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549B1 -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549B1
KR100705549B1 KR1020060072293A KR20060072293A KR100705549B1 KR 100705549 B1 KR100705549 B1 KR 100705549B1 KR 1020060072293 A KR1020060072293 A KR 1020060072293A KR 20060072293 A KR20060072293 A KR 20060072293A KR 100705549 B1 KR100705549 B1 KR 10070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door
spindle
latch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계
Original Assignee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5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인 도어락과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방화문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그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비용도 절감되도록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방화문(D)에 고정되고, 내부에서 문틀 측으로 출몰되는 랫지볼트(11)를 전,후진시키도록 내,외측 핸들(22)(32)과 연동되는 회동부(12)가 설치된 상자형 랫지(10)과, 상기 방화문(D)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방화문(D)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와 연동되는 내,외측 스핀들(21)(31) 및 내,외측 핸들(22)(32)을 포함하는 내,외측 조작부(20)(30)와, 상기 외측 핸들(32)과 상자형 랫지(10) 사이에 설치된 외측 몸체(33)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통전에 따라 플런저(41)가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작동자(40)와,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홈(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플런저(41)가 전진 동작시 결합되는 결합홈(52)이 형성되어진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외측 핸들(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키는 락킹 캠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자형 랫지, 내,외측 조작부, 솔레노이드 작동자, 스핀들 락킹플레이트, 락킹 캠플레이트

Description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THE ELECTRIC LOCK FOR GENERAL CONTROLLING TOCOME IN AND OUT OF FIREPROOF DOOR}
도 1은 종래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결합된 상태의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결합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이 설치된 방화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내측 핸들에 의해 랫지볼트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이 설치된 방화문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솔레노이드 작동자가 해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일측면도.
도 11은 도 9에서 외측 핸들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상자형 랫지과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일반키로 해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4는 13의 일측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키에 의해 락킹캠플레이트가 45°회전된 상태의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일측면도.
도 17은 도 15에서 키에 의해 락킹캠플레이트가 90°회전된 상태의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일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일반키로 해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자형 랫지 11: 랫지볼트
12: 회동부 20, 30: 내,외측 조작부
21, 31: 내,외측 스핀들 22, 32: 내,외측 핸들
40: 솔레노이드 작동자 41: 플런저
50: 스핀들 락킹플레이트 51: 관통홈
52: 결합홈 60: 락킹 캠플레이트
70: 키몸체 71: 일반키
80: 락킹캠
본 발명은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목적은 일반적인 도어락과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방화문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그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비용도 절감되도록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방화문 또는 비상문(이하에서는 방화문으로 통칭함.)을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는 건물에서의 화재 발생시 그 내부의 사람들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반 가정집 또는 영업점 등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등은 항상 안에서는 문이 개방되도록 하여 화재등의 비상시에는 신속하게 밖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하고, 밖에서 안으로의 출입은 통제하도록 하는 출입통제용 전기정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화문에 설치되는 출입통제용 전기정에는 전자력을 이용한 전기 자석락과,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스트라이커(Strike)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의 상단에 전기 자석락(2)을 설치하고, 상 기 전기 자석락(2)에 대응되는 아마추어 스트라이트(3)를 도어(4)에 부착하여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에 의해 도어(4)를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4)의 개방되는 면에는 내,외측에 도어핸들(5)이 설치되어 출입자의 조작에 의해 도어(4)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 자석락(2)은 평상시에는 전기 자석락(2)에 전기가 통전되어 아마추어 스트라이트(3)에 고정되어 있다가 화재 등 비상시에는 중앙 통제소 등에서 전기를 차단하게 되면 전기 자석락(2)의 자력이 제거되면서 출입자는 도어핸들(5)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밖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 자석락(2)은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설치공사를 잘못할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1) 및 도어(4)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도어핸들(5) 및 전기 자석락(2) 관련 부품을 설치하게 됨으로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가 개방되는 면측에 도어핸들(5)을 포함하는 상자형 랫지(6)이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1) 상에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동작되는 스트라이커(7)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전기의 통전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상자형 랫지(6)의 데드볼트(6a)를 파지 또는 해제시켜 도어(4)를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트라이커(7)는 평상시에는 전기가 통전되어 데드볼트(6a)를 파지하여 도어(4)를 잠금하고, 화재 등 비상시에는 중앙 통제소 등에서 전기를 차단하게 되면 파지되었던 데드볼트(6a)가 스트라이커(7)에서 해제되면서 출입자는 도어핸들(5)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밖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라이커(7)도 도면상 A부분에 의해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까다로워 설치공사를 잘못할 경우에는 도어(4) 및 도어 프레임(1)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적인 