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396B1 - 도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396B1
KR100910396B1 KR1020070116308A KR20070116308A KR100910396B1 KR 100910396 B1 KR100910396 B1 KR 100910396B1 KR 1020070116308 A KR1020070116308 A KR 1020070116308A KR 20070116308 A KR20070116308 A KR 20070116308A KR 100910396 B1 KR100910396 B1 KR 10091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roove
door
main bod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9934A (ko
Inventor
김응국
Original Assignee
김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국 filed Critical 김응국
Priority to KR102007011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3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외면을 관통하는 도어홀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록킹블록이 구비된 도어; 일측의 삽입부가 상기 도어홀에 끼워지고, 타측의 연장부가 외부로 연장된 부싱(bushing)부재로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 외측면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반홈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링(ring)부재로서, 상기 상반홈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록킹홈이 형성된 다수의 록킹유닛과, 상기 록킹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상축과, 상기 상축의 일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상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링을 개폐하는 원형패널을 포함하는 작동몸체; 일측이 상기 록킹블록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바디에 근접한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블록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잠금장치

Description

도어의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현관 도어의 잠금 구조가 개선된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잠금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잠금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아파트의 현관에는 거주자가 부재 시 우유나 신문 등을 실내로 넣기 위해 도어의 하측부분에 보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조구멍을 통해 우유나 신문을 실내로 넣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구멍의 상부에는 보조구멍을 개폐할 수 있도록 단순히 회전하는 덮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거주자가 부재 시 도둑들이 부정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둑들이 보조구멍을 통해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거주자들 중 일부는 현관의 열쇠를 가져나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술한 보조구멍에 팔을 넣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열쇠를 걸어놓기도 하는데, 이 때, 도둑들은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보조구멍에 팔을 넣어 열쇠를 얻어 실내로 쉽게 들어가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의 현관과 같은 도어의 보조구멍에 구비되되, 록킹 또는 언록킹됨에 따라 보조구멍을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현관의 열쇠를 가져나오지 않은 경우와 같은 때에 보조구멍을 통해 현관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의 잠금장치는, 내외면을 관통하는 도어홀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록킹블록이 구비된 도어; 일측의 삽입부가 상기 도어홀에 끼워지고, 타측의 연장부가 외부로 연장된 부싱(bushing)부재로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 외측면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반홈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링(ring)부재로서, 상기 상반홈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록킹홈이 형성된 다수의 록킹유닛과, 상기 록킹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상축과, 상기 상축의 일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상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링을 개폐하는 원형패널을 포함하는 작동몸체; 일측이 상기 록킹블록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바디에 근접한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블록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메인바디의 상반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록킹유닛의 상록킹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연장부 하측면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반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반홈과 대응되는 록킹유닛의 내측면에는 하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반홈과 상기 하록킹홈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기 하반홈과 상기 하록킹홈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하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메인바디의 하반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록킹유닛의 하록킹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원형패널의 하단부에는 캠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축에는 상기 하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형패널의 캠홈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잠금캠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내측면에는 후단부의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돌출되는 탄성가압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축에는 상기 탄성가압핀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전방으로 탄성돌출시키는 가압편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가압핀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원형패널의 대응면에는 핀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은 상기 원형패널이 상기 고정링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핀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탄성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핀의 전단부가 상기 핀홈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유닛은 측면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턱부가 형성된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턱부에 접하여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조절링과, 상기 조절링을 상기 링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조절링을 관통하여 상기 링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의 상단부에는 상기 록킹유닛의 외주면을 확대시켜 보기 위한 돋보기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축의 후단부에는 상기 원형패널과 대향되는 후방패널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원형패널이 회전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패널은 상기 상축의 회전시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고정링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현관과 같은 도어의 보조구멍을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현관을 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도어(10), 메인바디(100), 작동몸체, 링크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0)는 일반적인 아파트 현관의 도어와 마찬가지로 내외면을 관통하는 보조구멍(10h, 이하, "도어홀"이라 통칭함)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록킹블록(12)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기 도어(10)에 결합되되, 상기 작동몸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작동몸체는 상기 메인바디(10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홀(10h)을 개폐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링크조립체(300)는 상기 도어홀(10h)을 개방한 경우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도어(10)를 열기 위한 부분이다.
