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98B1 - 폴딩 방충망 - Google Patents

폴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98B1
KR102580798B1 KR1020230036878A KR20230036878A KR102580798B1 KR 102580798 B1 KR102580798 B1 KR 102580798B1 KR 1020230036878 A KR1020230036878 A KR 1020230036878A KR 20230036878 A KR20230036878 A KR 20230036878A KR 102580798 B1 KR102580798 B1 KR 10258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ect screen
folding
roller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알루미늄
Priority to KR102023003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손잡이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과 손잡이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폴딩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측면프레임과 브라켓, 손잡이프레임과 브라켓 또는 브라켓과 브라켓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 및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딩 방충망{FOLDING SCREEN}
본 발명은 폴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방충망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충망들이 서로 접철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를 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창호에는 해로운 벌레들이 날아들지 못하도록 방충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가 여닫이일 경우에는 창호의 프레임에 고정된 방충망이 설치되지만, 미닫이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창문짝처럼 판상의 망재의 테두리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미닫이 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드 방충망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방충망은 넓은 면적의 망재의 사각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은 그 테두리의 프레임들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열고 닫음을 반복하게 되면 그 형상이 비틀리면서 창호의 프레임과 밀착되지 않고 간극이 발생하게 되며, 망재의 교체 등 방충방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에도 망재에 고정된 프레임을 함께 전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강풍에 의해 방충망에 부력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방충망이 창호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될 여지가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의 여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단순히 슬라이드 이동(미닫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방충망 이외에도 쉽게 개폐가 가능한 롤스크린 형태의 방충망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롤스크린 방충망은 방충망 미사용시 권취된 상태가 유지되며, 반대로 방충망 사용시 롤 형태에 의해 권출되어 방충망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롤스크린 방충망은 권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방충망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하중이나 휨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될 여지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3900호(2005.09.2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 개의 방충망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충망들이 서로 접철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브라켓의 좌,우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펼쳐지는 각이 약 170°보다 작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 개의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폴딩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다수 개의 방충망은 서로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중이나 휨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폴딩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프레임;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손잡이프레임; 측면프레임과 손잡이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폴딩부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되는 브라켓; 측면프레임과 브라켓, 손잡이프레임과 브라켓 또는 브라켓과 브라켓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 및 브라켓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방충망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충망들이 서로 접철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딩형으로 이루어지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좌,우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은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펼쳐지는 각이 약 170°보다 작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 개의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폴딩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다수 개의 방충망은 서로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중이나 휨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폴딩부의 롤러부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에 방충망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에 방충망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에 확장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방충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방충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가 상부프레임에 안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롤러부가 손잡이프레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은 다수 개의 방충망(520)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510)이 구비되되,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510)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충망(520)들이 서로 접철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딩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은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300)이 연결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되는 폴딩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폴딩부(500)의 자연스러운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폴딩부(500) 상측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100)에 구름운동하도록 지지되는 상부롤러부(600) 및 폴딩부(500)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프레임(200)에 구름운동하도록 지지되는 하부롤러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폴딩부(500)는 슬라이드 이동되는 폴딩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선택적으로 방충망(520)을 접거나 펼칠 수 있어 개폐가 가능하며, 나아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폴딩부(500)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측면으로 노출된 공간에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 결합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부프레임(100)은 틀을 형성하는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롤러끼움홈(110) 및 상부프레임끼움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프레임(400)의 상측 일부분이 끼워지도록 하측이 개구된 "∩"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프레임(100)의 하측 개구된 공간을 통해 후술되는 손잡이프레임(400)의 상측 일부분이 끼워지면,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정면측과 배면측 일부분을 감싸게 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롤러끼움홈(11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손잡이프레임(400)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부프레임(100)과 손잡이프레임(400)을 연결하는 상부롤러부(600)가 지지되어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롤러끼움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상부롤러부(600)에 구비되는 상부롤러(621)가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안착되어 구름운동 하도록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서로 연통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상부롤러(621)가 안착되어 구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부프레임(1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롤러끼움홈(110)이 형성되는 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개구된 한 쌍의 가스켓끼움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끼움홈(111)은 서로 마주보도록 단열모가 설치되어 상부롤러끼움홈(110)으로 끼워진 상부롤러부(600) 상측에 구비된 연장부(620)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부프레임(100)과 상부롤러부(6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찬 공기나 더운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날파리와 같은 벌레 등이 실내로 들어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끼움홈(12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으로 개구된 상부프레임(100) 하측에 측면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롤러부(530)의 