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530A -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530A
KR20170106530A KR1020160028674A KR20160028674A KR20170106530A KR 20170106530 A KR20170106530 A KR 20170106530A KR 1020160028674 A KR1020160028674 A KR 1020160028674A KR 20160028674 A KR20160028674 A KR 20160028674A KR 20170106530 A KR20170106530 A KR 20170106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atch
door lock
block
hand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396B1 (ko
Inventor
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to KR102016002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396B1/ko
Priority to CN201710077724.XA priority patent/CN107178246B/zh
Publication of KR2017010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49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 E05B17/2053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relating to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6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ocks with two or more bolts, each bolt itself being a tumb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이 결합되는 핸들블록과 핸들블록의 둘레에 결합된 걸림수단 사이에 회전할 수 있는 틈을 마련하여 함으로써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도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Door lock mortise having bi-directional release function}
본 발명은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이 결합되는 핸들블록과 핸들블록의 둘레에 결합된 걸림수단 사이에 회전할 수 있는 틈을 마련하여 함으로써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도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모티스는 레버 등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래치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즉, 닫힘의 기능만 수행)이며, 잠금 수단은 아니다. 따라서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Mortise)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물론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한편,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1560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락 모티스의 부품 중에서 양방향으로 잠금해제를 수행하는 부품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도어락 모티스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모티스에서,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에서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과 결합되어 상기 실외 핸들축 및 상기 실내 핸들축의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핸들블록; 상기 핸들블록은,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포함되어 서로 결합된 형태에서, 상기 제2핸들블록의 둘레에는 패닉걸림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3핸들블록의 둘레에는 상기 제2핸들블록에 형성된 제2핸들걸림턱 및 상기 제3핸들블록에 형성된 제3핸들걸림턱에 맞닿아 있는 래치걸림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걸림턱 및 상기 제3핸들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래치이송암; 상기 래치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래치링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핸들블록의 일측에는 제2핸들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핸들가압돌기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패닉걸림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회전력전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핸들블록에 일측에 형성된 제3핸들가압날개가 상기 래치이송암을 이동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실외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핸들걸림턱이 상기 래치걸림수단을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래치걸림수단이 상기 래치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실내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핸들걸림턱이 상기 래치걸림수단을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래치걸림수단이 상기 래치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실내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핸들블록 일측에 형성된 제2핸들가압날개가 상기 래치이송암을 이동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락 모티스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좌수 및 우수 도어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내부의 핸들블록이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핸들블록은 나뉘어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과 결합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핸들블록 중에는 둘레에 걸림수단이 결합되어 핸들블록과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걸림수단을 제외하고 핸들블록만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2가지 회전 패턴에 의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는 잠금해제 된다. 즉,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동일하게 잠금해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왼쪽에 있는 우수 도어나 오른쪽에 있는 좌수 도어라 할지라도 구조변경 없이 겸용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푸시풀 도어락 모티스인 경우에는 하나의 도어에 대하여 실내측에서 밀고 실외측에서 당김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와 이와는 반대로, 또 다른 하나의 도어에 대하여 실외측에서 밀고 실내측에서 당김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2가지 형태에 대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수행하는 부품이 별도로 구비되어 특정 부품에만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휘어지는 것과 같은 손상이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정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핸들블록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의 반대편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핸들블록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블록의 분해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핸들블록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8은 도6에 도시된 핸들블록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9는 도6에 도시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6에 도시된 제2핸들블록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도11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이송암 및 회전력전환부재를 제거한 저면사시도.
도13은 도11에 도시된 제2핸들블록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정면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핸들블록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의 반대편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4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핸들블록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블록의 분해사시도이며, 도7은 도6에 도시된 핸들블록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도6에 도시된 핸들블록을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이하 '도어락 모티스'라 함)는 케이스, 바디프론트(30), 래치볼트(100), 래치이송암(180), 핸들블록(190), 회전력전환부재(270), 기어박스(280), 데드볼트레버(300), 데드볼트(310), 슬라이더(320) 및 PCB(330)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실외측케이스(10) 및 실내측케이스(20)를 포함하고, 도어락 모티스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실외측케이스(10)의 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0)를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실외 핸들축(미도시)이 결합되고, 데드볼트(31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또는 카드접촉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실내측케이스(20)의 외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0)를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실내 핸들축(미도시)이 결합되고, 데드볼트(310)를 해제시키기 위한 노브(knob) 또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바디프론트(30)는 실외측케이스(10) 및 실내측케이스(20)의 측면, 즉 스트라이커(미도시)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310)가 드나들 수 있는 인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볼트(10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 즉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게 될 때, 스트라이커에 접촉하는 부분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볼트(100)는 래치볼트(100)에 결합된 래치샤프트(130)와 함께 움직인다. 즉, 래치볼트(100)의 일측에 래치샤프트(130)가 래치볼트가이드(120)를 통과하여 삽입 결합되고, 래치샤프트(130)를 래치스프링(110)이 감싸고 있으며, 래치링크(160)에 걸릴 수 있는 래치포스트(150)가 마련된 래치플레이트(140)가 래치샤프트(130)의 끝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 작용하면 핸들블록(190)에 걸려있는 래치링크(160)가 회전하여 래치포스트(150)를 잡아당기면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고,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래치볼트가이드(120)에 지지된 래치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래치볼트(100)가 다시 전진하여 도어락 모티스 외부로 돌출된다.
