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06Y1 -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 Google Patents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06Y1
KR200476806Y1 KR20130009516U KR20130009516U KR200476806Y1 KR 200476806 Y1 KR200476806 Y1 KR 200476806Y1 KR 20130009516 U KR20130009516 U KR 20130009516U KR 20130009516 U KR20130009516 U KR 20130009516U KR 200476806 Y1 KR200476806 Y1 KR 200476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dead bolt
lever
hand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9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895U (ko
Inventor
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시스
Publication of KR20140004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Abstract

본 고안은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은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탄성 변화를 일으키는 탄성연결체를 통해 연동되어 있어서, 일정 이상의 외부 힘이 가해지면 탄성연결체와 제2회전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외력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Door lock with rotating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having slip mechanism}
본 고안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데드 볼트 측으로 전달할 시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동력 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은 레버 등의 회전수단을 작동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 볼트를 포함한다. 래치 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및 해제하는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 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 볼트를 설치하여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록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 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물론 디지털 도어록도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문이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또한, 실내에서 나갈 시, 내부 레버를 조작하면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열 수 있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하는 '패닉(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록도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패닉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실내 레버를 강하게 돌려 데드 볼트를 강제로 이송시키려고 할 시 모터에도 과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닫히는 시점에 사용자가 레버를 돌려 문을 열려고 할 시에는, 데드 볼트에 역 방향 힘이 가해지고, 이는 기어 박스에도 역 방향 힘이 가해져 힘의 충돌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어 박스가 오동작 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데드 볼트와 기어 박스 사이에 슬립 기능이 탑재된 동력 전달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반대 방향의 힘이나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동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예컨대 동력 전달 수단으로써 기어 박스와 연동되는 제1회전체, 그리고 데드 볼트와 연동되는 제2회전체를 구비하고,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 사이에 오링을 끼워 모터의 구동력이 발생하면 오링의 마찰력에 의해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외부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제2회전체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서로간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무재질의 오링은 기온 또는 습도에 따라 성질이 변화하여 일정한 힘에 대한 작용을 기대할 수 없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무가 경화되는 등 내구성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링 장착 없이 회전체들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힘에서는 동반 회전되도록 하고, 큰 힘이 가해지면 헛돌게 하는 기술도 개시된 바 있지만, 이 역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접촉 부위가 마모 되면 동력 전달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 가지고 있다.
한편 도어록의 데드볼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9209호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의 강한 힘, 즉 실내 레버를 강하게 돌려 데드 볼트를 이송시키려고 할 때나,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데드 볼트가 닫히는 시점에서 다시 문을 열기 위해 실내 레버를 돌렸을 시 탄성 변화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체 사이가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힘이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기어 박스 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데드 볼트; 외력 또는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데드 볼트에 전달하여 상기 데드 볼트를 이송시키는 데드 볼트 레버; 및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데드 볼트 레버에 전달하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내측에 제2회전체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착공간 둘레에 탄성연결체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의 지지홈에 삽입되고 돌출부를 갖는 상기 탄성연결체; 및 상기 데드 볼트 레버와 연동되며, 둘레에 형성된 제2기어치가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1회전체의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제2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에 맞물린 상기 제2회전체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데드 볼트 레버를 통해 상기 데드 볼트가 이송되고,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데드 볼트 