롤러(533)가 측면으로 개구된 상부프레임끼움홈(120)으로 끼워져 장축 길이방향으로 구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부프레임(1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양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체결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30)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후술되는 측면프레임(300)이 상부프레임(100) 양 끝단에 각각 결합시 상기 측면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피스(나사)가 체결홈(13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100)과 측면프레임(300)이 상호 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폴딩부의 롤러부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측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부프레임(200)은 틀을 형성하는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프레임(400)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상단면은 평평한 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 창호 구조에서 하부프레임은 상측이 개구되어 창문의 롤러가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측 개구된 공간을 통해 먼지나 이물질이 많이 끼는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나아가, 개구된 공간의 협소로 인해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는 하부프레임(200) 상단면이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측에 측면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롤러부(530)의 롤러(533)가 측면으로 개구된 하부프레임끼움홈(210)으로 끼워져 장축 길이방향으로 구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이 개구된 반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형태의 라운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부(220)는 하부프레임(200)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모서리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손잡이프레임(400) 및 폴딩부(500)가 지지되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라운드부(22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 등이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부프레임(200)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양 끝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체결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230)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후술되는 측면프레임(300)이 하부프레임(200) 양 끝단 각각에 결합시 상기 측면프레임(3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피스(나사)가 체결홈(23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프레임(200)과 측면프레임(300)이 상호 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측면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에 형성된 체결홈(130)과 하부프레임(200)에 형성된 체결홈(230)에 각각 피스(나사)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및 측면프레임(3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은 후술되는 폴딩부(500)가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폴딩부(50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방충망(520)이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따라 폴딩되는 과정에서 폴딩부(500)에 구성된 롤러부(53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측면으로 개구된 형태의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 각각에 끼워져 구름운동 하게 됨으로써, 하부프레임(200) 상단면이 평평한 면 형태로 이루어진 채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종래 창틀구조는 하부프레임 상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된 공간을 통해 롤러(레일) 등이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개구된 공간이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각각에 형성된 측면이 개구된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을 통해 폴딩부(500)의 롤러부(530)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각각의 측면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하여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 및 롤러부(53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청결도 또한 우수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부프레임(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지지부(240)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40)는 하부프레임(200) 하측에 상,하측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면으로부터 하부프레임(200)이 설치되는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지지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을 따라 장축 길이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중간에 상,하측을 연결하는 리브(도면부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하부프레임(200)과 지지부(24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프레임(200)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파여진 "T"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지지부(240) 상측에는 상기 하부프레임(200)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도록 "T" 형태의 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T" 형태의 홈에 "T" 형태의 돌기가 끼워지도록 지지부(240)가 하부프레임(200) 측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T" 형태의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가 되어 하부프레임(200) 하측으로 지지부(240)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하부프레임(200)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240)의 상,하측 폭을 다르게 구성함에 따라, 바닥으로부터 폴딩 방충망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현장 여건상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 설치시에도 상,하측 높이가 서로 다른 지지부(240)를 하부프레임(200)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하부프레임(200)이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수평도를 유지하여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측면프레임에 방충망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측면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것으로,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프레임(3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측면프레임(300)은 일측 일부분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은 측면프레임(30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며,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은 후술되는 폴딩부(500)의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측면프레임(300)에 형성된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방충망(520)의 회동축(521)이 끼워져 연결된다.
이때,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후술되는 폴딩부(500)가 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나아가, 방충망(520)이 측면프레임(300)에 연결됨으로써, 폴딩부(500)의 시작점 또는 끝점이 된다.
이에, 폴딩부(500)는 측면프레임(300)과 후술되는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에 방충망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롤러끼움홈(410), 방충망가이드(420) 및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프레임(4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끼움홈(410)은 중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의 손잡이프레임(400)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부롤러부(600)와 하부롤러부(70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즉 롤러끼움홈(410)은 손잡이프레임(400)의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부롤러부(600)와 하부롤러부(700)가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방충망가이드(420)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프레임(400) 일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이 공간으로 후술되는 방충망(520) 일부분이 안내되도록 한다.
즉 측면프레임(30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폴딩되도록 구비되는 폴딩부(500) 일부분은 접혀진 상태에서 한 쌍의 방충망가이드(420) 사이 공간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손잡이프레임(400)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방충망가이드(420)의 연장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손잡이프레임(400)을 제조함으로써, 폴딩부(500)가 접혀진 상태에서 방충망가이드(420)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폴딩부(500)가 폴딩되는 길이에 따라 손잡이프레임(400) 일측으로 연장된 방충망가이드(420)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은 한 쌍의 방충망가이드(420) 사이, 즉 손잡이프레임(40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며,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은 후술되는 폴딩부(500)의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측면프레임(300)에 형성된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방충망(520)의 회동축(521)이 끼워져 연결된다.
