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47B1 -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 Google Patents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47B1
KR101301247B1 KR20120041721A KR20120041721A KR101301247B1 KR 101301247 B1 KR101301247 B1 KR 101301247B1 KR 20120041721 A KR20120041721 A KR 20120041721A KR 20120041721 A KR20120041721 A KR 20120041721A KR 101301247 B1 KR101301247 B1 KR 10130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block
latch
simultaneous release
release operat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형진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4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247B1/ko
Priority to CN201310135947.9A priority patent/CN103375051B/zh
Priority to US13/865,428 priority patent/US94165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4Arrangements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s which engage one another are mounted respectively on the wing and the frame and are both movable, e.g. for release by moving either of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34Sliding
    • Y10T292/0836Op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수 또는 우수 도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도어록의 모티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수단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일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작동구조를 갖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rotating direction free type mortise}
본 발명은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레버 및 실외 레버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데드 볼트 및 래치 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작동블럭들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도어락의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의 인출여부에 따라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장치이다. 래치 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 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도어록은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 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 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한편,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 도어를 신속히 밖으로 탈출해야 하는 경우 데드볼트를 별도로 해제하는 것이 신속히 도어를 열고 탈출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실내 레버의 조작만으로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를 동시에 열리도록 한 소위 '패닉(panic) 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도어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6836호를 포함하여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서는 래치볼트 또는 데드볼트를 잠금해제하기 위해 래치볼트 또는 데드볼트를 견인하는 작동수단이 오직 한 방향으로 회전해야만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도어의 위치가 좌수인지 우수인지에 따라서 실외 또는 실내 레버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는 푸쉬 앤 풀 형태의 도어락에서는 모티스와는 별도로 회전력변환수단을 구비하여 장착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수단을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일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작동구조를 갖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틀의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 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견인하여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작동하는 래치작동블럭과, 실외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 및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력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상기 제1가압부에 의해 압력을 전달받는 수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수압부를 밀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래치작동블럭이 일체로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연동하는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래치작동블럭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래치작동블럭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래치볼트의 일측을 견인하는 래치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절개된 양측에 단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의 수압부는 상기 양측 단부들 중의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에는 각각 상호 기어물림하는 기어치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상기 래치볼트를 견인하는 래치걸림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걸림날개의 아래면을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밀어주어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회전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틀의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드 볼트와, 상기 데드 볼트를 견인하여 상기 데드 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작동하는 동시해제작동블럭과, 실내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 및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력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압력을 전달받는 수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수압부를 밀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이 일체로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연동하는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상기 데드 볼트를 견인하는 데드볼트걸림날개에 의해 상기 데드 볼트를 견인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에는 래치 볼트를 견인하는 래치볼트걸림날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절개된 양측에 단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수압부는 상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양측 단부들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에는 각각 상호 기어물림하는 기어치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상기 래치걸림날개의 아래면을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밀어주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 의하면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모티스에 내장된 회전력전환구조에 의해 항상 최종적으로는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출력되게 되므로 모티스와 별도로 회전력의 방향을 변환하는 장치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푸쉬 앤 풀 타입 도어락에서 좌수 또는 우수의 도어 어느 것에도 동일한 모티스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제거한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 및 동시해제작동블럭과 그 주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 및 동시해제작동블럭과 그 주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들을 도5와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회전력전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회전력전환부재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일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의 최종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일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동시해제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동시해제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의 최종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내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제거한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 및 동시해제작동블럭과 그 주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 및 동시해제작동블럭과 그 주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들을 도5와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회전력전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회전력전환부재 및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 구조는 상부케이스(1)(실내측), 하부케이스(2)(실외측), 바디프론트(3), 래치볼트(10)(Latch Bolt), 데드볼트(20)(Dead Bolt), 제1래치링크(30), 제2래치링크(31), 래치작동블럭(40), 동시해제작동블럭(60), 동력 전달부(100) 및 기어박스(11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는 디지털 도어록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하부케이스(2)(실외측)의 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를 작동하여 열 수 있는 실외 레버(미도시)가 마련되고, 상부케이스(1)(실내측)의 외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를 열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레버(미도시)가 마련된다.