레버를 통해 상기 제2회전체에 가해지면,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로부터 이탈되어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데드 볼트 레버에 가해진 역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전체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상기 탄성연결체는 탄성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단이 상기 제1회전체의 지지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전체의 안착공간 중심 방향을 향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1회전체 또는 상기 제2회전체에 일정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공간의 바깥 방향으로 휘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 또는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의 둘레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일정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상기 제2기어치의 라운딩 처리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밀려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의 강한 힘, 즉 실내 레버를 강하게 돌려 데드 볼트를 이송시키려고 할 때나, 또는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데드 볼트가 닫히는 시점에서 다시 문을 열기 위해 노브 또는 실내 레버를 돌렸을 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제1회전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연결체가 탄성 변화하여 제2회전체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헛돌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어 박스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또는 미끄러지도록 하는 원리가 아니고, 탄성연결체의 돌출부와 제2회전체의 기어치가 맞물리거나 탄성 변화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모에 따른 마찰력 저하 등의 내구성 문제도 해결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실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하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모두 제거하고 바라본 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가 연결되는 핸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9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1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에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의 연동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고안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고안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이하 '도어록'이라 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실내측) 및 하부 케이스(실외측)를 각각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모두 제거하고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은, 상부 케이스(11)(실내측), 하부 케이스(12)(실외측), 바디 프론트(13), 래치 볼트(20)(Latch Bolt), 데드 볼트(70)(Dead Bolt), 제1 래치 링크(30), 제2 래치 링크(31), 제1 핸들(40), 제2 핸들(50), 제3 핸들(60), 데드 볼트 레버(90),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 및 기어 박스(10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는 도어록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2)(실외측)의 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래치 볼트(20)를 작동하여 열 수 있는 실외 레버(미도시)가 마련되고, 데드 볼트(7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미도시) 또는 카드 접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실내측)의 외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 볼트(20)를 이동하여 열 수 있는 실내 레버(미도시)가 마련되고, 데드 볼트(70)를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knob) 또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프론트(13)는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의 측면, 즉 도어 프레임 측에 형성되며, 래치 볼트(20) 및 데드 볼트(70)가 드나들 수 있는 인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 볼트(2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시, 도어 프레임에 닿으면서 인입되도록 돌출된 부분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래치 볼트(20)는 래치 볼트(20)에 결합된 래치 샤프트(21) 및 래치 샤프트(21)에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22)와 함께 이송된다. 즉, 래치 볼트(20)의 일측에 래치 샤프트(21)가 삽입 결합되며, 제1 래치 링크(30) 또는 제2 래치 링크(31)에 걸릴 수 있는 플레이트 포스트(23)가 마련된 래치 플레이트(22)가 래치 샤프트(21)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제1 핸들(40) 또는 제2 핸들(50)과 연동된 제1 래치 링크(30) 또는 제2 래치 링크(31)가 회전하여 플레이트 포스트(23)를 잡아 당기면, 래치 볼트(20)가 열릴 수 있는 것이며,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래치 볼트 가이드(25)에 지지되어 있는 래치 스프링(24)의 탄력에 의해 래치 볼트(20)가 닫힐 수 있다.
데드 볼트(70)는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서 이송 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데드 볼트(70)가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어 도어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노브(미도시)를 강제 회전시켜 노브와 연계된 데드 볼트 레버(90)를 회전시키면, 데드 볼트 레버(90)의 이송 날개(92)가 데드 볼트(70)를 밀어 데드 볼트(70)가 전진(닫힘)또는 후진(열림) 시킴으로써 동작되거나, 기어 박스(100) 내에 설치된 모터 측에서 발생한 동력이 구동기어(101)를 통해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에 전달되어 데드 볼트 레버(90)의 이송 날개(92)가 데드 볼트(70)를 밀어 데드 볼트(70)가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데드 볼트(70)는 실내 레버를 작동시켜 제2 핸들(50)이 회전하면 제2 핸들(50)의 데드 볼트 연동 날개(54)가 데드 볼트 레버(90)의 걸림 날개(91)를 밀어 데드 볼트 레버(9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될 수도 있다. 즉, 패닉 기능에 의해 실내 레버를 작동시키면 래치 볼트(20)와 데드 볼트(70)가 동시에 해제될 수 있다.
