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378B1 - 유리 난간 방충망 - Google Patents

유리 난간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378B1
KR102415378B1 KR1020210167329A KR20210167329A KR102415378B1 KR 102415378 B1 KR102415378 B1 KR 102415378B1 KR 1020210167329 A KR1020210167329 A KR 1020210167329A KR 20210167329 A KR20210167329 A KR 20210167329A KR 102415378 B1 KR102415378 B1 KR 10241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glass railing
insect screen
transf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시스템(주) filed Critical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1016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유리 난간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유리 난간에 있어 별도의 난간대나 난간대 고정구조 없이 방충망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난간 방충망{GLASS RAILING SCREEN}
이 건 발명은 유리 난간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유리 난간을 기준으로 방충망이 내측 또는 외측에서 상부로 펼쳐지도록 구현하여 개방감이 저해되지 않는 유리 난간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 다세대 주택 등의 건축 구조물에는 완충 공간이 외측으로 연장된 발코니가 설치되어 전망, 휴식, 운동은 물론 창고나 다용도실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발코니는 추락방지 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도록 규정되어 1.2m 높이의 난간을 설치하거나, 1.2m 높이까지 개방이 불가능한 접합유리창을 설치하고, 대신 1.2m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만 개방이 가능하도록 미닫이 창이나 여닫이 창이 설치되고 있다.
발코니에 설치된 난간은 시야가 가려 개방감이 낮아지게 되고, 각종 생활용품이 난간에 거치됨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해할 우려가 있었고, 난간과 유리창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청소가 어려우며, 무엇보다 난간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공상의 번거로움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접합유리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개방감이 확보될 수는 있으나, 환기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강한 풍하중에 의하여 유리가 파손될 위험성이 높았다.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66373호(2018.06.04.)의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방충망 구조체는 방충망을 에워싸는 프레임의 하부에 방충망이 탄성체의 복원력과 권취부의 권취력의 차이에 의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였으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상에 어려움이 있었고, 아울러 비용이 상승되며 내구성도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유지 보수가 잦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6373호(2018.06.04.)
이 건 발명은 유리 난간을 이용함과 동시에 방충망에 별도의 난간대나 난간대 고정구조를 생략하여 개방감이 배가될 수 있으며, 방충망을 열고 닫을 때 탄성체의 복원 권취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수작업으로 방충망이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구현하여 제작과 설치가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외부로부터 파리와 모기 등 각종 벌레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유리 난간(20)의 전면과 배면에 U형태를 갖는 망부(30)가 구비되고, 상기 망부(30)의 내측, 또는 외측 상단을 밀어 올림에 따라 펼쳐지면서 유리 난간(20)의 개방된 상부가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상,하측 수평 프레임부(120)(120')의 내부에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가 구비되고, 상기 망부(30)는 U형태의 갖는 망부재(310)의 전,후방 상단에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의 양측단부가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내부에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 난간(20)은 하부가 하측 수평 프레임부(120')에 얹혀지며, 좌우측이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에 일정 높이로 끼워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이송부(130)(130')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상,하부 내측에 각각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에 연결된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에 감겨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는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이송부재(133)(133')는 폐곡선형태를 갖는 인장벨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는 중공형태를 갖는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재(141)(141')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는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에 각각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감겨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은 요부(321-1)와 철부(322-2)를 갖는 망지지 요철부바(321)(322) 사이에 망부재(310)가 끼워져 압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후방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전,후방 요철바 삽입홈(323-2)(323'-2)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삽입되는 전,후방 가이드캡(323)(32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유리 난간을 U형태로 감싸는 망부의 상부에 구비된 전,후방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전,후방 프레임을 상부로 올려 망부가 펼쳐지면서 유리 난간의 상부로 개방된 부분이 닫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파리와 모기 등 각종 벌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는 낙엽, 종이조각, 니닐조각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 난간을 활용함과 동시에 유리 난간을 중심으로 방충망이 내,외측에서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므로 방충망에 별도의 난간대나 난간대 고정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개방감이 배가될 수 있다.