먼저, 메인바디(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바디(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원형돌출부(101)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삽입부(110)와,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120)가 구비된 부싱(bushing) 형상의 부재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는 도어(10)의 도어홀(10h)에 끼워져 결합되고, 연장부(120)는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20)의 상부 외측면에는 메인바디(100)의 중심축선(a)과 평행한 방향으로 반원형상으로 상반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0)의 상부 내측면을 포함한 메인바디(100)의 상부 내측면에는 핀삽입부(103)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핀삽입부(103)에는 탄성가압핀(130)이 구비되며, 이 탄성가압핀(130)은 메인바디(100)의 전방측, 즉,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가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핀삽입부(103)에 구비된 탄성가압핀(130)의 후단부, 즉, 메인바디(100) 삽입부(110)측에 위치된 탄성가압핀(130)의 단부를 가압하면, 탄성가압핀(130)의 전단부, 즉,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측에 위치된 탄성가압핀(130)의 단부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가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가압핀(130)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20)의 하부 외측면에는 메인바디(100)의 중심축선(a)과 평행한 방향으로 반원형상으로 하반홈(124)이 형성된다.
상술한 상반홈(122)은 후술하게 될 상축(230)이 끼워져 회전되기 위한 부분이고, 상술한 하반홈(124)은 후술하게 될 하축(250)이 끼워져 회전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축(230)과 하축(250)에 대한 설명 시 함께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인바디(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도어홀(10h)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때, 도어(10)의 도어홀(10h)에 끼워진 메인바디(100)의 삽입부(110)의 단부에는 결합링(10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메인바디(100)의 삽입부(110)의 단부에 결합링(105)을 결합함으로써, 메인바디(100)가 도어(10)의 도어홀(10h)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몸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동몸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록킹유닛(210), 고정링(220), 상축(230), 원형패널(240), 하축(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유닛(2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에 끼워져 삽입되는 링(ring) 형상의 부재로서, 메인바디(100)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상반홈(122)과, 메인바디(1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된 하반홈(124)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상록킹홈(212), 하록킹홈(214)이 형성되며,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록킹유닛(210)은 링몸체(211)와, 조절링(213)과, 고정볼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몸체(211)는 측면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턱부(211a)가 형성된 부재이고, 조절링(213)은 상기 링몸체(211)의 외주면과 상기 턱부(211a)에 접하여 슬라이딩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 눈금 및 숫자가 표시된 부재이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미도시)는 상기 조절링(213)이 상기 링몸체(211) 상에서 슬라이딩회전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링(213)을 관통하여 상기 링몸체(211)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록킹유닛(210)은, 링몸체(21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조절링(213)을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하여 눈금 및 숫자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절링(213)이 링몸체(211)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유닛(210)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록킹유닛(210), 상세하게는, 제1링몸체(211a), 제2링몸체(211b), 제3링몸체(211c)와 제1조절링(213a), 제2조절 링(213b), 제3조절링(213c)으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링(220)은, 도 6, 도 7,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에 록킹유닛(210)이 끼워져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부(120)의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고정링(220)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후술하게 될 원형패널(240)이 회전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슬릿(22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패널(240)에 의해 상기 고정링(220)의 구멍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고정링(220)의 상단부에는 록킹유닛(210)의 외주면을 확대시켜 보기 위한 돋보기부(260)가 구비되어,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상기 상축(230)은, 도 3 ,도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과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반홈(122)과 상록킹홈(212)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이때, 상기 상축(230)의 일부분, 즉, 상기 고정링(220)의 삽입슬릿(221)과 대응되는 상축(230)의 일부분에 원형패널(240)이 구비되며, 이러한 원형패널(240)은 상축(23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축(230)과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230)이 회전함에 따라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의 구멍을 개방하거나 폐쇄된다.