바디프론트(3)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의 측면, 즉 도어틀의 홈 측에 형성되며, 래치볼트(10) 및 데드볼트(20)가 드나들 수 있는 인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볼트(1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 즉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시, 도어틀에 닿으면서 인입되도록 돌출된 부분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래치볼트(10)는 래치볼트(10)에 결합된 래치 샤프트(11) 및 래치 샤프트(11)에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12)와 함께 이송된다. 즉, 래치볼트(10)의 일측에 래치 샤프트(11)가 삽입 결합되며, 제1래치링크(30) 또는 제2래치링크(31)에 걸릴 수 있는 플레이트 포스트(13)가 마련된 래치 플레이트(12)가 래치 샤프트(11)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작동하여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과 연동된 제1래치링크(30) 또는 제2래치링크(31)가 회전하여 플레이트 포스트(13)를 잡아당기면, 래치볼트(10)가 도어록의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래치볼트 가이드에 지지된 래치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래치볼트(10)가 도어록의 외부로 돌출된다.
데드볼트(20)는 상부케이스(1) 및 하부케이스(2)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도어틀의 홈에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도어를 잠금해제시킨다. 데드볼트의 후방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 데드볼트 슬라이더(25)가 결합되어 있다.
래치볼트(10)와 데드볼트(20) 사이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데드볼트(20)를 전진시키기 위한 닫힘확인센서(7)가 구비된다.
제1래치링크(30) 및 제2래치링크(31)는 래치볼트를 당겨서 잠금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메랑 형상을 가지며 하부케이스에 래치 링크 샤프트(33)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래치링크(30) 및 제2래치링크(31)는 각각 래치 플레이트(12)에 마련된 플레이트 포스트(13)의 하단과 상단을 견인함으로써 래치볼트(10)를 잠금해제시킨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작동블럭(4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동시해제작동블럭(60),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는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동일 회전축 상에서 결합된다.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에는 실외레버 축(9) 또는 실내레버 축(8)이 결합되는 결합홀들(55, 74, 8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와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에는 실외 레버의 회전축인 실외레버 축(9)이 결합되는 다각형의 실외레버 결합홀들(55, 85)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에는 실내 레버의 회전축인 실내레버 축(8)이 결합되는 다각형의 실내레버 결합홀(74)이 형성되어 있다. 실외레버 축(9) 및 실내레버 축(8)의 단면의 형상은 사각형 및 육각형이고,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와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홀들(55, 74, 85)이 형성된다. 따라서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하단에서 실내레버 축(8)을 먼저 삽입하면, 실내레버 축(8)은 실외레버 결합홀(55), 실내레버 결합홀(74) 및 실외레버 결합홀(85)를 관통하고, 실외레버 축(9)은 그 상단이 실외레버 결합홀(55)까지만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실내레버 결합홀(74)의 크기가 실외레버 결합홀들(55, 85)의 크기보다 작게 하고, 실내레버 축(8) 역시 실외레버 축(9)보다 크기가 작게 함으로써, 실내레버 축(8)은 실외레버 결합홀(55)를 그대로 관통하여 실내레버 결합홀(74)에 밀착되듯이 안착되고, 실외레버 축(9)은 실내레버 결합홀(74)를 통과하지는 못하고 상단이 실외레버 결합홀(55)에 밀착되듯이 안착된다.
실외레버 축(9)과 실내레버 축(8)은 볼조인트(미도시)를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래치작동블럭(40)은 래치볼트(10)의 잠금해제를 위해 제1래치링크(30)를 견인하는 것으로서 내측에 원형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일측에 제1래치걸림날개(41)가 형성되고 절개된 일측 단부에는 제1수압부(45)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외측 케이스(2)에 형성된 호형 관통공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47)가 형성된다. 제1래치걸림날개(41)의 아래부분에는 곡면으로 된 제2수압부(42)가 형성되고 윗부분에는 제1래치링크(30)를 견인하는 제1래치가압부(43)가 형성된다.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는 래치작동블럭(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에 상기 래치작동블럭(40)의 원형의 관통된 공간에 삽입되는 원형의 돌출부(51)가 형성되고 돌출부(51)의 둘레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기어치들(52)이 형성된다. 기어치들(52) 중에서 최외측에 위치한 기어치의 측면은 제1연동가압부(53)가 된다.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는 반대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후술할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안착되는 안착홈(54)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돌출가이드(57)가 형성되며 돌출가이드(57)의 상단에는 결합돌기(58) 및 결합홈(59)이 형성된다.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중앙에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실외레버 결합홀(55)이 형성된다.