도어락과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방화문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그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비용도 절감되도록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방화문의 외부에서는 일반키로도 방화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에 고정되고, 내부에서 문틀 측으로 출몰되는 랫지볼트를 전,후진시키도록 내,외측 핸들과 연동되는 회동부가 설치된 상자형 랫지과, 상기 방화문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방화문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상자형 랫지의 회동부와 연동되는 내,외측 스핀들 및 내, 외측 핸들을 포함하는 내,외측 조작부와, 상기 외측 핸들과 상자형 랫지 사이에 설치된 외측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통전에 따라 플런저가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작동자와, 상기 외측 스핀들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의 플런저가 전진 동작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진 스핀들 락킹플레이트와,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와 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의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외측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 스핀들의 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랫지볼트를 잠금해제시키는 락킹 캠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핸들의 내부에는 일반키로 해정되는 키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키몸체의 동축 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락킹 캠플레이트의 중앙에 고정되는 락킹캠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일반키로 상기 랫지볼트를 잠금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은 상자형 랫지(10), 내,외측 조작부(20)(30), 솔레노이드 작동자(40),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 및 락킹 캠플레이트(60)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형 랫지(10)는, 방화문(D)에 고정되고, 내부에서 문틀 측으로 출몰 되는 랫지볼트(11)를 전,후진시키도록 내,외측 핸들(22)(32)과 연동되는 회동부(12)가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도어락에 설치된 KS 규격과 그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방화문에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회동부(12)는 랫지 앵글플레이트(12a)의 전,후면으로 랫지 플레이트(12b)가 결합되고, 상기 랫지 앵글플레이트(12a)는 랫지볼트(11)를 동작시키는 랫지캠(12c)과 연동되어, 후술하는 내,외측 스핀들(21)(31)에 연동되는 랫지 플레이트(12b)가 회전되면, 이에 따라 랫지 앵글플레이트(12a)와 랫지캠(12c)에 의해 랫지볼트(11)가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 내,외측 조작부(20)(30)는 상기 방화문(D)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방화문(D)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와 연동되는 내,외측 스핀들(21)(31) 및 내,외측 핸들(22)(32)을 포함한다.
또한, 내,외측 조작부(20)(30)에는 내,외측 핸들(22)(32)과 상자형 랫지(10) 사이에는 내,외측 몸체(23)(33)와, 내,외측 커버(24)(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는 상기 외측 핸들(32)과 상자형 랫지(10) 사이에 설치된 외측 몸체(33)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통전에 따라 플런저(41)가 동작되는 것으로, 전기가 통전되면 플런저(41)가 전진되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런저(41)가 스프링(42)에 의해 원상복귀된다.
또한, 도면상에는 플런저(41)의 단부에 결합편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는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홈(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플런저(41)가 전진 동작시 결합되는 결합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측에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플런저(41)가 결합되도록 상부측이 개방된 결합홈(52)이 형성되며, 판상에 관통홈(5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락킹 캠플레이트(60)는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외측 핸들(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락킹 캠플레이트(60)의 중앙에는 각각 관통공(h)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락킹캠(80)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일반키(71)로도 외부에서 방화문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 핸들(32)의 내부에 일반키(71)로 해정되는 키몸체(70)가 설치되고, 상기 키몸체(70)의 동축 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락킹 캠플레이트(60)의 중앙에 고정되는 락킹캠(80)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일반키(71)로 상기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방화문(D)에 설치하여 화재 등의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서는 내측 핸들(22)에 의해 항상 상자형 랫지(10)의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할 수 있어 방화문(D)을 개방시킬 수 있고, 외부에서는 전기가 통전된 솔레노이드 작동자(40)에 의해 상자형 랫지(10)의 랫지볼트(11)를 잠금유지 상태를 유지하 여 방화문(D)을 개방시키지 못하며, 전기가 차단되면 외부에서도 외측 핸들(32)에 의해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며, 외부에서는 일반키(71)로도 방화문을 개방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방화문의 내,외부에서 방화문이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이 설치된 방화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핸들(22)에 동축 설치된 내측 스핀들(21)의 단부가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 즉, 랫지 플레이트(12b)에 결합되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핸들(22)을 회전시키게 되면 내측 스핀들(21)에 고정된 랫지 플레이트(12b)가 회동되면서 랫지 앵글플레이트(12a) 및 랫지캠(12c)을 동작시켜 랫지볼트(11)를 상자형 랫지(10)의 내측으로 후진시켜 방화문(D)을 항상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이 설치된 방화문의 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몸체(33)의 내부에 솔레노이드 작동자(40)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는 전기가 통전된 상태로서 플런저(41)가 전진되어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의 결합홈(52)에 결합되어 외부에서는 외측 핸들(32)을 회전시키더라 회전되지 않아 랫지볼트(11)가 잠금유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작동자(40)에 통전된 전기가 차단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플런저(41)가 스프링(42)의 복원 력에 의해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의 결합홈(52)에서 이탈되어진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핸들(32)을 회전시키게 되면, 외측 스핀들(31)의 단부에 의해 락킹 캠플레이트(60)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를 회전시킴으로서, 랫지볼트(11)가 내부로 후진되어 방화문(D)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자(40)에 의해 방화문(D)이 잠김상태이고, 화재등의 비상시에는 솔레노이드 작동자(40)에 통전된 전기를 중앙 통제소 등에서 차단하여 내,외부의 어느 쪽에서도 내,외측 핸들(22)(32)에 의해 방화문을 개방시켜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일반키(71)로 