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100B1 -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100B1
KR100631100B1 KR1020060026932A KR20060026932A KR100631100B1 KR 100631100 B1 KR100631100 B1 KR 100631100B1 KR 1020060026932 A KR1020060026932 A KR 1020060026932A KR 20060026932 A KR20060026932 A KR 20060026932A KR 100631100 B1 KR100631100 B1 KR 10063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ver
main body
button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양
김성배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10200600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커버슬라이더가 왕복 이동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커버슬라이더를 이동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프링을 갖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버튼커버의 개폐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의 개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장치가 제공된다.
도어록, 버튼, 버튼커버, 본체, 스프링, 롤러

Description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Sliding Unit of Door Lock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도어록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유닛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면케이싱 20 : 버튼커버
30 : 슬라이딩유닛 31 : 본체슬라이더
33 : 커버슬라이더 35 : 탄성스프링
본 발명은,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커버의 슬라이딩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를 위한 락킹유닛(미도시)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된 도어핸들(140)과, 본체(110)의 전면에 다수의 조작버튼으로 마련되는 버튼부(111)와, 버튼부(111)를 개폐하는 버튼커버(120)로 구성된다.
이 중 버튼커버(120)는 본체(1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튼부(111)를 개방 및 차단하는 위치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버튼커버(120)의 설치구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6178호에 도 2와 같이 개시된 바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는 본체(110)와 버튼커버(120)에 레일(125) 및 레일홈(115) 등의 슬라이딩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버튼커버(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버튼커버(120)의 개폐조작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버튼커버(120)의 균일한 개폐조작력을 부여하는 커버스프링(130)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커버스프링(130)은 버튼커버(12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자 형상의 탄성부(131)와, 탄성부(131)의 양 끝단에 소정의 직경으로 권취된 한 쌍의 끼움부(133)와, 각 끼움부(133)의 끝단으로부터 탄성부(13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 연장부(135)를 갖는 비틀림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스프링(130)은 본체(110)에 결합되어 버튼커버(120)를 탄성가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본체(110)에는 커버스프링(130)의 끼움부(133)가 수용되는 한 쌍의 통공(113)과, 양 통공(113)의 내측에서 상호 대향하게 돌출된 고정돌기(113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113a)에는 커버스프링(130)의 끼움부(1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버튼커버 설치구조에 의해서, 커버스프링(130)은 연장부(135)가 통공(113)의 배면에 걸리고 탄성부(131)가 연장부(135)에 대해 소정의 탄성 구현 각도로 버튼커버(120)에 접촉함으로써, 버튼커버(120)를 탄성적으로 외향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버튼커버(120)의 개폐 조작시 충격이 완화됨과 동시에, 버튼커버(120)의 균일한 개폐조작력을 부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도어록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버튼커버를 완전 개방되는 위치와 완전 폐쇄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버튼커버의 개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스프링의 탄성부가 버튼커버의 배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도어록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커버스프링의 탄성부 마모에 의해 커버스프링 파손이 발생하여 버튼커버의 개폐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커버의 개폐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의 개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슬 라이더와;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커버슬라이더가 왕복 이동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커버슬라이더를 이동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프링을 갖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본체슬라이더의 가이드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가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슬라이더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커버슬라이더가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슬라이더가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길이방향 1/2 지점에 위치할 때,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영역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유닛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1)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갖는 버튼부(13)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서 버튼부(13)를 개폐하는 버튼커버(20)와, 버튼커버(20)와 본체(10)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딩유닛(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상호 결합에 의해 도시않은 락킹유닛의 수용공간(미도시)을 형성하는 전면케이싱(11) 및 배면케이싱(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 전면케이싱(11)에는 전술한 버튼부(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부(13) 상부영역의 전면케이싱(11) 판면에는 후술할 슬라이딩유닛(30)의 본체슬라이더(31)가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커버(20)는 바튼부를 포함한 본체(10) 전면케이싱(11)의 상부영역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며, 그 배면에는 후술할 슬라이딩유닛(30)의 커버슬라이더(33)가 결합되는 커버슬라이더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버튼커버(20)는 커버슬라이더(33)가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버튼부(13)를 개방하는 위치와 차단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케이싱(11)에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31)와, 버튼커버(20)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슬라이더(33)와, 본체슬라이더(31)와 커버슬라이더(33)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으 로 커버슬라이더(33)를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본체슬라이더(31)에는 전면케이싱(11)의 본체슬라이더결합부(15)에 대응하는 본체결합부(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슬라이더(33)를 향하는 전면에는 스프링결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슬라이더(31)의 폭 방향 양측에는 후술할 커버슬라이더(33)의 가이드(33c)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공(31c)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슬라이더(33)에는 버튼커버(20)의 커버슬라이더결합부(21)에 대응하는 커버결합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슬라이더(31)를 향하는 측면에는 배면에는 스프링결합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슬라이더(33)의 폭 방향 양측에는 본체슬라이더(31)의 가이드공(31c)에 결합되는 가이드(33c)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슬라이더(31)에 형성된 가이드공(31c)과, 커버슬라이더(33)에 마련된 가이드(33c)는 도어록장치(1)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버슬라이더(33)에 마련되는 가이드(33c)는 커버슬라이더(33)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슬라이더(31)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1c)은 가이드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성스프링(35)은 본체슬라이더(31)와 커버슬라이더(33) 사이에서 설치되어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커버슬라이더(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소 정의 위치에서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어 커버슬라이더(33)를 본체슬라이더(31)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으로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탄성스프링(35)이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어 일단이 본체슬라이더(31)의 스프링결합부(31b)에 결합되고, 타단이 커버슬라이더(33)의 스프링결합부(33b)에 결합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탄성스프링(35)의 형상 및 구조와 종류는 커버슬라이더(33)의 이동에 따라 탄성 가압방향의 변화가 가능한 조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와 종류의 탄성스프링(35)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탄성스프링(35)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슬라이더(33)의 스프링결합부(33b)는 커버슬라이더(33)의 길이방향 중간 영역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본체슬라이더(31)의 스프링결합부(31b)는 본체슬라이더(31)의 중간 영역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커버슬라이더(33)가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에서, 본체슬라이더(31)가 커버슬라이더(33)의 길이방향 약 1/2 지점에 위치할 때, 탄성스프링(35)의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된다. 따라서, 본체슬라이더(31)가 커버슬라이더(33)의 약 1/2 위치하는 지점 이후의 구간에서는 가압 방향이 변화된 탄성스프링(35)의 탄성 가압역에 의해 커버슬라이더(33)가 자동으로 본체슬라이더(3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1)의 버튼커버(20) 개폐과정을 도 5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버튼커버(20)가 버튼부(13)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커버슬라이더(33)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탄성스프링(35)은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커버슬라이더(33)를 하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버튼커버(2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커버(20)를 개방하기 위해서 버튼커버(20)를 도 6과 같이, 상향 이동시키면, 커버슬라이더(33)가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35)은 압축된다.
그리고, 본체슬라이더(31)가 커버슬라이더(33)의 길이방향 약 1/2 지점을 지나면 탄성스프링(35)의 탄성 가압방향이 도 7과 같이, 변화하면서 커버슬라이더(33)를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상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커버(20)를 상방향으로 밀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버튼커버(20)가 개방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버튼커버(2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커버(20)를 폐쇄방향으로 도 6과 같이, 하향 이동시키면, 커버슬라이더(33)가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35)은 압축된다.
그리고, 본체슬라이더(31)가 커버슬라이더(33)의 길이방향 약 1/2 지점을 지나면 탄성스프링(35)의 탄성 가압방향이 도 5와 같이 변화하면서 커버슬라이더(33)를 본체슬라이더(31)에 대해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커버(20)를 하방향으로 밀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버튼커버(20)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는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버튼커버가 소정의 위치에서 자동으로 개폐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버튼커버를 완전 개방되는 위치와 완전 폐쇄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간단하게 버튼커버가 개폐된다. 이에 의해, 버튼커버의 개폐가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버튼커버의 개폐조작시 관련 부품의 마찰 등의 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부품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따라서, 버튼커버의 개폐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커버의 개폐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버튼커버의 개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버튼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버튼부를 개폐하는 버튼커버를 갖는 도어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버튼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커버슬라이더가 왕복 이동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어 상기 커버슬라이더를 이동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프링을 갖는 슬라이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본체슬라이더의 가이드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가 상기 버튼커버의 개폐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슬라이더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커버슬라이더가 상기 본체슬라이더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슬라이더가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길이방향 1/2 지점에 위치할 때, 탄성 가압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본체슬라이더와 상기 커버슬라이더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장치.
KR1020060026932A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KR10063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932A KR100631100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932A KR100631100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100B1 true KR100631100B1 (ko) 2006-10-04

