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33B1 -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 Google Patents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33B1
KR101759733B1 KR1020150025532A KR20150025532A KR101759733B1 KR 101759733 B1 KR101759733 B1 KR 101759733B1 KR 1020150025532 A KR1020150025532 A KR 1020150025532A KR 20150025532 A KR20150025532 A KR 20150025532A KR 101759733 B1 KR101759733 B1 KR 10175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crank
movab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269A (ko
Inventor
송정기
Original Assignee
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7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홈 및 고정힌지축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고정힌지축에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힌지축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장공형태의 축기어 가동홀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장공형태의 작동편 가동홀을 형성하고 있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의 축기어 가동홀에 결합하여 크랭크의 회전시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축과 상기 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래크기어로 구성되는 축기어부와; 상기 축기어부의 래크기어에 의해 가동하는 제1기어 및 제2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제2기어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모티스 가동축과; 상기 크랭크의 작동편 가동홀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겼을 때에 크랭크를 회전시켜 모티스 가동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편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어, 도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설치시 축기어부의 상,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리미트부를 가변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의 안쪽 및 바깥쪽에 적용하는 부품들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축기어부의 위치복귀 스프링 및 복귀용 텐션 스프링을 통해 모티스 가동축이 작동한 후 최초의 자리에 정확하게 복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A body for using push and pull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 Lock)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정키를 비롯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버튼키, 카드키, 지문인식 등 출입인가수단을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때, 도어락 바디(Body)는 도어락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면서 도어의 측단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인 모티스(Mortise)와 연결되어 상기 모티스의 개폐 동작을 위한 주장치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도어락 바디는 보통 도어의 실외측 및 실내측에 각기 대향 설치되는 작동레버가 각기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상태로 작동레버의 회동작용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유동시키면서 도어를 개폐하는 형식의 모티스와 연결되어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는 회동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동식 도어락은 도어 개폐를 위해 작동레버를 반드시 회전시켜야 하므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회동식 도어락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동작되어야만 개방이 가능한데 노령화 사회의 심화와 더블어 장애인 등 노약자들의 경우 작동레버를 회전조작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작동레버를 밀거나 혹은 당기기만 해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푸쉬풀형 도어락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푸쉬풀형 도어락에 대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5258호는 실내측 및 실외측 바디와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푸쉬 혹은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상기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푸쉬 혹은 풀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하는 실내측 및 실외측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걸림되어 상하유동시 회전되게 설치되는 실내측 및 실외측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삽입되고, 실내외측 바디 사이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연결된 메인작동로드와; 상기 모티스와 연결되어 메인작동로드 동작시 데드볼트를 개폐하는 데드볼트 작동로드와; 상기 데드볼트작동로드의 양단에 결합되고, 실내측 및 실외측 작동레버 상에 설치된 실내측 및 실외측 개폐노브를 포함하는 푸쉬풀형 도어락 바디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바디의 외측면 하단에는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작동로드와 회동체 간의 동력을 단속시키는 부정행위방지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푸쉬풀형 도어락 바디는 실내 및 실외측의 구조가 상이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안쪽 또는 도어의 바깥쪽에 공용으로 설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티스 가동축 및 손잡이부의 최초 위치가 정확하게 최초 작동 전 위치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설치시 축기어부의 상,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리미트부를 가변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도어의 안쪽 및 바깥쪽에 적용하는 부품들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축기어부의 위치복귀 스프링 및 복귀용 텐션 스프링을 통해 모티스 가동축이 작동한 후 최초의 자리에 정확하게 복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에서의 잠금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푸쉬용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일 때 잠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잠금 해제가 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이 풀(Pull)용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일 때 잠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도 9에서 잠금 해제가 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도 10에서 구동부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 케이스(10) 및 이 본체 케이스(10)에 삽입되는 크랭크(20), 축기어부(30), 기어부(40)를 포함하는 구동부(A)와 이 구동부(A)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풀 타입의 손잡이부(90)로 구성된다.
