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11Y1 -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911Y1
KR200459911Y1 KR2020120000269U KR20120000269U KR200459911Y1 KR 200459911 Y1 KR200459911 Y1 KR 200459911Y1 KR 2020120000269 U KR2020120000269 U KR 2020120000269U KR 20120000269 U KR20120000269 U KR 20120000269U KR 200459911 Y1 KR200459911 Y1 KR 200459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lt
latch bolt
sha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047U (ko
Inventor
김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to KR202012000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록의 케이스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래치 볼트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래치 볼트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실내 레버의 동작시에만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에서 열리는 도어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Door Lock ratchet bolt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본 고안은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록의 케이스를 해체하지 않고도 래치 볼트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록은 레버 등의 회전수단을 작동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 볼트를 포함한다. 래치 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및 해제하는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 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 볼트를 설치하여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록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 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물론 디지털 도어록도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문이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데드 볼트는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에 항상 기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노브를 이용하여 데드 볼트를 강제로 이동 시킬 경우, 기어 박스에 힘이 전달되어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기어 박스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데드 볼트에 맞물려 있는 모터까지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데드 볼트의 강제적인 해제를 위해서는 강한 힘이 필요하다.
또한, 실내에서 나갈 시, 내부 레버를 조작하면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열 수 있도록 하여 편의를 제공하는 '패닉(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록도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패닉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도,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할 시, 데드 볼트에 맞물려 있는 모터까지 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하며, 더군다나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가 자동으로 닫히는 시점에 사용자가 레버를 돌려 문을 열려고 할 경우, 데드 볼트에 역 방향 힘이 가해지고, 이는 기어 박스에도 역 방향 힘이 가해져 힘의 충돌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어 박스가 오동작 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지를 판단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나, 센싱에서부터 콘트롤러의 판단에 따른 모터의 동작까지의 시간이 소비되고, 구현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한편, 래치 볼트는 문이 닫힐 때 경사진 면이 도어 프레임에 밀려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고 있다. 즉, 실내에서 바라보았을 시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방향이 좌측이냐 우측이냐에 따라 래치 볼트의 방향도 바뀌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케이스를 해체한 후 래치 볼트의 방향을 바꾸어야 했고, 더군다나 좌우수가 바뀔 경우까지 패닉 기능을 염두해 두진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래치 볼트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래치 볼트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실내 레버의 동작시에만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래치 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단턱이 형성된 래치 샤프트; 내측에 상기 래치 샤프트가 위치하며,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걸릴 수 있는 래치 볼트 가이드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래치 볼트가 인입되는 다각형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디 프론트; 상기 케이스의 래치 볼트 가이드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래치 볼트를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으로 밀어내는 래치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래치 볼트 가이드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단턱이 걸림으로써 상기 래치 샤프트와 결합된 상기 래치 볼트가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한정시키되, 상기 케이스 외부와 연통된 스토퍼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단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 스토퍼를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서 이탈시켜 상기 단턱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상기 래치 스프링이 상기 래치 볼트를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까지 전진하여 상기 래치 볼트가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까지 돌출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의 테두리가 상기 바디 프론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인입공의 구속에서 해제되어 상기 래치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래치 스토퍼를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으로 밀어주는 스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스토퍼의 회전으로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래치 볼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볼트를 상기 바디 프론트 내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면, 상기 스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스토퍼가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으로 밀착되어 다시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걸리도록 원위치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외 레버 및 실내 레버와 연동되는 핸들을 따로 마련하고, 실내 레버와 연동되는 레버 플레이트가 데드 볼트를 밀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외 레버의 동작시에는 래치 볼트만 해제시키고, 실내 레버의 동작시에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다.
둘째, 디지털 도어록으로 구현할 시, 실내 레버를 작동하면, 기어 클러치부가 물리적인 결합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패닉 기능에 의해 데드 볼트를 여는 외부의 힘으로 기어 박스의 모터까지 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월한 힘으로 데드 볼트까지 열 수 있다.
셋째, 디지털 도어록으로 구현할 시,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데드 볼트가 닫히는 시점에서 다시 문을 열기 위해 내부 레버를 돌렸을 시 모터와 데드 볼트의 기계적인 연결 구조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데드 볼트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력과 반대되는 외부의 힘이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기어 박스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넷째, 케이스에 형성된 에지 스프링 삽입구를 통해 에지 스프링을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에지 스프링이 케이스와 에지 볼트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는 작업이 수월하다.
