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136Y1 -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136Y1
KR200276136Y1 KR2020020004645U KR20020004645U KR200276136Y1 KR 200276136 Y1 KR200276136 Y1 KR 200276136Y1 KR 2020020004645 U KR2020020004645 U KR 2020020004645U KR 20020004645 U KR20020004645 U KR 20020004645U KR 200276136 Y1 KR200276136 Y1 KR 200276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ration piece
piece
main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금속
Priority to KR2020020004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136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16)에 연동된 래치볼트(L)와 솔레노이드(40)에 연동된 데드볼트(D)를 구비하는 도어로크에 관련된다. 주작동편(22)은 상기 핸들(16)의 회동중심에 고정되고, 양측면이 절개된 원통형의 측면에 통공(22a)(22b)을 구비한다. 보조작동편(24)은 상기 주작동편(22)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의 외단부에 단턱(24b)을 구비한다. 작동간(34)은 상기 보조작동편(24)과 이단캠(32)을 개재하여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고, 핸들(16)의 잠금력을 데드볼트(D)로 전달한다. 스토퍼(26)는 상기 주작동편(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삽착되고,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회동의 중립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솔레노이드(40)의 작동으로 주작동편(22)과 작동간(34)을 일시 연결하여 핸들(16)의 풀림력이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강구(44)라고 하는 해정수단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안정적인 로크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편리하고 비상시에도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Electronic door lock device}
본 고안은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없이도 도어의 안정적인 로크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편리한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어로크 기구로서 키실린더를 이용한 기계적 방식에 부가하여 비밀번호를 이용한 전자적 방식을 부가한 복합방식이 다양하게 상품화되고 있는바, 이와 같은 복합방식의 도어로크는 대체로 별개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복잡하다고 사용이 번거로운 결점이 있다.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기계적 방식으로 구동되는 래치볼트(L)와 전자적 방식으로 구동되는 데드볼트(D)는 각각의 조작핸들과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동시에 작동하여야 해정 기능이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의 사용은 물론 특히 화재 등의 긴급 사태시 신속한 조작에 불편이 초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 외측의 데드볼트 조작핸들은 비밀번호를 이용한 풀기 신호에 의하여 조작되어 풀기 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한 반면 내측의 래치볼트 조작핸들은 원터치 스위치에 의해 데드볼트도 동시에 풀어지도록 하는 긴급 풀기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느 경우에도 외측에서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를 동시에 해정할 수 없고 외출시 항상 열쇠를 휴대하고 다녀야 할 뿐 아니라 전자식 의존도가 높아 화재시 실내가 고온으로 되면 작동불능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키없이도 도어의 안정적인 로크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편리한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요 기능부를 도어의 내측에서 가급적 멀리 위치시키고 전자식 제어의 의존도를 낮추어 비상시에도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 기구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주요 작동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부분 절개하여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2, 14: 케이싱 16: 핸들
20: 작동체 22, 24: 작동편
26: 스토퍼 32: 이단캠
34: 작동간 36: 보조핸들
40: 솔레노이드 42: 밀편
44: 강구 48: 리미트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핸들(16)을 이용한 회전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래치볼트(L)에 전달되고,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전기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데드볼트(D)에 전달되는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핸들(16)의 회동중심에 고정되고, 양측면이 절개된 원통형의 측면에 통공(22a)(22b)을 구비하는 주작동편(22); 상기 주작동편(22)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의 외단부에 단턱(24b)을 구비하는 보조작동편(24); 상기 보조작동편(24)과 이단캠(32)을 개재하여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고, 핸들(16)의 잠금력을 데드볼트(D)로 전달하는 작동간(34); 상기 주작동편(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삽착되고,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회동의 중립상태로 복귀되는 스토퍼(26); 및 상기 솔레노이드(40)의 작동으로 주작동편(22)과 작동간(34)을 일시 연결하여 핸들(16)의 풀림력이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간(34)의 이단캠(32)은 보조작동편(24)의 단턱(24b)과 일방향으로 연동하는 제1캠부(32a)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주작동편(22)과 연동하는 제2캠부(32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해정수단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밀편(42)에 의해주작동편(22)의 일측 통공(22b) 및 이단캠(32)의 제2캠부(32b) 사이에 개재되는 강구(44)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로크 기구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 작동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핸들(16)을 이용한 회전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래치볼트(L)에 전달되고,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전기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데드볼트(D)에 전달되는 도어로크에 관련된다. 