Family

ID=3762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932A KR100631100B1 (ko) 2006-03-24 2006-03-24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945A (zh) * 2017-10-26 2018-02-09 陈坤 一种锁用导柱式滑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76A (ja) * 1994-01-31 1995-08-15 Alpha Corp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364492Y1 (ko) * 2004-07-21 2004-10-19 이용수 디지털 도어록
KR200387415Y1 (ko) * 2005-03-30 2005-06-17 인제식 디지털 도어록 실외기의 덮개 승강장치
KR200402223Y1 (ko) * 2005-09-15 2005-11-29 주식회사 비엠코퍼레이션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276A (ja) * 1994-01-31 1995-08-15 Alpha Corp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364492Y1 (ko) * 2004-07-21 2004-10-19 이용수 디지털 도어록
KR200387415Y1 (ko) * 2005-03-30 2005-06-17 인제식 디지털 도어록 실외기의 덮개 승강장치
KR200402223Y1 (ko) * 2005-09-15 2005-11-29 주식회사 비엠코퍼레이션 디지탈 도어록 커버의 저마찰 롤러 슬라이딩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5945A (zh) * 2017-10-26 2018-02-09 陈坤 一种锁用导柱式滑盖装置
CN107675945B (zh) * 2017-10-26 2024-01-19 陈坤 一种锁用导柱式滑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39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JP5373071B2 (ja) 引き戸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1242976B1 (ko) 래치장치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RU2013106745A (ru) Выталкиватель и выдви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JP2014234699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20090075007A (ko) 슬라이딩식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0619737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200431364Y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1332851B1 (ko) 미니츄어 가이드
KR100637875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102048626B1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JP3981950B2 (ja) 落し錠
US7438495B2 (en) Sideward clipping apparatus
KR100733418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972373B1 (ko) 슬라이드 휴대폰 내장형 스프링 조립체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20041744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JP2018096070A (ja) 移動規制装置及び建具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307756B1 (ko)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