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85B1 - 폴딩도어 경첩 - Google Patents

폴딩도어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85B1
KR101819485B1 KR1020160127400A KR20160127400A KR101819485B1 KR 101819485 B1 KR101819485 B1 KR 101819485B1 KR 1020160127400 A KR1020160127400 A KR 1020160127400A KR 20160127400 A KR20160127400 A KR 20160127400A KR 101819485 B1 KR101819485 B1 KR 10181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fixing
folding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263A (ko
Inventor
홍성주
Original Assignee
(주)이지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폴딩 filed Critical (주)이지폴딩
Priority to KR102016012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48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05Y2400/3017Safety means therefor
    • E05Y2800/11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힌지 결합하는 개별도어가 서로 절첩되며 개폐시에, 개별도어의 벌어지는 틈으로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경첩이 구비된 폴딩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 경첩은 일측은 고정부의 측면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개별도어(210)의 수직도어관(2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태의 고정축(323)이 구비되는 고정경첩(320); 및 상기 개별도어(210)가 서로 절첩시에 상기 측면프레임(140)과 수직도어관(212) 사이에 벌어지는 틈(C)으로 끼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경첩(320)과 결합되는 막음편(3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도어 경첩{FOLDING DOOR}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힌지 결합하는 개별도어가 서로 절첩되며 개폐시에, 개별도어의 벌어지는 틈으로 끼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경첩이 구비된 폴딩도어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접이식 문을 말하는 것으로, 출입문을 완전히 개방하기 어려운 공간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건물 벽면에 미리 타공 형성된 출입구 틀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성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고정프레임(10)을 설치하고, 설치된 고정프레임(10)에 서로 절첩 가능한 다수의 도어(20)를 경첩(30)으로 결합하여 출입문을 형성하며, 수평이동이 가능한 롤러를 도어(2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고정프레임(10)를 따라 도어(20)를 수평이동 및 절첩시켜 접이식 문을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문은 도어(20)가 서로 절첩 시에 그 도어의 벌어지는 틈(C)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나 소지품 등이 끼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는 다수의 경첩(30)을 체결수단(S)으로 결합함으로써, 체결수단(S)이 결합되고자 하는 부분을 일일이 드릴 등으로 천공하고, 체결수단(S)이 고정되기 위한 캡이 삽입되어야 하는 복잡함에 의해 작업속도가 늦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제안된 것으로, 서로 절첩되는 개별도어의 벌어지는 틈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나 소지품 등이 인입되지 않도록 폴딩도어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서로 절첩 가능하도록 개별도어에 경첩을 설치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는 타공된 건물 벽면에 출입구 틀이 형성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출입문 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수평이동 및 절첩 가능하게 양끝단이 서로 이웃하며,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개별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상기 개별도어 사이에 결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라인경첩과, 상기 개별도어가 서로 절첩시에 벌어지는 틈 사이로 끼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라인경첩 외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막음편을 포함하는 경첩부 및 상기 경첩부와 결합하며, 상기 도어부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하면에 상기 롤러부가 인입되는 제1롤러 홈;을 포함하는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롤러부가 인입되는 제2롤러 홈과, 상기 제2롤러 홈 내부에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보강프레임 및 상기 타공된 건물 벽면의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별도어는 유리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수평도어관과, 상기 유리판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수직도어관 및 상기 수평 및 수직도어관에 설치되며, 상기 유리판의 정면 또는 배면을 가압하도록 결합하는 유리고정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도어관은 측면에 상기 유리판의 일단이 삽입되는 수용홈과, 타측에 상기 라인경첩과 끼움 결합하는 힌지공 및 상기 수용홈과 상기 힌지공 사이에 상기 유리판의 삽입을 제한하는 진입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첩부는 상기 개별도어가 일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상기 개별도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측면이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개별도어와 결합하는 고정경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인경첩은 양 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연장형성된 힌지축 및 상면에서 하면까지 천공 형성되거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인경첩 또는 상기 고정경첩은 측면 또는 양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음편은 일단 또는 양단에서 유선형으로 연장형성된 날개 및 상면에 끼움 결합 가능한 