 및/또는 제2 이동 측면부(230)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로프가 당겨지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211)를 지나는 로프가 가이드 롤(211)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주름 방충망(250)을 특정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 측면부(230)의 내부에도 가이드 롤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제1 이동 측면부(210) 및/또는 제2 이동 측면부(230)를 특정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이동 측면부(210) 또는 제2 이동 측면부(230)를 각각 이동시키면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주름 방충망(250)이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이동 창호부 제1 이동 측면부 제2 이동 측면부 제1 주름 방충망
고정 고정 좌측 수축
고정 고정 우측 신장
고정 좌측 고정 신장
고정 우측 고정 수축
우측 우측 우측 변화 없음
좌측 좌측 좌측 변화 없음
고정 좌측 우측 신장
상기 표 1을 참고하여 이동 창호부(200)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를 고정하고, 제2 이동 측면부를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의 움직임은 고정되나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수평 방향으로 수축한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를 고정하고, 제2 이동 측면부를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의 움직임은 고정되나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수평 방향으로 신장한다.
사용자가 제2 이동 측면부(230)를 고정하고, 제1 이동 측면부를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의 움직임은 고정되나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수평 방향으로 신장한다.
사용자가 제2 이동 측면부(230)를 고정하고, 제1 이동 측면부를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이동 창호부(200)의 움직임은 고정되나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수평 방향으로 수축한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를 동시에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제1 주름 방충망(250)의 수평 길이 변화는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 창호부(200)는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를 동시에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제1 주름 방충망(250)의 수평 길이 변화는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 창호부(200)는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를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제2 이동 측면부(230)를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제1 주름 방충망(250)은 신장하게 되고, 이동 창호부(200)의 움직임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침고하면, 가이드 롤러(211)는 중심부의 직경이 양측의 직경보다 작은 원통형태이고,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형 홀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11)는 회전운동을 통해서 가이드 롤러(211)를 지나는 지지 로프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반고정 창호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고정 측면부(310), 이동 측면부(330) 및 제2 주름 방충망(350)을 포함한다. 고정 측면부(210)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에 고정된다. 이동 측면부(330)는 이동 창호부(20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제2 주름 방충망(350)은 고정 측면부(310)와 이동 측면부(330)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이며, 메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수평 방향으로 신축 또는 수축되는 원리는 외곽 프레임부(100), 제1 반고정 창호(300) 및 제2 반고정 창호(400)을 경유하여 설치된 가이드 로프에 의해서 구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별도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반고정 창호부의 분해 상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을 참고하면, 고정 측면부(310)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에 연결되고, 이동 측면부(330)는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이동 측면부(3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제2 주름 방충망(350)이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이동 측면부(330)는 우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도 10에서 B 방향으로 바라보면 고정 측면부(310)의 내부에는 가이드 로프가 고정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도 12 참조). 도 10에서 C 방향으로 바라보면 이동 측면부(330)의 내부에는 가이드 롤러(331)가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측면부(330)를 좌측 또는 우측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고정 측면부(310)와 이동 측면부(330)에 연결된 제2 주름 방충망(350)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고정 측면부(310)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창호부 전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는 점에서 "반고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해당 부재를 설명한다. 이동 측면부(330)에 가해진 힘에 의해서 로프가 당겨지기 때문에 가이드 롤러(311)를 지나는 로프가 가이드 롤(311)의 회전에 의해서 제2 주름 방충망(350)을 특정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에서 지지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10)은 2개의 반고정 창호부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창호부를 포함한다. 반고정 창호부는 외곽 프레임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창호부를 의미한다. 반고정 창호부 중 외곽 프레임부(100)의 좌측에 설치되는 창호부를 제1 반고정 창호부(300)로 명명하고, 도 14에서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의 일부(X로 표시된 부분)의 내부 구조를 살펴본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또한, 2개의 반고정 창호부는 주름 방충망을 폴딩하기 위해서 상호 연결된 가이드 로프를 이용하게 된다.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6개의 지지 로프(R1로 도시함)를 포함하고, 제2 반고정 창호부(400)는 6개의 지지 로프(R2로 도시함)를 포함한다. 이동 창호부(200)는 6개의 지지 로프(R3로 도시함)를 포함한다. 지지 로프의 개수는 창호 시스템의 크기, 용도,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하다.