이때,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의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후술되는 폴딩부(500)가 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나아가, 방충망(520)이 손잡이프레임(400)에 연결됨으로써, 폴딩부(500)의 시작점 또는 끝점이 된다.
이에, 폴딩부(500)는 측면프레임(30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폴딩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손잡이프레임에 확장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후술되는 폴딩부(500)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300)과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300) 사이에 폴딩부(50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손잡이프레임(400)에 확장부(440)가 연결되어 상기 확장부(440) 양측으로 폴딩부(500)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부(440)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프레임(400)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타측이 개구된 "ㄷ"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확장부(440) 일측은 한 쌍의 손잡이프레임(400) 중 하나의 손잡이프레임(400)에 결합되고, 타측 개구된 공간은 다른 하나의 손잡이프레임(400) 일부분이 안내되도록 한다.
이는, 확장부(440)가 손잡이프레임(40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확장부(440)와 손잡이프레임(400)에 잠금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손잡이프레임(400)과 확장부(440)의 결합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프레임(400) 일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T"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확장부(440) 외측에 상기 "T" 형태의 홈에 대응되는 "T" 형태의 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T" 형태의 홈에 "T" 형태의 돌기가 끼워지도록 손잡이프레임(4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부(44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끼워지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폴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폴딩부(500)는 측면프레임(30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구비되어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브라켓(510), 방충망(520) 및 롤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510) 양측에 상기 브라켓(510)으로부터 회동 가능한 방충망(520)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브라켓(51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510)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방충망(520)은 측면프레임(300)과 브라켓(510) 사이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 및 브라켓(51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폴딩부(500)는 브라켓(510)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측면프레임(300)과 브라켓(510) 사이를 연결하는 방충망(520),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를 연결하는 방충망(520) 및 브라켓(51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를 연결하는 방충망(520)이 측면프레임(300)과 손잡이프레임(400) 및 브라켓(510)으로부터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폴딩부(500)의 폴딩이 가능함으로써,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브라켓(51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돌기(511), 외곽돌기(512) 및 회동홈(5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돌기(511)는 브라켓(510) 중앙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외곽돌기(512)는 브라켓(510) 양측 각각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중앙돌기(511) 및 외곽돌기(512)는 형태적 특성에 의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곽돌기(512)와 중앙돌기(511) 사이에 회동홈(513)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회동홈(513)은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회동홈(513)은 중앙돌기(511)와 한 쌍의 외곽돌기(512)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돌기(511)와 외곽돌기(512) 사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회동홈(513)에 후술되는 방충망(520)의 회동축(521)이 끼워져 연결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브라켓(510)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510)의 타측에 "T"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 전면끼움홈(514)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전면끼움홈(514)에 "T"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전면마감부재(514a)를 장축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마감부재(514a)는 전면끼움홈(514)이 형성된 브라켓(5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겉면에는 캐릭터, 동물, 식물 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다수 개의 브라켓(510) 각각에 그림이 그려진 전면마감부재(514a)가 결합됨에 따라, 폴딩되어 다수 개의 브라켓(510)이 접혀지는 경우, 각각의 브라켓(510)에 그려진 그림이 서로 인접하여 하나의 그림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방충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방충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방충망(520)은 측면프레임(300)과 브라켓(510), 손잡이프레임(400)과 브라켓(510) 또는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폴딩되는 구조에 의해 다수 개의 방충망(520)이 각각 회동되어 접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충망(520)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 지거나 또는 다수 개의 원형 공 등이 반복되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충망 기능을 하는 다양한 제품이 이미 공개된 바, 어떠한 형태의 방충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면, 방충망(520) 기능을 수행하되, 도 20 및 도 21에서와 같이, 폴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 끝단에는 회동축(521)이 구비된다.
회동축(521)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방충망(520)의 양 끝단 각각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며,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축(521)은 측면프레임연결홈(310),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및 브라켓(510)의 회동홈(513)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연결된다.
