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25B1 -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7925B1 KR101747925B1 KR1020160137637A KR20160137637A KR101747925B1 KR 101747925 B1 KR101747925 B1 KR 101747925B1 KR 1020160137637 A KR1020160137637 A KR 1020160137637A KR 20160137637 A KR20160137637 A KR 20160137637A KR 101747925 B1 KR101747925 B1 KR 101747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guide groove
- restricting
- descending
- door 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상기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기거나 밀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상기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본체와,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본체 및 도어 내부에 매설되는 모티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위해, 실외측 본체에 비밀번호 입력부 및/또는 지문 인식부 및/또는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 등을 구비하고, 실내측 본체에 열림/잠금 버튼 또는 썸턴 노브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출입이 허용된 사람만이 모티스의 데드볼트를 인입시켜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으며,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외측 또는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이용해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대부분 좌우 회전 방식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켜야만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였으나,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115064호,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등과 같이, 손잡이를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실외측 또는 실내측 본체의 손잡이를 당기거나 밀어주는 것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회전식 손잡이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후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실외측 본체와 실내측 본체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가 서로 대응하게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는 구조이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을 미리 고려하여 그에 맞는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를 구매 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예를 들어 도어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형태일 경우, 실외측 본체의 손잡이는 당겨서 회동해야 하고, 반대로 실내측 본체의 손잡이는 밀어서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도어의 개방 방향과 손잡이의 회동 방향이 일치되어 전후 회동 손잡이의 사용이 편리해지는데,
종래의 전후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의 부품들이 손잡이의 회동 구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 및 조립되어야 하므로 도어락의 생산 라인이 이원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도어락의 제작 단계에서부터 각 본체의 손잡이 연동 구조가 일방향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도어락의 설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적인 열쇠 개방식 잠금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의 제품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이사 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도어락을 분리하여 이사한 곳의 도어에 재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이사하기 전과 이사한 후의 도어 개방 방향이 서로 다를 경우, 기존의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재사용할 수 없어, 도어락의 추가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에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전후 회동 손잡이의 회동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해져, 도어의 개방 방향과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각 본체의 손잡이를 전후 양방향으로 모두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도어락 설치 시에 간단한 부품의 고정만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 개방에 사용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 및
상기 승강체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승강체에 인입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된, 상승 제한돌기와 하강 제한돌기를 구비하되,
제한부재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 제한돌기 또는 상기 하강 제한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승강체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면서 걸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승강체는,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되되, 상기 제한부재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 제한돌기가 인입되는 하강 안내홈과, 상기 하강 제한돌기가 인입되는 상승 안내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하강 안내홈은, 상기 상승 제한돌기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상승 제한돌기가 하강 안내홈의 하단부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승 안내홈은, 상기 하강 제한돌기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하강 제한돌기가 상승 안내홈의 