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63429A1 -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63429A1
WO2024063429A1 PCT/KR2023/013682 KR2023013682W WO2024063429A1 WO 2024063429 A1 WO2024063429 A1 WO 2024063429A1 KR 2023013682 W KR2023013682 W KR 2023013682W WO 2024063429 A1 WO2024063429 A1 WO 20240634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p
coupling groove
shaft
housing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36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근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ublication of WO20240634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634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n electric air vent in a ca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ctuator for an electric air vent in a car, which prevents the gear unit and motor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trol knob even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rol knob. This is about actuators for air vents.
  • the air vents that discharge air into the interior by the operation of the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e a center air vent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panel betwee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and a side air vent mounted on the crash pad on the front of the driver's and passenger seats. Includes etc.
  • This air vent consists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wings and vertical wings, and an operation knob to operate them, and is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center fascia panel or crash pad.
  • the conventional air vent has a horizontal wing mounted at the outlet of the air duct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vertical wing placed at the rear of the horizontal wing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river does not have to manually operate the control knob.
  • the wind direction was controlled only by the wind direction.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8-009222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gear even when an occupant in a ca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manually control the wind direction while holding the control knob with his hand.
  • the goal is to provide an actuator for an electric air vent in a car that prevents the unit and motor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knob.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orward/reverse motor 10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haft 600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500, and the forward/reverse motor 100.
  • a forward/reverse motor 10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haft 600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500, and the forward/reverse motor 100.
  • an input gear 110 form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600, which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gear 110 is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 It consists of a reduction gear unit 200 that rotates, and a slip gear unit 30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while receiv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reduction gear unit 200, and the slip gear unit 300
  • a slip housing 31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are in communication, and has serrated
  • a slip rubber 340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assembled and separated by a keyway method on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insert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where the slip rubber 340 is installed.
  • a slip bush 330 whose other side is drawn in and out of the coupling groove 312, and a slip housing 310 with one side of the slip bush 330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p shaft 320 pulled out to the outside. This is achieved by being composed of a housing 400 that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reduction gear unit 200 and the reduction gear unit 200 are installed in interconnection.
  • the slip rubber 3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a certain overlap state is maintained between one outer surface of the slip shaft 320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of the slip housing 310. Not only does it effectively generate static friction torque, but it also absorbs minute dimensional changes and makes it easy to insert and couple the slip shaft 320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 variable torque part 322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 321 and the fixing part 321 and spreads left and right to generate variable torque.
  • the variable torque part 322 and the fixing part 321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 a key 323 is formed on one end of the slip shaft 320, so that i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the slip bush 330 on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by using a keyway method. At the same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torque unit 322 spreads outward when entering the overlap section, causing a slip phenomenon, and allowing the slip shaft to idle.
  •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formed in the slip housing 310 into which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is inserted and coupled is located between the variable torque part 322 and the fixed part 321 to form an overlap creation section.
  • the outer diame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op and bottom,
  • variable torque unit 322 when the variable torque unit 322 enters the overlap section, it spreads outward, causing a slip phenomenon and causing the slip shaft to idle.
  • an insertion groove 331 into which a key 323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p bush 330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of the slip housing 310, so that the slip housing 310 It was revealed that when the slip shaft 320,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of (310),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the slip bush 330 also receives rotational force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t the same time. put it
  •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tuator for the electric air vent of the present inventor's automobil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actuator for the electric air vent of the present inventor's automobile.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lip gear portion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lip gear portion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lip bush is assembled to the slip shaf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lip gear portion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duction gear unit meshed with the slip ge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p bushing in the slip gear par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 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ip rubber mounted on the slip gear portion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p shaf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ip shaf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ure 12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than those expres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tuator for the electric air vent of the present inventor's automobil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actuator for the electric air vent of the present inventor's automobile
  • Figure 3 is the slip gear portion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or.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lip gear par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lip bush is assembled to the slip shaf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It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lip gear par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duction gear part meshed with the slip gear part of the present inventor
  • Figure 8 is a disassembled slip bush of the slip gear par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 A' of Figure 3
  • 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ip rubber is mounted on the slip gear par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ip rubber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lip shaft for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ure 12.
  • the actuator for an electric air vent of an auto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shaft 60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500.
  • a reduction gear unit 200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a slip gear portion 30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hile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reduction gear section 200.
  • the slip gear unit 30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are in communication, and has a sawtooth shape engaged with the reduction gear unit 20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a slip rubber 340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and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insert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in which the slip rubber 340 is installed.
  • a slip bush 330 whose other side is withdrawn and withdrawn from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so as to be selectively assembled and separated in a keyway manner, and one side of the slip bush 330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p shaft 320. It consists of a housing 400 that maintains the slip housing 310 and the reduction gear unit 200 installed in a mutually interlocked state while being pulled out to the outside.