이에, 측면프레임연결홈(310),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및 회동홈(513)으로부터 회동축(521)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방충망(520) 자체가 회동하여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폴딩부(500) 전체가 폴딩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측면프레임연결홈(310),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및 브라켓(510)의 좌,우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520)은 상기 측면프레임연결홈(310),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및 브라켓(510)으로부터 펼쳐지는 각이 약 170°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다수 개의 방충망(520)으로 이루어진 폴딩부(5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다수 개의 방충망(520)은 서로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중이나 휨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520)의 상단과 하단을 커버하는 마감캡(5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캡(522)은 일측이 개구된 "ㄷ"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된 공간을 통해 방충망(5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방충망(520)의 끝단을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방충망(52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마감캡(522)이 설치되면, 마감캡(522) 외주면에 플렉시블한 단열모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단열모는 상부프레임(100)의 하측면과 하부프레임(200)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롤러부(530)는 브라켓(51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마감돌기(531), 끼움돌기(532) 및 롤러(5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돌기(531)는 브라켓(510)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끼움돌기(532)는 한 쌍의 회동홈(513)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회동홈(513) 각각에 끼워진다.
롤러(533)는 롤러부(530)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 각각의 측면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구름운동 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브라켓(510)의 상단과 하단에 끼워져 결합된 롤러부(530) 각각은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533)가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 각각으로 안착되어 결합됨에 따라, 브라켓(510)은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다수 개의 브라켓(510)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측면프레임(300)과 브라켓(510)을 연결하는 방충망(520), 브라켓(510)과 브라켓(510)을 연결하는 방충망(520) 및 손잡이프레임(400)과 브라켓(510)을 연결하는 방충망(520)이 각각 회동됨에 따라, 폴딩부(500) 전체가 폴딩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상부롤러부가 상부프레임에 안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부롤러부(600)는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며, 상부롤러끼움홈(110)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부롤러부(600)는 상부끼움부(610) 및 연장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끼움부(610)는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져 상기 손잡이프레임(400) 상측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연장부(620)는 상부끼움부(610)의 상단에 상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끼움부(610)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연장부(620)는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프레임(1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연장부(620)의 양측에 구름운동 하도록 구비되며, 상부롤러끼움홈(110) 측면으로 끼워져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롤러부(600)의 상부롤러(621)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끼움홈(110)으로 끼워지되,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의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형성된 연통된 공간으로 안내되며,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롤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에서 하부롤러부가 손잡이프레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하부롤러부(700)는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며,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부롤러부(700)는 하부끼움부(710) 및 댐퍼롤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끼움부(710)는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져 상기 손잡이프레임(400) 하측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부롤러부(700)가 손잡이프레임(400) 하측에 연결된 예를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댐퍼롤러(720)는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끼움부(710)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구름운동 하도록 지지된다.
이러한 댐퍼롤러(720)는 상,하측으로 탄성이 가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롤러부(700)가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지지되는 경우, 댐퍼롤러(720)는 구름운동을 하여 폴딩부(500)의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을 유지하여 브라켓(510)이 하측으로 쳐지거나 댐퍼롤러(720)와 하부프레임(200) 상측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하부프레임(200)과 상기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지지되는 댐퍼롤러(72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면, 폴딩부(500)가 폴딩되는 과정에서 브라켓(510)의 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댐퍼롤러(720)는 탄성력을 주어 하부프레임(200) 상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하부프레임(200) 상측면과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구름운동이 이루어져 폴딩부(500)의 폴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폴딩 방충망은 다수 개의 방충망(520)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510)이 구비되되,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510)이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충망(520)들이 서로 접철되어 접혀지거나 또는 펼쳐지는 폴딩형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브라켓(510)의 좌,우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520)은 상기 브라켓(510)으로부터 펼쳐지는 각이 약 170°보다 작게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 개의 방충망(520)으로 이루어진 폴딩부(5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다수 개의 방충망(520)은 서로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중이나 휨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상부프레임 110 : 상부롤러끼움홈
111 : 가스켓끼움홈 120 : 상부프레임끼움홈
130 : 체결홈
200 : 하부프레임 210 : 하부프레임끼움홈
220 : 라운드부 230 : 체결홈
240 : 지지부
300 : 측면프레임 310 : 측면프레임연결홈
400 : 손잡이프레임 410 : 롤러끼움홈
420 : 방충망가이드 430 : 손잡이프레임연결홈
440 : 확장부
500 : 폴딩부 510 : 브라켓
511 : 중앙돌기 512 : 외곽돌기
513 : 회동홈 514 : 전면끼움홈
514a : 전면마감부재 520 : 방충망
521 : 회동축 522 : 마감캡
530 : 롤러부 531 : 마감돌기
532 : 끼움돌기 533 : 롤러
600 : 상부롤러부 610 : 상부끼움부
620 : 연장부 621 : 상부롤러
700 : 하부롤러부 710 : 하부끼움부
720 : 댐퍼롤러

Claims (10)

  1.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00);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00);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손잡이프레임(400);
    상기 측면프레임(300)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 구비되어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폴딩부(500)는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되는 브라켓(510);