래치이송암(180)은 래치포스트(150)와 래치링크(160)에 결합된 이송암지지대(185)에 의해 도어락 모티스 내부에서 지지되고, 핸들블록(190)과 래치포스트(150)에 걸려 래치볼트(100)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이송암(180)은 래치포스트걸림홀(181)과 핸들블록걸림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포스트걸림홀(181)에는 래치포스트(150)가 관통되어 걸려 래치링크(160) 회전 시 래치포스트(150)가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 핸들블록걸림부(182)에는 핸들블록(190)의 구성 중 일부가 걸려 핸들블록(190)의 회전에 따라 래치이송암(180)은 핸들블록(190)의 회전방향으로 직선운동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이송암(180)은 직선운동 하는 방향으로 래치포스트(150)를 잡아당겨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핸들블록(190)은 실내 핸들축 및 실외 핸들축과 결합하여 사용자가 실내 회전축 또는 실외 회전축을 회전시켰을 때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핸들블록(190)은 제1핸들블록(195)과 제3핸들블록(225) 결합 사이로 제2핸들블록(205)이 끼어있는 형태이며, 제2핸들블록(205)의 둘레에는 패닉걸림수단(245)이 추가로 결합되고, 제3핸들블록(225)에는 래치걸림수단(255)이 추가로 결합된다.
제1핸들블록(195)에는 다각형 모양의 제1결합홀(200)이 형성되어 있고, 제2핸들블록(205)에는 실내 핸들축과 연결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2결합홀(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핸들블록(225)에는 제1결합홀(20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실외 핸들축과 결합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3결합홀(230)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실외측인 제1핸들블록(195) 방향에서 실외레버와 결합되는 실외 핸들축 및 실내레버와 결합되는 실내 핸들축이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축모듈(미도시)을 삽입하면, 실외 핸들축은 제3결합홀(230)에 안착 결합되고, 실내 핸들축은 제3결합홀(230)을 관통하여 제2결합홀(210)에 안착 결합된다. 제1결합홀(200) 및 제3결합홀(230)의 크기는 제2결합홀(210)보다 크게 설계된다. 그러므로 실내 핸들축을 회전시키면 제1결합홀(200)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제2핸들블록(205)만 회전시키게 된다.
실외 핸들축을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205)은 정지된 상태로 제1핸들블록(195)이 회전되는데, 이 때 제1핸들블록(195)과 제3핸들블록(225)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3핸들블록(225)에는 제3핸들걸림턱(235) 및 제3핸들가압날개(240)가 형성되어 제3핸들블록(225)이 회전될 때 제3핸들걸림턱(235)과 제3핸들가압날개(240)는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제3핸들걸림턱(235)은 래치걸림수단(255)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가압날개(240)는 제3핸들블록(225)의 회전에 따라 래치이송암(180)을 당겨 래치이송암(180)을 직선운동 시킨다.
실내 핸들축을 회전시키면 실내 핸들축과 연결된 제2핸들블록(205)이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제2핸들블록(205)에는 제2핸들걸림턱(215), 제2핸들가압날개(220) 및 제2핸들가압돌기(221)가 형성되어 제2핸들블록(205)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데, 제2핸들걸림턱(215)은 그 일부가 래치걸림수단(255)과 맞닿아 있기 ??문에 래치걸림수단(255)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가압날개(220)는 제3핸들가압날개(240)와 마찬가지로 래치이송암(180)을 당겨 래치이송암(180)을 직선운동 시키며, 제2핸들가압돌기(221)는 회전력전환부재(270)를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핸들블록(195), 제2핸들블록(205), 및 제3핸들블록(225)의 회전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모티스에 대하여 돌출 및 인입되는데, 이를 이후 동작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력전환부재(270)는 제2핸들가압돌기(221)와 맞닿아 제2핸들가압돌기(221)의 회전에 따라 패닉걸림수단(245)을 회전시켜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력전환부재(270)는 회전의 중심이 회전지지막대(275)에 관통되어 실외측케이스(10)의 벽면에 지지된다.
