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283A - 자동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283A
KR20090096283A KR1020080079629A KR20080079629A KR20090096283A KR 20090096283 A KR20090096283 A KR 20090096283A KR 1020080079629 A KR1020080079629 A KR 1020080079629A KR 20080079629 A KR20080079629 A KR 20080079629A KR 20090096283 A KR20090096283 A KR 2009009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roove
rotation shaft
locking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818B1 (ko
Inventor
민병도
정재수
Original Assignee
민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도 filed Critical 민병도
Publication of KR2009009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모터로서 데드볼트를 움직이기 위하여 구비되는 기어의 회전축이 두 본의 부분회전축으로 구성되고, 일측 부분회전축의 축방향 선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삽입홈 내주면에 걸림홈이 구비되며, 상기 부분회전축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타측 부분회전축의 삽입부 외주면에 걸림홈과 대응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요입홈에 탄성체와 걸림구가 수납됨으로써, 걸림구에 의해 두 부분회전축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데드볼트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의 회전력과 회전손잡이에 수동 회전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되는 경우, 회전축의 두 부분회전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모터, 기어 및 회전축에 걸리게 되는 과도한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상쇄되어 모터, 기어 등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문, 여닫이문, 데드볼트, 도어락, 래치볼트, 앤티패닉타입

Description

자동 도어락 장치{Auto door locking device for a hinged door}
본 발명은 자동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문, 특히 여닫이문에 결합되며 모터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 도어락 장치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이중구조로 하여 모터에 의한 개폐동작 중 모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외부힘이 작용하는 경우, 이중구조를 가진 회전축의 일측은 모터를 따라 회전하도록 하되, 회전축의 타측은 외부힘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터와 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하되 필요에 따라 외부공간에 대하여 내부공간을 반복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문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문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 바, 하나는, 문틀 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이다.
그리고 다른 한 종류의 문은, 문틀에 하나 또는 좌·우 두개의 문이 구비되고, 각 문은 문틀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타측이 회전에 의해 문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면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의 문으로서, 문틀에 일 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문, 즉 여닫이문을 잠그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은, 문의 결합 상태와 문을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각 부위에 대한 설명 시의 방향이 달라지게 되는 바, 설명에 따른 방향 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문의 우측이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문이 문틀에서 실내측을 향하여 열린다는 가정 하에서,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 실내측을 향한 방향을 "전방", 실외측을 향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각 구성요소 "상·하·좌·우"는 실내에서 문을 바라보는 사람을 기준으로 한다.
도어락 장치는, 문 내부에 내장되는 모티스(mortise)와, 문의 내·외면을 각각 관통하여 모티스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로 구성되는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D)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구비된 도어락장치내장공간(G)에 결합되는 종래의 모티스는,
전·후방으로 분리 가능한 전·후방케이스부재(11A)(11B)의 개방된 좌측단부에 판상의 마감부재(11C)가 결합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트(12)와;
상기 브라켓트(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토록 내장되는 래치볼트축(13)과;
상기 래치볼트축(13)의 좌측단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의 마감부재(11A)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문틀(D')에 형성된 걸림홈(G5)에 삽입가능한 래치볼트(14, latch bolt)와;
상기 브라켓트(12)와 래치볼트(14) 사이에 결합되어 래치볼트(14)가 케이스(11) 외부로 돌출되도록 래치볼트(14)를 밀어내는 탄성체(15)와;
상기 래치볼트(14)의 우측단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더(16)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슬라이더(16)에 걸리는 링크(17)와;
문(D)과 케이스(11)를 관통한 후 삽입결합되는 회전손잡이(50)의 축(X)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결합되며, 링크(17)를 회전시키는 암(18A, arm)이 외면에 연장형성된 슬라이더레버(18)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결합되어 마감부재(11A)를 관통하여 케이스(11) 내·외측으로 수평하게 왕복이동하여 문을 잠그는 역할을 하는 데드볼트(19, dead bolt)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데드볼트(19)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며, 열쇠나 모터 등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한 키레버(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모티스는 키로서 데드볼트를 움직이는 수동식 도어락에 사용되는 것으로, 근래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 접촉식키, 지문 등을 인식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데드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 도어락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 도어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접촉키를 자동도어락의 센서에 접촉시키면 모터가 작동하여 데드볼트를 움직여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자동 도어락은, 모티스와; 문의 내·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내·외부본체와; 내·외부본체와 문을 각각 관통하여 모티스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 등으로 구성되며, 실내측 내부몸체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회로기판과 모터 및 건전지 등이 내장되고, 외부몸체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버튼과 접촉센서 등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 도어락은 실외측 회전손잡이로서 문을 열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열쇠 또는 비밀번호 등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키레버(20)는 케이스(11) 내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키레버에는 데드볼트에 걸리는 암이 연장형성되며, 이 암의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가 움직이게 된다.