돌기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도어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도어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수평이동하는 지지롤러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롤러 또는 지지롤러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라인경첩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 또는 지지롤러를 상기 도어부에 고정 설치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 또는 지지롤러는 상기 라인경첩의 외부로 끼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도어가 절첩 시에 벌어지는 부채꼴 형상의 틈으로 사용자의 신체나 소지품 등이 인입되지 않도록 막음편이 막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볼트 또는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어도 경첩부 및 롤러부의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시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도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의 (a)(b)는 도 2에 대한 A-A 및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고정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도어부, 경첩부 및 롤러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확대도.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도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경첩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롤러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 구조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1)는 건물 벽에 설치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절첩 가능하게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는 개별도어(210)와 이동도어관(230)을 포함하는 도어부(200)와, 개별도어(210)가 서로 절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어 끼움 결합하고, 상기 개별도어(210)가 절첩 시, 끼임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경첩부(300) 및 경첩부(300)와 끼움 결합하며, 도어부(200)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개별도어(210)를 수평이동시키는 롤러부(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경첩부(300) 및 롤러부(400)를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나사공의 형성이나 캡을 구비하지 않아도 고정결합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폴딩도어(1)가 개폐동작시에 서로 절첩되는 개별도어(210)의 벌어지는 틈(도 10의 'C'참조) 사이로 사람의 신체나 소지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된 건물 벽면에 사각의 출입구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벽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프레임(110), 설치된 레일프레임(110)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벽면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120), 상기 안착프레임(120)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30) 및 서로 마주보도록 벽면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프레임(110), 안착프레임(120) 및 보강프레임(130)의 양끝단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레일프레임(110)은 하면 중앙에 제1롤러 홈(111)이 형성되며, 하면 일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끝단에 충격흡수패드(P1)가 결합하는 제1패드삽입공(113)이 형성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안착프레임(120)은 상면에 제1롤러 홈(111)과 수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제2롤러 홈(121)이 형성되며, 제2롤러 홈(121) 내부에는 서로 대칭되게 단턱(1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프레임(120)의 양측 상단에는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연장턱(125)이 더 형성되어 보강프레임(130)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프레임(130)은 안착프레임(120)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보강프레임(130)의 외부를 감싸며 결합하도록 내부에 설치홈(131)이 형성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측면프레임(140)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41)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141)은 서로 마주보도록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이동 및 절첩에 의해 개폐되는 사각의 출입문 틀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유리판(G)의 상/하/좌/우측에 각각 결합하며, 유리판(G)을 가압하여 고정하고, 각각의 양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개별도어(210) 및 상기 개별도어(210)의 수평이동 및 절첩이 용이하도록 결합하는 이동도어관(230)을 포함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개별도어(210)는 유리판(G)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수평도어관(211), 유리판(G)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수직도어관(212) 및 유리판(G)의 정면 또는 배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수평 또는 수직도어관(211,212)에 각각 결합하는 유리고정관(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리고정관(220)은 상면에 끼움돌기(221)가 형성되고, 측면 하단에 가압패드(P2)가 결합하는 제2패드삽입공(223)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도어관(211)은 하면 일단에 제1끼움구(213)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가압패드(P2)가 결합하는 제3패드삽입공(215)이 형성된다. 