해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키(71)를 외부 핸들()의 내부에 설치된 키몸체(70)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반키(71)를 회전시키게 되면 키몸체(70)와 동축에 설치된 락킹캠(80)에 의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 캠플레이트(60)가 45°에서 90°까지 회전되면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스핀들(31)에 의해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가 회동됨과 아울러 이에 연동된 랫지볼트(11)를 후진시켜 방화문(D)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은 전기의 통전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작동자를 외측 조작부 상에 설치하여 내측 핸들에 의해서는 항상 방화문을 개방시키고, 외측 핸들에 의해서는 솔레노이드 작동자의 전기가 차단되면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도어락과 출입통제용 전기정을 방화문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도어 및 도어프레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그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설치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핸들에 키몸체 및 이에 동축 설치된 락킹캠을 설치하고, 상기 락킹캠에 의해 락킹 캠플레이트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상자형 랫지의 랫지볼트를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방화문의 외부에서 일반키로도 방화문을 개방할 수 있어 출입자의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2)

  1. 방화문(D)에 고정되고, 내부에서 문틀 측으로 출몰되는 랫지볼트(11)를 전,후진시키도록 내,외측 핸들(22)(32)과 연동되는 회동부(12)가 설치된 상자형 랫지(10)과,
    상기 방화문(D)의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방화문(D)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상자형 랫지(10)의 회동부(12)와 연동되는 내,외측 스핀들(21)(31) 및 내,외측 핸들(22)(32)을 포함하는 내,외측 조작부(20)(30)와,
    상기 외측 핸들(32)과 상자형 랫지(10) 사이에 설치된 외측 몸체(33)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의 통전에 따라 플런저(41)가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작동자(40)와,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홈(5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플런저(41)가 전진 동작시 결합되는 결합홈(52)이 형성되어진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상기 스핀들 락킹플레이트(50)와 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자(40)의 전기가 차단되면, 상기 외측 핸들(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외측 스핀들(31)의 단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키는 락킹 캠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핸들(32)의 내부에는 일반키(71)로 해정되는 키 몸체(70)가 설치되고, 상기 키몸체(70)의 동축 전방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락킹 캠플레이트(60)의 중앙에 고정되는 락킹캠(80)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일반키(71)로 상기 랫지볼트(11)를 잠금해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20060072293A 2006-07-31 2006-07-31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070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293A KR100705549B1 (ko) 2006-07-31 2006-07-31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293A KR100705549B1 (ko) 2006-07-31 2006-07-31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549B1 true KR100705549B1 (ko) 2007-04-09

Family

ID=3816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293A KR100705549B1 (ko) 2006-07-31 2006-07-31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67B1 (ko) * 2008-04-17 2009-11-13 주식회사 수퍼락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0956039B1 (ko) * 2008-07-22 2010-05-06 주식회사 수퍼락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1941662B1 (ko) 2018-04-13 2019-01-23 주식회사 현대디엘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36Y1 (ko) 2002-02-16 2002-05-21 주식회사 현대금속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JP2002161662A (ja) 2000-11-24 2002-06-04 Ki Denshi Kk 電気錠の非常解錠装置
KR20030054500A (ko) * 2001-12-26 2003-07-02 윤삼기 도어개폐장치
KR20040022843A (ko) * 2002-09-10 2004-03-18 유희수 비상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662A (ja) 2000-11-24 2002-06-04 Ki Denshi Kk 電気錠の非常解錠装置
KR20030054500A (ko) * 2001-12-26 2003-07-02 윤삼기 도어개폐장치
KR200276136Y1 (ko) 2002-02-16 2002-05-21 주식회사 현대금속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KR20040022843A (ko) * 2002-09-10 2004-03-18 유희수 비상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67B1 (ko) * 2008-04-17 2009-11-13 주식회사 수퍼락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0956039B1 (ko) * 2008-07-22 2010-05-06 주식회사 수퍼락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1941662B1 (ko) 2018-04-13 2019-01-23 주식회사 현대디엘 도어록용 각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361B2 (en) Self-locking latch and locking system equipped with said latch
JP5069680B2 (ja) 入り口バリアのための保安システム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CA3002386C (en) Electric door strike having a dead latch release platform actuated by a spring latch keeper and a spring latch lifter feature
US20130009409A1 (en) Electric lock device
AU2012208956B2 (en) A lock assembly
JP20000860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100910386B1 (ko)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모티스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US10060161B2 (en) Inner operating device for a door lock
JP2002364213A (ja)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705549B1 (ko)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US3490803A (en) Door lock construction
KR101891785B1 (ko)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20110052832A (ko) 도어록 해정장치
JP2009030275A (ja) 電気錠システム
US6007115A (en) Door lock assembly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CN103452399B (zh) 具有限位开启的移窗保险栓
JPH1193482A (ja) ドア、引戸等の建具
CN113463976A (zh) 内门用紧凑型锁及锁组件
JP2017186838A (ja) 鉄道車両における乗務室出入り口の扉用錠装置
EP1113134A2 (en) Lock mechanism
KR20160103268A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