상단부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손잡이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제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손잡이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한부재를 도입하여,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쉽게 변경하여 설치 및 사용할 수가 있어, 종래에 실외측 및 실내측 본체에 마련된 전후 회동 손잡이의 회동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해져, 도어의 개방 방향과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도어락 설치 시에 간단한 부품의 고정만으로 도어의 개방 방향에 맞게 손잡이의 회동 방향을 변경하여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은, 제한부재의 위치 이동 및 고정이 편리하며, 내부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작동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작이 쉽고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요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를 투영하여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의 요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서 실외측 본체를 투영하여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실외측 및 실내측에서 도어의 일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설명에 따라 각 본체의 전후 방향과 실내측, 실외측 방향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실외측 본체(1) 및 실내측 본체(2)에 마련된 각각의 손잡이(20)가 모두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도어락 설치 시 도어(D)의 개방 방향에 따라 하나의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20)를 당겨서 개방(풀(pull) 개방)하는 구조이면, 다른 하나의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20)는 밀어서 개방(푸시(push) 개방)하는 구조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 회동 손잡이(20)를 구비한 도어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D)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D) 개방에 사용되는 전후 회동 손잡이(20)를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실외측 본체(1)를 대표하여 도시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크게, 하우징(10), 손잡이(20), 승강체(30), 제한부재(40), 피니언(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면 커버(11)에 손잡이(20)의 구동기어부(22)가 삽입되는 장착홀(11a)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몸체(12), 승강체(30), 제한부재(40), 피니언(50) 및 도어락의 전자 제어를 위한 피씨비(PCB) 기판을 비롯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상기 내부몸체(12)는, 전면에 축결합부(12a)가 구비되어, 손잡이(20)의 전후 회동 동작의 축으로 기능하도록 손잡이(20)에 구비된 회동축(20a)이 축설되며,
후면에 축설부(12b)가 구비되어, 손잡이(20)의 전후 회동 동력을 승강체(30)의 승하강 동력으로 전달하는 구동부재(13)의 회전축(13a)이 축설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몸체(12)는 하우징(10)과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하우징(10)에 내부몸체(1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3)는 외주면 일부에 상기 장착홀(11a)로 삽입되는 손잡이(20)의 구동기어부(22)가 치합되는 기어부(13b)를 구비하고, 기어부(13b)의 일측에 후방이 개구된 끼움부(14a)를 형성하는 한 쌍의 끼움편(14)이 돌출되어, 승강체(30)의 랙기어부(31)가 상기 끼움부(14a)에 치합되어, 구동부재(13)의 전후 회전에 따라 승강체(30)가 승하강된다.
상기 손잡이(20)는 하우징(10)의 장착홀(11a)에서 전후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부(21)와, 상기 파지부(21)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재(13)의 기어부(13a)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부(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0)를 밀거나 당겨서 전후 회동시키면, 구동기어부(22)에 치합된 구동부재(13)가 전후 회전하면서 승강체(30)를 승하강시킨다.
이러한 손잡이(20)는 파지부(21)가 하측을 향하도록 직립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손잡이 높이에서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도면과 같이 파지부(21)가 상측을 향하도록 역립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30)는 상기 손잡이(20)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단부에 상기 구동부재(13)의 끼움부(14a)가 치합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랙기어부(31)를 구비하고, 중단부에 하우징(1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볼트 등)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홀(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모티스에 마련된 래치볼트(미도시)의 인출입을 위한 피니언(50)이 치합되는 톱니부(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강체(30)는 후면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된 하강 안내홈(34)과 상승 안내홈(35)을 구비하여, 제한부재(40)의 상승 제한돌기(41)와 하강 제한돌기(42)가 각 안내홈(34)(35)에 인입된다.
상기 제한부재(40)는, 상기 승강체(30)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20)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한다.
즉, 상기 제한부재(40)는, 도어락의 설치 시, 도어(D)의 개방 방향에 따라 손잡이(20)가 전후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상기 승강체(30)의 승하강을 일방향으로 구속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한부재(40)는, 상기 승강체(30)에 인입되도록 각각 돌출 형성된, 상승 제한돌기(41)와 하강 제한돌기(42)를 구비하되,
제한부재(4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 제한돌기(41) 또는 상기 하강 제한돌기(4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승강체(30)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면서 걸림 접촉하여, 걸림 접촉된 제한돌기(41)(42)의 반대 방향으로만 승강체(30)가 하강 또는 상승한다.