  • the slip rubber 3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 fixing portions 321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generate a constant friction torque while th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lip rubber 340.
  • a variable torque part 322 is formed that spreads left and right and generates variable torque, and the variable torque part 322 and the fixing part 321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 a key 323 is formed on one end of the shaft 320.
  •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formed in the slip housing 310 into which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is inserted and coupled is located between the variable torque part 322 and the fixed part 321 to form an overlap creation section.
  • the outer diame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 an insertion groove 331 into which a key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lip bush 330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of the slip housing 310.
  •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is an input gear 110 on a shaft 60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by generating a driving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100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500. is coupled, and the input gear 110 is meshed with one gear constituting the reduction gear unit 20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400 about the shaft 600, forming the reduction gear unit 200. Tooth-shaped teeth 31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p housing 310 constituting the slip gear unit 300 are meshed with the other gear.
  • the slip rubber 340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formed in the slip housing 310,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is inserted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 the other side of the slip bush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so that the other side is selectively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slip shaft 320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be position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312. ),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00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 the slip shaft 320 or slip bush 330 receives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forward/reverse motor 100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 the slip shaft or slip bush 330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slip shaft 320 is connected to the slip housing. Idle rotation and slip are generated by the overlap creation section located between the variable torque part 322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311 of (310) and the fixed part 321, thereby causing the reduction gear part 200 and the forward/reverse motor ( 10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lip shaft 320' or slip bush 3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조작노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기어부와 모터가 조작노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샤프트(600)가 회전이 이어지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100)와, 상기 정역모터(1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기어(110)와, 상기 입력기어(11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부(200)와, 상기 감속기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슬립기어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기어부(300)는 제1결합홈(311)과 제2결합홈(312)이 연통되게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감속기어부(200)에 치합되는 톱니모양의 이빨(313)이 형성되어 있는 슬립하우징(310)과, 상기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에 일측부가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와, 상기 슬립샤프트(320)와 제1결합홈(311)의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립러버(340)와, 상기 슬립러버(340)가 설치된 제1결합홈(311)을 관통하며 삽입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 선택적으로 키홈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도록 제2결합홈(312)에 타측부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슬립부시(330)와, 상기 슬립부시(330)의 일측부와 슬립샤프트(320)의 타측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슬립하우징(310)과 감속기어부(200)가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조작노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기어부와 모터가 조작노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로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사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장착되는 센터 에어벤트와, 운전석 및 조수석 전면쪽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벤트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벤트는 복수의 가로윙 및 세로윙, 그리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노브로 구성된 상태에서 센터 페시아 패널 또는 크래쉬 패드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에어벤트는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해 에어덕트의 출구 위치에 장착되는 가로윙과, 좌우방향 풍향 조절을 위해 가로윙의 뒤쪽 위치에 배치되는 세로윙이 운전자가 조작노브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서만 풍향이 조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구동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기어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가로윙과 세로윙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풍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동식 에어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전동식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엑츄에이터의 경우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승원이 조작노브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풍향을 조작하고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조작노브를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기어부 및 모터가 변형 및 파손되어 많은 교체 수리비용이 들게되고 이로인해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들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922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타고 있는 승원이 조작노브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풍향을 조작하고자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기어부와 모터가 조작노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샤프트(600)가 회전이 이어지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100)와, 상기 정역모터(1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기어(110)와, 상기 