그런데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 즉 데드볼트가 케이스의 마감부재를 관통하여 문틀에 구비된 잠금홈(도면 미도시)에 걸린 경우 실·내외 양 측 모두에서 회전손잡이로는 문을 열 수가 없다.
따라서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실외에서는 열쇠나 비밀번호 등으로 키레버를 구동시켜 데드볼트가 작동되도록 해야 함은 물론, 실내에서도 키나 별도의 열림 스위치 등으로 키레버를 작동시켜 데드볼트를 케이스 내로 이동시킨 후 회전손잡이를 다시 회전시켜야 하는 2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문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데드볼트가 잠긴 경우에도 실내에서는 회전손잡이만을 회전시켜 문을 열 수 있도록 한 앤티패닉타입 도어록(anti-panic type door lock)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앤티패닉타입 자동 도어락의 경우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실외에서는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모터를 구동시켜야만 문이 열리게 되나, 실내에서는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고 회전손잡이로서 키레버를 움직여 데드볼트를 모티스 내부로 후퇴시켜 문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앤티패닉타입이 아닌 자동 도어락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문이 닫힘으로써 모터가 작동하여 문이 잠길 때 실내에서 급히 문을 다시 열기 위하여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데드볼트를 문틀 측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회전하던 모터에 역회전의 외부힘이 작용하게 되는 바, 모터 및 모터와 키레버를 연결하는 기어가 손상될 수 있다.
즉 내부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력은 하나 이상의 기어를 통하여 키레버로 전달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키레버가 데드볼트를 움직이게 되는 바, 열렸던 문이 닫힌 후 문을 잠그기 위하여 모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데드볼트가 모티스 내부에서 문틀 측으로 움직일 때, 실내에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문을 열게 되면, 실내측 키레버를 통하여 데드볼트로 전달되는 힘이 모터에 의한 힘과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모터는 물론 모터와 키레버를 연결하는 기어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거나, 내구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 도어락 장치, 특히 앤티패닉타입 자동 도어락 장치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모터 및 모터와 키레버를 연결하는 기어에 서로 반대되는 힘이 동시에 작용하여도 모터나 기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자동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모터와 키레버를 연결하는 회전축이 일축을 이루는 두 본의 부분회전축이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두 본의 부분회전축이 함께 회전가능한 동시에, 두 본의 부분회전축 각각에 일정 크기 이상되는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경우에는 두 부분회전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이중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데드볼트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와 키레버를 연결하는 기어의 회전축이, 일축을 이루면서 그 양 측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서로 반대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양 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본의 부분회전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모터나 기어에 무리한 힘이 부여되지 않아 모터와 기어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문을 잠그는 데드볼트가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특히 앤티패닉타입 자동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티스 내장 데드볼트를 움직이는 키레버에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와 키레버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회전축이 구비되는 바, 회전축 중의 하나가, 일축(一軸)을 이루도록 일직선 상에서 결합되는 2본의 부분회전축으로 구성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상기 2본의 부분회전축은 탄성적으로 밀착결합된 구조로서, 탄성력 보다 큰 힘(회전력)이 두 부분회전축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두 부분회전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두 부분회전축을 일축으로 결합시키는 탄성력 보다 작은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문에 내장되는 모티스와; 문의 내·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내·외부본체와; 내·외부본체와 문을 각각 관통하여 모티스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내부몸체는, 문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내부에, 모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기판, 모티스의 키레버와 모터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 및 회전축,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건전지 등이 내장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기판은 아래의 실외측 외부몸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외부몸체는,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외면에,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버튼,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촉키를 인식하기 위한 접촉센서 등이 구비된 구조로서,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가 작동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외측 회전손잡이는, 실외측 외부몸체를 관통하여 문에 내장된 모티스의 슬라이더레버에 연결되는 바, 실외측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더레버가 회전하면서 래치볼트 역시 움직이게 되나, 데드볼트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는 실외측 회전손잡이와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문이 감긴 상태에서 실외측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문을 열 수는 없다.