특히, U형태로 감싸는 망부가 U형태에서 유리 난간의 상부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U형태로 접혀지는 과정에서 별도의 탄성력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구성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과 조립성을 높여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생산과 조립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내구성을 높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U형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좌측 수직 이송부에 상,하측 이송로울러부 및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U형태를 유지하는 상태시의 종단면도.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좌측 수직 이송부에 상,하측 이송로울러부 및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개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의 횡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U형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좌측 수직 이송부에 상,하측 이송로울러부 및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U형태를 유지하는 상태시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가운데 좌측 수직 이송부에 상,하측 이송로울러부 및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에 있어 망부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의 횡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방충망은 구성 부품수를 줄여 내구성을 높이는 가운데 유리 난간의 상부로 용이하게 닫히거나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제작과 설치 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내구성을 높여 수명이 연장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각종 벌레 및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유리 난간(20) 및 망부(30)가 포함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0)은 하부로 유리 난간(2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지지된 유리 난간(20)의 전면과 배면 및 저면에 U형태를 갖는 망부(30)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유리 난간(20)의 상부측으로 제공되는 개방된 공간에 망부(30)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된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수평 프레임부(120)(120')가 구비되어 내부로 유리 난간(20) 및 유리 난간(20)의 상부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내부에는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망부재(310)가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측 수평 프레임부(120)(120')의 내부에는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가 구비되어 망부재(310)의 이동방향이 용이하게 전환되는 가운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과정에서 망부재(310)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는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는 좌,우측 아우터 프레임(111)(111')의 내부에 유리 난간(20)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2개의 좌,우측 보강 인너 프레임(112)(112')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유리 난간(20)이 삽입된 좌,우측 보강 인너 프레임(112)(112')의 상부에는 좌,우측 커버 프레임(113)(113')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유리 난간(20)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하게 저항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측 수평 프레임부(120)(120')는 내측방향으로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는 상,하측 아우터 프레임(121)(121')의 내부에 각각 상기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하측 아우터 프레임 (121)(121')의 개방된 부분에 상,하측 커버 프레임(122)(122')이 결합됨으로써, 외부로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측 커버 프레임(122)(122')의 단방향 양측과 상,하측 아우터 프레임(121)(121')의 단방향 양측 사이에는 일정 폭 또는 간격을 갖는 상,하측 인,입출홀(123)(123')(124)(124')이 구비된다. 이로써, 망부(30)의 망부재(310)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U형태로 또는 U형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펼쳐진 상태에서 U형태로의 전환은 유리 난간(20)의 상부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이 개방되는 형태이며, U형태에서 펼쳐진 상태로의 전환은 유리 난간(20)의 상부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에 펼쳐진 상태로 있던 망부(30)의 망부재(310)가 접혀져 유리 난간(30)의 상부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이 닫혀지는 즉, 방충망이 펼쳐지는 상태이다.
상기 좌,우측 이송부(130)(130')는 망부(30)의 망부재(320)가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상,하부 내측에 각각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40) (140')에 연결된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에 감겨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는 좌,우측 이송부재(133)(133')로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좌,우측 이송부재(133)(133')는 폐곡선형태를 갖는 인장벨트로 구비됨에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인장벨트와 결합된 망부(30)의 망부재(310)도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는 중공형태를 갖는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재(141)(141')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는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 (142')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재(141)(141')의 양측단부에 각각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가 삽입되는 좌,우측 상,하부 삽입홀(143-1)(143'-1)(144)(144'-1)을 갖는 좌,우측 상,하부 캡 (143)(143')(144)(144')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측 상,하부 캡(143)(143')(144)(144')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에는 각각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감겨지게 구비됨에 따라 상,하측 이동 로우러부재(141)(14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좌,우측 이송부재(133)(133')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1')에 감져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U형태를 갖는 망부(30)가 펼쳐진 상태가 되거나, 펼쳐진 상태의 망부(30)가 U형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측 상,하부 캡(143)(143')(144)(144')의 내측으로 위치된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에 각각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감겨지게 구비됨에 따라 상,하측 이동 로울러부재(141)(141')가 동일한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상,하부 캡(143)(143')(144)(144')과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안정적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에 망부(30)의 망부재(310)가 면접촉이 아니라 선접촉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구동과정에서 스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리 난간(20)은 하부가 하측 수평 프레임부(120')에 얹혀지며, 좌우측이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중간 