기어박스(280)는 감속기어(미도시)를 통해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기어(281)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구동기어(28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281)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290)에 전달되며, 종동기어(290)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레버(300)가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데드볼트레버(300)의 둘레에는 종동기어(290)가 결합되어 있으며, 외력 또는 구동기어(28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더(320)를 이송시킴으로써 데드볼트(310)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도록 한다. 즉, 데드볼트레버(300)는 노브 또는 열쇠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또한 데드볼트레버(300)와 결합된 종동기어(290)가 구동기어(28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 데드볼트레버(300)가 회전 가능한 것이다.
데드볼트레버(300)의 둘레 일측에는 데드볼트이송암(302)이 형성되어 있고, 데드볼트이송암(302)의 윗면에는 접촉돌기(301)가 위치하고 있다. 즉, 접촉돌기(301)는 데드볼트이송암(302)과 마찬가지로 데드볼트레버(300)에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접촉돌기(301)와 데드볼트이송암(302)은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접촉돌기(301)가 회전함에 따라 데드볼트이송암(302) 또한 접촉돌기(30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같이 움직이게 된다.
접촉돌기(301)는 슬라이더(320)에 형성된 데드볼트이송암안착부(321)에 위치하여 데드볼트이송암(302)이 전진턱(322)을 밀거나 후진턱(323)을 당김으로써 슬라이더(320)를 움직이게 하며, 제2핸들블록(205)의 둘레에 결합된 패닉걸림수단(245)의 레버걸림바(250)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320)의 일측은 데드볼트(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는 접촉돌기(301)가 안착되는 데드볼트이송암안착부(321)가 마련되어 있으며, 데드볼트이송암안착부(321)의 전후방으로는 전진턱(322)과 후진턱(3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 또는 열쇠를 이용하여 데드볼트레버(300)를 회전시키거나,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구동기어(281)에 맞물린 종동기어(290)가 회전하면 데드볼트이송암안착부(321)에 안착된 접촉돌기(301)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슬라이더(320)의 전진턱(322)을 밀거나 후진턱(323)을 당김으로써 슬라이더(320)가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데드볼트(310)는 잠금 혹은 잠금해제 된다.
래치볼트(100)와 데드볼트(310) 사이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더(320)를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PCB(330)의 전방에 홀아이씨(Hall IC)(미도시)가 마련되고, 스트라이커(미도시)의 홈에는 마그넷(미도시)이 장착되어, 도어가 닫히면 홀아이씨(미도시)에서 자기장을 감지함으로써 도어의 닫힘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기어박스(280) 안의 모터(미도시)에서 동력이 발생하여 종동기어(290)를 회전시킴으로써 데드볼트레버(300)에 마련된 접촉돌기(301)에 의해 슬라이더(320)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PCB(330)에는 포토센서(340)가 구비되어 슬라이더(320)가 잠금 상태인지 잠금해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이하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9는 도6에 도시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11은 도6에 도시된 제2핸들블록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도11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이송암 및 회전력전환부재를 제거한 저면사시도이며, 도13은 도11에 도시된 제2핸들블록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잠금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여 실외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외 핸들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외 핸들축에 결합된 제3핸들블록(22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3핸들블록(225)의 둘레에는 래치걸림수단(255)이 결합되어 있지만 래치걸림수단(255)이 제3핸들블록(225)의 둘레 전체에 결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외 핸들축이 시계방향 회전 시 소정 각도 내에서 제3핸들블록(225)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핸들블록(22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3핸들블록(225)의 둘레 일측에 형성된 제3핸들가압날개(240)가 핸들블록걸림부(182)에 걸려 있으므로, 래치이송암(180)을 화살표방향으로 당겨준다. 래치이송암(180)이 이동됨에 따라 래치포스트걸림홀(181)에 걸려있는 래치포스트(150) 또한 래치이송암(180)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래치포스트(150)와 결합된 래치플레이트(140)가 래치포스트(150)를 따라 이동하므로 래치플레이트(140) 및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고, 래치스프링(110)은 래치볼트가이드(120)에 이동이 막혀 있으므로 압축된다.