그러나 실내측 회전손잡이는, 실외측 외부몸체를 관통하여 문에 내장된 모티스의 슬라이더레버에 연결되는 동시에, 키레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연동되기 때문에 실내측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더레버에 의해 래치볼트가 움직이는 동시에 키레버와 함께 데드볼트가 움직이게 되는 바, 문이 감긴 상태에서도 실내측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문을 열 수가 있다.
이때 모티스에 내장되어 실내·외측 회전손잡에 결합되는 슬라이더레버는, 실내측 슬라이더레버부재와 실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로 구성되며,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중첩결합된다.
즉 실내측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실내측 슬라이더레버부재가 움직여 래치볼트가 작동하게 되고, 실외측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실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가 움직여 래치볼트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문을 잠그는 데드볼트는 키레버에 의해 움직이는데, 키레버는 실내측 회전손잡이나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모터는 비밀번호, 접촉키, 카드, 지문 등과 같은 개인확인수단의 인식을 통하여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며, 모터와 키레버 사이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회전축과 기어가 개재된 구조이다.
이때 실외측 몸체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버튼, 접촉키 인식센서, 카드 인식센서, 지문 인식센서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키레버 사이의 어느 한 회전축은 두 본의 부분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양 측이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열렸던 문이 닫히면 근접센서 등에 의한 닫힘신호가 입력된 제어회로기판이 모터를 구동시켜 키레버를 움직이게 되고, 케레버에 의해 문에 내장된 모티스 내부의 데드볼트가 문틀 측으로 이동하여 문이 잠기게 되는데, 데드볼트가 문틀 측으로 움직이는 도중 실내에서 회전손잡이로서 문을 열게 되면, 모터에 의한 키레버의 회전방향과 회전손잡이에 의한 키레버의 회전방향이 서로 상반됨으로써 모터와 회전축 및 기어 등에 과다한 역회전 회전력이 부여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와 회전손잡이가 데드볼트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할 때, 상기 두 부분회전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모터와 회전손잡이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바, 모터, 회전축 및 기어 등에 작용되는 과다한 회전력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드볼트는 모터가 아닌 실내측 회전손잡이에 의해 움직이게 되고 모터는 데드볼트를 운직이지 못하고 공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발명 일실시예 자동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 4에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모티스의 내부 구조도를, 도 5에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슬라이더레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는,
문의 내부공간에 결합되는 케이스(31) 내에, 문을 잠그거나 해정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데드볼트(32)와, 데드볼트(32)를 움직이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키레버(33)와, 문을 고정하는 래치볼트(34)와,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토록 중첩결합되어 래치볼트(34)를 각각 움직일 수 있는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로 이루어진 슬라이더레버(35)가 내장되는 모티스(3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41) 내에, 모터(42)와, 모터(42) 제어용 제어회로기판(43)과, 모터(42) 구동용 건전지(도면 미도시)와, 모터(42)와 키레버(33)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 하나 이상의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과, 키레버(3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키레버(33)에 연결되며 외면에 암(46A)이 구비된 키레버회전축(46)을 포함하여 구성된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51) 외면에, 개인확인수단으로서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버튼(52)과, 또 다른 개인확인수단으로서의 접촉키 를 인식하기 위한 접촉센서(53)가 구비된 외부몸체(500)와;
상기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을 관통하여 실내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에 결합되는 회전축(600A) 외면에, 키레버회전축(46)의 암(46A)을 밀어 키레버회전축(46)을 회전시키기 위한 키레버구동암(61)이 구비된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와;
상기 외부몸체(5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을 관통하여 실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B)에 결합되는 실외측 회전손잡이(7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에서 실외측 회전손잡이(700)로는 래치볼트(34)만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문이 잠긴 경우 데드볼트(32)를 움직여 문을 열 수 없으나, 실내측 회전손잡이(600)로는 래치볼트(34)와 데드볼트(32)를 모두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문이 잠긴 경우에도 데드볼트(32)를 수동으로 움직여 문을 열 수가 있다.