한편, 상기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한 경우에 록킹유닛(210)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210)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된다.
즉,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되면 록킹유닛(210)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요소가 없으므로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에 위치되면 록킹유닛(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록킹홈(212)과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서로 간섭되므로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한 경우는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한 상태가 되고,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이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에 위치한 경우에는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축(230)에는 메인바디(100)의 핀삽입부(103)에 구비된 탄성가압핀(130)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전방으로 탄성돌출시키기 위한 가압편(232)이 구비되며, 탄성가압핀(130)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원형패널(240)의 대응면에는 핀홈(240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축(230)이 회전되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한 경우에, 상축(230)에 구비된 가압편(232)이 탄성가압핀(13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전방 으로 탄성돌출시킴에 따라 가압편(232)의 전단부가 원형패널(240)의 핀홈(240h)에 삽입되어, 원형패널(24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축(230)이 회전되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한 경우에, 상축(230)에 구비된 가압편(232)이 탄성가압핀(130)의 후단부를 가압하는 것이 해제되어 가압편(23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탄성가압핀(130)의 전단부가 원형패널(240)의 핀홈(240h)으로부터 이탈되어, 원형패널(240)의 고정이 해제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220)의 하부를 관통하여 메인바디(100)의 하반홈(124)과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하반홈(124)과 하록킹홈(214)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하축(250)이 구비된다.
상술한 하축(250)도 상술한 상축(230)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메인바디(100)의 하반홈(124)에 위치한 경우에 록킹유닛(210)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210)은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된다.
즉,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메인바디(100)의 하반홈(124)에 위치되면 록킹유닛(210)의 내측면과 간섭되는 요소가 없으므로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되고,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에 위치되면 록킹유닛(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하록킹홈(214)과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서로 간섭되므로 록킹유닛(210) 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원형패널(240)의 하단부에는 캠홈(242)이 형성되고, 상기 하축(250)에는 상기 하축(2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형패널(240)의 캠홈(242)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잠금캠(252)이 형성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축(250)이 고정링(220)의 하축홀(222)을 관통하여 메인바디(100)의 하반홈(124)과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에 위치되어 록킹유닛(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하록킹홈(214)과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이 서로 간섭됨에 따라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하축(250)의 잠금캠(252)이 원형패널(240)의 캠홈(242)에 끼움되어 원형패널(24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링(2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하축(250)의 연장부(120)에는 손잡이(25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하축(250)을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축(230)의 후단부는 도어(10)의 내측으로 더욱 연장형성되며, 이처럼 연장형성된 상축(230)의 후단부에는 원형패널(240)과 대향되는 후방패널(270)이 구비되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한 경우에 후방패널(270)이 메인바디(100)의 삽입부(110)의 단부를 폐쇄하고,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한 경우에 후방패널(270)이 메인바디(100)의 삽입부(110)의 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몸체는, 메인바디(100) 상에 구비되어, 록킹유닛(210)을 조절함에 따라 고정링(2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고정링(220)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록킹유닛(210)을 특정한 위치로 회전시켜야만 상축(230)과 하축(25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고정링(2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링크조립체(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링크조립체(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10)의 록킹블록(12)을 연동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일측이 상기 록킹블록(12)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바디(100)에 근접한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링크조립체(300)는, 도어(10)의 록킹블록(12)과 연결된 제1링크(310)와, 상기 제1링크(310)의 단부(34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수직링크(323) 및 상기 수직링크(323)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메인바디(100)에 근접한 공간으로 연장된 수평링크(321)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ㄱ" 자형을 이루되 힌지축(33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의 수평링크(321)를 상하로 조작함에 따라 제1링크(310)가 연동되어 도어(10)의 록킹블록(12)을 연동시켜서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의 잠금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원형패널(240)을 삽입슬릿(221)을 통해 회동시켜 고정링(220)을 폐쇄시킨다.
