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056B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056B1
KR101128056B1 KR1020090077611A KR20090077611A KR101128056B1 KR 101128056 B1 KR101128056 B1 KR 101128056B1 KR 1020090077611 A KR1020090077611 A KR 1020090077611A KR 20090077611 A KR20090077611 A KR 20090077611A KR 101128056 B1 KR101128056 B1 KR 10112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slats
slat
blind
rear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971A (ko
Inventor
왕여진
Original Assignee
왕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여진 filed Critical 왕여진
Priority to KR102009007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0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량을 조절하며 상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blind)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가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차광량을 조절하는 슬랫;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앞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전면커튼;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뒷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후면커튼;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을 서로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상하의 길이 조절이 되며, 상기 전면커튼 또는 후면커튼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슬랫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슬랫에 결합되어 있는 전면커튼 또는 후면커튼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차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블라인드를 완전히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며, 전면커튼과 후면커튼에 의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블라인드, 커튼 혼합형, 상하 접이식, 차광량 조절

Description

블라인드{Window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라인드를 완전히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며, 전면커튼과 후면커튼에 의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blind)는 창에 달아 햇빛을 가리거나 바깥에서 들여다볼 수 없게 하는 물건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블라인드가 주택과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이나 사무 공간에서 사용되고 있다.
사무 공간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블라인드는 나무나 알루미늄 재질의 좁고 긴 띠 형상의 슬랫 여러 개를 줄로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슬랫에 연결된 줄을 이용하여 슬랫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햇빛을 원하는 만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랫에 연결된 또 다른 줄을 이용하여 상기 슬랫들을 포개어 적층함으로써 블라인드의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라인드는 사무용으로 사용하기는 적당하나,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실내 장식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원단을 사용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인 블라인드가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도 1에는 이러한 블라인드(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는 전면커튼(2)과, 상기 전면커튼(2)에 나란하게 배치된 후면커튼(3)과, 상기 전면커튼(2)과 후면커튼(3)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중간커튼(4)과, 콘트롤박스(6)내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전면커튼(2)과 후면커튼(3)의 상단부가 연결된 원통부재(5)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기 중간커튼(4)이 상기 사무용 블라인드에서의 슬랫 역할을 하며, 상기 원통부재(5)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중간커튼(4)이 회전하여 차광량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블라인드(1)는, 상기 중간커튼(4)이 압축력이나 전단력을 견딜 수 없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사무용 블라인드처럼 상기 중간커튼(4)을 적층함으로써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는 없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재(5)에 말아서 감아 올리는 방식으로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1)는, 슬랫 역할을 하는 중간커튼(4)이 원단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를 완전히 내렸을 때에만 상기 원통부재(5)를 회전시킴으로써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를 중간 정도로 내렸을 때에는 차광량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라인드를 완전히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며, 전면커튼과 후면커튼에 의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블라인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량을 조절하며, 상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에 있어서, 다수개가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차광량을 조절하는 슬랫;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앞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전면커튼;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뒷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후면커튼;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을 서로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상하의 길이 조절이 되며, 상기 전면커튼 또는 후면커튼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슬랫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슬랫에 결합되어 있는 전면커튼 또는 후면커튼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차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블라인드를 완전히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며, 전면커튼과 후면커튼에 의 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최하단 슬랫이 상측으로 약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가 중간 정도로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100)는, 창에 달아 햇빛을 가리거나 바깥에서 들여다볼 수 없게 하는 것으로서, 슬랫(10)과, 전면커튼(20)과, 후면커튼(30)과, 슬랫결합부재(40)와, 폴딩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랫(10)은, 기다란 띠 형상의 부재로서 다수개 구비되며, 상하로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랫(10)은 압축력이나 전단력을 견딜 수 있도록 얇은 합판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슬랫(10)의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앞 단부와 뒷 단부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돌기부(11)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랫(10)의 상기 중심축(C) 상에는, 상기 슬랫(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2개의 관통공(12)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랫(10)들 중에 최하단에 배치된 슬랫(10)에는 2개의 상하조절와이 어(13)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하조절와이어(13)는 상기 관통공(12)들을 차례로 관통하여, 창문틀이나 천장에 부착되는 콘트롤박스(6)에 연결된다.