제1 래치 링크(30) 및 제2 래치 링크(31)는 래치 링크 샤프트(3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제1 래치 링크(30)는 제1 핸들(40)의 걸림턱a(41)에 걸려 작동되고, 제2 래치 링크(31)는 제2 핸들(50)의 걸림턱b(51)에 걸려 작동된다. 또한 제1 래치 링크(30) 및 제2 래치 링크(31)는 래치 플레이트(22)에 마련된 플레이트 포스트(23)를 잡아 당겨 래치 볼트(2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핸들(40), 제2 핸들(50) 및 제3 핸들(60)은 동일 회전축 상에 결합되어,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핸들(40)과 제2 핸들(50)에 형성된 걸림턱a(41) 및 걸림턱b(51)에 의해 제1 래치 링크(30) 또는 제2 래치 링크(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핸들(40), 제2 핸들(50) 및 제3 핸들(60)의 결합 구조는 도5의 분해 사시도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에는 실외 레버가 결합되는 다각형의 결합홀a(42) 및 결합홀c(6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핸들(50)에는 실내 레버가 결합되는 다각형의 결합홀b(5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모양의 결합홀a(42), 결합홀b(52) 및 결합홀c(6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2 핸들(50)에는 결합홀b(52)의 둘레를 따라 제2 핸들(5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 회전 가이드(5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에는 제2 핸들(50)의 돌출 회전 가이드(53)가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 안착 회전 가이드a(44)와 안착 회전 가이드c(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레버가 결합되는 제2 핸들(50)이 회전할 시에는 제2 핸들(50)의 돌출 회전 가이드(53)가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의 안착 회전 가이드(44,63) 내에서 회전하며, 제2 핸들(50)의 회전이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은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동되어 결합된다. 즉, 제1 핸들(40)의 둘레에 안착홈(43)이 형성되고 제3 핸들(60)에는 제2 핸들(50)의 둘레를 지나 제1 핸들(40)의 안착홈(43)에 안착하는 연장부(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핸들(40) 또는 제3 핸들(60)에 결합된 실외 레버가 회전하면,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이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2 핸들(50)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물론 이를 위해 제1 핸들(40) 및 제3 핸들(60)이 실내 레버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홀a(42) 및 결합홀c(61)의 최소 회전 반경은 실내 레버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1) 측에서 실내 레버를 결합하면, 실내 레버는 제3 핸들(60)의 결합홀c(61)를 관통하여 제2 핸들(50)의 결합홀b(52)에 결합되고, 실외 레버는 하부 케이스(12) 측에서 제1 핸들(40)의 결합홀a(4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실내 레버와 실외 레버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제1 핸들(40)의 둘레에 돌출하여 걸림턱a(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외 레버의 작동으로 제1 핸들(40)이 회전하거나, 또는 제3 핸들(60)이 회전하여 이와 연동된 제1 핸들(40)이 회전하면, 제1 래치 링크(30)가 걸림턱a(41)에 걸려 일정각 회전하면서 래치 플레이트(22)에 마련된 플레이트 포스트(23)를 잡아 당겨 래치 볼트(20)를 후진(열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핸들(50)의 둘레에 돌출하여 걸림턱b(51)와 데드 볼트 연동 날개(54)가 형성되어 있어서, 실내 레버의 작동으로 제2 핸들(50)이 회전하면 제2 래치 링크(31)가 걸림턱b(51)에 걸려 일정각 회전하면서 플레이트 포스트(23)를 잡아 당겨 래치 볼트(20)를 후진(열림)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2 핸들(50)의 데드 볼트 연동 날개(54)가 데드 볼트 레버(90)에 형성된 걸림 날개(91)를 밀어 데드 볼트 레버(90)가 회전하면서 데드 볼트 레버(90)의 이송 날개(92)가 데드 볼트(70)를 밀어 후진(열림)시킬 수 있다(패닉 기능).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는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데드 볼트 레버(90)에 전달하여 데드 볼트(70)를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00)의 구동기어(101)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데드 볼트 레버(90)를 회전시켜 데드 볼트(70)를 이송시킬 수가 있다. 또한 데드 볼트 레버(90)는 노브와 연동되어 사용자에 의해 노브가 작동되면 회전하여 데드 볼트(70)를 이송시킨다.
도7은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와 데드 볼트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8은 도7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9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는 제1회전체(81), 탄성연결체(83) 및 제2회전체(82)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략 도넛 형태의 제1회전체(81)의 둘레에는 제1기어치(8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기어치(81a)가 구동기어(101)에 연동됨으로써 기어 박스(100) 내에서 작동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체(81)의 내측에는 제2회전체(82)가 안착되는 안착공간(81b)이 마련되어 있으며, 안착공간(81b) 둘레에 탄성연결체(83)가 삽입되는 지지홈(81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0도 각도를 두고 3개의 탄성연결체(83)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홈(81c)이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체(81)의 지지홈(81c)에 삽입되는 탄성연결체(83)는 탄성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양단이 제1회전체(81)의 지지홈(81c)에 삽입된다. 또한 탄성연결체(83)에는 제1회전체(81)의 안착공간(81b) 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체(82)의 중심에는 데드 볼트 레버(9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데드 볼트 레버 결합부(82b)가 마련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제2기어치(8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회전체(82)는 제2기어치(82a)가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에 맞물린 상태로 제1회전체(81)의 안착공간(81b)에 안착된다.