이때,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은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되고,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은 록킹유닛(210)의 각 하록킹홈(214)에 위치된 상태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링몸체(211), 조절링(213), 고정볼트(미도시)로 구성된 록킹유닛(210) 중 고정볼트(미도시)를 풀어 링몸체(211) 상에서 조절링(2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눈금 및 숫자로 조절링(213)을 슬라이딩 회전시킨 후 고정볼트(미도시)로 고정함으로써 임의의 눈금 및 숫자를 정할 수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3개의 조절링(213)의 외주부에 기재된 번호가 2, 2, 2가 되도록 조정한 후 고정볼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조절링(213)을 링몸체(211)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하축(250)을 회전시켜 하축(250)의 잠금캠(252)이 원형패널(240)의 캠홈(24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은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되고,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은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록킹유닛(210)이 메인바디(100)의 연장부(120)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가 능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하축(250)을 회전시켜 하축(250)의 잠금캠(252)이 원형패널(240)의 캠홈(24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록킹유닛(210)이 연장부(120) 상에서 슬라이딩 회전가능하므로 각각의 록킹유닛(210)을 임의로 회전시켜 2, 2, 2가 아닌 다른 숫자가 되도록 조정한다. 예를 들면, 4, 6, 8로 조절한다.
이처럼 각각의 록킹유닛(210)을 4, 6, 8로 조절하게 되면, 각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 및 하록킹홈(214)은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 및 하반홈(124)에 대응되는 위치를 이탈하게 되고, 상축(230)의 반원형 부분(234)과 하축(250)의 반원형 부분(254)은 각 록킹유닛(210)의 임의의 내측면과 당접되어 각 록킹유닛(21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각 록킹유닛(210)을 2, 2, 2로 조정하지 않는 한, 상축(230)과 하축(25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폐쇄하여 잠금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원형패널(240)이 고정링(220)을 개방하도록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서, 각 록킹유닛(210)을 2, 2, 2로 조정한다.
이때, 각 록킹유닛(210)을 2, 2, 2로 조정함에 따라 각 록킹유닛(210)의 상록킹홈(212)은 메인바디(100)의 상반홈(122)에 대응되는 위치로 있게 되어 상축(230)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각 록킹유닛(210)의 하록킹홈(214)은 메인바디(100)의 하반홈(124)에 대응되는 위치로 있게 되어 하축(250)이 회전가능한 상태 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축(250)을 회전시켜 하축(250)의 잠금캠(252)이 원형패널(240)의 캠홈(24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원형패널(240)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원형패널(240)을 회전시켜 고정링(2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고정링(220)이 개방된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고정링(220)을 통해 도어(10)의 도어홀(10h)로 팔을 넣어 링크조립체(300)를 조작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링크조립체(300)를 조작하여 도어(10)의 록킹블록(12)이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메인바디와 작동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메인바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록킹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고정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상축, 원형패널, 후방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잠금장치 중 하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중심축선 10:도어
10h:도어홀 12:록킹블록
100:메인바디 110:삽입부
120:연장부 122:상반홈
124:하반홈 130:탄성가압핀
210:록킹유닛 211:링몸체
211a:턱부 212:상록킹홈
213:조절링 214:하록킹홈
220:고정링 221:삽입슬릿
230:상축 232:가압편
240:원형패널 240h:핀홈
242:캠홈 250:하축
252:잠금캠 260:돋보기부
270:후방패널 300:링크조립체

Claims (11)

  1. 내외면을 관통하는 도어홀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록킹블록이 구비된 도어;
    일측의 삽입부가 상기 도어홀에 끼워지고, 타측의 연장부가 외부로 연장된 부싱(bushing)부재로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 외측면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반홈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링(ring)부재로서, 상기 상반홈에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록킹홈이 형성된 다수의 록킹유닛과, 상기 록킹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기 상반홈과 상기 상록킹홈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상축과, 상기 상축의 일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상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링을 개폐하는 원형패널을 포함하는 작동몸체;
