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46Y1 -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546Y1
KR200496546Y1 KR2020220000344U KR20220000344U KR200496546Y1 KR 200496546 Y1 KR200496546 Y1 KR 200496546Y1 KR 2020220000344 U KR2020220000344 U KR 2020220000344U KR 20220000344 U KR20220000344 U KR 20220000344U KR 200496546 Y1 KR200496546 Y1 KR 200496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insect screen
pleated
ring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중식
Original Assignee
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중식 filed Critical 금중식
Priority to KR202022000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21Frameless fly screens; Tension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20-2021-0003755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 시켜 회전축과 손잡이 프레임간의 연결 강도를 높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회전축에 연결된 가이드 줄은 반드시 연결부인 감김 구간 내에서만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되게 하여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흘러내리면서 아래의 가이드 줄과 간섭되어 서로 얽히는 현상을 방지시켜 가이드 줄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름 방충망을 펼치기 위해 인위적으로 당길 때 방충망 전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아도 가이드 줄은 회전축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을 벗어나지 않게 되어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짐으로써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A connect structure guide cord of wrinkle a mosquito net}
본 고안은 접힘 구조를 갖는 주름 타입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 방충망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전개 및 접힘 구조를 갖도록 하는 핵심 기능인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키되, 회전축에 연결되는 가이드 줄은 연결부인 감김 구간 내에서만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되게 하여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흘러내리면서 아래의 가이드 줄과 상호 간섭되어 얽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켜 가이드 줄의 감김 및 풀림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인바, 특히 본인의 선출원 고안 20-2021-0003755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주름 타입 방충망은 대부분이 수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바, 이는 필요에 따라 차단 및 개방 모두를 인위적인 힘으로 이동시키면서,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기위한 수단으로 창문과 출입문 등의 창호에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주름 방충망은 접힘구조를 갖는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만 방충망이 연결된 손잡이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펼침으로써, 창호를 차단하여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고, 출입문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시 손잡이 프레임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혀지게 함으로써, 창호를 막지 않게 개방하는데 이때, 주름 방충망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줄에 의해 전개 및 접혀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 줄은 고정 프레임 및 가이드 프레임과 손잡이 프레임에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주름 방충망은 그 모든 사용을 수동방식에만 의존하는 것이어서 사용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수동방식에 의한 주름 방충망은 접힘구조를 갖도록 하는 핵심 기능인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과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면에 매립시켜 다시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의 내부면에 상호 연결시키는 구조적인 제한으로 인해 그 연결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시공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과 또한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 시에는 고정 프레임과 이동프레임 간의 충돌과 외부 충격요인으로 인해 가이드 줄이 느슨해지게 되어 가이드 줄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디.