여기서 제2회전체(82)의 제2기어치(82a) 상단면을 테이퍼진 형태로 설계하면, 제2회전체(82)를 제1회전체(81)의 안착공간(81b)에 결합할 때 탄성연결체(83)와의 치합 정렬이 수월해질 수 있다. 이렇게 제2회전체(82)가 제1회전체(81)의 안착공간(81b)에 설치되면, 탄성연결체(83)가 변형공간(81d)(이하에서는 탄성연결체(83)가 설치된 상태에서 안착공간(81b)의 바깥 공간을 편의상 변형공간(81d)이라고 함)으로 살짝 휘어지게 되고, 이러한 탄성연결체(83)는 스스로 복원력을 발생시켜 제2회전체(82)를 이탈되지 않게 잡아준다. 따라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를 조립할 시 부품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의 구성들인 제1회전체(81), 탄성연결체(83) 및 제2회전체(82)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10을 참조하면, 제1회전체(81)와 제2회전체(82)는 기본적으로 함께 연동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즉 기어 박스(100)의 모터가 구동하여 구동기어(101)가 회전하면 제1회전체(81)가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제1회전체(81)의 지지홈(81c)에 삽입된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가 제2회전체(82)의 제2기어치(82a)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2회전체(82)도 함께 회전하면서 데드 볼트 레버(90)가 데드 볼트(70)를 밀어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데드 볼트(70)가 해제되어 문이 열린후 다시 닫히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70)가 자동으로 잠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데드 볼트(70)의 위치는 디텍터(110)에 의해 검출된다.
하지만 모터의 동력에 의해 데드 볼트(70)가 잠기려고 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레버 또는 노브를 작동시켜 문을 다시 열려고 한다면,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역방향의 외력이 모터에 그대로 전달된다면, 모터 또는 기어 박스(100)의 다른 부품들이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7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상황에서는 외부의 힘이 모터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모터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노브 또는 실내 레버를 강하게 작동시켜 데드 볼트 레버(90)를 강제로 회전시킨다거나, 모터의 작동과 반대 방향의 외력이 데드 볼트 레버(90)에 가해진다면, 제2회전체(82)와 탄성연결체(83) 사이에는 강한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탄성연결체(83)는 휘어짐이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고, 돌출부(83a)가 형성된 바깥쪽에는 탄성연결체(83)가 변형될 수 있는 변형공간(81d)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회전체(82)와 탄성연결체(83)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 결합력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제2회전체(82)의 제2기어치(82a)가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를 밀어 올림으로써,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3a)와 제2기어치(82a)의 맞물림 상태는 해제된다. 즉 제1회전체(81)와 제2회전체(82)는 연동 회전하지 못하고 헛돌게 된다. 따라서 데드 볼트 레버(90)에 가해진 외부의 강한 힘은 제2회전체(82)까지는 전달되더라도 탄성연결체(8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1회전체(81)까지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어 박스(100)를 외부의 힘으로부터 보호해줄 수가 있다.
여기서 제2회전체(82)의 제2기어치(82a), 또는 여기에 맞물리는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는 그 둘레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일정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제2기어치(82a)의 라운딩 처리된 둘레면을 따라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가 수월하게 밀려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성연결체(83)는 녹 방지를 위해 SUS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의 강한 힘, 즉 실내 레버를 강하게 돌려 데드 볼트(70)를 이송시키려고 할 때나, 또는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데드 볼트(70)가 닫히는 시점에서 다시 문을 열기 위해 노브 또는 실내 레버를 돌렸을 시,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80)의 제1회전체(81)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연결체(83)가 탄성 변화하여 제2회전체(82)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로 헛돌기 때문에, 외부의 힘이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어 박스(1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체(81)와 제2회전체(82)가 직접(또는 슬립부재를 통해)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또는 미끄러지도록 하는 원리가 아니고, 탄성연결체(83)의 돌출부(83a)와 제2회전체(82)의 기어치가 맞물리거나 탄성 변화에 의해 맞물림이 해제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모에 따른 마찰력 저하 등의 내구성 문제도 해결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바디 프론트 20 : 래치 볼트
21 : 래치 샤프트 22 : 래치 플레이트
23 : 플레이트 포스트 24 : 래치 스프링
25 : 래치 볼트 가이드 30 : 제1 래치 링크
41 : 걸림부 31 : 제2 래치 링크
32: 래치 링크 샤프트 40 : 제1 핸들
41 : 걸림턱a 42 : 결합홀a
43 : 안착홈 44 : 안착 회전 가이드a
50 : 제2 핸들 51 : 걸림턱b
52 : 결합홀b 53 : 돌출 회전 가이드
54 : 데드 볼트 연동 날개 60 : 제3 핸들
61 : 결합홀c 62 : 연장부
63 : 안착 회전 가이드c 70 : 데드 볼트
80 :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 81 : 제1회전체
81a : 제1기어치 81b : 안착공간
81c : 지지홈 81d : 변형공간
82 : 제2회전체 82a : 제2기어치
82b : 데드 볼트 레버 결합부
83 : 탄성연결체 83a : 돌출부
90 : 데드 볼트 레버 91 : 걸림 날개
92 : 이송 날개 100 : 기어 박스
101 : 구동기어 110 : 디텍터

Claims (3)

  1.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데드 볼트;