도 1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2개의 반고정 창호부는 이동 창호부에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반고정 창호부에 기계적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가이드 로프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X 영역을 확대하여 내부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310)에는 고정 클립(311)과 장력 조절부(313)을 포함하고, 장력 조절부(313)에 의해서 장력이 조절된 로프(rope)가 고정 클립(311)를 경유하여 제2 주름 방충망(350)를 통과하게 된다. 고정 클립(311)은 다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로프의 경로 형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장력 조절부(313)는 체결 나사, 체결 너트, 체결부를 포함한다. 장력 조절부(313)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에 체결 나사가 안쪽으로 삽입되고, 체결 너트가 바깥쪽으로 삽입된다. 체결 나사와 체결 너트 사이에는 체결부가 위치한다. 체결부의 일측에는 로프가 감겨져 있게 된다. 체결 나사와 체결 너트에 의해서 홈부에 고정된 체결부는 수직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 나사와 체결 너트의 체결 강도에 따라 로프의 장력이 조절되고, 로프의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제2 주름 방충망(350)의 팽팽한 정도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력 조절부(313)는 제2 주름 방충망(350)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방충망이 쳐지는 현상을 방지해 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고정 창호부의 수평 이동을 위한 제1 가이드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1 반고정 창호부(300)와 제2 반고정 창호부(400)는 상호 연결된 2종류의 폐경로 로프(rope)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로프 부재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의 최상부에 위치한 클립(Clip11)에서 시작해서 상부 수평 프레임,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 제3 주름 방충망(450),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의 최하부에 위치한 클립(Clip11), 하부 수평 프레임,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 제1 주름 방충망(350) 및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의 최상부에 위치한 클립(Clip11)에서 종결하는 제1 폐경로(Closed loop 1)를 형성한다.
제2 가이드 로프 부재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의 최상부에 위치한 클립(Clip41)에서 시작해서 상부 수평 프레임,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 제2 주름 방충망(350),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의 최하부에 위치한 클립(Clip18), 하부 수평 프레임,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 제2 주름 방충망(450) 및 제2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의 최상부에 위치한 클립(Clip41)에서 종결하는 제2 폐경로(Closed loop 2)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반고정 창호부(300)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와 상호 형성된 제1 가이드 로프 부재 및 제2 가이드 로프 부재에 의해서 제2 주름 방충망(350) 및 제3 주름 방충망(450)이 수평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고정 창호부의 주름망을 지지하는 지지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에 구비된 최상위 고정 클립의 아래 고정 클립(Clip 12) 이하의 고정 클립에 각각 연결된 로프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를 따라 아래 쪽으로 향하고, 하부 수평 프레임(130)을 따라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까지 연장되며, 각각의 로프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에 구비된 최하위 고정 클립의 바로 위 고정 클립(Clip 47)부터 윗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에 구비된 최하위 고정 클립의 바로 위 고정 클립(Clip 17) 이상의 고정 클립에 각각 연결된 로프는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이동 측면부를 따라 윗 쪽으로 향하고, 상부 수평 프레임(110)을 따라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이동 측면부까지 연장되며, 각각의 로프는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에 구비된 최상위 고정 클립의 바로 아래 고정 클립(Clip 42)부터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창호부의 주름망을 기지하는 지리 로프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이동 창호부(200)는 좌측 수직 프레임(150) 및 우측 수직 프레임(170)에 구비된 고정 클립에 상호 체결되는 지지 로프에 의해서 제1 이동 측면부(210) 및 제2 이동 측면부(23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가하면 제1 이동 측면부(210)에 연결된 제1 주름 방충망(250)이 가해진 외력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러한 지지 로프의 배선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310)의 최상위에 구비된 고정 클립(Clip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1 고정 클립(Clip 51), 제1 반고정 창호부(300)의 고정 측면부(310)의 최하위에 구비된 고정 클립(Clip18)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고정 클립(Clip 52),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410)의 최상위에 구비된 고정 클립(Clip4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3 고정 클립(Clip 53), 제2 반고정 창호부(400)의 고정 측면부(410)의 최하위에 구비된 고정 클립(Clip48)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4 고정 클립(Clip 54)를 포함한다.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의 최상위에는 구비된 제5 고정 클립(Clip 61), 제1 이동 측면부(210)의 최하위에는 구비된 제6 고정 클립(Clip 68), 제2 이동 측면부(230)의 최상위에는 구비된 제7 고정 클립(Clip 71), 제2 이동 측면부(230)의 최하위에는 구비된 제8 고정 클립(Clip 78)을 포함한다.