입력기어(11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부(200)와, 상기 감속기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슬립기어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기어부(300)는 제1결합홈(311)과 제2결합홈(312)이 연통되게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감속기어부(200)에 치합되는 톱니모양의 이빨(313)이 형성되어 있는 슬립하우징(310)과, 상기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에 일측부가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와, 상기 슬립샤프트(320)와 제1결합홈(311)의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립러버(340)와, 상기 슬립러버(340)가 설치된 제1결합홈(311)을 관통하며 삽입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 선택적으로 키홈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도록 제2결합홈(312)에 타측부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슬립부시(330)와, 상기 슬립부시(330)의 일측부와 슬립샤프트(320)의 타측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슬립하우징(310)과 감속기어부(200)가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슬립러버(340)는 주름관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슬립샤프트(320)의 일측 외측면과 슬립하우징(310)의 제1결합홈(311) 내측벽면에 사이에 일정한 오버랩상태가 유지되면서 정지마찰토크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됨은 물론, 미세한 치수변화가 흡수되면서 제1결합홈(311)에 슬립샤프트(320)를 삽입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311)에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의 일측 외측부에는 슬립러버(340)에 외측면이 접촉되면서 일정한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고정부(321)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21)와 고정부(321) 사이에는 좌우로 벌어지면서 가변토크를 발생시키는 가변토크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가 외측부에 형성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단부에는 키(3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 슬립부시(330)를 키홈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시켜 가면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변토크부(322)가 오버랩구간에 진입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슬립현상이 발생하면서 슬립샤프트가 공회전되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되는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은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에 사이에 위치되어 오버랩생성구간이 형성되도록 좌우양측의 외경이 상하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변토크부(322)가 오버랩구간에 진입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슬립현상이 발생하면서 슬립샤프트가 공회전되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슬립하우징(310)의 제2결합홈(312)에 삽입 결합되는 슬립부시(330)의 타측부에는 키(323)가 삽입되는 삽입홈(331)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립하우징(310)의 제1결합홈(311)에 일측부가 삽입된 슬립샤프트(32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 슬립부시(330)도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동시에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뤄지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타고 있는 승원이 조작노브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수동으로 풍향을 조작하고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슬립기어부에 의해 슬립이 이루어지면서 감속기어부와 모터가 조작노브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아 차량을 유지보수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에 슬립부시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슬립기어부에 감속기어부가 치합된 상태를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에 슬립부시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에 슬립러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를 보인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B - B'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표현한 형상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에 슬립부시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조립 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슬립기어부에 감속기어부가 치합된 상태를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에 슬립부시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9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기어부에 슬립러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엑츄에이터용 슬립샤프트를 보인 측면도 이며, 도 13은 도 12의 B - B'선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샤프트(600)가 회전이 이어지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100)와, 상기 정역모터(1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기어(110)와, 상기 입력기어(11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부(200)와, 상기 감속기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슬립기어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기어부(300)는 제1결합홈(311)과 제2결합홈(312)이 연통되게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감속기어부(200)에 치합되는 톱니모양의 이빨(313)이 형성되어 있는 슬립하우징(310)과, 상기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에 일측부가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와, 상기 슬립샤프트(320)와 제1결합홈(311)의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립러버(340)와, 상기 슬립러버(340)가 설치된 제1결합홈(311)을 관통하며 삽입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 선택적으로 키홈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도록 제2결합홈(312)에 타측부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슬립부시(330)와, 상기 슬립부시(330)의 일측부와 슬립샤프트(320)의 타측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슬립하우징(310)과 감속기어부(200)가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립러버(340)는 주름관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311)에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의 일측 외측부에는 슬립러버(340)에 외측면이 접촉되면서 일정한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고정부(321)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21)와 고정부(321) 사이에는 좌우로 벌어지면서 가변토크를 발생시키는 가변토크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가 외측부에 형성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단부에는 키(3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되는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은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에 사이에 위치되어 오버랩생성구간이 형성되도록 좌우양측의 외경이 상하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립하우징(310)의 제2결합홈(312)에 삽입 결합되는 슬립부시(330)의 타측부에는 키가 삽입되는 삽입홈(331)이 파여져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어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정역모터(100)가 구동력이 발생되는 것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600)에 입력기어(110)가 결합되고, 상기 입력기어(110)는 하우징(400)에 샤프트(60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감속기어부(200)를 구성하고 있는 일측 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감속기어부(200)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기어에는 슬립기어부(300)를 구성하고 있눈 슬립하우징(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이빨(313)이 치합된다.