상기 전면커튼(20)은,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시트 형상 부재로서, 상단이 상기 콘트롤박스(6)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사 형태의 직물 원단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후면커튼(30)은, 상기 전면커튼(20)과 마찬가지로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시트 형상 부재로서, 상단이 상기 콘트롤박스(6)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사 형태의 직물 원단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6)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조절와이어(13)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상하조절장치(미도시)와 상기 전면커튼(20)과 후면커튼(3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차광조절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박스(6)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하조절장치(미도시)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줄(미도시)과 상기 차광조절장치(미도시)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바(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6)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슬랫결합부재(40)는, 상기 슬랫(10)과 상기 전면커튼(20) 및 후면커튼(30)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기다란 졸대 형상의 부재로서 다수개 구비되며, 일면은 상기 전면커튼(20) 및 상기 후면커튼(30)에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부착되며, 타면에는 상기 슬랫(10)의 돌기부(11)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랫결합부재(4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홈부(41)의 입구부는 상기 슬랫(10)의 돌기부(11)의 삽입에 의하여 벌어졌다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오므라듬으로써 상기 돌기부(11)를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41)에 삽입된 상기 돌기부(11)는 상기 홈부(4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폴딩부재(50)는, 투명하고 얇은 띠 형상의 부재로서 다수개 구비되며, 일면이 상기 슬랫(10)들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전면커튼(20) 및 후면커튼(30)에 각각 세로로 부착되며, 타면은 상기 중심축(C)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폴딩부재(50)의 중앙부에는 절첩선(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폴딩부재(50)는 상기 절첩선(51)을 기준으로 상기 일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쉽게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폴딩부재(50)는 상기 중심축(C)을 향하여 내측으로 쉽게 접혀지고 외측으로는 잘 접혀지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딩부재(50)의 상기 타면에 폭이 좁고 깊은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가 절첩선(51)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블라인드(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조절바를 중립상태에 놓고 상기 조절줄을 조정하여 상기 상하조절와이어(13)를 최대한으로 풀어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랫(10)들이 모두 서로 최대한 이격되어 수평한 상태, 즉 블라인드(10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절바를 조정하여 상기 후면커튼(30)을 상측으로 일정거 리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면커튼(20)을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슬랫(10)들이 상기 중심축(C)을 중심으로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다시 차광량을 늘리기 위하여는 상기 조절바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10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줄을 조정하여 상기 상하조절와이어(13)를 감아올리기 시작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단 슬랫(10)이 상승하면서 그 위 슬랫(10)과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폴딩부재(50)가 상기 중심축(C) 방향 즉 내측으로 접혀지기 시작하고, 상기 상하조절와이어(13)를 더 감아올리면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갯수의 슬랫(10)들이 서로 밀착됨으로써 블라인드(100)의 상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딩부재(50)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랫(10)들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전면커튼(20) 및 후면커튼(30)이 내측으로 가지런히 접혀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100)가 중간 정도로 내려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절바를 조정하여 상기 후면커튼(30)을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전면커튼(20)을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다수개의 슬랫(10)들이 상기 중심축(C)을 중심으로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다시 차광량을 늘리기 위하여는 상기 조절바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된다.
이렇게, 상기 블라인드(100)는, 종래의 블라인드(1)와는 달리, 블라인드를 최하 위치까지 완전히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조절바에 의하여 차광량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튼(20)과 후면커튼(30)에는 다양한 문양과 색상의 원단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사무용 블라인드와는 달리 실내 장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슬랫(10)과 상기 전면커튼(20) 및 후면커튼(30)은 상기 슬랫결합부재(40)에 의하여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슬랫(10)과 커튼들(20, 30)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랫(10)과 커튼들(20, 30)의 교환이나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블라인드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라인드가 중간 정도로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의 최하단 슬랫이 상측으로 약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가 중간 정도로 내려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블라인드가 중간 정도로 내려온 상태에서 슬랫이 회전됨으로써 차광량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라인드 10 : 슬랫
11 : 돌기부 12 : 관통공
13 : 상하조절와이어 20 : 전면커튼
30 : 후면커튼 40 : 슬랫결합부재
41 : 홈부 50 : 폴딩부재
51 : 절첩선 6 : 콘트롤박스