즉, 상승 제한돌기(41)가 승강체(30)에 인입되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승 제한돌기(41)에 의해 승강체(30)의 상승이 불가능하여, 결국 승강체(30)는 하강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강제되고, 따라서 이렇게 하강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구속된 승강체(30)와 연동하는 손잡이(20)는 승강체(3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만 회동(도 5의 [A]에서 구동부재(13)와 반대방향, 즉 후방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하강 제한돌기(42)가 승강체(30)에 인입되어 걸림 접촉된 상태에서는, 하강 제한돌기(42)에 의해 승강체(30)의 하강이 불가능하여, 결국 승강체(30)는 상승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강제되고, 따라서 이렇게 상승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구속된 승강체(30)와 연동하는 손잡이(20)는 승강체(3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회동(도 5의 [B]에서 구동부재(13)와 반대방향, 즉 전방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제한돌기(41)(42)들을 이용한 제한부재(40)의 위치 이동 방향은, 제한돌기(41)(42)들이 구비된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데(예를 들어 상승 제한돌기(41)가 제한부재(40)의 상단에 구비되고 하강 제한돌기(42)가 제한부재(4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한부재(40)의 상하 이동에 따른 각 제한돌기(41)(42)들의 걸림 접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져 승강체(30)의 승하강 방향이 강제될 수 있음.),
도어락의 소형화 및 제한부재(40)를 이용한 손잡이(20)의 회동 방향 제한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한부재(40)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상기 상승 제한돌기(41)와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좌우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승강체(30)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되되,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 제한돌기(41)가 인입되는 하강 안내홈(34)과,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인입되는 상승 안내홈(35)이 구비된다.
즉, 제한부재(40)의 우측단에 상승 제한돌기(41)가 구비되고, 제한부재(40)의 좌측단에 하강 제한돌기(42)가 구비되면, 이에 대응하여 승강체(30)의 우측단에 하강 안내홈(34)이 구비되고, 승강체(30)의 좌측단에 상승 안내홈(35)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제한부재(40)를 좌측 수평이동하면, 상승 제한돌기(41)가 하강 안내홈(34)에 인입됨과 동시에, 하강 제한돌기(42)가 상승 안내홈(35)에서 이탈하고,
반대로 도 5의 [B]와 같이, 제한부재(40)를 우측 수평이동하면, 하강 제한돌기(42)가 상승 안내홈(35)에 인입됨과 동시에, 상승 제한돌기(41)가 하강 안내홈(34)에서 이탈한다.
따라서 상승 제한돌기(41)가 하강 안내홈(34)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승 제한돌기(41)의 걸림 구조로 인해 승강체(30)가 하강 안내홈(34)의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만 하강 가능하게 되고,
반대로 하강 제한돌기(42)가 상승 안내홈(35)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하강 제한돌기(42)의 걸림 구조로 인해 승강체(30)가 상승 안내홈(35)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만 상승 가능하게 되어,
이들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손잡이(20)의 전후 회동 방향이 제한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강 안내홈(34)은, 상기 상승 제한돌기(41)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하단부(34a)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상승 제한돌기(41)가 하강 안내홈(34)의 하단부(34a)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승 안내홈(35)은, 상기 하강 제한돌기(42)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상단부(35a)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하강 제한돌기(42)가 상승 안내홈(35)의 상단부(35a)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도어락 내부 구조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위해,
상기 상승 제한돌기(41)와 상기 하강 제한돌기(42)는, 제한부재(40)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즉, [상승 제한돌기(41) - 상승 제한돌기(41)가 걸림 접촉하는 하강 안내홈(34)의 하단부(34a) - 하강 제한돌기(42)가 걸림 접촉하는 상승 안내홈(35)의 상단부(35a) - 하강 제한돌기(42)]는 모두 좌우 수평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일직선 배열된다(여기서 하강 안내홈(34)의 하단부(34a)와 상승 안내홈(35)의 상단부(35a)의 의미는, 각 안내홈(34)(35)의 하측 또는 상측 끝단부가 아닌, 제한돌기가 최초 인입되는 공간 전부를 의미함.)