다섯째, 케이스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래치 볼트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래치 볼트의 방향이 바뀌더라도 실내 레버의 동작시에만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방향에서 열리는 도어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제1 핸들, 제2 핸들, 제3 핸들 및 레버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에지 볼트 설치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8은 내지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에서 래치 볼트의 방향 전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에서 래치 볼트의 방향전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고안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고안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50)가 마련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가 닫혔을 시 데드 볼트(100)를 자동으로 잠금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을 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이 반드시 디지털 도어록에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을 설명하기 위해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도어록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20)(실외측) 및 상부 케이스(10)(실내측)를 각각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은, 상부 케이스(10)(실내측), 하부 케이스(20)(실외측), 바디 프론트(30), 래치 볼트(40)(Latch Bolt), 데드 볼트(100)(Dead Bolt), 에지 볼트(160)(Edge Bolt), 래치 샤프트(41), 래치 링크(50), 제1 핸들(60), 제2 핸들(70), 제3 핸들(80), 레버 플레이트(90), 메인 레버(110), 기어 클러치부(140) 및 기어 박스(15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는 도어록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20)(실외측)의 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래치 볼트(40)를 작동하여 열 수 있는 실외 레버가 마련되고, 데드 볼트(10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 입력부 또는 카드 접촉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0)(실내측)의 외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 볼트(40)를 이동하여 열 수 있는 실내 레버가 마련되고, 데드 볼트(100)를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knob) 또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프론트(30)는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의 측면, 즉 도어 프레임 측에 형성되며, 래치 볼트(40), 데드 볼트(100) 및 에지 볼트(160)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 볼트(4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시, 도어 프레임에 닿으면서 인입되도록 돌출된 부분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래치 볼트(40)는 래치 볼트(40)에 결합된 래치 샤프트(41), 래치 포스트(43) 및 래치 링크(50)에 의해 제1 핸들(60) 또는 제2 핸들(70)의 회전에 연동하여 열릴 수 있으며,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래치 스프링(44)의 탄력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데드 볼트(100)는 상부 케이스(10) 및 하부 케이스(20)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서 이송 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데드 볼트(100)가 도어 프레임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인출되어 도어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노브를 강제 회전시켜 노브와 연계된 메인 레버(110)가 데드 볼트(100)를 전진(닫힘) 또는 후진(열림) 시킴으로써 동작되거나, 기어 박스(150)의 모터측에서 발생한 동력이 기어 클러치부(140) 및 메인 레버(110)를 작동시켜 데드 볼트(100)가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데드 볼트(100)는 실내 레버와 연동되어 일정각 회전하는 레버 플레이트(90)가 메인 레버(110)에 마련된 메인 샤프트(111)를 밀어 이송될 수도 있다.
에지 볼트(160)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해 마련되며, 문이 열리거나 닫힐 시 도어 프레임에 걸려 인입되고, 에지 스프링(161)에 의해 다시 돌출될 수 있다.
제1 핸들(60), 제2 핸들(7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는 동일 회전축 상에 결합되어,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와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 핸들(60), 제2 핸들(7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의 결합 구조는 도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60) 및 제3 핸들(80)에는 실내 레버가 결합되는 다각형의 결합홀a(62) 및 결합홀c(8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핸들(70)에는 실외 레버가 결합되는 다각형의 결합홀b(7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결합홀a(62), 결합홀b(72) 및 결합홀c(8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2 핸들(70)에는 결합홀b(72)의 둘레를 따라 제2 핸들(7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 회전 가이드(7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핸들(60) 및 제3 핸들(80)에는 제2 핸들(70)의 돌출 회전 가이드(73)가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안착 회전 가이드(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 레버가 결합되는 제2 핸들(70)이 회전할 시에는 제2 핸들(70)의 돌출 회전 가이드(73)가 제1 핸들(60) 및 제3 핸들(80)의 안착 회전 가이드(64) 내에서 회전하며, 제2 핸들(70)의 회전이 제1 핸들(60) 및 제3 핸들(80)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제1 핸들(6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는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호 연동되어 결합된다. 