높이로 끼워지게 구비됨으로써,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망부(30)는 U형태를 갖는 망부재(310)의 전,후방 상단에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구비되어 망부재(310)가 팽팽하게 펼쳐져 당겨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를 손으로 잡고 상부로 올려 U형태의 망부재(310)가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U형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의 양측단부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에 연결되게 고정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망부재(3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망부재(310)의 양측단부가 각각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은 요부(321-1)와 철부(322-2)를 갖는 망지지 요철부바(321)(322) 사이에 망부재(310)가 끼워져 압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망부재(310)가 끼워져 압착된 전,후방측 망지지 요철부바(321)(322)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부 외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전,후방 가이드편(323-1)(323'-1)을 갖는 전,후방 가이드 캡(323)(323')이 결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전,후방 가이드편(323-1)(323'-1)은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를 따라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전,후방 가이드 캡(323)(323')은 내측방향으로 전,후방 요철바 삽입홈(323-2)(323'-2)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삽입됨에 따라 작동 또는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후방 가이드 캡(323)(323')은 합성수지가 사출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방 가이드 캡(323)(323')의 폐쇄된 외측에 구비된 전,후방 가이드편(323-1)(323'-1)은 하부에 각각 망부재 끼움홈(323-3)(323'-3)이 구비되어짐으로써, 망부재(310)이 망부재 끼움홈(323-3)(323'-3)을 통해 소정 길이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결합되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프레임 20:유리 난간
30:망부 110,110':좌,우측 수직 프레임부
120,120':상,하측 수평 프레임부 130,130':좌,우측 수직 이송부
140,140':상,하측 이송 로울러부 310:망부재
320,320':전,후방 망지지 프레임

Claims (7)

  1.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유리 난간(20)의 전면과 배면에 U형태를 갖는 망부(30)가 구비되고, 상기 망부(30)의 내측, 또는 외측 상단을 밀어 올림에 따라 펼쳐지면서 유리 난간(20)의 개방된 상부가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하측 수평 프레임부(120)(120')의 내부에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가 구비되고,
    상기 망부(30)는 U형태의 갖는 망부재(310)의 전,후방 상단에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의 양측단부가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내부에 좌,우측 수직 이송부(130)(130')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 난간(20)은 하부가 하측 수평 프레임부(120')에 얹혀지며, 좌우측이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에 일정 높이로 끼워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이송부(130)(130')는 좌,우측 수직 프레임부(110)(110')의 상,하부 내측에 각각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측 상,하부 회전 지지부(131)(131')(132)(132')에 연결된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에 감겨져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왕복 이동되는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이송부재(133)(133')는 폐곡선형태를 갖는 인장벨트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140)(140')는 중공형태를 갖는 상,하측 이송 로울러부재(141)(141')의 외주연부에 등간격을 갖는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측 망부재 걸침편(142)(142')에 각각 좌,우측 이송부재(133)(133')가 감겨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은 요부(321-1)와 철부(322-2)를 갖는 망지지 요철부바(321)(322) 사이에 망부재(310)가 끼워져 압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전,후방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전,후방 요철바 삽입홈(323-2)(323'-2)이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망지지 프레임(320)(320')이 삽입되는 전,후방 가이드캡(323)(323')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방충망.
KR1020210167329A 2021-11-29 2021-11-29 유리 난간 방충망 KR10241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29A KR102415378B1 (ko) 2021-11-29 2021-11-29 유리 난간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29A KR102415378B1 (ko) 2021-11-29 2021-11-29 유리 난간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378B1 true KR102415378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329A KR102415378B1 (ko) 2021-11-29 2021-11-29 유리 난간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3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90090911A (ko) * 2018-01-26 2019-08-05 (주)엘지하우시스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210068975A (ko) * 2019-12-02 2021-06-10 (주)엘지하우시스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173A (ko) * 2016-12-08 2017-02-02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1866373B1 (ko) 2016-12-08 2018-06-11 고구려시스템(주)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190090911A (ko) * 2018-01-26 2019-08-05 (주)엘지하우시스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210068975A (ko) * 2019-12-02 2021-06-10 (주)엘지하우시스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228B1 (ko)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1055326B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CA2529682C (en) Screen device
JP4693366B2 (ja) スクリーン装置
US7650922B2 (en) Window treatment for arch-shaped window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AU2016401895B2 (en) Cushion for the guiding rail of a sunshade for doors or windows
KR20130059586A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102415378B1 (ko) 유리 난간 방충망
KR100912609B1 (ko) 전동식 차양 시스템
KR101694244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1044837B1 (ko) 섀시 연동형 방충장치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102580798B1 (ko) 폴딩 방충망
KR200425104Y1 (ko) 접이식 문
KR102338824B1 (ko)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1866373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0340805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KR101099770B1 (ko) 안전방충망과 난간대를 겸비한 창호
KR200382345Y1 (ko) 격자형 자바라
KR102153572B1 (ko) 레일 은폐형 창호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2450259B1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