    외력 또는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데드 볼트에 전달하여 상기 데드 볼트를 이송시키는 데드 볼트 레버; 및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데드 볼트 레버에 전달하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는,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내측에 제2회전체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착공간 둘레에 탄성연결체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체;
    상기 제1회전체의 지지홈에 삽입되고 돌출부를 갖는 상기 탄성연결체; 및
    상기 데드 볼트 레버와 연동되며, 둘레에 형성된 제2기어치가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1회전체의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제2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상기 탄성연결체는 탄성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단이 상기 제1회전체의 지지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전체의 안착공간 중심 방향을 향해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와 맞물리게 되며,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에 맞물린 상기 제2회전체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데드 볼트 레버를 통해 상기 데드 볼트가 이송되고,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데드 볼트 레버를 통해 상기 제2회전체에 가해져 상기 제2회전체와 상기 탄성연결체 사이에 존재하는 탄성 결합력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가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를 밀어 올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공간의 바깥 방향으로 휘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 맞물림은 해제되고, 상기 제2회전체가 헛돌아 상기 데드 볼트 레버에 가해진 역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전체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의 상기 탄성연결체의 돌출부, 또는 상기 제2회전체의 제2기어치의 둘레면은 라운딩 처리되어, 일정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상기 제2기어치의 라운딩 처리된 둘레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가 밀려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KR20130009516U 2013-02-26 2013-11-19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KR200476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92 2013-02-26
KR20130001492 2013-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5U KR20140004895U (ko) 2014-09-03
KR200476806Y1 true KR200476806Y1 (ko) 2015-04-07

Family

ID=5245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9516U KR200476806Y1 (ko) 2013-02-26 2013-11-19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78B1 (ko) 2016-10-07 2017-11-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페이즈 쉬프터를 위한 met 소자 및 met 소자를 포함하는 페이즈 쉬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7875B2 (en) * 2016-09-19 2022-07-05 Level Home, Inc. Deadbolt position sensing
WO2024063429A1 (ko) * 2022-09-20 2024-03-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09Y1 (ko) *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용 기어장치
KR20090096283A (ko) * 2008-03-07 2009-09-10 민병도 자동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209Y1 (ko) * 2005-12-01 2006-02-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용 기어장치
KR20090096283A (ko) * 2008-03-07 2009-09-10 민병도 자동 도어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78B1 (ko) 2016-10-07 2017-11-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페이즈 쉬프터를 위한 met 소자 및 met 소자를 포함하는 페이즈 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5U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30124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N105298225A (zh) 插锁
US9540848B1 (en) Door lock permitting easy change in lock core assembly orientation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EP1925764B1 (en) Handle for vehicle doors, handle and tool as well as proce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is handle
CN210738299U (zh) 提升组装性和操作稳定性的榫眼
KR200421611Y1 (ko) 도어 손잡이의 잠금핀 구조
KR101301248B1 (ko) 데드볼트의 우선 이송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200464167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200446206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구동모터 소손 방지장치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200459911Y1 (ko)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100543829B1 (ko)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CA2608624A1 (en) Door lock assembly that causes a handle to idle when placed in a locking position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249937B1 (ko) 패닉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KR200358448Y1 (ko) 키실린더 겸용 다이얼 잠금장치
KR200443870Y1 (ko) 디지털식 도어록
KR101735752B1 (ko) 개폐방향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