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의 선출원 고안에서는 주름 방충망을 사용하거나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혀지게 할 때,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켜 회전축과 손잡이 프레임간의 연결 강도를 높혀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다수의 가이드 줄이 회전축 상에 단순하게 감기는 방식이어서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시 가이드 줄이 회전축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을 벗어나 아래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아래의 다른 가이드 줄에 간섭되어 서로 얽히면서 가이드 줄의 정확한 동작을 방해하는 폐단이 있을 뿐 아니라 주름 방충망을 인위적으로 펼치기 위해 방충망을 잡도 당길 때에도 방충망 전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고 한곳으로 편중될 경우 힘을 받지 못한 쪽의 가이드 줄은 회전축 에서 제대로 풀리지 않고 감김 구간을 벗어나면서 아래로 흘러내려 아래의 다른 가이드 줄에 간섭되어 서로 얽히면서 가이드 줄의 풀림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20-2021-0003755호(2021, 12, 09)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본인 선출원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접힘구조를 갖는 주름 타입의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방충망이 연결된 손잡이 프레임을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펼침으로써, 창문과 출입문 등의 창호를 차단하여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고, 출입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는 손잡이 프레임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혀지게 할 때,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켜 회전축과 손잡이 프레임간의 연결 강도를 높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회전축에 연결된 가이드 줄은 반드시 연결부인 감김 구간 내에서만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되게 하여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흘러내리면서 아래의 가이드 줄과 간섭되어 서로 얽히는 현상을 방지시켜 가이드 줄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름 방충망을 펼치기 위해 인위적으로 당길 때 방충망 전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아도 가이드 줄은 회전축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을 벗어나지 않게 되어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짐으로써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줄 연결구조는 주름 방충망의 양측 단으로 부착되는 좌, 우 쫄대; 상기 좌, 우 쫄대를 통해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 상기 좌측 쫄대는 고정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며, 우측 쫄대는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좌, 우 쫄대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 일측이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에 연결되며, 가이드 줄 타측은 브라켓 부재를 통해 우측 쫄대에 연결되어 우측 쫄대가 손잡이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가이드 줄 일측은 링형 부재의 내주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가이더 중 일측 가이더에 1차로 연결되어 링형 부재의 양측 가이더가 회전축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면서 링형 부재를 통해 회전축에 최종 연결되어 다수의 가이드 줄 일측이 회전축 상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이드 줄 타측이 연결되는 손잡이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링형 부재는 상,하 테두리에 상,하부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사이로 가이드 줄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이 형성되며, 링형 부재의 내주면 즉, 감김 구간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가이더는 상측이 상부 플랜지에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어 그 중앙에 절개면이 형성되고, 절개면과 연장되는 외면으론 걸림공간과, 걸림공간에서 연장되는 양측에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은 상부 플랜지까지만 형성되면서 그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홈을 통해 하측의 절개면과 연결되고, 하측의 절개면은 하부 플랜지 부터 감김 구간의 중간지점 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줄의 일측은 단부를 매듭지어 매듭부로 형성한 상태에서 매듭부를 걸림공간에 위치시켜 놓고, 매듭부 이하의 가이드 줄을 돌출편의 절개면에 끼운 상태에서 가이더 내면의 연결 홈을 거쳐 하측의 절개면에 끼워 감김 구간의 중앙지점 하측의 절개면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매듭부가 상측의 절개면 사이에 걸리면서 가이드 줄의 일측이 링형 부재의 감김 구간에 간편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는 접힘구조를 갖는 주름 타입의 방충망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방충망이 연결된 손잡이 프레임을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펼침으로써 출입문 등의 창호를 차단하여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고, 출입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는 손잡이 프레임을 일측 고정 프레임 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을 접혀지게 할 때,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을 고정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시켜 회전축과 손잡이 프레임간의 연결 강도를 높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본인의 선출원 고안과 동일하게 된다.