즉 실내측 회전손잡이(600)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 외면에 구비된 키레버구동암(61)이 키레버회전축(46)의 암(46A)을 밀어 키레버회전축(46)과 함께 키레버(33)가 회전하면서 데드볼트(32)를 문틀에서 모티스(300) 측으로 후퇴시켜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내·외측 회전손잡이(600)(70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에 각각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실내측 회전손잡이(600)를 회전시켜도 실외측 회전손잡이(70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의 키레버구동암(61)과 키레버회전축(46)의 암(46A)을 실내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와 키레버(33)에 대신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레버(33)를 모터(42)로 움직이기 위하여서는 모터(42)의 동력이 키레버(33)로 전달되어야 하는 바, 동력전달을 위하여 키레버(33)와 모터(42)가 하나의 회전축으로 직결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둘 이상의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기어회전축의 하나는 두 본의 부분회전축으로 구성되어 일측에 대하여 타측이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회전축(45)을 동일축선 상에서 일축을 이루는 한 쌍의 부분회전축(45A)(45B)으로 분리하고, 일측 부분회전축(45A)을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 구비된 삽입홈(G1)에 삽입결합하되,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입홈(G2)을 구비하고, 이 요입홈(G2)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E)와 구슬과 같이 곡면을 가진 걸림구(S)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G2)에 대응하는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 내주면에 걸림홈(G3)을 구비하여 요입홈(G2)과 걸림홈(G3)이 서로 일치될 때 상기 걸림구(S)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일측 부분회전축(45A)이나 타측 부분회전축(45B)을 일정한 힘 이하로 회전시키면 걸림구(S)가 걸림홈(G3)에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두 부분회전축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어느 한 부분회전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한 힘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타측의 부분회전축에 부여되면, 걸림홈(G3)에 일부가 걸려있던 걸림구(S) 전체 가 요입홈(G2) 내로 들어가면서 타측 부분회전축(45B)만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외주면에 "C"자 형상을 이루되 외주면에 돌기(e)가 구비된 탄성체(E)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외주면에 걸림홈(G3)을 구비하고, 타측 부분회전축(45B)에는 걸림구(S)가 관통할 수 있되 그 깊이가 걸림구(S)의 직경보다 작은 요입공(H)을 관통형성시키고, 요입공(H)이 형성된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에 "C"자형상의 탄성체(E)를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타측 부분회전축(45B)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부분회전축(45A)에 과도한 회전력이 부여되면 걸림홈(G3)에 일부가 삽입되었던 걸림구(S) 전체가 요입공(H) 내로 들어가면서 일측 부분회전축(45A)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구(S) 전체가 요입공(H) 내로 들어가면서 걸림구(S)의 일부가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그에 따라 탄성체(E)의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E)가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 축방향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에 요입공(H)과 연통되는 링형 탄성체안착홈(G4)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는,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분회전축(45A)(45B)의 축방향 각 선단면에 원판상의 고정디스크(D) 및 밀착디스크(D')를 각각 구비하되, 일측 부분회전축(45A)에는 고정디스크(D)를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고정시킨다.