    상기 측면프레임(300)과 브라켓(510), 손잡이프레임(400)과 브라켓(510) 또는 브라켓(510)과 브라켓(51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방충망(520); 및
    상기 브라켓(51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에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하측에 측면으로 개구된 형태의 상부프레임끼움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상측에 측면으로 개구된 형태의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510)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되는 롤러부(530)는
    상기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을 통해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 각각의 측면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구름운동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하측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롤러끼움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도록 중간이 비어있는 형태의 롤러끼움홈(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며,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상부롤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부(60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는 상부끼움부(610);
    상기 상부끼움부(610)의 상단에 연장되며, 상부끼움부(610)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으로 안내되는 연장부(620); 및
    상기 연장부(620)의 양측에 구름운동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측면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상부롤러(6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상부롤러끼움홈(110) 하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개구된 한 쌍의 가스켓끼움홈(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켓끼움홈(111)은
    서로 마주보도록 단열모가 설치되어 상부롤러끼움홈(110)으로 안내된 연장부(620)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도록 중간이 비어있는 형태의 롤러끼움홈(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며, 상기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하부롤러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부(70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 롤러끼움홈(410)으로 끼워지는 하부끼움부(710); 및
    상기 하부끼움부(710)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프레임(200) 상측에 구름운동 하도록 지지되는 댐퍼롤러(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300)은
    일측에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며,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연결홈(3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일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이 공간으로 방충망(520) 일부분이 안내되는 방충망가이드(420); 및
    한 쌍의 방충망가이드(420) 사이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고,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면프레임연결홈(310) 및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각각에는 방충망(52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10)은
    중앙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중앙돌기(511);
    양측 각각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외곽돌기(512); 및
    상기 중앙돌기(511)와 한 쌍의 외곽돌기(512)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돌기(511)와 외곽돌기(512) 사이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회동홈(5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방충망(520)은
    양 끝단 각각에 구비되며,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며,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회동축(52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축(521)은
    상기 측면프레임연결홈(310), 손잡이프레임연결홈(430) 및 회동홈(513)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530)는
    상기 브라켓(510)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510)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마감돌기(531);
    한 쌍의 회동홈(513)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끼움돌기(532); 및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끼움홈(120)과 하부프레임끼움홈(210) 각각의 측면 개구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구름운동 하도록 설치되는 롤러(5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방충망.
KR1020230036878A 2023-03-21 2023-03-21 폴딩 방충망 KR10258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78A KR102580798B1 (ko) 2023-03-21 2023-03-21 폴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78A KR102580798B1 (ko) 2023-03-21 2023-03-21 폴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798B1 true KR102580798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878A KR102580798B1 (ko) 2023-03-21 2023-03-21 폴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98B1 (ko) * 2023-08-29 2024-01-25 허인애 안전 방범 방충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900A (ko)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20170100914A (ko) * 2016-02-26 2017-09-05 (주)이지폴딩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KR20200000447U (ko) * 2018-08-17 2020-02-26 김원상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900A (ko)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20170100914A (ko) * 2016-02-26 2017-09-05 (주)이지폴딩 롤러가 구비된 힌지장치
KR20200000447U (ko) * 2018-08-17 2020-02-26 김원상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798B1 (ko) * 2023-08-29 2024-01-25 허인애 안전 방범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99335B1 (en) Screen device
EP0753642B1 (en) Screen apparatus
US4825921A (en) Blinds, screens, partitions and doors
US5675946A (en) Privacy screen for office panelling systems
NL1024216C2 (nl) Rolgordijn in Romeinse stijl.
KR102580798B1 (ko) 폴딩 방충망
US20180044977A1 (en) Rolling door construction for controlling air leakage
US5794680A (en) Retractable arced window covering
US20120012260A1 (en) Retractable shade assembly with adjustable side guides
MX2014005269A (es) Mosquitero movil, particularmente para ventanas, puertas y similares.
US20170122030A1 (en) Sunshade structure
US10619411B2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
US20100012279A1 (en) Louvred Shutter
KR101761003B1 (ko) 실내 슬라이드 도어의 연동 및 회전장치
EP1479867A2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2642124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CA2432247C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1939680B1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JP3255694B2 (ja) 組付け網戸装置
JP2000096957A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200372757Y1 (ko) 자바라 셔터식 방범창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WO1995034739A1 (en) Window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