우선, 본체 케이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A)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납홈(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납홈(11) 내에는 고정힌지축(12)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 케이스(10)에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번호키,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센서부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체 케이스(10)에 결합하는 구동부(A)의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크랭크(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수납홈(1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힌지축(12)에 결합할 수 있는 고정힌축 결합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힌지축 결합홀(21)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는 각각 장공 형태로 이루어진 축기어 가동홀(22) 및 작동편 가동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크랭크(20)는 고정힌지축(12)을 기준으로 크랭크(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다음으로, 축기어부(30)는 상기 크랭크축(2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형태의 축기어 가동홀(22)에 결합하는 축기어 결합턱(31a)이 포함된 축(31)이 형성되어 크랭크(20)의 회전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가동홀(22)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축(31)의 일단에는 래크기어(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축기어부(30)의 축(31)의 외주면에는 크랭크(20)에 의해 수직운동이 이루어진 후 최초의 자리로 복귀시키기 위해 위치복귀 스프링부(33)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위치복귀 스프링부(33)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체 케이스(10) 중 축(31)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복귀 스프링부(33)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복귀 스프링 스토퍼(13)가 더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때에, 상기 위치복귀 스프링부(33)는 축기어부(30)가 상, 하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제1, 2 위치복귀 스프링(33a, 33b)으로 분할하여 직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제1, 2 위치복귀 스프링(33a, 33b) 사이의 축(31)에 멈춤링(33c)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기어부(40)는 상기 축기어부(30)가 수직운동할 때에 래크기어(3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제1기어(41)가 구성되고, 이 제1기어(41)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기어(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기어(42)의 중심부에는 모티스 가동축(B)이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체 케이스(10)에도 이 모티스 가동축(B)이 결합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부(A)를 구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90)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90)는 본체 케이스(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손잡이부(90)의 손잡이(9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90)는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 케이스(10)에 별도의 힌지축에 결합하여 손잡이(91)를 밀거나 당겼을 때에 손잡이(91)의 상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91)의 하측에는 크랭크(20)가 고정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크랭크(20)의 작동편 가동홀(23)에 결합하여 작동하는 작동편(92)이 구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90)는 손잡이(91)이가 작동 전 상태일 때에는 작동편(92)이 크랭크(20)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작동편 가동홀(23)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다가 사용자가 손잡이(91)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크랭크(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따라서, 모티스 가동축(B)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부(90)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A)는 손잡이부(90)의 이벤트 발생시 크랭크(20), 축기어부(30), 기어부(40) 및 이 기어부(40)에 결합되어 있는 모티스 가동축(B)이 회전하여 도어 내부에 형성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잠김을 해제하기 위해 형성되는 모티스(도면에 미도시)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구동부(A)에는 리미트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부(60)는 축기어부(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본체 케이스(10)에 결합하여 축기어부(30)의 수직이동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모티스 가동축(B)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어부(40)의 구동을 제한하여 구동부(A)의 구동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는 잠금부재(70)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70)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술한 기어부(40)에 형성된 제1기어(41)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2 접촉면(72a, 72b)과 접촉편(72c)을 포함하고 있는 잠금편(72)이 모터(71) 및 모터(71)에 연결되어 있는 잠금기어(73), 잠금부재 래크(74a)와 작동홈(74b)을 포함한 잠금부재 래크부(7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작동시켰을 때에 잠금부재 래크부(74)의 작동홈(74b)에 결합된 접촉편(72c)의 구동에 의해 잠금편(72)이 회전하여 잠금편(72)에 형성된 제1 접촉면(72a) 또는 제2 접촉면(72b) 중 어느 하나에 제1기어(41)가 접촉됨으로써 제1기어(41)가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이 잠금부재(70)는 리미트부(60)를 통해 축기어부(30)의 거동을 제한한 후 제1기어(41)가 회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한할 수 있도록 잠금설정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부재(70)는 본 발명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버튼방식으로 사용자가 눌러서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실외에 설치시에는 RF카드키 또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번호키를 눌렀을 때에 잠금이 해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을 더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은 손잡이부(90)를 통해 모티스 가동축(B)이 회전한 후 작동 전의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정확한 위치로 회전해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부(90)를 작동시키면 크랭크(20), 축기어부(30), 기어부(40)를 통해 모티스 가동축(B)이 회전하게 되고, 그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90)에 가했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상술하였던 축기어부(30)의 축(31) 외주면에는 위치복귀 스프링부(33)가 작동하여 손잡이부(90) 및 모티스 가동축(B)을 최초 회전하기 전의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의 불량 또는 오래 사용하였을 경우 탄성력이 약해지게 되어 최초의 자리로 복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어부(40)의 제2기어(42)에 위치선정홈(42a)을 형성하고, 이 위치선정홈(42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끼움결합 가능한 텐션 스프링을 제작하되, 양 단은 본체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복귀 텐션 스프링(80)을 제작하여 배치함으로써 모티스 가동축(B)이 끼움결합 되어 있는 제2기어(42)가 회전한 후 최초의 자리로 복귀시 텐션 스프링에 위치선정홈(42a)이 자리를 찾아가면서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초의 위치로 손잡이부(90) 및 모티스 가동축(B)이 회전하여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록은 도어의 잠금/잠금해제를 위한 데드볼트가 포함된 모티스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는 이 모티스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과 유사한 형태의 도어록 바디가 형성된다.