동시해제작동블럭(60)은 제2래치링크를 견인하고 데드볼트조작레버(10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원형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일측에 제2래치걸림날개(62) 및 데드볼트걸림날개(66)가 형성되며 절개된 일측 단부에는 제3수압부(61)가 형성된다. 제2래치걸림날개(62)의 아래부분에는 곡면으로 된 제4수압부(63)가 형성되고 윗부분에는 제2래치링크(31)를 견인하는 제2래치가압부(64)가 형성된다.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원형의 관통된 공간에 삽입되며 둘레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범위에 걸쳐 기어치들(72)이 형성된다. 기어치들(72) 중에서 최외측에 위치한 기어치의 측면은 제2연동가압부(73)가 된다.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는 중앙에 육각형으로 관통된 실내레버 결합홀(74)이 형성되고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일면에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안착홈(54)에 삽입되는 돌출부(76)가 형성된다.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는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를 사이에 두고 래치작동블럭(4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외 레버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로 전달하여 래치작동블럭(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에 실외레버 결합홀(85)이 형성되고 일측에 소정의 각도구간의 외측부(81)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부(81) 이외의 둘레 부분은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기어치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외측부(81)에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돌출가이드(57)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피스가 결합되는 결합공(82)이 형성된다.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는 도어락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디에 실외 레버가 결합되더라도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로 실외 레버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좌우수 겸용의 도어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래치작동블럭(4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동시해제작동블럭(60),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의 상호간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를 회전시키면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에 일체로 결합된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가 회전하고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에 의해 가압되는 래치작동블럭(40)이 회전하며, 이 때 동시해제작동블럭(6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는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해제작동블럭(6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는 래치작동블럭(4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와 어떠한 연동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한편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를 회전시키면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회전하며, 이 때 래치작동블럭(4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는 회전하지 않는다. 래치작동블럭(4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래치작동블럭 연동부(80)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와 어떠한 연동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전환부재(90)는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의 회전력을 방향을 전환하여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와 기어물림하는 래치조작측 랙기어(91)와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와 기어물림하는 동시조작측 랙기어(95) 및 슬라이드 안내부(98)로 구성된다.
래치조작측 랙기어(91)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에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기어치들과 기어물림하는 제1랙기어(92)가 형성되고 일단에 경사진 면으로 된 제1경사면가압부(93)가 형성되며, 래치조작측 랙기어(91)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안내부(98)의 측면 상부(99)에 안착되는 제1안내돌기(94)가 형성된다. 래치조작측 랙기어(91)는 제1경사면가압부(93)가 래치작동블럭(40)의 제2수압부(4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동시조작측 랙기어(95)는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에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기어치들(72)과 기어물림하는 제2랙기어(96)가 형성되고 일단에 경사진 면으로 된 제2경사면가압부(97)가 형성되며, 동시조작측 랙기어(95)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안내부(98)의 측면 상부(99)에 안착되는 제1안내돌기(94)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2안내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동시조작측 랙기어(95)는 제2경사면가압부(97)가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제4수압부(6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 안내부(98)는 양측에 각각 단차진 측면 상부(99)가 형성되며 양측의 단차진 부분의 측면 상부(99)에 동시조작측 랙기어(95)와 래치조작측 랙기어(91)의 안내돌기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면서 동시조작측 랙기어(95)와 래치조작측 랙기어(9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기어박스(110)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어(미도시)들을 포함하며 후술할 동력전달부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박스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동력 전달부(100)는 외력 또는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데드볼트(20)로 전달하여 데드볼트(20)를 이송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동력전달부(90)는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노브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거나 또는 실내 레버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데드볼트(20)를 이송시킨다.