이후 회전이 해제되면 래치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래치볼트(100) 및 래치샤프트(130)의 위치가 복원되고, 래치플레이트(140) 및 래치포스트(150) 또한 그 위치가 복원되는데, 이 때 래치포스트(150)가 래치이송암(180)을 역으로 밀어주게 되어 래치이송암(180) 또한 위치가 복원되며, 래치이송암(180)의 핸들블록걸림부(182)가 제3핸들가압날개(240)를 밀어주어 제3핸들블록(225) 또한 그 위치가 복원된다.
도10을 참고하여 실외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외 핸들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핸들블록(225)에 형성된 제3핸들걸림턱(235)이 래치걸림수단(255)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3핸들걸림턱(235)이 래치걸림수단(255)을 반시계방향으로 밀어 올려주게 된다. 래치걸림수단(25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래치링크걸림턱(260)이 래치링크(160)를 회전시킨다. 즉, 래치링크(160)는 래치링크샤프트(17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래치링크(160)는 래치링크(160)와 걸려있는 래치포스트(150)를 밀어주게 되어 래치포스트(150)는 래치포스트걸림홀(181) 안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된다. 도9와 마찬가지로 래치포스트(150)가 이동됨에 따라 래치샤프트(130) 및 래치볼트(100)는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고 래치스프링(110)은 압축된다.
이후 실외 핸드축의 회전이 해제되면, 래치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기여한 구성들이 역순으로 동작되어 래치볼트(100)가 돌출되고, 제3핸들블록(225) 또한 그 위치가 복원된다. 결과적으로, 만약 데드볼트(310)가 이미 도어락 모티스로 인입되어 있다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11 및 도12를 참고하여 실내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데드볼트(310) 및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 핸들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면 실내 핸들축과 결합된 제2핸들블록(205)이 패닉걸림수단(245)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제2핸들블록(205)에 형성된 제2핸들걸림턱(215)이 패닉걸림수단(245)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2핸들블록(20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핸들걸림턱(215)이 패닉걸림수단(245)을 밀어 올려주게 되어 패닉걸림수단(245)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패닉걸림수단(245)의 끝단에는 레버걸림바(250)가 형성되어 있고, 레버걸림바(250)는 접촉돌기(301)와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패닉걸림수단(245)이 회전됨에 따라 레버걸림바(250)가 화살표방향으로 접촉돌기(301)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돌기(301) 하단에 형성된 데드볼트이송암(302) 또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데드볼트이송암(302)은 전진턱(322)에서 후진턱(323)으로 안착된다. 이 때 데드볼트이송암(302)이 안착되면서 후진턱(323)을 밀어주기 때문에 슬라이더(32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며, 결과적으로 슬라이더(320)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다.
도11에서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상황에서 동시에 래치볼트(100) 또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실내 핸들축과 결합된 제2핸들블록(20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패닉걸림수단(245)과 래치걸림수단(255)을 동시에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올려주게 된다. 즉, 제2핸들걸림턱(215)은 패닉걸림수단(245)과 맞닿아 있는 것과 동시에 일부분은 래치걸림수단(255)과도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제2핸들걸림턱(215)은 패닉걸림수단(245) 뿐만 아니라 래치걸림수단(255)까지 함께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것이다.
래치걸림수단(255)이 회전된다면, 앞서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즉, 래치걸림수단(255)이 래치링크(160)를 래치링크샤프트(170)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래치링크(160)는 래치포스트(150)를 밀어주게 된다. 최종적으로 래치스프링(110)이 래치볼트가이드(120)에 대하여 압축되고, 래치샤프트(13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며, 래치샤프트(130)에 연결된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 결과적으로 데드볼트(310) 및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이후 실내 핸들축의 회전이 해제되면, 래치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이동되거나 회전되었던 구성들이 역으로 움직이게 되어 래치볼트(100)는 돌출된다.
도13을 참고하여 실내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데드볼트(310) 및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실내 핸들축과 결합된 제2핸들블록(2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력전환부재(270)를 회전시킨다. 즉, 제2핸들블록(205)에 형성된 제2핸들가압돌기(221)가 회전력전환부재(270)를 밀어주고, 이에 따라 회전력전환부재(270)는 회전지지막대(275)를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제2핸들블록(205)의 둘레에는 패닉걸림수단(245)이 결합되어 있지만 패닉걸림수단(245)이 제2핸들블록(205) 둘레 전체에 결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내 핸들축이 반시계방향 회전 시 소정 각도 내에서 제2핸들블록(205)만 회전될 수 있다.