본 발명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티스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다만, 본 발명은 모티스를 구동하기 위한 모티스 가동축(B)을 정, 역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실내 또는 실외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시 축기어부(30)의 거동을 제한하는 리미트부(60)의 위치만 바꿔서 결합하게 되면 실내 및 실외 모두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금형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손잡이부(90)를 밀거나 당겼을 때의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1. 손잡이부 푸쉬(Push) 작동시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90)를 밀었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본 발명을 작동하기 전 상태는 손잡이부(90)의 손잡이(91)는 중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에, 작동편(92)은 크랭크(20)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작동편 가동홀(23)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크랭크(20)에 형성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축기어 가동홀(22)에 결합되는 축기어부(30)의 축(31)에 형성된 축기어 결합턱(31a)도 축기어 가동홀(22)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미트부(60)는 축기어부(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부(90)의 손잡이(91)를 밀게 되면 손잡이부(9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손잡이(91)의 상측이 케이스 본체(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손잡이부(90)의 작동편(92)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20)는 고정힌지축(12)을 중심으로 작동편 가동홀(23)이 형성된 부분이 아래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대편의 축기어 가동홀(22)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축기어부(30)는 수직 상향하는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축기어부(30)의 래크기어(32)에 의해 기어부(40)의 제1기어(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기어(42) 및 이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모티스 가동축(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티스 가동축(B)의 회전에 의해 도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모티스의 데드볼트가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9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축기어부(30)의 축(31)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복귀 스프링부(33)에 의해 손잡이부(90), 구동부(A) 및 모티스 가동축(B)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이 더 포함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90) 및 구동부(A), 모티스 가동축(B)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는 과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손잡이부 풀(Pull) 작동시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90)를 당겼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본 발명을 작동하기 전 상태는 손잡이부(90)의 손잡이(91)는 중립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에, 작동편(92)은 크랭크(20)에 형성된 장공형태의 작동편 가동홀(23)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크랭크(20)에 형성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축기어 가동홀(22)에 결합되는 축기어부(30)의 축(31)에 형성된 축기어 결합턱(31a)도 축기어 가동홀(22)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미트부(60)는 축기어부(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손잡이부(90)의 손잡이(91)를 당기게 되면 손잡이부(9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손잡이(91)의 상측이 케이스 본체(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손잡이부(90)의 작동편(92)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20)는 고정힌지축(12)을 중심으로 작동편 가동홀(23)이 형성된 부분이 윗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대편의 축기어 가동홀(22)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축기어부(30)는 수직 하향하는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축기어부(30)의 래크기어(32)에 의해 기어부(40)의 제1기어(4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기어(42) 및 이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모티스 가동축(B)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티스 가동축(B)의 회전에 의해 도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모티스의 데드볼트가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9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축기어부(30)의 축(31)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복귀 스프링부(33)에 의해 손잡이부(90), 구동부(A) 및 모티스 가동축(B)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이 더 포함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90) 및 구동부(A), 모티스 가동축(B)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는 과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100)는 도어가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열리는 구조일 경우에 본 발명이 실내에 설치되면 손잡이부(90)를 밀어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리미트부(60)는 축기어부(30)의 하측에 형성하여 손잡이부(90)를 당겼을 때에는 구동부(A)가 작동하지 않도록 셋팅하면 된다.