이때 제3패드삽입공(215)은 수평도어관(211)에 결합하는 유리판(G)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도어관(212)은 유리판(G)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수용홈(214)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힌지공(216)이 형성된다. 이때 힌지공(216)은 내부 중심점을 기준으로 수직도어관(212)이 회전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90°이상 절개된 회전절개부(21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직도어관(212)은 내부에 수용홈(214)을 통해 삽입되는 유리판(G)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입방지판(218)이 형성되며, 이때 유리판(G)과 접하는 진입방지판(218)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끼움구(218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c)를 참조하면, 이동도어관(230)은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절개부(233)가 구비된 고정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첩부(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끝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개별도어(210)가 서로 절첩 가능하게 하고, 절첩 시에 벌어지는 틈(C) 사이로 끼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개별도어(210)의 양끝단에 각각 결합하여 절첩 가능하게 하는 라인경첩(310), 라인경첩(310)의 외부에 결합하여 개별도어(210)의 벌어지는 틈 사이로 끼임을 방지하는 막음편(320) 및 개별도어(210)가 일 방향으로 절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일단은 측면프레임(140)과 고정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개별도어(2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경첩(330)을 포함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라인경첩(310)은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힌지축(311) 및 상면에서 하면까지 천공 형성되거나, 상면 또는 하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부(313)가 형성된다. 이때 중공부(313) 내벽에는 고정돌기홈(315)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b)를 참조하면, 고정경첩(320)은 측면에 제3끼움구(3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고정축(323)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20)에는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결합돌기(317,325)가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라인경첩(310)의 힌지축(311) 또는 고정축(32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c) 및 (d)를 참조하면, 막음편(330,330')의 일단 또는 양끝단에 각각 상부방향으로 유선형을 이루도록 연장된 날개(331)가 형성되고, 상면에 결합돌기(325,317)와 결합하는 돌기홈(333)이 형성된다. 이때 양끝단에 날개(331)가 형성된 막음편(330)은 서로 절첩이 이루어지는 라인경첩(310)에 결합하고, 일단에 날개(331)가 형성된 막음편(330')은 어느 한 방향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는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20)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첩부(300)는 라인경첩(310)과 막음편(330,330') 또는 고정경첩(320)과 막음편(330,330')이 일체로 사출성형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부(20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며, 상기 도어부(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라인경첩(310)과 결합하는 가이드롤러(410), 상기 도어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경첩(310)과 결합하는 지지롤러(420) 및 가이드롤러(410) 또는 지지롤러(420)와 경첩부(300) 사이에 고정 결합하는 연결체(430)를 포함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가이드롤러(410)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천공된 제1삽입공(411)이 형성되며, 제1삽입공(411)을 중심으로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상단롤러(41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단롤러(413)는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지지롤러(420)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천공된 제2삽입공(421)이 형성되며, 정면 및 배면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하단롤러(4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하단롤러(423)는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의 (c)를 참조하면, 연결체(430)는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측면에 고정돌기(4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연결체(430)는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면에서 하면까지 천공되거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태의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폴딩도어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폴딩도어(1)는 출일구가 개폐되도록 사용자는 이동도어관(230) 이나 손잡이를 통해 여닫이 방식으로 출입구의 개폐를 실행한다. 