이렇게 각 제한돌기(41)(42)와 각 안내홈(34)(35)을, 제한부재(40)와 승강체(30)의 좌우 양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배열되도록 한 이유는,
먼저 각 제한돌기(41)(42)와 각 안내홈(34)(35)이 상하 배열될 경우, 제한부재(40)가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하중 등에 의해 제한부재(40)가 본래의 높이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락의 작동을 위한 각종 부품이 다수 구비된 하우징(10)의 상하부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부품이 적게 구비되는 빈 공간인 하우징(10)의 좌우 공간을, 제한부재(40)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도면 부호 43은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볼트 등)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홀(43a)이 형성된 가이드부이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 후 고정은, 수평이동 후 정지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중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지지 방식이나, 볼트 체결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어락의 설치 후 제한부재(40)의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의 [B]에서는,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을 위해, 제한부재(40)의 후면에서 돌출된 조작부(44)가 하우징(10)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부(44)가 안치되는 수용홈(10a) 양측에 제한부재(40)의 고정을 위한 볼트(4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20)의 전후 회동 후 자동 복귀를 위한 탄성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각종 스프링 결합 구조를 통해 구현 가능하나, 본 발명은 손잡이(20)의 전, 후 회동 전, 정위치 상태에서의 자세 제어 확보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손잡이(20)의 구동기어부(22) 상측(또는 하측)에 돌출된 지지편(22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22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스프링(23a)(23b)이 2층 구조로 적층된 한 쌍의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23)를 구비하여,
편 길이형 스프링(23a)(23b) 세트의 각 스프링(23a)(23b)들에 구비된 지지부(23a')(23b')가 지지편(22a)의 상면과 하면을 상하측,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23)는, 나선형 꼬임부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스프링(23a)(23b)이 전후 2층 구조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23a)(23b)은, 나선형 꼬임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지지부(23a')(23b')가 지지편(22a) 방향으로 연장 연결되며, 각 스프링(23a)(23b)의 지지부(23a')(23b')는 지지편(22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지지편(22a)을 상하측,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 지지한다.
즉, 도면과 같이 제1 스프링(23a)에 마련된 후방측 제1 지지부(23a')가 지지편(22a)의 하면에 접촉하여 제1 지지부(23a')의 탄성력이 상측방향으로 발휘되도록 구비되면, 제2 스프링(23b)에 마련된 전방측 제2 지지부(23b')는 지지편(22a)의 상면에 접촉하여 제2 지지부(23b')의 탄성력이 하측방향으로 발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손잡이(20)를 전방으로 밀면, 하강 회동하는 지지편(22a)에 의해 제1 스프링(23a)의 제1 지지부(23a')가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나선형 꼬임부가 압축(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지지부(23a')가 시계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압축됨.)된 후, 손잡이(20)에서 손을 떼면 압축된 나선형 꼬임부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지지부(23a')가 지지편(22a)을 상측으로 밀어서 손잡이(20)가 정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반대로 손잡이(2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승 회동하는 지지편(22a)에 의해 제2 스프링(23b)의 제2 지지부(23b')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나선형 꼬임부가 압축(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지지부(23b')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비틀리면서 압축됨.)