또한, 실외에 설치될 경우에는 손잡이부(90)를 당겨서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리미트부(60)를 축기어부(30) 상측에 형성하여 손잡이부(90)를 밀었을 때에는 작동하지 않도록 셋팅하면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티스 가동축(B)의 정, 역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동일한 금형 및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하나의 금형을 이용해 제품을 제작한 후 축기어부(30)의 이동을 제한하는 리미트부(90)의 위치만 변경 설치하게 되면 실내 또는 실외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잠금설정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90)의 작동에 의해 구동부(A) 및 모티스가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출시나 집에 혼자 있을 때 취침시 또는 평상시 방범을 위해 모티스에 형성되어 있는 데드볼트가 손잡이부(90)를 작동시키더라도 작동하지 않도록 잠금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잠금설정을 잠금부재(70)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70)는 모터(71)에 연결되어 있는 잠금기어(73)가 모터(71)가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잠금부재 래크부(74)의 잠금부재 래크(74a)를 작동시키게 되면 잠금부재 래크부(74)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홈(74b)에 안착되어 있던 잠금편(72)의 접촉편(72c)이 작동하여 잠금편(72)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잠금편(72)에는 기어부(40)의 제1기어(41)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2 접촉면(72a, 72b)이 형성되어 있어, 이 제1, 2 접촉면(72a, 72b) 중 어느 하나가 제1기어(41)와 맞닿으면서 기어부(40)가 회전을 차단하여 구동부(A) 자체의 구동이 잠금설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90)의 작동도 이루어지지 않아 잠금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도 6, 9참조)
여기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 또는 실외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할 경우 잠금부재(70)도 그에 맞게 셋팅하면 된다.
즉, 만약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축기어부(30)는 상측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리미트부(60)가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잠금부재(70)는 잠금 설정시 제1기어(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1 접촉면(72a)이 맞닿도록 설정을 하면되며, 이럴 경우 잠금부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만큼 사용자가 버튼 방식 등으로 잠금설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상기 버튼은 모터(71)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제어가 가능한 형태일 것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이 실외에 설치되어야 할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설정과 반대로 실시하게 되며, 이때에 잠금부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RF카드 또는 사용자가 본체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번호키를 조작하였을 경우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인 것이다.
10 : 본체 케이스
11 : 수납홈 12 : 고정힌지축 13 : 위치복귀 스프링 스토퍼
A : 구동부
20 : 크랭크
21 : 고정힌지축 결합홀 22 : 축기어 가동홀 23 : 작동편 가동홀
P0 : 원점 P1 : 제1점 P2 : 제2점
30 : 축기어부
31 : 축 31a : 축기어 결합턱 32 : 래크기어 33 : 위치복귀 스프링
33 : 위치복귀 스프링부 33a : 제1 위치복귀 스프링
33b : 제2 위치복귀 스프링 33c : 멈춤링
40 : 기어부
41 : 제1기어 42 : 제2기어
60 : 리미트부
TS : 복귀용 텐션 스프링
70 : 잠금부재
71 : 모터
72 : 잠금편 72a : 제1 접촉면 72b : 제2 접촉면 72c : 접촉편
73 : 잠금기어
74 : 잠금부재 래크부 74a : 잠금부재 래크 74b : 작동홈
B : 모티스 가동축
90 : 손잡이부
91 : 손잡이 92 : 작동편
100 :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손잡이를 밀면 크랭크 시계방향 회전-축 래크기어 올라감-모티스가동축 반시계방향

Claims (7)

  1. 내부에 수납홈(11) 및 고정힌지축(12)을 포함하고 있는 본체 케이스(10);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고정힌지축(12)에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힌지축 결합홀(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힌지축 결합홀(21)을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장공형태의 축기어 가동홀(22)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장공형태의 작동편 가동홀(23)을 형성하고 있는 크랭크(20);
    상기 크랭크(20)의 회전시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크랭크(20)의 축기어 가동홀(22)에 결합하는 축기어 결합턱(31a)을 포함하는 축(31)과 상기 축(31)의 단부에 형성되는 래크기어(32)로 구성되는 축기어부(30);
    상기 축기어부(30)의 래크기어(32)에 의해 가동하는 제1기어(41) 및 상기 제1기어(41)에 의해 작동하는 제2기어(42)로 이루어진 기어부(40);
    상기 기어부(40)의 제2기어(42)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모티스 가동축(B);