동력 전달부(100)는 기어 레버(101), 기어 레버(101)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데드볼트조작레버(103) 및 오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어 레버(101)는 둘레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물림을 통해 기어박스(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기어 레버(101)는 회전편(미도시)과 오링(미도시)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데드볼트조작레버(103)와 결합된다. 즉, 기어 레버(101)는 내측으로 오링을 통해 회전편이 결합되어 있고 회전편이 데드볼트조작레버(103)에 걸려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편에는 소정 길이의 원호형 장공이 형성되고 데드볼트조작레버(103)에는 장공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되어 기어 레버(101)가 회전시 회전편의 장공의 끝에 데드볼트조작레버(103)의 돌기가 걸리는 경우에만 회전편을 회전이 데드볼트조작레버(103)로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회전편의 장공과 데드볼트조작레버(103)의 돌기의 사이에 헛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데드볼트조작레버(103)가 실내 레버에 의해 회전할 경우 회전력이 기어박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데드볼트조작레버(103)는 데드볼트(2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조작아암(104)이 형성되며, 조작아암(104)의 상부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데드볼트걸림날개(66)에 의해 가압되는 원호형의 제5수압부(105)가 돌출 형성되고 제5수압부(105)의 아래에는 데드볼트(20)에 연결된 데드볼트 슬라이더(25)의 걸림홈(26)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데드볼트(20)를 이송시키는 데드볼트(20) 가압부(106)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 레버(101)가 기어박스(11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면 데드볼트조작레버(103)가 회전하여 데드볼트(20)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또는 실내에서 내측 레버를 회전시키면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데드볼트걸림날개(66)가 데드볼트조작레버(103)의 제5수압부(105)를 밀어주어 데드볼트조작레버(103)가 회전하면서 데드볼트(20)가 이송된다. 이때 데드볼트조작레버(103)와 하부케이스(2) 사이에는 데드볼트 스프링(107)이 결합되어 있는데, 데드볼트조작레버(103)의 조작아암(104)이 일정 각도만 회전하면, 데드볼트 스프링(107)이 데드볼트조작레버(103)에 회전력을 부가해주어 데드볼트조작레버(103)의 조작아암(104)이 강하게 데드볼트(20)를 밀어 후퇴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일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의 래치작동블럭의 반대방향 회전의 최종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먼지 실외 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외 레버에 결합된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의 제1연동가압부(53)가 래치작동블럭(40)의 제1수압부(45)를 밀게되어 래치작동블럭(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에 기어물림하고 있던 래치조작측 랙기어(91)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래치작동블럭(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래치걸림날개(41)가 제1래치링크(30)를 견인하여 회전시키고 제1래치링크(30)가 플레이트 포스트(13)를 잡아당겨서 래치볼트(10)가 도어락의 내부로 인입된다.
다음으로 실외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와 기어물림하고 있는 래치조작측 랙기어(91)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래치조작측 랙기어(9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래치조작측 랙기어(91)의 제1경사면가압부(93)가 래치작동블럭(40)의 제2수압부(42)를 밀어올리게 되고 래치작동블럭(40)의 제2수압부(42)가 위로 상승하면 래치작동블럭(4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래치작동블럭(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래치걸림날개(41)가 제1래치링크(30)를 견인하여 회전시키고 제1래치링크(30)가 플레이트 포스트(13)를 잡아당겨서 래치볼트(10)가 도어락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래치조작측 랙기어(91)는 실외 레버의 회전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래치작동블럭(4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에는 실내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제2연동가압부(73)가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제4수압부(63)를 밀게되어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에 기어물림하고 있던 동시조작측 랙기어(95)는 좌측으로 이동한다.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래치걸림날개(62)가 제2래치링크(31)를 견인하여 회전시키고 제2래치링크(31)가 플레이트 포스트(13)를 잡아당겨서 래치볼트(10)가 도어락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데드볼트걸림날개(66)가 데드볼트조작레버(103)를 회전시켜 데드볼트(20)(20)가 도어락 내측으로 인입된다.
다음으로 실내 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레버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기어치(72)와 기어물림하고 있는 동시조작측 랙기어(95)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동시조작측 랙기어(9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동시조작측 랙기어(95)의 제2경사면가압부(97)가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제4수압부(63)를 밀어올리게 되고 동시해제작동블럭(60)의 제4수압부(63)가 위로 상승하면 동시해제작동블럭(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래치걸림날개(62)가 제1래치링크(30)를 견인하여 회전시키고 제1래치링크(30)가 플레이트 포스트(13)를 잡아당겨서 래치볼트(10)가 인입되고, 데드볼트걸림날개(66)가 데드볼트조작레버(103)를 회전시켜 데드볼트(20)가 도어락 내측으로 인입된다. 즉 동시조작측 랙기어(95)는 실내 레버의 회전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동시해제작동블럭(6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실내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든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든 항상 동시해제작동블럭(60)은 시계방향(래치볼트(10)와 데드볼트(20)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실내 레버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래치볼트(10)와 데드볼트(20)의 잠금해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구조는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래치작동블럭(40)이나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모티스를 좌수 또는 우수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모두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을 회전시키면 래치볼트 또는 데드볼트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도어락은 도어 방향이 좌수인지 우수인지에 따라 도어록의 래치작동블럭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방향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도어 방향이 좌수인지 우수인지에 따라 외측 핸들 또는 내측 레버의 회전방향을 다르게 구성한다. 그러나 푸쉬 앤 풀 오픈 형태(push and pull open type)의 도어록에서는 도어 외측에서는 항상 손잡이를 당기는 작동만 가능하며 도어 내측에서는 항상 손잡이를 밀어내는 작동만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록의 래치작동블럭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주는 힘방향 전환 모듈을 좌수 또는 우수의 도어인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티스 구조에서는 도어록의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을 회전시키는 방향이 어떤 방향인지에 무관하게 모두 도어락의 래치작동블럭(40) 또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을 잠금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어가 좌수 또는 우수인지에 따라 손잡이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구성이 필요없으며 특히 푸쉬 앤 풀 오픈 형태(push and pull open type)의 도어록에서 힘방향 전환 모듈을 2가지 형태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외 레버를 조작하면 래치볼트(10)만 해제되고, 실내 레버를 조작하면 래치볼트(10)와 데드볼트(20)가 동시에 해제되는 패닉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실외 레버의 조작과 실내 레버의 조작시에는 완전히 독립된 구성들의 움직임에 의해 래치볼트(10)(또는 래치볼트(10)와 데드볼트(20))가 해제된다. 