한편, 링형 부재를 통해 회전축에 연결된 가이드 줄은 연결부인 감김 구간 내에서만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되게 하여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이 흘러내려 간섭되면서 서로 얽히는 현상을 방지시켜 가이드 줄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주름 방충망을 펼치기 위해 인위적으로 당길 때 방충망 전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아도 가이드 줄은 회전축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주름 방충망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상태 사시도면
도 2는 도 1에서 회전축과 링형 부재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면
도 3은 도2의 요부 확대 사시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형 부재의 반단면 확대도면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 확대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 부재에 가이드 줄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바,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하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상태 사시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과 링형 부재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면과 확대 사시도면이며, 도 4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링형 부재의 반단면 확대도면과 A-A선 단면 확대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 부재에 가이드 줄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는 주름 방충망(1)의 양측 단으로 부착되는 좌, 우 쫄대(2,3); 상기 좌, 우 쫄대(2,3)를 통해 주름 방충망(1)을 관통하는 다수 수의 가이드 줄(4); 상기 좌측 쫄대(2)는 고정 프레임(5)의 일면에 장착되며, 우측 쫄대(3)는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6)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좌, 우 쫄대(2,3)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1)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4) 일측이 고정 프레임(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7)에 연결되며, 가이드 줄(4) 타측은 브라켓 부재를 통해 우측 쫄대(3)에 연결되어 우측 쫄대(3)가 손잡이 프레임(6)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에 연결되는 가이드 줄(4) 일측은 링형 부재(8)의 내주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가이더(9,10)중 일측 가이더(9)에 1차로 연결되어 링형 부재(8)의 양측 가이더(9,10)가 회전축(7)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1,12)에 끼워지면서 링형 부재(8)를 통해 회전축(7)에 최종 연결되어 다수의 가이드 줄(4) 일측이 회전축(7) 상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이드 줄(4) 타측이 연결되는 손잡이 프레임(6)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1)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형 부재(8)는 상,하 테두리에 상,하부 플랜지(13,14)를 형성하여 그 사이로 가이드 줄(4)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15)이 형성되며, 링형 부재(8)인 감김 구간(15)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더(9,10)는 상측이 상부 플랜지(13)에서 연장 돌출되어 그 중앙에 절개면(18)이 형성되고, 절개면(18)과 연장되는 외면으론 걸림공간(19)과, 걸림공간(19)에서 연장되는 양측에는 끼움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18)은 상부 플랜지(13) 까지만 형성되면서 그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홈(21)을 통해 하측의 절개면(18a)과 연결되고, 하측의 절개면(18a)은 하부 플랜지(14) 부터 감김 구간(15)의 중간지점 까지만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줄(4)의 일측은 단부를 매듭지어 매듭부(4a)로 형성한 상태에서 매듭부(4a)를 걸림공간(19)에 위치시켜 놓고, 매듭부(4a) 이하의 가이드 줄(4)을 상측의 절개면(18)에 끼운 상태에서 가이더(9) 내면의 연결 홈(21)을 거쳐 하측의 절개면(18a)에 끼워 감김 구간(15)의 중간 지점 하측의 절개면(18a)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매듭부(4a)가 절개면(18)에 걸리면서 가이드 줄(4)의 일측이 링형 부재(8)의 감김 구간(15)에 감기도록 연결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프레임(6)의 일면에 장착되는 우측 쫄대(3)에 브라켓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가이드 줄(4)의 기술구성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 제20-2021-0003755호에 다루어진 기술 구성이고, 본원 고안에서의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구성이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접힘구조를 갖는 주름 방충망(1)을 방충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주름 방충망(1)이 