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762B1 -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762B1
KR101817762B1 KR1020160080182A KR20160080182A KR101817762B1 KR 101817762 B1 KR101817762 B1 KR 101817762B1 KR 1020160080182 A KR1020160080182 A KR 1020160080182A KR 20160080182 A KR20160080182 A KR 20160080182A KR 101817762 B1 KR101817762 B1 KR 101817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pin
door
sli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68A (ko
Inventor
유희종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2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the spindle by pinning or 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내·외측부에 핀공을 갖춘 내·외부 플랜지 커버가 각각 설치되고, 내·외부 플랜지 커버에 내·외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며, 연결바 및 잠금바가 구비되어 내·외부 손잡이의 동작에 의해 도어가 잠기고 해제되는 도어잠금뭉치가 도어에 삽입되며, 내부 플랜지 커버의 핀공을 관통해 잠금바와 체결되는 잠금핀을 밀거나 당겨 도어잠금뭉치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랜지 커버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잠금핀과 결합되어서 당기거나 밀어 잠금핀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보조잠금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잠금부를 매개로 잠금핀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도어잠금뭉치의 잠금상태를 근본적으로 해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중요한 회의나 여성 혼자만 기거하는 침실에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Device for locking in door handle}
본 발명은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단속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이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도어에는 도어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내부 손잡이와 외부 손잡이가 한 쌍으로 설치되는 핸들형의 도어 손잡이가 대부분 채택되어 사용되고, 이러한 도어 손잡이에는 잠금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5는 종래의 도어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손잡이는, 도어의 내·외측부에 핀공(11)을 갖춘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가 각각 설치되고,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에는 내·외부 손잡이(20,2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플랜지몸체(31)와 연결바(32) 및 잠금바(33)로 구성되어 내·외부 손잡이(20,20')의 동작에 의해 도어가 잠기고 해제되는 도어잠금뭉치(30)가 도어에 삽입된다.
참고로, 연결바(32)에는 내·외부 손잡이(20,2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핀공(11)에는 잠금바(33)와 체결되는 잠금핀(40)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잠금핀(4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도어잠금뭉치(30)가 이에 의해 잠기거나 해제됨에 따라 손쉽게 외부인을 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실수)로 잠금핀(40)에 의해 도어잠금뭉치(30)가 잠긴 상태에서 도어가 닺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외부 플랜지 커버(10')에 핀공(11)을 형성하고, 이 핀공(11)으로 막대(S)를 삽입해 잠금바(33)를 밀게 되면 도어잠금뭉치(30)가 잠긴 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다.
하지만 동전의 양면과 같이, 앞서 언급한 기술로 인하여 중요한 회의나 여성 혼자만 기거하는 침실(방)에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언제든지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출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상에 매우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611호(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2006.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단속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내·외측부에 핀공을 갖춘 내·외부 플랜지 커버가 각각 설치되고, 내·외부 플랜지 커버에 내·외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며, 연결바 및 잠금바가 구비되어 내·외부 손잡이의 동작에 의해 도어가 잠기고 해제되는 도어잠금뭉치가 도어에 삽입되며, 내부 플랜지 커버의 핀공을 관통해 잠금바와 체결되는 잠금핀을 밀거나 당겨 도어잠금뭉치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랜지 커버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잠금핀과 결합되어서 당기거나 밀어 잠금핀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보조잠금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 플랜지커버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핀은 둘레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잠금바에 체결되는 바디와,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가이드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에 형성되며 바디가 이동가능하게 관통되는 해제부와, 해제부와 연통되며 걸림홈에 걸리도록 된 고정부를 갖춘 장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면과 하면에는 요철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내부 플랜지커버에는 슬라이딩바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요철부와 맞대어져 슬라이딩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판;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잠금부를 매개로 잠금핀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도어잠금뭉치의 잠금상태를 근본적으로 해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중요한 회의나 여성 혼자만 기거하는 침실에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서 보조잠금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서 보조잠금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는,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와 내·외부 손잡이(20,20'), 도어잠금뭉치(30), 잠금핀(40) 및 보조잠금부(5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보조잠금부(50)를 매개로 잠금핀(40)를 고정해 줌에 따라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열수 없도록 하여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와 내·외부 손잡이(20,20'), 도어잠금뭉치(30) 및 잠금핀(40)의 경우 종래기술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어(미도시)의 내·외부측에 핀공(11)을 갖춘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가 각각 설치되고,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에는 내·외부 손잡이(20,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내·외부 플랜지 커버(10,10') 사이에는 내·외부 손잡이(20,2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하는 도어잠금뭉치(30)가 도어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핀공(11)에는 잠금바(33)와 체결되는 잠금핀(40)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잠금핀(4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도어잠금뭉치(30)가 이에 의해 잠기거나 해제된다.
특히, 상기 잠금핀(40)은 도어잠금뭉치(30)와 연동이 가능해 내부 손잡이(20)의 동작에 의해 밀려나면서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 잠금핀(40)은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바디(41)와, 바디(41)의 타단에 형성되는 노브(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잠금뭉치(30)의 플랜지몸체(31)에는 사각형상의 연결바(32)와 원통형상의 잠금바(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연결바(32)에는 내·외부 손잡이(20,20')가 각각 설치되고, 잠금바(33)에는 잠금핀(40)이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잠금부(50)는 내부 플랜지 커버(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잠금핀(40)과 결합되어서 당기거나 밀어 잠금핀(40)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기 위해, 상기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둘레면에는 가이드공(12)이 보강된다.
또한, 상기 잠금핀(40)의 바디(41) 둘레면에는 걸림홈(41a)이 보강되며, 이 걸림홈(41a)에 보조잠금부(50)를 구성하는 고정부(52b)가 끼워지면 잠금핀(40)은 고정된다.
상기 보조잠금부(50)는 슬라이딩바(51)와 장공(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바(51)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편으로서,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가이드공(1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장공(52)은 슬라이딩바(51)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해제부(52a)와 고정부(52b)로 구성되며, 이들은 상호 연결(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해제부(52a)는 잠금핀(41)의 바디(41)에 대응되는 구멍이고, 고정부(52b)는 바디(41)의 걸림홈(41a)에 대응되는 구멍 사이즈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핀공(11)과 가이드공(12)에 잠금핀(40)과 보조잠금부(50)를 각각 끼워 넣고, 잠금핀(40)이 보조잠금부(50)의 장공(52)을 관통하도록 상호 결합시켜 주면 그 조립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보조잠금부(50)의 슬라이딩바(51)를 눌러 내부 플랜지 커버(10)의 둘레면에 밀착시켜주게 되면, 장공(52)의 해제부(52a)에 잠금핀(40)의 바디(41)가 위치하므로 잠금핀(40)은 아무런 구속없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때는 외부에서 도어잠금뭉치(3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잠금핀(40)을 눌러 도어잠금뭉치(30)를 잠그고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바(51)를 당기게 되면 장공(52)의 고정부(52b)가 바디(41)의 걸림홈(41a)에 인입됨에 따라 이에 의해 잠금핀(40)은 구속되어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잠금부(50)를 매개로 잠금핀(40)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도어잠금뭉치(30)의 잠금상태를 근본적으로 해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중요한 회의나 여성 혼자만 기거하는 침실에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보다 확실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조잠금부(50)의 크기에 상응하게 가이드공(12)을 제작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보조잠금부(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가이드공(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며, 이로 인해 보조잠금부(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보조잠금부(5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바(51)의 상면과 하면에 요철부(53)를 보강하고, 내부 플랜지커버(10)에는 슬라이딩바(51)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요철부(53)와 맞대어져 슬라이딩바(5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판(54)를 보강해 주었다.
특히, 상기 가이드판(54)은 판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부 플랜지커버(10)의 거치대(13)에 끼워져 고정된다.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바(51)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슬라이딩바(51)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요철부(53)가 가이드판(54)을 밀면서 지나가게 되며, 슬라이딩바(51)의 이동을 멈추면 요철부(53)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판(54)이 슬라이딩바(51)를 가압해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바(51)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바(51)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가이드판(54)이 슬라이딩바(51)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므로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필요없어지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10': 내·외부 플랜지 커버 11: 핀공 12: 가이드공
13: 거치대 20.20': 내·외부 손잡이 30: 도어잠금뭉치
40: 잠금핀 41: 바디 41a: 걸림홈
42: 노브 50: 보조잠금부 51: 슬라이딩바
52: 장공 52a: 해제부 52b: 고정부
53: 요철부 54: 가이드판