즉, 제1 핸들(60)의 둘레 일 지점에 안착홈(63)이 형성되고 제3 핸들(80)에는 제2 핸들(70)의 둘레를 지나 제1 핸들(60)의 안착홈(63)에 안착하는 연장부(82)가 형성된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90)에는 제3 핸들(80)의 상측에 돌출된 1 이상의 돌출부(83)에 안착하여 결합되는 1 이상의 안착홀(9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90)와 제3 핸들(80)은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핸들(60) 또는 제3 핸들(80)에 결합된 실내 레버가 회전하면, 제1 핸들(6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2 핸들(70)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물론 이를 위해 제1 핸들(60) 및 제3 핸들(80)이 실외 레버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홀a(62) 및 결합홀c(81)의 최소 회전 반경은 실외 레버의 최대 회전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핸들(60) 및 제2 핸들(70)의 둘레에 돌출하여 걸림턱a(61) 및 걸림턱b(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핸들(60) 또는 제2 핸들(70)이 회전할 시 걸림턱a(61) 또는 걸림턱b(71)가 래치 링크(50)를 밀어 래치 링크(50)가 일정각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메인 레버(110)는 노브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거나 모터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데드 볼트(100)를 밀고 당겨 이송시킬 수 있다. 즉, 메인 레버(110)에 형성된 T자형 바가 데드 볼트(100)의 홈에 안착되어 있으며(여기서 메인 레버(110)의 형상이나 메인 레버(110)와 데드 볼트(100)의 결합구조는 바뀔 수 있다), 메인 레버(110)가 회전하면 T자형 바가 데드 볼트(100)를 밀거나 당겨 데드 볼트(100)가 이송 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 레버(110)의 둘레를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클러치부(140)에 물려 있으며, 이를 통해 실외에서 키 입력이나 카드를 대어 모터를 동작시키거나, 실내에서 버튼을 눌러 모터를 동작 시켰을 경우, 모터의 동력을 기어 클러치부(140)로부터 전달받아 메인 레버(110)가 회전하여 데드 볼트(100)를 이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힌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데드 볼트(100)를 닫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모터의 동력을 기어 클러치부(140)로부터 전달 받아 메인 레버(110)가 회전하여 데드 볼트(100)를 이송시켜 도어를 잠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실외 레버를 작동 시키면, 제2 핸들(70)이 회전하고, 제2 핸들(70)의 걸림턱b(71)가 래치 링크(50)를 밀어 래치 링크(50)가 래치 링크 샤프트(51)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각 회전하면서 래치 샤프트(41)에 마련된 래치 포스트(43)를 당기게 되며, 래치 샤프트(41)와 결합된 래치 볼트(40)가 바디 프론트(30) 내로 인입된다. 이때, 제1 핸들(60), 제2 핸들(70) 및 레버 플레이트(90)는 회전 하지 않으며, 따라서 데드 볼트(100)는 열리지 않는다. 한편,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사라지면, 래치 링크(50)는 래치 링크 스프링(52)에 의해 원래 자리로 돌아오게 되며, 래치 볼트(40)는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걸려 있는 수축된 래치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하게 된다.
반면, 제1 핸들(60) 또는 제3 핸들(80)에 결합된 실내 레버를 작동 시키면, 제2 핸들(70)은 회전하지 않으며, 제1 핸들(6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핸들(60)의 걸림턱a(61)가 래치 링크(50)를 밀어 래치 포스트(43)를 당기게 되어 래치 볼트(40)가 인입되며, 동시에 레버 플레이트(90)의 걸림부(92)가 메인 레버(110)에 마련된 메인 샤프트(111)를 밀어 데드 볼트(100)를 이송시킨다.
여기서 실내 레버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제1 핸들(60)과 제3 핸들(80) 모두에 형성된 것은 이후 설명하게 될 래치 볼트(40)의 방향이 바뀌어 실내와 실외가 변경되었을 경우를 위한 것으로, 실내 레버는 상부 케이스(10) 측에서 제3 핸들(80)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래치 볼트(40)의 방향이 바뀔 경우, 하부 케이스(20) 측에서 제1 핸들(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경우에든, 제1 핸들(60)과 제3 핸들(80)은 연동하여 회전하여 레버 플레이트(90)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패닉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실내 레버를 작동시켜 패닉 기능에 의해 래치 볼트(40)와 데드 볼트(100)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5 및 도6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데드 볼트(100)를 잠금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기능을 수행하며, 더불어 패닉 기능이 수행될 시에는 실내 레버를 작동하는 외부의 힘이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5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내 레버의 작동시에는 기어 박스(150)와 메인 레버(110)의 물리적인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메인 레버(110)에 전달하는 기어 클러치부(140)가 래치 링크(50)의 회전시에는 동력 전달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드 볼트(100)의 열림(즉, 메인 레버(110)의 열림) 작동 시에는 외부의 힘이 기어 박스(15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기어 클러치부(140)에 대해 설명하면, 기어 클러치부(140)는 상호 동력 전달이 가능한 제1 기어 클러치 및 제2 기어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모터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을 메인 레버(110)에 전달 또는 차단한다. 또한, 기어 클러치부(140)는 래치 링크(50) 및 클러치 링크(120)의 작동에 의해 위치가 변화되는 레버 스프링(130)에 의해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가 상호 연결 또는 해제된다.