한편, 상기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에는 주름관형태로 형성된 슬립러버(34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가 제2결합홈(312)에 위치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홈(312) 위치되도록 삽입 결합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는 선택적으로 키홈방식으로 타측부가 조립되도록 슬립부시(330)의 타측부를 제2결합홈(312)에 삽입시켜 주는 것에 의해 모터(100)의 구동력이 동시에 전달되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슬립부시(330)를 제2결합홈(312) 위치되도록 삽입 결합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샤프트(320)로 만 정역모터(10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정역모터(10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따라 슬립샤프트(320) 또는 슬립부시(330)가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립샤프트(320) 또는 슬립부시(330)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슬립샤프트 또는 슬립부시(330)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슬립샤프트(320)는 슬립하우징(310)의 제1결합홈(311)에 형성된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에 사이에 위치된 오버랩생성구간에 의해 공회전 및 슬립이 발생되어 감속기어부(200) 및 정역모터(100)가 슬립샤프트(320`) 또는 슬립부시(3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정역모터
110 : 입력기어
200 : 감속기어부
300 : 슬립기어부
310 : 슬립하우징
311 : 제1결합홈
312 : 제2결합홈
313 : 이빨
320 : 슬립샤프트
330 : 슬립부시
340 : 슬립러버
400 : 하우징
500 : 제어장치
600 : 샤프트

Claims (5)

  1. 제어장치(5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샤프트(600)가 회전이 이어지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100)와, 상기 정역모터(10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6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입력기어(110)와, 상기 입력기어(11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부(200)와, 상기 감속기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슬립기어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슬립기어부(300)는 제1결합홈(311)과 제2결합홈(312)이 연통되게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감속기어부(200)에 치합되는 톱니모양의 이빨(313)이 형성되어 있는 슬립하우징(310)과, 상기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에 일측부가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와, 상기 슬립샤프트(320)와 제1결합홈(311)의 내측면 사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슬립러버(340)와, 상기 슬립러버(340)가 설치된 제1결합홈(311)을 관통하며 삽입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에 선택적으로 키홈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도록 제2결합홈(312)에 타측부가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슬립부시(330)와, 상기 슬립부시(330)의 일측부와 슬립샤프트(320)의 타측부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슬립하우징(310)과 감속기어부(200)가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우징(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러버(340)는 주름관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311)에 삽입되는 슬립샤프트(320)의 일측 외측부에는 슬립러버(340)에 외측면이 접촉되면서 일정한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고정부(321)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21)와 고정부(321) 사이에는 좌우로 벌어지면서 가변토크를 발생시키는 가변토크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가 외측부에 형성된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단부에는 키(3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샤프트(320)의 일측부가 삽입 결합되는 슬립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결합홈(311)은 가변토크부(322)와 고정부(321)에 사이에 위치되어 오버랩생성구간이 형성되도록 좌우양측의 외경이 상하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하우징(310)의 제2결합홈(312)에 삽입 결합되는 슬립부시(330)의 타측부에는 키가 삽입되는 삽입홈(331)이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PCT/KR2023/013682 2022-09-20 2023-09-13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WO20240634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15 2022-09-20
KR1020220118615A KR102663410B1 (ko) 2022-09-20 2022-09-20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429A1 true WO2024063429A1 (ko) 2024-03-28

Family

ID=9045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3682 WO2024063429A1 (ko) 2022-09-20 2023-09-13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3410B1 (ko)
WO (1) WO20240634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36A (ja) * 1997-06-18 1999-01-22 Kansei Corp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JPH1183152A (ja) * 1997-09-09 1999-03-26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気吹出口装置
KR20090117036A (ko) * 2008-05-08 2009-11-12 코스텔(주) 회전각 검출장치
KR20140004895U (ko) *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이랜시스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N217002786U (zh) * 2021-12-29 2022-07-19 广东惠利普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打滑的传动齿轮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27A (ko) 2017-02-08 2018-08-17 자동차부품연구원 통합 동역학 해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36A (ja) * 1997-06-18 1999-01-22 Kansei Corp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JPH1183152A (ja) * 1997-09-09 1999-03-26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空気吹出口装置
KR20090117036A (ko) * 2008-05-08 2009-11-12 코스텔(주) 회전각 검출장치
KR20140004895U (ko) *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이랜시스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N217002786U (zh) * 2021-12-29 2022-07-19 广东惠利普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打滑的传动齿轮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08A (ko) 2024-03-27
KR102663410B1 (ko)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9495B1 (en) Hybrid four-wheel-drive vehicle
US9168818B2 (en) Electric vehicle
EP0247820A2 (en) Differential gear
WO2024063429A1 (ko) 자동차의 전동식 에어벤트용 엑츄에이터
WO2022220378A1 (ko) 전동식 독립 조향장치
WO2019124648A1 (ko) 전동식 지게 차량의 싱글 드라이브 액슬
WO2014021601A1 (ko) 화물자동차용 하이브리드장치
GB2017604A (en) Dual Pedal Control System
WO2012070878A1 (ko) 무단변속 기어셋트
WO2021040280A1 (ko) 브레이크장치용 액츄에이터
JP4727052B2 (ja) 可動車両部材用駆動装置
WO2022173243A1 (ko)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WO2021172906A1 (ko) 브레이크 페달 이동장치
EP3702190B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four wheel drive vehicle
WO2021157928A1 (ko) 브레이크 장치용 엑츄에이터
CN211166693U (zh) 一种车载悬浮式屏幕系统
WO2020209608A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2006082748A (ja)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
WO2010067985A2 (ko) 다중 구동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
JP3711702B2 (ja) 車両用制御装置の取付構造
JP2021130444A (ja) 駆動装置
WO2022114361A1 (ko) 수륙양용 모빌리티용 동력 제어 시스템
EP0955232A2 (en) Tricycle with electric motor
CN218858068U (zh) 一种驱动桥及工程车辆
CN220390930U (zh) 吹面风口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84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