이동 창호부(200)의 제1 이동 측면부(210)와 제2 이동 측면부(23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프의 배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 고정 클립(Clip 51)에 일측이 고정되는 복수의 로프(예컨대, 제1 내지 3 로프)는 제5 고정 클립(Clip 61)을 경유하여 제1 이동 측면부(210)를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교번적으로 고정 클립을 통과하여 제1 주름 방충망(250)을 가로질러서 제2 이동 측면부(230)를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간 뒤, 제8 고정 클립(Clip 78)을 경유하여 제4 고정 클립(Clip 54)에 모두 합쳐져서 고정된다.
제2 고정 클립(Clip 52)에 일측이 고정되는 복수의 로프(예컨대, 제4 내지 6로프)는 제6 고정 클립(Clip 68)을 경유하여 제1 이동 측면부(210)를 따라 윗쪽으로 올라가면서 제1 내지 3 로프와 순서를 건너띄면서 교차하면서 각각의 고정 클립을 통과하여 제1 주름 방충망(250)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제2 이동 측면부(230)를 따라 윗쪽으로 올라간 뒤, 제7 고정 클립(Clip 71)을 경유하여 제3 고정 클립(Clip 53)에 모두 합쳐져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3 로프와 제4 내지 6 로프는 제1 주름 방충망(250)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면서 상호 교차하되, 교번적으로 교차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1 주름 방충망(250)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1 로프, 제4 로프, 제2 로프, 제5 로프, 제3 로프, 제6 로프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이동 측면부(210) 및/또는 제2 이동 측면부(230)의 하부 또는 상부의 일부를 손으로 잡아서 수평 이동시키더라도 제1 주름 방충망(250)이 상하 좌우로 균일하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청구항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수정가능하다.