우측 쫄대(3)를 통해 장착된 손잡이 프레임(6)을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1)을 펼침으로써, 출입문 등의 창호를 차단하여 모기나 파리와 같은 각종 해충들의 실내 침입을 막고, 출입문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는 손잡이 프레임(6)에 장착되는 록크수단(미 도시됨)의 해제를 통해 손잡이 프레임(6)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1)을 접혀지게 할 때, 주름 방충망(1)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4)이 고정 프레임(5)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7)에 연결된 링형 부재(8)의 감김 구간(15)에 감기면서 손잡이 프레임(6)이 고정 프레임(5)에 근접 이동되어 주름 방충망(1)이 자동으로 접혀지게 되는바, 상기에서 회전축(7)의 회전구조 또한 기존 롤 방충망 등에 적용되는 자유실시 기술에 해당되므로 이 역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줄(4)을 링형 부재(8)를 통해 회전축(7)에 연결시키는 과정 과정과 링형 부재(8)에 가이드 줄(4)의 감김 동작에 대해서만 집중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 줄(4)의 일측 단부를 매듭지어 매듭부(4a)로 형성한 후, 상기 매듭부(4a)를 링형 부재(8)의 상부 플랜지(13)에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외측의 걸림공간(19)에 위치시켜 놓고, 매듭부(4a) 이하의 가이드 줄(4)을 걸림공간(19)을 통해 상측의 절개면(18)에 끼움과 동시에 절개면(18)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홈(21)에 삽입시키면서 하측의 절개면(18a)을 통해 감김 구간(15)의 중간지점 까지만 형성되는 하측의 절개면(18a) 외측으로 잡이 당기게 되면 상기 매듭부(4a)가 절개면(18)의 사이에 걸리면서 가이드 줄(4)의 일측이 링형 부재(8)에 1차로 연결되는바, 이때 가이드 줄(4)은 팽팽하게 긴장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 2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링형 부재(8)의 양측 가이더(9,10) 끼움부(20)를 회전축(7)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1,12)에 밀어 끼우면 가이드 줄(4)이 링형 부재(8)를 통해 회전축(7)에 최종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링형 부재(8)에 다수의 가이드 줄(4) 일측을 연결한 후, 다수의 링형 부재(8)를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회전축(7)에 모두 연결하면 다수의 가이드 줄(4)이 회전축(7)에 연결되는 연결작업이 완료되고, 이때 회전축(7)에 연결된 가이드 줄(4)은 감김 구간(15) 내에서만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되는바, 상기와 같이 가이드 줄(4)의 감김 및 풀림이 반복될 때, 가이드 줄(4)은 링형 부재(8)의 상,하부 플랜지(13,14)에 가로 막혀 감김 구간(15) 내에서만 동작됨으로써, 잦은 또는 장기간 사용에도 주름 방충망(1)을 관통하는 가이드 줄(4)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다른 가이드 줄에 간섭되어 서로 얽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켜 가이드 줄(4)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주름 방충망(1)을 펼치기 위해 인위적으로 당길 때 주름 방충망(1) 전체에 고르게 힘이 전달되지 않아도 가이드 줄(4)은 회전축(7)에 연결된 링형 부재(8)의 감김 구간(15)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가이드 줄(4)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짐으로써 주름 방충망(1)의 전개 및 접힘 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1 : 주름 방충망 2,3 : 좌, 우 쫄대
4 : 가이드 줄 4a : 매듭부분
5 : 고정 프레임 6 : 손잡이 프레임
7 : 회전축 8 : 링형 부재
9,10 : 가이더 11,12 : 슬라이드 홈
13,14 : 상,하부 플랜지 18,18a : 절개면
19 : 걸림공간 20 : 끼움부
21 : 연결 홈

Claims (3)

  1. 주름 방충망(1)의 양측 단으로 부착되는 좌, 우 쫄대(2,3); 상기 좌, 우 쫄대(2,3)를 통해 주름 방충망(1)을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4); 상기 좌측 쫄대(2)는 고정 프레임(5)의 일면에 장착되며, 우측 쫄대(3)는 이동하는 손잡이 프레임(6)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좌, 우 쫄대(2,3)와 그 사이 주름 방충망(1)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가이드 줄(4) 일측이 고정 프레임(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축(7)에 연결되며, 가이드 줄(4) 타측은 브라켓 부재를 통해 우측 쫄대(3)에 연결되어 우측 쫄대(3)가 손잡이 프레임(6)의 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에 연결되는 가이드 줄(4)의 일측은 링형 부재(8)의 내주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 가이더(9,10)중 일측 가이더(9)에 1차로 연결되어 링형 부재(8)의 양측 가이더(9,10)가 회전축(7)의 양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1,12)에 끼워지면서 링형 부재(8)를 통해 회전축(7)에 최종 연결되어 다수의 가이드 줄(4) 일측이 회전축(7) 상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가이드 줄(4) 타측이 연결되는 손잡이 프레임(6)을 이동시켜 주름 방충망(1)을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부재(8)는 상,하 테두리에 상,하부 플랜지(13,14)를 형성하여 그 사이로 가이드 줄(4)의 연결부인 감김 구간(15)이 형성되며, 링형 부재(8)인 감김 구간(15)의 내주면에 마주보게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더(9,10)는 상측이 상부 플랜지(13)에서 연장 돌출되어 그 중앙에 절개면(18)이 형성되고, 절개면(18)과 연장되는 