된 후, 손잡이(20)에서 손을 떼면 압축된 나선형 꼬임부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지지부(23b')가 지지편(22a)을 하측으로 밀어서 손잡이(20)가 정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그리고 손잡이(20)의 자동 복귀 시, 압축되지 않은 다른 스프링의 지지부가, 복귀하는 지지편(22a)의 반대면을 지지하여, 손잡이(20)가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하면서 손잡이(20)의 흔들림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23) 한 쌍을, 지지편(22a)의 좌우 양측에 상호 대칭적으로 구비하게 되면, 손잡이(20)의 자동 복귀 동작을 지지편(22a)의 좌우 양측에서 균형 있게 잡아주어 손잡이(20)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손잡이(20)의 일방향 복귀 동작에 좌우 2개의 스프링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약한 스프링의 사용이 가능하여, 1개의 강한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적은 힘만으로 스프링의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한 탄성력으로 인해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아 기구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23)는, 각 나선형 꼬임부를 관통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내부몸체(23)에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실외측 본체 2 : 실내측 본체
10 : 하우징 10a : 수용홈
11 : 전면 커버 11a : 장착홀
12 : 내부 몸체 12a : 축결합부
12b: 축설부 13 : 구동부재
13a : 회전축 13b : 기어부
14 : 끼움편 14a : 끼움부
20 : 손잡이 20a : 회동축
21 : 파지부 22 : 구동기어부
22a : 지지편 23 :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
23a, 23b : 스프링 23a', 23b' : 지지부
30 : 승강체 31 : 랙기어부
32 : 가이드홀 33 : 톱니부
34 : 하강 안내홈 34a : 하단부
35 : 상승 안내홈 35a : 상단부
40 : 제한부재 41 : 상승 제한돌기
42 : 하강 제한돌기 43 : 가이드부
43a : 가이드홀 44 : 조작부
45 : 볼트 50 : 피니언
51 : 대응톱니부 52 : 연결홀
10 : 하우징 10a : 수용홈
11 : 전면 커버 11a : 장착홀
12 : 내부 몸체 12a : 축결합부
12b: 축설부 13 : 구동부재
13a : 회전축 13b : 기어부
14 : 끼움편 14a : 끼움부
20 : 손잡이 20a : 회동축
21 : 파지부 22 : 구동기어부
22a : 지지편 23 :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
23a, 23b : 스프링 23a', 23b' : 지지부
30 : 승강체 31 : 랙기어부
32 : 가이드홀 33 : 톱니부
34 : 하강 안내홈 34a : 하단부
35 : 상승 안내홈 35a : 상단부
40 : 제한부재 41 : 상승 제한돌기
42 : 하강 제한돌기 43 : 가이드부
43a : 가이드홀 44 : 조작부
45 : 볼트 50 : 피니언
51 : 대응톱니부 52 : 연결홀
Claims (4)
-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도어 개방에 사용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하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의 전후 회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체(30); 및
상기 승강체(30)의 상승 또는 하강 중 어느 한 동작만을 강제하여, 상기 손잡이(20)의 회동이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한부재(40)는, 좌우 수평이동하도록 구비되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상승 제한돌기(41)와 하강 제한돌기(42)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30)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오목 형성되되, 상기 제한부재(40)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상승 제한돌기(41)가 인입되는 하강 안내홈(34)과,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인입되는 상승 안내홈(35)이 구비되어,
상기 상승 제한돌기(41) 또는 상기 하강 제한돌기(42)가, 상기 하강 안내홈(34) 또는 상기 상승 안내홈(35)에 인입되면서 걸림 접촉하여, 걸림 접촉된 제한돌기의 반대 방향으로만 승강체(30)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안내홈(34)은, 상기 상승 제한돌기(41)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하단부(34a)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상승 제한돌기(41)가 하강 안내홈(34)의 하단부(34a)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승 안내홈(35)은, 상기 하강 제한돌기(42)와 동일 높이에 형성된 상단부(35a)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입되는 하강 제한돌기(42)가 상승 안내홈(35)의 상단부(35a)에 걸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40)는, 후면에서 돌출된 조작부(44)가, 하우징(10)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전후 회동 후 자동 복귀를 위한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손잡이(20)의 구동기어부(22) 상측 또는 하측에서 돌출된 지지편(22a)과,
상기 지지편(22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스프링(23a)(23b)이 2층 구조로 적층된 한 쌍의 편 길이형 스프링세트(23)로 이루어져,
각 스프링(23a)(23b)들에 구비된 지지부(23a')(23b')가 지지편(22a)의 상면과 하면을 상하측,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637A KR101747925B1 (ko) | 2016-10-21 | 2016-10-21 |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CN201710223203.0A CN107975303A (zh) | 2016-10-21 | 2017-04-07 | 具备前后回动把手的门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637A KR101747925B1 (ko) | 2016-10-21 | 2016-10-21 |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7925B1 true KR101747925B1 (ko) | 2017-06-16 |