10 :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100 : 외곽 프레임부
110 : 상부 수평 프레임
130 : 하부 수평 프레임
150 : 좌측 수직 프레임
170 : 우측 수직 프레임
200 : 이동 창호부
210 : 제1 이동 측면부
211 : 제1 슬라이드 롤러
230 : 제2 이동 측면부
250 : 제1 주름 방충망
300 : 좌측 반고정 창호부
310 : 고정 측면부
311 : 고정 클립
313 : 고정 나사
330 : 이동 측면부
331 : 제2 슬라이드 롤러
350 : 제2 주름 방충망
400 : 우측 반고정 창호부

Claims (10)

  1. 상부 수평 프레임, 하부 수평 프레임, 우측 수직 프레임 및 좌측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외곽 프레임부;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1 이동 측면부,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에 인접하게 수평 이동이 가능한 제2 이동 측면부 및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1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이동 창호부;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상기 이동 창호부의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접할때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상기 고정 측면부와 상기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측면부, 상기 이동 창호부의 상기 제2 이동 측면부와 접할때 까지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 측면부 및 상기 고정 측면부와 상기 이동 측면부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제2 주름 방충망을 포함하는 제2 반고정 창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창호부는, 상기 제1 이동 측면부 또는 상기 제2 이동 측면부 또는 상기 제1 이동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 측면부를 동시에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또는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에 인접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를 경유하는 폐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로프(guide rope);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이동 창호부를 경유하는 폐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동 창호부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가이드 로프; 및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프가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2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및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4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로프는,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4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3 주름 방충망의 하부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제2 주름 방충망의 상부면 및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으로 제1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 로프 부재; 및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2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2 주름 방충망의 하부면,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의 최하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안쪽면,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이동 측면부의 안쪽, 상기 제4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 제3 주름 방충망의 상부면 및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단에 설치된 고정 클립으로 제2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가이드 로프 부재를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하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1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하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3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최상부 고정 클립을 제외한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클립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복수의 지지 로프를 더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상기 이동 창호부의 제1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6 복수의 고정 클립; 및
    상기 이동 창호부의 제2 이동 측면부에 설치되는 제7 복수의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하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1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하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 중 상기 제2 반고정 창호부의 고정 측면부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제4 복수의 지지 로프를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는, 제1 내지 4 지지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는, 제5 내지 8 지지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4 지지 로프는, 상기 제5 내지 8 지지 로프와 각각 교번하여 상기 제1 주름 방충망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질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이 설치된 영역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 복수의 고정 클립에 연결되는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의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로프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장력 조절부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홈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절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홈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복수의 지지 로프 및 상기 제4 복수의 지지 로프의 장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KR1020180032353A 2018-03-20 2018-03-20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KR10193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53A KR101932400B1 (ko) 2018-03-20 2018-03-20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353A KR101932400B1 (ko) 2018-03-20 2018-03-20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400B1 true KR101932400B1 (ko) 2018-12-27

Family

ID=6495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353A KR101932400B1 (ko) 2018-03-20 2018-03-20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74A (ko) 2020-09-21 2022-03-29 임옥수 여닫이 주름 방충망
KR20220055820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비웨이브시스템 여닫이 주름 방충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616B1 (ko) * 2017-06-23 2018-01-04 정창보 주름식 방충망과 블라인드가 동시에 구비되는 창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616B1 (ko) * 2017-06-23 2018-01-04 정창보 주름식 방충망과 블라인드가 동시에 구비되는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74A (ko) 2020-09-21 2022-03-29 임옥수 여닫이 주름 방충망
KR20220055820A (ko)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비웨이브시스템 여닫이 주름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9503B2 (ja) スクリーン装置
AU723109B2 (en) Screen apparatus
AU651938B2 (en) Double layer shade
US4687038A (en) Blind construction
US20060162871A1 (en) Screen device
KR101932400B1 (ko) 외풍의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주름 방충망 창호 시스템
US20150184450A1 (en) Cellular shade with divider webs
US20130118694A1 (en) Screen device
KR101814616B1 (ko) 주름식 방충망과 블라인드가 동시에 구비되는 창호
EP3064701A1 (en) A compensation system for pleated screens, such as for example mosquito nets and blinds
JPH053520B2 (ko)
KR20180013295A (ko) 리니어 체인에 의한 롤 개폐 유닛이 가변 적용되게 한 스크린 장치
US20190360264A1 (en) Curtain frame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ITRM950175A1 (it) Dispositivo a molla per l'avvolgimento e lo svolgimento guidato di un telo avvolto su di un supporto cilindrico.
KR101128056B1 (ko) 블라인드
KR101576178B1 (ko) 방충망
JPH10280837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150117048A (ko) 모듈화 조립식 창틀
KR200382345Y1 (ko) 격자형 자바라
KR101942758B1 (ko) 리니어 체인의 처짐 방지구조가 적용된 롤 스크린 장치
KR102666656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여닫이 주름 방충망
JP2895737B2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装置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102597835B1 (ko) 여닫이 주름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