이러한, 기어 클러치부(140)는 제1 기어 클러치, 제2 기어 클러치 및 클러치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기어 클러치는 기어 박스(150)에 연계되어 기어 박스(150)에 포함된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 클러치는 제1 기어 클러치의 동력 전달 부재(이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라 한다)를 통해 동력을 전달 받아, 제1 기어 클러치와 동일 회전축선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기어 클러치에 물려 있는 메인 레버(110)를 회전시켜 데드 볼트(10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 클러치는 제1 기어 클러치와 마주하는 측에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는 소정 호 길이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의 끝이 만나는 지점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걸려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는 회전축을 대칭으로 2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2 기어 클러치의 가이드 홈 또한 회전축을 대칭으로 2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스프링은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 사이에서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클러치 스프링은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 내측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클러치 포스트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기어 클러치의 일측에는, 즉 가이드 홈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 스프링(130) 위치에 따라 턱을 밀거나 완화시켜 제2 기어 클러치가 제1 기어 클러치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레버 스프링(130)이 제2 기어 클러치의 턱을 밀면 제2 기어 클러치의 가이드 홈에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안착되고, 제1 기어 클러치가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시,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제2 기어 클러치의 걸림턱을 밀어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레버 스프링(130)이 제2 기어 클러치의 턱 바깥으로 위치를 이동하면, 클러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기어 클러치와 제1 기어 클러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제2 기어 클러치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여,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 상호간의 물리적인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제2 기어 클러치에 턱을 형성 시키는 대신, 중심에서 둘레쪽으로 경사가 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시키더라도 레버 스프링(130)의 위치에 따른 제2 기어 클러치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를 돌리면 제1 핸들(60) 또는 제2핸들이 회전하여 래치 링크(50)에 힘이 전달되고, 래치 링크(50)가 래치 링크 샤프트(51)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을 한다. 이때 래치 링크(50)가 래치 포스트(43)를 밀어 래치 볼트(40)를 후진시킬 수 있다. 한편 래치 링크(50)가 일정 각도 회전할 시 클러치 링크(120)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 링크(120)가 밀리면서 레버 스프링(130)을 밀어 위치를 이동 시킨다.
즉, 클러치 링크(120)에 의해 레버 스프링(130)의 위치가 기어 클러치부(140)의 제2 기어 클러치에 형성된 턱을 이탈하게 되면, 제2 기어 클러치는 클러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기어 클러치와의 결합에서 해제되고, 상호간의 동력 전달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실내 레버와 연계된 제1 핸들(60) 또는 제3 핸들(80)이 회전하면서 래치 링크(50)를 회전시키고, 래치 링크(50)가 래치 포스트(43)를 밀어 래치 볼트(40)를 인입 시킬 때, 래치 링크(50)의 일정 각도 회전에 따라 클러치 링크(120)가 레버 스프링(130)을 밀게 되고, 기어 클러치부(140)의 제2 기어 클러치에 형성된 턱을 밀어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가 물리적으로 연결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데드 볼트(100)를 해제시킬 시, 기어 클러치부(140)와 연계된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50)에는 외부의 힘이 전달되지 않으며, 더불어 기어 박스(150)의 모터까지 회전시켜야 했던 힘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는 가벼운 힘으로 데드 볼트(100)까지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패닉 