Family
ID=5927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7637A KR101747925B1 (ko) | 2016-10-21 | 2016-10-21 |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7925B1 (ko) |
CN (1) | CN107975303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8128A (zh) * | 2018-05-30 | 2018-09-11 |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内部转动结构 |
KR102064296B1 (ko) * | 2018-09-27 | 2020-01-09 | 빌드원 주식회사 |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
KR102215723B1 (ko) | 2019-08-22 | 2021-02-16 | (주)솔리티 |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
KR20220022611A (ko) | 2020-08-19 | 2022-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핸들 조립체 |
KR20220126831A (ko) * | 2021-03-09 | 2022-09-19 | 주식회사 거봉 |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021Y1 (ko) * | 2013-03-13 | 2014-06-12 | (주)혜강씨큐리티 |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KR200475874Y1 (ko) * | 2013-03-13 | 2015-01-0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
KR101759733B1 (ko) * | 2015-02-24 | 2017-07-31 | 키플레이주식회사 | 푸쉬풀형 도어록 바디 |
CN204728816U (zh) * | 2015-06-29 | 2015-10-28 | 北京安恒利通科技股份公司 | 一种门把手 |
-
2016
- 2016-10-21 KR KR1020160137637A patent/KR1017479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4-07 CN CN201710223203.0A patent/CN107975303A/zh active Pending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18128A (zh) * | 2018-05-30 | 2018-09-11 |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 推拉锁内部转动结构 |
CN108518128B (zh) * | 2018-05-30 | 2024-02-02 |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 推拉锁内部转动结构 |
KR102064296B1 (ko) * | 2018-09-27 | 2020-01-09 | 빌드원 주식회사 |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
KR102215723B1 (ko) | 2019-08-22 | 2021-02-16 | (주)솔리티 | 푸쉬풀 방식 디지털 도어록 |
KR20220022611A (ko) | 2020-08-19 | 2022-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핸들 조립체 |
KR20220126831A (ko) * | 2021-03-09 | 2022-09-19 | 주식회사 거봉 |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
KR102460697B1 (ko) * | 2021-03-09 | 2022-11-01 | 주식회사 거봉 | 선택적 전후 회동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975303A (zh) | 2018-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7925B1 (ko) | 전후 회동 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 | |
KR101656027B1 (ko) |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 |
KR101671408B1 (ko) |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 |
CN102197184B (zh) | 机电锁和闩锁装置 | |
US6898952B1 (en) | Electric padlock | |
KR101868469B1 (ko) | 방향 전환이 용이한 푸쉬풀 도어락 | |
CN108252574A (zh) | 锁具的滑动致动器总成 | |
KR20110096744A (ko) |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 |
CN109306826B (zh) | 防止门栓锁死的门锁插锁 | |
KR101320590B1 (ko) | 도어락의 섬턴 위치 변경장치 및 그 변경방법 | |
KR101742771B1 (ko) | 침입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어락 | |
KR102122711B1 (ko) |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 |
US9790710B2 (en) | Pushbutton combination lock | |
US20080216531A1 (en) | Locking apparatus | |
KR200489832Y1 (ko) |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 |
KR101929708B1 (ko) | 창호용 그립핸들 | |
CN108729766B (zh) | 具有逃生功能的插锁手柄轴连接结构 | |
CA2609647A1 (en) |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 |
KR102449598B1 (ko) |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 |
CN109891039B (zh) | 机动车用锁闭单元 | |
CN106968513B (zh) | 一种锁体结构、开锁方法及智能车锁 | |
CN210598448U (zh) | 一种把手离合结构及门锁 | |
CN112593781A (zh) | 一种智能门锁控制装置及采用其的智能门锁 | |
CN108756511B (zh) | 具有双向结构体的门锁插锁 | |
CN108756513B (zh) | 防止锁舌随意弹进的门锁插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