그리고 타측 부분회전축(45A)의 밀착디스크(D')는 부분회전축(45A)의 외주면 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부분회전축(45A)의 외주면 일측에 걸림부(J)를 구비하며, 밀착디스크(D')와 걸림부(J) 사이에 탄성체(E)를 개재시킨다.
이때 밀착디스크가(D')가 부분회전축(45A)을 벗어나도록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두 부분회전축(45A)(45B)의 선단부에 위치한 두 디스크(D)(D')를 밀착시키는 경우, 일측 부분회전축을 고정한 상태에서 탄성체(E)에 의한 두 디스크(D)(D') 사이의 탄성밀착력 보다 큰 외부힘이 타측 부분회전축에 걸리면 타측 부분회전축만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을 상기의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일측으로 회전하는 기어에 대하여 회전축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도어락 장치는, 문이 닫히는 과정에서, 모터(42)의 회전력이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 및 키레버(33)를 통하여 데드볼트(32)에 전달됨으로써 모티스(300) 내부의 데드볼트(32)가 문틀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실내측 회전손잡이(600)를 회전시키면, 실내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에 의해 래치볼트(34)를 모티스 내부 측으로 후되하게 되는 동시에, 실내측 회전손잡이(600) 외면의 키레버구동암(61)이 키레버(33)에 연결된 키레버회전축(46)의 암(46A)을 움직여 상기 데드볼트(32)를 후퇴하게 되면서 데드볼트(32)에는 반대방향의 두 힘이 함께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즉 데드볼트(3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키레버(33)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모터(42)와,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에 반대방향의 힘이 함께 걸리게 되는 바, 이때 기어회전축(45)을 구성하는 두 부분회전축(45A)(44B) 중의 하나는 모터(42)의 회전력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다른 부분회전축은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을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터(42)와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에 의해 부여되는 반대방향의 두 회전력이 충돌하지 않고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도어럭 장치에서, 내부몸체(400)에 내장된 모터(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300)에 내장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모티스(300)에 내장된 모터(42) 역시 각각 하나씩 이상의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에 의해 키레버(33)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키레버(33)의 외면 일측에는 모터(42)와의 기어결함을 위하여 키레버기어(33A)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티스(300)에 모터(42)가 결합된 경우의 상기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 또는 기어회전축(43)에도, 모터가(42)가 내부몸체(400)에 내장된 경우의 기어(44)와 기어회전축(45) 사이 또는 기어회전축(45)간의 결합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회전하는 모터(42)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역방향 회전력이 작용할 때 기어축간 또는 기어회전축과 기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상적으로 회전하는 모터(42)에 무리한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락 장치의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모티스의 내부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와 키레버의 연결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한 쌍의 베벨기어와 한 쌍의 평기어가 사용된 결합도이고,
(나)는 한 쌍의 원형 기어가 사용된 결합도이며,
(다)는 한 쌍의 베벨 기어가 사용된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제1실시예 회전축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상적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나)는 일측 부분회전축이 회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제2실시예 회전축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상적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나)는 일측 부분회전축이 회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제3실시예 회전축을 보인 것으 로,
(가)는 정상적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나)는 일측 부분회전축이 회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제4실시예 회전축을 보인 것으로,
(가)는 횡단면도이고,
(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자동 도어락 장치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기어와 회전축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케이스 32. 데드볼트 33. 키레버
34. 래치볼트 35A,35B. 슬라이더레버부재 35. 슬라이더레버
300. 모티스 41. 하우징 42. 모터
43. 제어회로기판 44. 기어 45. 기어회전축
46. 키레버회전축 46A. 키레버회전축암 400. 내부몸체
51. 하우징 52. 숫자키버튼 53. 접촉센서
500. 외부몸체 61. 키레버구동암 600,700. 회전손잡이
45A,45B. 부분회전축 D,D'. 디스크 E. 탄성체
e. 돌기 G1. 삽입홈 G2. 요입홈
G3. 걸림홈 G4. 탄성체안착홈 H, 요입공
S. 걸림구 J. 걸림부

Claims (16)