이때 폴딩도어(1)가 개폐시에는 라인경첩(310) 이나 고정경첩(330)이 결합하는 위치에 절첩 또는 회전에 의한 소정 각도로 벌어지는 틈(C)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틈(C)을 막음편(320)이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도어관(230)이 이동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개별도어(210)의 수직도어관(212)에 형성된 힌지공(216)에 각각 결합하는 라인경첩(310)의 힌지축(311)을 중심으로 개별도어(210)의 절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수직도어관(212)은 부채꼴 형상으로 벌어지며, 벌어지는 틈(C) 사이로 막음편(320)이 구비된 라인경첩(3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절첩 시, 벌어지는 틈(C)을 막음편(320)이 막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폴딩도어(1)는 절첩이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30)이 구비되는 부분 즉, 틈(C)이 벌어져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부분에 힌지 결합하는 상기 라이경첩(310)이나 고정경첩(330)에 막음편(320)을 결합하여 상기 틈(C)을 막아줌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롤러부(400)는 일단이 가이드 롤러(410) 또는 지지롤러(420)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삽입공(411,421)과 결합하고, 타단이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30)에 결합되는 연결체(430)에 의해 끼움 결합하므로,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이때 연결체(430)는 나사공을 통해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30)과의 결합 후에, 상기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 롤러(410) 또는 지지롤러(420)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삽입공(411,421)은 라인경첩(310) 또는 고정경첩(330)의 외부에 바로 끼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폴딩도어
100: 고정부 110: 레임프레임
120: 안착프레임 130: 보강프레임
140: 측면프레임 200: 도어부
210: 개별도어 220: 유리고정관
230: 이동도어관 300: 경첩부
310: 라인경첩 330,330': 막음편
320: 고정경첩 400: 롤러부
410: 가이드 롤러 420: 지지롤러
430: 연결체

Claims (4)

  1. 일측은 고정부의 측면프레임(140)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개별도어(210)의 수직도어관(2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태의 고정축(323)이 구비되는 고정경첩(320); 및
    상기 개별도어(210)가 서로 절첩시에 상기 측면프레임(140)과 수직도어관(212) 사이에 벌어지는 틈(C)으로 끼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경첩(320)과 결합되고 일단에 유선형으로 연장된 날개(331)가 형성되는 막음편(3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경첩(320)은 세로방향의 바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축(323)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막음편(330')과 끼움결합을 위한 결합돌기(32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막음편(330')은 상기 결합돌기(325)와 결합을 위한 돌기홈(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7400A 2016-10-04 2016-10-04 폴딩도어 경첩 KR101819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00A KR101819485B1 (ko) 2016-10-04 2016-10-04 폴딩도어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400A KR101819485B1 (ko) 2016-10-04 2016-10-04 폴딩도어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230A Division KR101774753B1 (ko) 2012-06-05 2012-06-05 폴딩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63A KR20160120263A (ko) 2016-10-17
KR101819485B1 true KR101819485B1 (ko) 2018-01-17

Family

ID=5725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400A KR101819485B1 (ko) 2016-10-04 2016-10-04 폴딩도어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609B1 (ko) 2023-06-15 2023-09-26 주식회사 더존폴딩 기능성 폴딩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995B1 (ko) * 2016-09-23 2018-07-24 주식회사 씨쓰리 접이식 스윙도어
KR101866539B1 (ko) *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20180060117A (ko) * 2016-11-28 2018-06-07 구형수 연속기어경첩을 구비한 창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90A (ja) * 2001-08-06 2003-02-21 Tateyama Alum Ind Co Ltd 浴室用折り戸
JP2003253966A (ja) * 2002-02-27 2003-09-10 Nippon Koki Kk 折り畳み扉
JP2009180053A (ja) 2008-02-01 2009-08-13 Hitoshi Nishitani 建具用指詰め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590A (ja) * 2001-08-06 2003-02-21 Tateyama Alum Ind Co Ltd 浴室用折り戸
JP2003253966A (ja) * 2002-02-27 2003-09-10 Nippon Koki Kk 折り畳み扉
JP2009180053A (ja) 2008-02-01 2009-08-13 Hitoshi Nishitani 建具用指詰め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609B1 (ko) 2023-06-15 2023-09-26 주식회사 더존폴딩 기능성 폴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263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774753B1 (ko) 폴딩도어
CN210370444U (zh) 门栏
RU2005109266A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ащитной двери и рамы
CN208845055U (zh) 具有改进的铰链的屋顶窗户
CA2911872A1 (en) Around-the-corner multi-point lock mechanism for casement and awning windows
EP1612356B1 (en)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JP2015227563A (ja) 建具
KR200413716Y1 (ko) 현관 방화문과 그 문틀의 구조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20120038327A (ko) 완강기 설치대
RU2469165C1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фальцованных замыкающих дверей здания из древесины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20120004121A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200360335Y1 (ko) 창문
AU2012202839B2 (en) Improvements in Window Fittings
KR101195924B1 (ko) 도어 고정장치
KR20230127729A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KR200362926Y1 (ko)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EP1975356B1 (en) Support arrangement for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