즉 실내 레버의 조작은 실외 레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실외에 있던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실외 레버 움직임에 의해 손이 다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화재 등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시 실외 레버가 고장나거나 파손되어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더라도, 실외 레버에 결합되는 래치작동블럭(40)과 실내 레버에 결합되는 동시해제작동블럭(60)이 상호간에 완전히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실외 레버가 고장난 경우에도 실내 레버는 회전이 가능하여 신속하게 도어를 열고 탈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외 레버 및 실내 레버의 용어는 실외측 및 실내측에 형성되어 도어락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도어락을 잠금해제시키는 구성을 포괄적으로 명명한 것으로서, 회전식 손잡이 뿐만 아니라 푸쉬 앤 풀 오픈 형태의 도어락의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를 대체하는 다양한 작동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의 회전에 의해 래치작동블럭(4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6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인 회전력전환부재(90)로서 동시조작측 랙기어(95)와 래치조작측 랙기어(91)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와 회전력전환부재(90)의 동력전달방식의 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와 회전력전환부재(90)의 동력전달방식을 기어물림이 아닌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래치작동블럭 조작부(50) 및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70)에 기어치를 대신하여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회전력전환부재(90)가 걸림돌기에 걸려서 직선상의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래치볼트, 20 데드볼트, 40 래치작동블럭, 50 래치작동블럭 조작부, 60 동시해제작동블럭, 70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 80 래치작동블럭 연동부, 90 회전력전환부재, 100 동력전달부, 110 기어박스

Claims (10)

  1. 도어틀의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래치 볼트;
    상기 래치볼트를 견인하여 상기 래치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작동하는 래치작동블럭;
    실외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래치작동블럭 조작부; 및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력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압력을 전달받는 수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수압부를 밀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래치작동블럭이 일체로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연동하는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래치작동블럭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래치볼트의 일측을 견인하는 래치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절개된 양측에 단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작동블럭의 수압부는 상기 양측 단부들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에는 각각 상호 기어물림하는 기어치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작동블럭은 상기 래치볼트를 견인하는 래치걸림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걸림날개의 아래면을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밀어주어 상기 래치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6. 도어틀의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드 볼트;
    상기 데드 볼트를 견인하여 상기 데드 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작동하는 동시해제작동블럭;
    실내측 작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을 회전시키는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 및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과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력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압력을 전달받는 수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수압부를 밀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이 일체로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연동하는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을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에는 상기 데드 볼트를 견인하기 위한 데드볼트걸림날개와 래치볼트를 견인하기 위한 래치걸림날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은 절개된 고리형상이며 절개된 양측에 단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상기 수압부는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상기 양측 단부들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에는 각각 상호 기어물림하는 기어치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 조작부와 연동하는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회전력전환부재가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력전환부재의 상기 경사면이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의 상기 래치걸림날개를 위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동시해제작동블럭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20120041721A 2012-04-20 2012-04-20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10130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721A KR101301247B1 (ko) 2012-04-20 2012-04-20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CN201310135947.9A CN103375051B (zh) 2012-04-20 2013-04-18 能够双向解锁的榫眼结构
US13/865,428 US9416567B2 (en) 2012-04-20 2013-04-18 Two-way releasable mortis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721A KR101301247B1 (ko) 2012-04-20 2012-04-20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247B1 true KR101301247B1 (ko) 2013-08-28

Family

ID=4922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1721A KR101301247B1 (ko) 2012-04-20 2012-04-20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6567B2 (ko)
KR (1) KR101301247B1 (ko)
CN (1) CN10337505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252A (zh) * 2015-12-04 2016-02-03 陈光次 一种智能锁
KR101673493B1 (ko) * 2015-07-02 2016-11-08 주식회사 이랜시스 양방향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KR20170106530A (ko) * 2016-03-10 2017-09-21 주식회사 이랜시스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0811A3 (nl) * 2012-05-07 2014-05-06 Parys Remi E Van Paniekslot.