동작시 레버 플레이트(90)가 메인 레버(110)의 메인 샤프트(111)를 밀고 있을 경우, 메인 레버(110)의 역방향 힘에 의해 제2 기어 클러치의 걸림턱이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를 밀고 있게 되어 레버 스프링(130)이 제2 기어 클러치의 턱에서 이탈하더라도 소정의 마찰력으로 인해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제2 기어 클러치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는데, 이를 위해 데드 볼트(100)가 잠김 상태가 된 이후에는(이전에 잠김 상태가 될 때) 모터의 전원을 짧은 시간(수 ms)동안 반대로 인가하여 제1 기어 클러치의 클러치 링크(120) 포스트가 제2 기어 클러치의 걸림턱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드 볼트(100)의 강제 해제에 필요한 외부의 힘이 기어 박스(15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적인 외부 힘에 의한 부품의 마모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은, 실외측에 마련된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동작이 인증된 사용자에 의한 누름인지를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거나, 또는 카드 접촉부에 접촉된 카드가 인증된 카드인지 판단하여 모터를 제어하거나, 또는 실내에서 버튼을 누를 경우 데드 볼트(100)를 해제하기 위해 모터를 제어하거나, 또는 도어가 닫힌 후 소정 시간 후 데드 볼트(100)를 자동으로 잠금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에 의해 도어가 닫힌 후 소정의 시간이 되면 제어부에 의해 모터가 동작하여 데드 볼트(100)가 이송되는데, 이 시점에 사용자에 의해 실내 레버를 돌리면, 래치 링크(50)의 일정 각도 회전에 의해 클러치 링크(120)가 레버 스프링(130)을 밀어 기어 클러치부(140)의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의 결합을 해제한다. 따라서, 기어 박스(150)의 모터의 동력이 기어 클러치부(140)와 메인 레버(110)를 거쳐 데드 볼트(100)로 전달되지 않으며, 또한, 레버 플레이트(90)가 메인 레버(110)의 메인 샤프트(111)를 밀어 데드 볼트(100)를 이송 시키면서 메인 레버(110)가 역회전 하더라도 그 힘이 기어 클러치부(140)를 거쳐 기어 박스(150)에까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력에 반대하는 역방향의 외부 힘이 서로 충돌하여 기어 박스(150)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도5 및 도6의 상태에서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래치 볼트(40)는 래치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고, 래치 링크(50) 또한 래치 링크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 핸들(60) 을 밀어 원위치로 돌아간다. 한편, 클러치 링크(120)가 레버 스프링(130)을 미는 힘이 제거되면서, 레버 스프링(130) 또한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기어 클러치부(140)의 제2 기어 클러치에 형성된 턱을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기어 클러치와 제2 기어 클러치가 상호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에 의해 모터가 회전하면서 동력이 기어 클러치부(140)와 메인 레버(110)를 거쳐 데드 볼트(100)에 전달되어 데드 볼트(100)를 돌출시켜 도어를 잠금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주기 위해 마련된 에지 볼트(160)는, 바디 프론트(30)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양측 경사면이 도어 프레임에 밀려 닫히게 되고, 에지 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는데, 에지 스프링(161)의 일측은 상부 케이스(10)에 걸치고 타측은 에지 스프링(161)에 걸침으로써 에지 스프링(161)이 인입될 경우 상부 케이스(10)에 걸친 에지 스프링(161)이 수축하여 탄성력을 갖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닫히거나 열렸을 경우, 에지 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 에지 볼트(160)가 다시 돌출된다.
이러한 에지 볼트(160)의 에지 스프링(161)은 양측이 각각 에지 볼트(160)와 상부 케이스(10)에 걸치도록 위치하여야 하는데, 에지 볼트(160)와 에지 스프링(161)을 먼저 위치시킨 후 상부 케이스(10)를 닫아 도어록을 제작하는 경우, 에지 스프링(161)이 상부 케이스(10)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의 일 지점에 에지 스프링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지 볼트(160)를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 내에 위치 시킨 후 상부 케이스(10)의 에지 스프링 삽입홈(11)에 에지 스프링(161)을 압축하여 삽입하면, 에지 볼트(160)의 스프링 안착 홈에 에지 스프링(161)이 안착하며, 상부 케이스(10)의 에지 스프링 삽입홈(11) 내측에 형성된 지지턱(12)에 에지 스프링(161)의 일측이 걸치고 에지 스프링(161)의 타측은 에지 볼트(160)를 밀고 있게 된다. 따라서 에지 스프링(161)의 일측을 상부 케이스(10)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는 작업이 수월한 이점이 있다.