  1. 데드볼트(32), 데드볼트(32)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33), 래치볼트(34) 및 래치볼트(34)를 움직이기 위한 슬라이더레버(35)가 내장되며, 문의 내부공간에 결합되는 모티스(3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41) 내에, 모터(42),모터(42)와 키레버(33)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이 내장된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51) 외면에, 개인확인수단을 입력하거나 인식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 외부몸체(500)와;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와; 외부몸체(5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외측 회전손잡이(7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회전축(45)은, 일직선 상에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부분회전축(45A)(45B)으로 구성되며, 함께 회전하는 두 부분회전축(45A)(45B) 중의 일측 부분회전축에 탄성결합력 보다 큰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할 때 일측 부분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레버(35)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G3)에 대응되는 요입홈(G2)이 형성되고, 요입홈(G2)에는 탄성체(E)와 걸림구(S)가 수납되며,
    상기 요입홈(G2)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홈(G2)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된 요입홈(G2)으로는, "C"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걸림홈(G3)에 대응하는 돌기(e)가 외주연부에 구비된 탄성체(E)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E)의 돌기(e)와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탄성체(E)의 돌기(e)가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 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요입공(H)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공(H)에는 요입공(H)의 깊이보다 큰 직경을 가진 걸림구(S)가 삽입되고, 요입공(H)이 형성된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에는 걸림구(S)의 이탈을 탄성적으로 방지하는 "C"자형 탄성체(E)가 결합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는, 걸림홈(G3)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공(H)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공(H)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원판상의 고정디스크(D)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부(J)가 돌출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디스크(D)와 접촉하는 밀착디스크(D')가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J)와 밀착디스크(D') 사이에는 탄성체(E)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7. 데드볼트(32), 데드볼트(32)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33), 래치볼트(34) 및 래치볼트(34)를 움직이기 위한 슬라이더레버(35)가 내장되며, 문의 내부공간에 결 합되는 모티스(3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41) 내에, 모터(42), 모터(42)와 키레버(33)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이 내장된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51) 외면에, 개인확인수단을 입력하거나 인식하기 의한 부재가 구비된 외부몸체(500)와;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와; 외부몸체(5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외측 회전손잡이(7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44) 중앙부의 축결합공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기어(44)의 축결합공에 관통결합되는 기어회전축(45)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G3)에 대응되는 요입홈(G2)이 형성되고, 요입홈(G2)에는 탄성체(E)와 걸림구(S)가 수납되며,
    상기 요입홈(G2)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홈(G2)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레버(35)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토록 중첩결합되는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9. 데드볼트(32), 데드볼트(32)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33), 키레버(3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2), 키레버(33)와 모터(42)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 래치볼트(34) 및 래치볼트(34)를 움직이기 위한 슬라이더레버(35)가 내장되며, 문의 내부공간에 결합되는 모티스(3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41)을 포함한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51) 외면에, 개인확인수단을 입력하거나 인식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 외부몸체(500)와;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와; 외부몸체(5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외측 회전손잡이(7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회전축(45)은, 일직선 상에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부분회전축(45A)(45B)으로 구성되며, 함께 회전하는 두 부분회전축(45A)(45B) 중의 일측 부분회전축에 탄성결합력 보다 큰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할 때 일측 부분회전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레버(35)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 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G3)에 대응되는 요입홈(G2)이 형성되고, 요입홈(G2)에는 탄성체(E)와 걸림구(S)가 수납되며,