KR102288624B1 (ko) * 2017-06-22 2021-08-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모티스
KR101891782B1 (ko) * 2017-12-20 2018-09-28 (주)이노인스트루먼트 양방향 패닉 구조체를 구비한 도어록 모티스
CN108181588B (zh) * 2018-03-01 2020-03-03 杭州意能电力技术有限公司 海上风电工程受电启动带负荷试验方法
US10858862B2 (en) * 2018-11-09 2020-12-08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set with powered retraction
IT201900009867A1 (it) * 2019-06-24 2020-12-24 Pba S P A Struttura di serratura
US11377874B2 (en) * 2019-08-21 2022-07-05 Qianyan Cheng Auto-latching/locking mortise lock for sliding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10Y1 (ko) 2005-05-03 2005-08-09 (주)대양디앤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442A (en) * 1898-03-29 Adam e
US1576007A (en) * 1924-11-28 1926-03-09 Springer William Charles Lock
US5265920A (en) * 1988-09-16 1993-11-30 Aug. Winkaus GmbH & Co. KG Drive rod lock
AT400062B (de) * 1993-03-26 1995-09-25 Roto Frank Eisenwaren Mehrriegelschloss
GB9314326D0 (en) * 1993-07-09 1993-08-25 Sedley Bruce S Magnetic card- operated door closure
DE29719611U1 (de) * 1997-11-05 1999-03-11 Gretsch Unitas Gmbh Schloß, insbesondere Einsteckschloß für eine Außentür
FR2776328B1 (fr) * 1998-03-19 2000-04-28 Ferco Int Usine Ferrures Dispositif de rappel d'un organe de manoeuvre pour boitier de serrure, cremone-serrure ou analogue
US6993946B1 (en) * 2004-11-15 2006-02-07 I-Tek Metal Mfg. Co., Ltd. Lock with clutching function
KR100656273B1 (ko) * 2005-05-30 2006-12-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JP2007162297A (ja) * 2005-12-13 2007-06-28 Miwa Lock Co Ltd プシュ・プル錠
JP4751258B2 (ja) * 2006-07-10 2011-08-1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可動レバーの付勢装置
US7878034B2 (en) * 2007-02-02 2011-02-01 Hoppe Holding Ag Locking arrangement for a hinged panel
DE102009006495A1 (de) * 2009-01-28 2010-08-05 Dorma Gmbh + Co. Kg Schloss, insbesondere Schwenkriegelschloss, mit erhöhter Schutzwirkung
CN102392560B (zh) * 2011-11-09 2013-10-23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一种可换向锁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10Y1 (ko) 2005-05-03 2005-08-09 (주)대양디앤티 디지털 도어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493B1 (ko) * 2015-07-02 2016-11-08 주식회사 이랜시스 양방향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CN105298252A (zh) * 2015-12-04 2016-02-03 陈光次 一种智能锁
KR20170106530A (ko) * 2016-03-10 2017-09-21 주식회사 이랜시스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KR101873396B1 (ko) * 2016-03-10 2018-08-03 주식회사 이랜시스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5051B (zh) 2016-03-23
US9416567B2 (en) 2016-08-16
US20130277988A1 (en) 2013-10-24
CN103375051A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24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US6328353B1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9222286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301248B1 (ko) 데드볼트의 우선 이송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US8056941B2 (en) Lock with emergency unlocking mechanism
JP2008506050A5 (ko)
KR101822760B1 (ko) 푸시풀 도어락
KR200464167Y1 (ko) 디지털 도어록
CN210738299U (zh) 提升组装性和操作稳定性的榫眼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20120001047U (ko)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101987891B1 (ko) 스프링 리턴 타입 액추에이터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101993260B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AU2012100117A4 (en) Improvements in locks
BR0013945A (pt) Montagem de tranca e montagem do atuador para travar e destravar uma tranca de porta de veìculo
CN109386186B (zh) 门闩转动式门锁插芯
KR200458458Y1 (ko) 창문용 손잡이식 자동잠금장치
KR102370027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