외면으론 걸림공간(19)과, 걸림공간에서 연장되는 양측에는 끼움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18)은 상부 플랜지(13) 까지만 형성되면서 그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홈(21)을 통해 하측의 절개면(18a)과 연결되고, 하측의 절개면(18a)은 하부 플랜지(14) 부터 감김 구간(15)의 중간지점 까지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줄(4)의 일측은 단부를 매듭지어 매듭부(4a)로 형성한 상태에서 매듭부(4a)를 걸림공간(19)에 위치시켜 놓고, 매듭부(4a) 이하의 가이드 줄(4)을 상측의 절개면(18)에 끼운 상태에서 가이더(9) 내면의 연결 홈(21)을 거쳐 하측의 절개면(18a)에 끼워 감김 구간(15)의 중간 지점 하측의 절개면(18a) 외측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매듭부(4a)가 절개면(18)에 걸리면서 가이드 줄(4)의 일측이 링형 부재(8)의 감김 구간(15)에 감기도록 연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2020220000344U 2022-02-03 2022-02-03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200496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44U KR200496546Y1 (ko) 2022-02-03 2022-02-03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44U KR200496546Y1 (ko) 2022-02-03 2022-02-03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546Y1 true KR200496546Y1 (ko) 2023-02-23

Family

ID=8532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44U KR200496546Y1 (ko) 2022-02-03 2022-02-03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546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1U (ja) * 1991-06-28 1993-01-19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折り畳み式網戸
KR20050093900A (ko) *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101437523B1 (ko) * 2013-04-10 2014-09-03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타입 블라인드의 루프 줄 길이조절 및 고정장치
KR20150110208A (ko) * 2014-03-24 2015-10-02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20170009169A (ko) * 2015-07-16 2017-01-25 안종룡 자력을 이용한 원터치형 블라인드 원단 탈부착 시스템
CN207715056U (zh) * 2018-01-16 2018-08-10 郑州名扬窗饰材料有限公司 一种横拉百折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1U (ja) * 1991-06-28 1993-01-19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折り畳み式網戸
KR20050093900A (ko) *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101437523B1 (ko) * 2013-04-10 2014-09-03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타입 블라인드의 루프 줄 길이조절 및 고정장치
KR20150110208A (ko) * 2014-03-24 2015-10-02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20170009169A (ko) * 2015-07-16 2017-01-25 안종룡 자력을 이용한 원터치형 블라인드 원단 탈부착 시스템
CN207715056U (zh) * 2018-01-16 2018-08-10 郑州名扬窗饰材料有限公司 一种横拉百折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4436A (en) Suspension and actuation system for specialty window shades
US8079397B2 (en) Roman shade with protected operating cords
US9341020B1 (en) Single pull-cord controller of roman shade
EP2888429B1 (en) Blind system
TW201307667A (zh) 設有阻力平衡機構的窗簾
EP2472049A2 (en) Window covering with cord shrouds
US9010399B2 (en) Window shade
US6948216B2 (en) Window covering with improved anchor for operating cord
US20100024994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Deformable Connector
US8505607B2 (en) Window shade
KR200496546Y1 (ko)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US20150184455A1 (en) Window Shade
MX2011001873A (es) Sistema de cortina enrollable que tiene una tela plegada.
US2706522A (en) Venetian blind
KR200496365Y1 (ko)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KR200496730Y1 (ko)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회전축 보강 구조
KR102503392B1 (ko) 출입문용 주름 방충망의 창호 시스템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JP3256156B2 (ja) ブラインドの操作機構
KR200373380Y1 (ko) 로만쉐이드용 줄 조절장치
US8851140B2 (en) Window shade
CN108086886A (zh) 一种多滑轮收卷的防蚊虫推拉纱门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DE202006005083U1 (de) Wickelvorrichtung eines Rollos
KR200355858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권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