Claims (3)

  1. 차광량을 조절하며, 상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에 있어서,
    다수개가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차광량을 조절하는 슬랫;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앞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전면커튼;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의 뒷 단부에 결합되며, 투광성과 통풍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후면커튼;
    상기 슬랫들 중 최하단에 배치된 슬랫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조절와이어;
    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조절와이어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슬랫들을 서로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상하의 길이 조절이 되며, 상기 전면커튼 또는 후면커튼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슬랫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커튼 및 후면커튼에 부착되며, 상기 슬랫의 앞 단부 및 뒷 단부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랫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랫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슬랫과 상기 전면커튼 및 후면커튼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들 사이에서 상기 전면커튼 및 후면커튼에 부착되며, 상기 다수개의 슬랫들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전면커튼 및 후면커튼이 내측으로 가지런히 접혀질 수 있도록, 절첩선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폴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090077611A 2009-08-21 2009-08-21 블라인드 KR10112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11A KR101128056B1 (ko) 2009-08-21 2009-08-21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11A KR101128056B1 (ko) 2009-08-21 2009-08-21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71A KR20110019971A (ko) 2011-03-02
KR101128056B1 true KR101128056B1 (ko) 2012-04-12

Family

ID=4392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11A KR101128056B1 (ko) 2009-08-21 2009-08-21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414B1 (ko) * 2013-08-29 2015-06-09 주식회사 윈플러스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589944B1 (ko) 2014-06-23 2016-02-04 심이택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0304B (zh) * 2017-06-21 2019-08-20 远东恒辉幕墙(珠海)有限公司 一种幕墙装饰条结构及其安装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548A (ja) * 1992-12-09 1994-06-21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
KR19980057774U (ko) * 1997-02-12 1998-10-15 서영성 그림 삽입홈이 형성된 버티컬브라인드
JP2000240374A (ja) * 1999-02-19 2000-09-05 Taisei Corp ブラインド
JP2006283554A (ja) * 2005-04-01 2006-10-19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折り畳み遮光要素を有するウィンドウ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548A (ja) * 1992-12-09 1994-06-21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型ブラインド
KR19980057774U (ko) * 1997-02-12 1998-10-15 서영성 그림 삽입홈이 형성된 버티컬브라인드
JP2000240374A (ja) * 1999-02-19 2000-09-05 Taisei Corp ブラインド
JP2006283554A (ja) * 2005-04-01 2006-10-19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折り畳み遮光要素を有するウィンドウカ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414B1 (ko) * 2013-08-29 2015-06-09 주식회사 윈플러스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589944B1 (ko) 2014-06-23 2016-02-04 심이택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71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JP4585993B2 (ja) 巻上げブラインドセグメントを有する窓覆い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US7806159B2 (en) Flexible window covering
US20110005690A1 (en) Window Covering
US20060048904A1 (en) Dual dro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US7252132B2 (en) Window covering
JP2004332523A (ja) ローマ式シェード
US20060289122A1 (en) Multi-stage window covering
KR101128056B1 (ko) 블라인드
JP2006283554A (ja) 折り畳み遮光要素を有するウィンドウカバー
US20070246170A1 (en) Combination window or door covering
US9982481B2 (en) Arch window covering with control
KR101318073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AU2003204663B2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GB2421536A (en) Window covering with juxtaposed blinds
KR101863242B1 (ko) 수평블라인드용 다목적 슬래트 방향전환 및 기울기 조절장치
KR200457561Y1 (ko) 블라인드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용 장치
KR101854052B1 (ko) 블라인드용 스토퍼
CA2626147C (en) Flexible window covering
US10113358B1 (en) Window blinds with extendable edges
KR101221573B1 (ko) 망사 블라인드
KR101452115B1 (ko) 블라인드형 이중직물 커튼
KR20120021343A (ko) 롤 업 쉐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