한편,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도어는 좌측 또는 우측이 도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열고 닫히며, 각 경우에 따라 래치 볼트(40)의 경사진 면이 반대로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래치 볼트(40)가 장착된 도어록이 필요 했으며, 실내 레버와 실외 레버가 연결되는 구조 또한 달라야만 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에서는 케이스를 해체 하지 않더라도 래치 볼트(40)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가 케이스의 양측에서 모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어가 어느 방향에서 열리든지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래치 볼트의 방향전환 구조에 의한 방향전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도8 내지 도11은 래치 볼트(40)의 방향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도어록의 다른 구성들은 삭제하고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11을 참조하면, 바디 프론트(30)에 삽입되는 래치 볼트(40)의 측면으로 래치 샤프트(41)가 삽입되며, 래치 샤프트(41)는 스프링 핀(42)에 의해 래치 볼트(40)가 래치 샤프트(41)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다시 도8을 참조하면, 래치 스토퍼(47)가 래치 샤프트(41)에 형성된 단턱을 걸어 래치 샤프트(41)가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밀착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래치 스프링(44)이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지지되어 탄성력으로 래치 볼트(40)를 인출 시키더라도, 래치 샤프트(41)의 래치 포스트(43)가 마련된 단턱 부분은 래치 스토퍼(47)에 걸려 있으므로 더이상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여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다.
만약, 래치 볼트(4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상부 케이스(10)에 노출된 스토퍼 샤프트(46)(도7 참조)를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 샤프트(46)와 연계된 래치 스토퍼(47)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래치 샤프트(41)의 단턱 부분과 래치 볼트 가이드(45) 사이에서 이탈한다. 이때 래치 샤프트(41)는 래치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 포스트(43)가 마련된 단턱 부분이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밀착하게 되고, 래치 볼트(40) 역시 바디 프론트(30)의 인입공으로부터 완전히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 볼트(40)의 다각형의 테두리가 바디 프론트(30)에 형성된 다각형의 인입공을 빠져나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볼트(40)를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 볼트(40)가 래치 샤프트(4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방향이 전환된다. 이후 래치 볼트(40)를 다시 바디 프론트(30) 측으로 밀어 넣어, 래치 볼트 가이드(45)와 래치 샤프트(41)의 단턱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면, 래치 스토퍼(47)와 스토퍼 샤프트(46)는 스톱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래치 스토퍼(47)가 래치 샤프트(41)의 단턱진 부분을 지나면서 다시 래치 볼트 가이드(45)에 밀착하는 위치로 복귀된다. 즉, 래치 스토퍼(47)가 래치 샤프트(41)의 단턱과 래치 볼트 가이드(45) 사이에 다시 원위치하여 래치 샤프트(41)의 단턱이 다시 래치 스토퍼(47)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래치 볼트(40)를 밀던 힘을 제거하더라도, 래치 샤프트(41)의 래치 포스트(43)가 마련된 단턱 부분이 래치 스토퍼(47)에 걸림으로써 래치 볼트(40)가 완전히 돌출되지 않고,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남게 된다.
한편, 래치 볼트(40)의 방향이 전환되어 도어록의 실내 및 실외 방향이 바뀌면, 실내 레버 및 실외 레버도 케이스의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래치 볼트(40)의 방향이 바뀌기 전 실내 레버가 제1 핸들(60)에 결합되고, 실외 레버가 레버 플레이트(90) 및 제3 핸들(80)를 관통하여 제2 핸들(70)에 결합되었다면, 래치 볼트(40)의 방향이 전환된 이후에는, 실내 레버가 레버 플레이트(90)를 관통하여 제3 핸들(80)에 결합되고, 실외 레버는 제1 핸들(60)을 관통하여 제2 핸들(7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실내 레버는 제1 핸들(60), 제3 핸들(80) 및 레버 플레이트(90)를 회전시키고, 실외 레버는 제2 핸들(70)만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내 레버의 작동에 따른 패닉 기능은 이상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상부 케이스 11 : 에지 스프링 삽입홈
12 : 지지턱 20 : 하부 케이스
30 : 바디 프론트 40 : 래치 볼트
41 : 래치 샤프트 42 : 스프링 핀
43 : 래치 포스트 44 : 래치 스프링
45 : 래치 볼트 가이드 46 : 스토퍼 샤프트
47 : 래치 스토퍼 48 : 스톱 스프링
50 : 래치 링크 51 : 래치 링크 샤프트
52 : 래치 링크 스프링 60 : 제1 핸들
61 : 걸림턱a 62 : (실내 레버)결합홀a
63 : 안착홈 64 : 안착 회전 가이드
70 : 제2 핸들 71 : 걸림턱b
72 : (실외 레버)결합홀b
73 : 돌출 회전 가이드
80 : 제3 핸들 81 : (실내 레버)결합홀c
82 : 연장부 83 : 돌출부
90 : 레버 플레이트 91 : 안착홀
92 : 걸림부 100 : 데드 볼트
110 : 메인 레버 111 : 메인 샤프트
120 : 클러치 링크 130 : 레버 스프링
140 : 기어 클러치부 150 : 기어 박스
160 : 에지 볼트 161 : 에지 스프링

Claims (2)

  1.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래치 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단턱이 형성된 래치 샤프트;
    내측에 상기 래치 샤프트가 위치하며,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걸릴 수 있는 래치 볼트 가이드가 마련된 케이스;
    상기 래치 볼트가 인입되는 다각형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디 프론트;