    상기 요입홈(G2)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홈(G2)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 구비된 요입홈(G2)으로는, "C"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걸림홈(G3)에 대응하는 돌기(e)가 외주연부에 구비된 탄성체(E)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E)의 돌기(e)와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탄성체(E)의 돌기(e)가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삽입홈(G1)이 형성되고, 삽입홈(G1) 내주면에는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요입공(H)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공(H)에는 요입공(H)의 깊이보다 큰 직경을 가진 걸림구(S)가 삽입 되고, 요입공(H)이 형성된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에는 걸림구(S)의 이탈을 탄성적으로 방지하는 "C"자형 탄성체(E)가 결합되며,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삽입홈(G1)에 삽입되는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삽입부 외주면에는, 걸림홈(G3)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공(H)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공(H)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부분회전축(45A)의 축방향 선단면에는 원판상의 고정디스크(D)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부분회전축(45B)의 외주면 일측에는 걸림부(J)가 돌출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디스크(D)와 접촉하는 밀착디스크(D')가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부(J)와 밀착디스크(D') 사이에는 탄성체(E)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5. 데드볼트(32), 데드볼트(32)를 움직이기 위한 키레버(33), 키레버(3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2), 키레버(33)와 모터(42)를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어(44) 및 기어회전축(45), 래치볼트(34) 및 래치볼트(34)를 움직이기 위한 슬라이더레버(35)가 내장되며, 문의 내부공간에 결합되는 모티스(300)와; 문의 실내측 외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41)을 포함한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에 결합되는 하우징(51) 외면에, 개인확인수단을 입력하거나 인식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 외부몸체(500)와; 내부몸체(400)와 문의 실내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내측 회전손잡이(600)와; 외부몸체(500)와 문의 실외측 외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더레버(35)에 결합되는 실외측 회전손잡이(7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어(44) 중앙부의 축결합공 내주면에는 걸림홈(G3)이 구비되며,
    상기 기어(44)의 축결합공에 관통결합되는 기어회전축(45)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G3)에 대응되는 요입홈(G2)이 형성되고, 요입홈(G2)에는 탄성체(E)와 걸림구(S)가 수납되며,
    상기 요입홈(G2)과 걸림홈(G3)이 일치할 때 요입홈(G2)에 수납된 걸림구(S)의 일부가 탄성체(E)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G3)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레버(35)는, 서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토록 중첩결합되는 실내·외측 슬라이더레버부재(35A)(35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어락 장치.
KR1020080079629A 2008-03-07 2008-08-13 자동 도어락 장치 KR100976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28 2008-03-07
KR20080021528 2008-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283A true KR20090096283A (ko) 2009-09-10
KR100976818B1 KR100976818B1 (ko) 2010-08-20

Family

ID=4129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29A KR100976818B1 (ko) 2008-03-07 2008-08-13 자동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80B1 (ko) * 2011-07-18 2012-03-20 주식회사 하이레버 도어록 개폐장치
KR101200440B1 (ko) * 2011-11-07 2012-11-12 주식회사 하이레버 전자식 개폐장치
KR200476806Y1 (ko) * 2013-02-26 2015-04-07 주식회사 이랜시스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937B1 (ko) * 2012-02-10 2013-04-03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패닉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641A (ko) * 2002-02-15 2003-08-25 백남월 출입문용 도어록장치
KR100702440B1 (ko) * 2004-12-08 2007-04-03 김정용 전자식 출입문 잠금장치
KR101108135B1 (ko) * 2005-04-04 2012-01-31 한옥순 도어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180B1 (ko) * 2011-07-18 2012-03-20 주식회사 하이레버 도어록 개폐장치
KR101200440B1 (ko) * 2011-11-07 2012-11-12 주식회사 하이레버 전자식 개폐장치
KR200476806Y1 (ko) * 2013-02-26 2015-04-07 주식회사 이랜시스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818B1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906B2 (en) Method for correctly mounting an electronic door lock on a left-handed or right-handed door
CN105298225A (zh) 插锁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1196054B1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1948719B1 (ko) 주키 기능형 핸들리스 디지털 도어록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KR101164584B1 (ko) 디지털 도어락용 클러치 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2318846B1 (ko) 도어락의 멀티 모션 핸들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0352025Y1 (ko) 도어락의 좌ㆍ우수 겸용 클러치 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KR100575592B1 (ko) 좌우수 공용 도어록의 강제 잠금장치
KR100538705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050116354A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CN113958201B (zh) 门锁结构、门锁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