회전력전환부재(270)가 회전된다면, 회전력전환부재(270)와 맞닿아 있는 패닉걸림수단(245)을 밀어 올려주게 되므로 패닉걸림수단(245)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1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패닉걸림수단(245)의 끝단에 형성된 레버걸림바(250)가 접촉돌기(301)를 밀어주어 접촉돌기(301)가 회전됨에 따라 데드볼트이송암(302)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더(320)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며, 데드볼트(31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
도13에서 데드볼트(310)와 래치볼트(100)가 동시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핸들블록(2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제2핸들블록(205)의 일측에 형성된 제2핸들가압날개(220)가 래치이송암(180)을 당겨주게 된다. 즉, 제2핸들가압날개(220)는 래치이송암(180)의 핸들블록걸림부(182)에 걸려 있으므로 제2핸들블록(2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래치이송암(180)이 이동된다면, 래치이송암(180)의 래치포스트걸림홀(181)에 걸려 있는 래치포스트(150) 및 래치플레이트(140)가 래치이송암(180)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앞서 래치볼트(100)의 인입과정과 동일하다. 즉, 래치스프링(110)이 래치볼트가이드(120)에 대하여 압축되고, 래치샤프트(130)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되며, 최종적으로 래치샤프트(130)에 연결된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데드볼트(310) 및 래치볼트(100)가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이후 실내 핸들축의 회전이 해제되면, 래치스프링(11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이동되거나 회전되었던 구성들이 역으로 움직이게 되어 래치볼트(100)는 돌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도어락 모티스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좌수 및 우수 도어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내부의 핸들블록(190)이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고, 각각의 핸들블록(195, 205, 225)은 나뉘어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과 결합되어 있다.
이 때 각각의 핸들블록(195, 205, 225) 중에는 둘레에 걸림수단(245, 255)이 결합되어 핸들블록(195, 205, 225)과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걸림수단(245, 255)을 제외하고 핸들블록(195, 205, 225)만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2가지 회전 패턴에 의해 데드볼트(310) 및 래치볼트(100)는 잠금해제 된다. 즉,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동일하게 잠금해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작은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의 왼쪽에 있는 우수 도어나 오른쪽에 있는 좌수 도어라 할지라도 구조변경 없이 겸용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푸시풀 도어락 모티스인 경우에는 하나의 도어에 대하여 실내측에서 밀고 실외측에서 당김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와 이와는 반대로, 또 다른 하나의 도어에 대하여 실외측에서 밀고 실내측에서 당김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2가지 형태에 대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내구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도어락 모티스에서 양방향으로 잠금해제를 수행할 때 양방향으로 실외 핸들축 또는 실내 핸들축을 회전 시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310)를 인입시키는 부품에 상당한 부하가 가해져 부품이 휘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도어락 모티스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회전력전환부재(270)가 패닉걸림수단(245)만을 밀어주어 회전시킨다.
즉, 회전력전환부재(270)에는 데드볼트(310)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는 부하만 가해지고, 래치볼트(100)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작동을 수행하지 않으며, 래치볼트(100)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은 래치이송암(180)이 수행한다. 따라서 회전력전환부재(27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310)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수행하는 부품이 별도로 구비되어 특정 부품에만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휘어지는 것과 같은 손상이 적고, 이에 따라 도어락 모티스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실외측케이스
20 : 실내측케이스
30 : 바디프론트
100 : 래치볼트
110 : 래치스프링
120 : 래치볼트가이드
130 : 래치샤프트
140 : 래치플레이트
150 : 래치포스트
160 : 래치링크
170 : 래치링크샤프트
180 : 래치이송암
181 : 래치포스트걸림홀
182 : 핸들블록걸림부
185 : 이송암지지대
190 : 핸들블록
195 : 제1핸들블록
200 : 제1결합홀
205 : 제2핸들블록
210 : 제2결합홀
215 : 제2핸들걸림턱
220 : 제2핸들가압날개
221 : 제2핸들가압돌기
225 : 제3핸들블록
230 : 제3결합홀
235 : 제3핸들걸림턱
240 : 제3핸들가압날개
245 : 패닉걸림수단
250 : 레버걸림바
255 : 래치걸림수단
260 : 래치링크걸림턱
270 : 회전력전환부재
275 : 회전지지막대
280 : 기어박스
281 : 구동기어
290 : 종동기어
300 : 데드볼트레버
301 : 접촉돌기
302 : 데드볼트이송암
310 : 데드볼트
320 : 슬라이더
321 : 데드볼트이송암안착부
322 : 전진턱
323 : 후진턱
330 : PCB
340 : 포토센서

Claims (4)

  1.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해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모티스에서,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에서 실외 핸들축 및 실내 핸들축과 결합되어 상기 실외 핸들축 및 상기 실내 핸들축의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를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핸들블록;
    상기 핸들블록은,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이 포함되어 서로 결합된 형태에서,