Claims (3)

  1. 도어의 내·외측부에 핀공을 갖춘 내·외부 플랜지 커버가 각각 설치되고, 내·외부 플랜지 커버에 내·외부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며, 연결바 및 잠금바가 구비되어 내·외부 손잡이의 동작에 의해 도어가 잠기고 해제되는 도어잠금뭉치가 도어에 삽입되며, 내부 플랜지 커버의 핀공을 관통해 잠금바와 체결되는 잠금핀을 밀거나 당겨 도어잠금뭉치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랜지 커버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잠금핀과 결합되어서 당기거나 밀어 잠금핀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보조잠금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내부 플랜지커버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핀은 둘레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잠금바에 체결되는 바디와,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잠금부는,
    상기 가이드공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에 형성되며 바디가 이동가능하게 관통되는 해제부와, 해제부와 연통되며 걸림홈에 걸리도록 된 고정부를 갖춘 장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면과 하면에는 요철부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내부 플랜지커버에는 슬라이딩바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요철부와 맞대어져 슬라이딩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판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80182A 2016-06-27 2016-06-27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KR101817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82A KR10181776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82A KR10181776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8A KR20180001268A (ko) 2018-01-04
KR101817762B1 true KR101817762B1 (ko) 2018-01-11

Family

ID=609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82A KR10181776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0007A (zh) * 2018-02-22 2018-06-12 上海洋洋大多利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锁体与拉手的固定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581A (ja) * 1999-07-19 2001-02-06 Hitoshi Watanabe ドアー錠の軸固定式二重ロック
KR200421611Y1 (ko) * 2006-04-20 2006-07-14 안덕근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581A (ja) * 1999-07-19 2001-02-06 Hitoshi Watanabe ドアー錠の軸固定式二重ロック
KR200421611Y1 (ko) * 2006-04-20 2006-07-14 안덕근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8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35B2 (en) Locking device
US10961747B1 (en) Device for securing a door
KR101817762B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구조
KR10176243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S63197780A (ja) ドア,窓,その他のロック装置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101507745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TWM493576U (zh) 門鎖
JP2016003500A (ja) 引戸用錠前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KR102022498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KR20160048253A (ko) 도어락 장치용 내부 핸들
KR10121526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874914B1 (ko) 자기 잠금장치를 이용한 여닫이문의 잠금시스템
US9714526B2 (en) Code combination lock
JP2016061130A (ja) 家具用扉のロック装置
TWI608154B (zh) Keyhole shielding device
JPS585006Y2 (ja) 簡易鎖錠装置
KR200463252Y1 (ko) 회전식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JP6265728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20120011545A (ko) 손잡이에 가압식 버튼 록킹 장치를 구비한 튜블러 록
JP4949975B2 (ja) ボタン式錠装置
KR1021433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CN207739788U (zh) 一种箱包上的密码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