    상기 크랭크(20)의 작동편 가동홀(23)에 결합되어 손잡이(91)를 밀거나 당겼을 때에 크랭크(20)를 회전시켜 모티스 가동축(B)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편(92)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90);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90)가 작동 전 상태일 때에는 작동편(92)이 작동편 가동홀(23)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이 위치에서 어느 한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모티스 가동축(B)을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수납홈(11)에는 한쌍의 위치복귀 스프링 스토퍼(13)가 더 포함되고, 상기 축기어부(30)에는 위치복귀 스프링 스토퍼 (13) 사이에 위치복귀 스프링부(33)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기어부(3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모티스 가동축(B)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축기어부(30)의 수직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부(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기어부(30)의 래크기어(32)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40)에는 제1기어(41)의 정, 역회전 중 어느 한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여 모티스 가동축(B)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잠금 설정하기 위한 잠금부재(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70)는 모터(71)에 의해 회전하여 작동하되 서로 대칭된 위치에 제1기어(41)와 접촉하는 제1, 2 접촉면(72a, 72b)이 형성되어 어느 한방향으로만 제1기어(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편(72)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 가동축(B)이 작동 전 상태일때의 회전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기어부(40) 중 모티스 가동축(B)이 결합되어 있는 제2기어(42)에는 위치선정홈(42a)이 더 포함되고, 이 위치선정홈(42a)에 결합하여 제2기어(42)가 작동하여 회전한 후 최초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귀용 텐션 스프링(TS)이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KR1020150025532A 2015-02-24 2015-02-24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KR10175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32A KR101759733B1 (ko) 2015-02-24 2015-02-24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32A KR101759733B1 (ko) 2015-02-24 2015-02-24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269A KR20160103269A (ko) 2016-09-01
KR101759733B1 true KR101759733B1 (ko) 2017-07-31

Family

ID=5694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532A KR101759733B1 (ko) 2015-02-24 2015-02-24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25B1 (ko) * 2016-10-21 2017-06-16 밀레시스텍(주)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US20210381276A1 (en) * 2018-10-31 2021-12-09 Yunding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Lock and control methods and systems thereof
CN109812132B (zh) * 2019-01-29 2023-11-14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按拉执手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17B1 (ko) 2013-03-12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17B1 (ko) 2013-03-12 2014-03-06 주식회사 아이레보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200473021Y1 (ko)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269A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888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9982455B2 (en) Side mounted privacy lock for a residential door
CN102108813A (zh) 用于车辆的门开闭设备
US20160108650A1 (en) Opposed hook sliding door lock
KR200469274Y1 (ko) 클러치 연결이 용이한 전자식 문 잠금장치
KR101759733B1 (ko)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JP2018528339A (ja) 車両ドア用電子ハンドル
TWI816780B (zh) 箍狀鎖
US20150368940A1 (en) Door-lock apparatus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TWI598494B (zh) 門鎖機構
KR101977369B1 (ko) 도어 안전 잠금장치
JP2012516400A (ja) ロックボックス
EP3589809A1 (en) Locking module
JP3788968B2 (ja) 電気錠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2019529750A (ja) ハンドル装置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0459911Y1 (ko)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100976818B1 (ko) 자동 도어락 장치
JP7206208B2 (ja) コレットラッチ
KR101912381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