    상기 케이스의 래치 볼트 가이드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래치 볼트를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으로 밀어내는 래치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래치 볼트 가이드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단턱이 걸림으로써 상기 래치 샤프트와 결합된 상기 래치 볼트가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한정시키되, 상기 케이스 외부와 연통된 스토퍼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단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래치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스토퍼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 스토퍼를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서 이탈시켜 상기 단턱의 걸림을 해제시키면, 상기 래치 스프링이 상기 래치 볼트를 밀어내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까지 전진하여 상기 래치 볼트가 상기 바디 프론트 바깥까지 돌출됨으로써, 상기 래치 볼트의 테두리가 상기 바디 프론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인입공의 구속에서 해제되어 상기 래치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스토퍼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래치 스토퍼를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으로 밀어주는 스톱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 스토퍼의 회전으로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래치 볼트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볼트를 상기 바디 프론트 내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과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면, 상기 스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 스토퍼가 상기 래치 볼트 가이드의 타측면으로 밀착되어 다시 상기 래치 샤프트의 단턱이 걸리도록 원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2020120000269U 2012-01-11 2012-01-11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200459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69U KR200459911Y1 (ko) 2012-01-11 2012-01-11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69U KR200459911Y1 (ko) 2012-01-11 2012-01-11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40U Division KR200459912Y1 (ko) 2009-10-14 2010-02-26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7U KR20120001047U (ko) 2012-02-14
KR200459911Y1 true KR200459911Y1 (ko) 2012-04-20

Family

ID=4584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69U KR200459911Y1 (ko) 2012-01-11 2012-01-11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83B1 (ko) 2014-06-09 2014-11-04 키락원(주) 조립성이 향상된 모티스 락
KR200476646Y1 (ko) 2014-02-20 2015-03-18 주식회사 대현상공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1598958B1 (ko) * 2015-01-1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5229B (zh) * 2015-06-12 2018-11-02 玮俐实业股份有限公司 双重联动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227A (ko) * 2005-04-30 2006-11-02 김태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KR100856743B1 (ko) 2007-03-07 2008-09-09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100001113U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227A (ko) * 2005-04-30 2006-11-02 김태진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 락 백세트
KR100856743B1 (ko) 2007-03-07 2008-09-09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80043203A (ko) * 2007-05-10 2008-05-16 주식회사 현대금속 오버라이드형 모티스 도어락
KR20100001113U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46Y1 (ko) 2014-02-20 2015-03-18 주식회사 대현상공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1455783B1 (ko) 2014-06-09 2014-11-04 키락원(주) 조립성이 향상된 모티스 락
CN105178705A (zh) * 2014-06-09 2015-12-23 一键锁屏有限公司 组装性得到提高的插芯锁
KR101598958B1 (ko) * 2015-01-12 2016-03-02 (주)혜강씨큐리티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47U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518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59911Y1 (ko)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20180022363A (ko) 디지털 도어락
KR101193963B1 (ko) 모티스 및 이를 갖춘 도어록
KR200464167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873396B1 (ko)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101710986B1 (ko) 후크걸림구조 도어락 모티스
KR101608820B1 (ko) 복수의 데드볼트가 구동되는 도어락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200459912Y1 (ko)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KR20180060394A (ko) 푸시풀 전환이 용이한 푸시풀 도어락
KR101759733B1 (ko)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JP5659194B2 (ja) 引戸錠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CN212837223U (zh) 一种轴向闭锁机构及锁具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EP2148029A1 (en) Automatic lock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93260B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20200111596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