    상기 제2핸들블록의 둘레에는 패닉걸림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3핸들블록의 둘레에는 상기 제2핸들블록에 형성된 제2핸들걸림턱 및 상기 제3핸들블록에 형성된 제3핸들걸림턱에 맞닿아 있는 래치걸림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걸림턱 및 상기 제3핸들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래치이송암;
    상기 래치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래치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핸들블록의 일측에는 제2핸들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핸들가압돌기에 걸려 상기 제2핸들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패닉걸림수단을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키는 회전력전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핸들블록에 일측에 형성된 제3핸들가압날개가 상기 래치이송암을 이동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실외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3핸들걸림턱이 상기 래치걸림수단을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래치걸림수단이 상기 래치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핸들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핸들걸림턱이 상기 래치걸림수단을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래치걸림수단이 상기 래치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고,
    상기 실내 핸들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핸들블록 일측에 형성된 제2핸들가압날개가 상기 래치이송암을 이동시켜 상기 래치볼트를 도어락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KR1020160028674A 2016-03-10 2016-03-10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KR10187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74A KR101873396B1 (ko) 2016-03-10 2016-03-10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CN201710077724.XA CN107178246B (zh) 2016-03-10 2017-02-13 双向解锁的门锁插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74A KR101873396B1 (ko) 2016-03-10 2016-03-10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530A true KR20170106530A (ko) 2017-09-21
KR101873396B1 KR101873396B1 (ko) 2018-08-03

Family

ID=5983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674A KR101873396B1 (ko) 2016-03-10 2016-03-10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3396B1 (ko)
CN (1) CN1071782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996A1 (en) * 2020-08-27 2022-03-03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61B1 (ko) * 2017-12-20 2018-07-13 (주)이노인스트루먼트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102122711B1 (ko) 2019-02-07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도어락용 플러시 핸들
TWI717254B (zh) * 2020-04-10 2021-01-21 簡文豐 磁動式閂鎖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47B1 (ko) * 2012-04-20 2013-08-2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5606B2 (ja) * 2002-10-23 2006-10-1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電気錠
CN2731022Y (zh) * 2004-08-10 2005-10-05 吴宏利 门锁锁芯
CN2841880Y (zh) * 2005-11-04 2006-11-29 闵庚洋 一种半自动门锁体结构
CN201241531Y (zh) * 2008-06-24 2009-05-20 王湘成 一种防盗锁
KR101962435B1 (ko) * 2013-05-08 2019-03-26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래치볼트의 양방향 고정해제장치
CN105317283B (zh) * 2015-11-17 2017-06-23 浙江宏泰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防盗门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47B1 (ko) * 2012-04-20 2013-08-2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4996A1 (en) * 2020-08-27 2022-03-03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Lock
US11946288B2 (en) * 2020-08-27 2024-04-02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396B1 (ko) 2018-08-03
CN107178246B (zh) 2019-05-10
CN107178246A (zh)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KR101873396B1 (ko) 양방향 해정 도어락 모티스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US7219935B2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CA2907137C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WO2011089612A1 (en) Door cylinder lock
US20040239125A1 (en) Toolbox rotary latch
KR101301248B1 (ko) 데드볼트의 우선 이송이 가능한 모티스 구조
KR101710986B1 (ko) 후크걸림구조 도어락 모티스
KR20210074239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KR200459911Y1 (ko) 도어록의 래치 볼트 방향전환 구조
KR101608820B1 (ko) 복수의 데드볼트가 구동되는 도어락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2302406B1 (ko) 조합식 잠금장치를 이용한 출구 장치 도깅
KR101993260B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101673493B1 (ko) 양방향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락 모티스
KR20200099948A (ko) 래치볼트 자동 인입형 도어락 모티스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200111596A (ko) 래치볼트 자동 해정식 도어락 모티스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KR100922344B1 (ko) 모티스 록 장치
CN109386186B (zh) 门闩转动式门锁插芯
TW201344023A (zh) 緊急逃生裝置匣式鎖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