    일측이 상기 록킹블록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바디에 근접한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록킹블록을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메인바디의 상반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록킹유닛의 상록킹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연장부 하측면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반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반홈과 대응되는 록킹유닛의 내측면에는 하록킹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링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반홈과 상기 하록킹홈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되 상기 하반홈과 상기 하록킹홈의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하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메인바디의 하반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상축의 반원형 부분이 상기 록킹유닛의 하록킹홈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연장부 상에서 회전불가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패널의 하단부에는 캠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축에는 상기 하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형패널의 캠홈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잠금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내측면에는, 후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전방으로 탄성돌출되는 탄성가압핀이 구비되고, 상기 상축에는 상기 탄성가압핀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전방으로 탄성돌출시키는 가압편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가압핀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원형패널의 대응면에는 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원형패널이 상기 고정링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핀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탄성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탄성가압핀의 전단부가 상기 핀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측면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턱부가 형성된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턱부에 접하여 슬라이딩 회전가능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조절링과, 상기 조절링을 상기 링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조절링을 관통하여 상기 링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상단부에는 상기 록킹유닛의 외주면을 확대시켜 보기 위한 돋보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축의 후단부에는 상기 원형패널과 대향되는 후방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상기 원형패널이 회전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패널은 상기 상축의 회전시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고정링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070116308A 2007-11-14 2007-11-14 도어의 잠금장치 KR10091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08A KR100910396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308A KR100910396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34A KR20090049934A (ko) 2009-05-19
KR100910396B1 true KR100910396B1 (ko) 2009-08-04

Family

ID=4085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308A KR100910396B1 (ko) 2007-11-14 2007-11-14 도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836A (zh) * 2014-03-07 2015-06-10 杨红玲 按钮式三音猫眼的设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946Y1 (ko) 2000-01-20 2000-06-15 봉만호 문에 설치된 투입구의 차단판
KR20000019560U (ko) * 1999-04-15 2000-11-15 윤문석 투입구 차단장치
KR20000019758U (ko) * 1999-04-20 2000-11-25 박제형 배달물 투입구
KR20010026997A (ko) * 1999-09-10 2001-04-06 최종일 배달물투입구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560U (ko) * 1999-04-15 2000-11-15 윤문석 투입구 차단장치
KR20000019758U (ko) * 1999-04-20 2000-11-25 박제형 배달물 투입구
KR20010026997A (ko) * 1999-09-10 2001-04-06 최종일 배달물투입구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KR200186946Y1 (ko) 2000-01-20 2000-06-15 봉만호 문에 설치된 투입구의 차단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5836A (zh) * 2014-03-07 2015-06-10 杨红玲 按钮式三音猫眼的设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934A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5803A (ja) 保安教室機能ロック機構
JP2002364213A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205025208U (zh) 通道锁体及通道锁
KR10091039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AU663140B2 (en) Window-lock and lever-type lock
KR1021533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798154B1 (ko) 강화유리 도어용 내장형 잠금장치
JP2019206877A (ja) スライドラッチ錠
KR10101802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좌우수 공용장치
KR20070103643A (ko) 방범 출입문
JPH1193482A (ja) ドア、引戸等の建具
JP7317508B2 (ja) 建具
JP3809636B2 (ja) 錠装置
KR101668328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KR20050116354A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JP2003166366A (ja) ドアノブカバー
JP3262521B2 (ja) 開口部装置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JP4263319B2 (ja) 錠付ドアガード
KR20230030745A (ko) 슬라이딩 도어의 손잡이
KR101245184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99511B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조립구조
KR960008871Y1 (ko) 박스형 도어록의 렛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