도어(10)의 내외측에 장착되는 케이싱(12)(14)에는 솔레노이드(40)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회로기판(도시 생략) 및 각각 하나의 핸들(16)이 장착된다. 내부케이싱(12)의 핸들(16)에는 보조핸들(36)이 구비되고, 외부케이싱(14)에는 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핸들(16)의 작동력을 매개하여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를 출입시키는 작동체(20)를 도어(10) 상에 장착한다. 종래에 작동체(20)가 내부케이싱(12)에 장착되는 것에 비하여 내부케이싱(12)의 전체 크기를 줄이면서 구성을 간략화하는데 유리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양측면이 절개된 원통형의 측면에 통공(22a)(22b)을 구비하는 주작동편(22)이 상기 핸들(16)의 회동중심에 고정된다. 주작동편(22)은 측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절개된 형태의 원통구조이며 핸들(16)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주작동편(22)의 절개되지 않은 양측면에는 각각 통공(22a)(22b)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전방의 통공(22a)은 스냅링(27)을 장착하기 위한 결합용도이고, 후방의 통공(22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능을 수행하는 용도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원통형의 외단부에 단턱(24b)을 구비하는 보조작동편(24)이 상기 주작동편(22)의 내부에 수용된다. 보조작동편(24)은 도 2에서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외단부(전방)에서 일정 간격에 걸쳐 절단된 단턱(24b)을 구비한다. 보조작동편(24)은 반드시 주작동편(22)과 일체화하지 않고 개별 성형후 삽착할 수도 있으나 주작동편(22)과 긴밀하게 연동해야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들(16)의 잠금력을 데드볼트(D)로 전달하는 작동간(34)이 상기 보조작동편(24)과 이단캠(32)을 개재하여 맞물린 상태로 수용된다. 작동간(34)은 사각 단면이고 길이가 긴 봉형이고, 이단캠(32)은 2개의 직경을 지닌 원통형이다.
이때, 상기 작동간(34)의 이단캠(32)은 보조작동편(24)의 단턱(24b)과 일방향으로 연동하는 제1캠부(32a)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주작동편(22)과 연동하는 제2캠부(32b)를 구비한다. 이단캠(32)을 구성하는 2개의 원통중 큰 직경부에는 제1캠부(32a)와 제2캠부(32b)가 상호 다른 각도로 절개된 상태로 일체화된다. 이단캠(32)의 작은 직경부는 보조작동편(24)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 상호 헐겁게 삽착된다. 이단캠(32)이 보조작동편(24)에 삽착되면 제1캠부(32a)와 단턱(24b)이 동일 평면상에서 대응되지만, 제2캠부(32b)는 보조작동편(24)의 외단으로 노출되어 보조작동편(24)과 기능상 연관이 없다. 제1캠부(32a) 및 제2캠부(32b)의 기능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스토퍼(26)가 상기 주작동편(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삽착되고,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회동의 중립상태로 복귀된다. 핸들(16)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지만 작동하지 않을 때는 항상 중립의 위치를 유지한다. 이는 통상 걸림단(26c)과 토션스프링(28)을 구비한 스토퍼(26)에 의해 가능하다. 스토퍼(26)의 중앙부에서 부호 26a는 보조작동편(24)이 통과되며 긴밀하게 결합되는 부분이고, 부호 26b는 이단캠(32)의 직경이 작은 원통부 및 작동간(34)이 회동 가능하게 통과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핸들(16)을 돌리면 스토퍼(26)가 연동되는데 걸림단(26c)에 의해 핸들(16)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고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핸들(16)이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작동간(34)은 스토퍼(26)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솔레노이드(40)의 작동으로 주작동편(22)과 작동간(34)을 일시 연결하여 핸들(16)의 풀림력이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해정수단을 포함한다. 외측의 핸들(16)을 돌릴 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작동편(22)과 작동간(34)을 기구적으로 일시 연결하기 위함이다. 그러한 기구적 연결시기는 외부케이싱(14)의 키패드에서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때로 국한된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해정수단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밀편(42)에 의해 주작동편(22)의 일측 통공(22b) 및 이단캠(32)의 제2캠부(32b) 사이에 개재되는 강구(44)를 사용한다. 도시에는 생략되나 제어회로는 키패드를 입력수단으로 구비하고 솔레노이드(40)를 출력수단으로 구비한다. 솔레노이드(40)의 작동간에 연결되는 밀편(42)은 중량과 소음을 줄이기 위해 수지로 성형한다. 강구(44)는 작동력을 전달하므로 기계적 강도를 요한다. 밀편(42)과 강구(44)의 상하운동이 원활하도록 외부케이싱(14)에는 안내홈을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8은 외부케이싱(14)에 체결되는 기둥체로서 도어(10) 및 작동체(20)를 관통하여 내부케이싱(12)과 결합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되나 상기한 주요 기능부를 감싸는 커버를 외부케이싱(14) 상의 적절한 위치에 다수 설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강구(44)가 작동하는 부분에는 강구(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필요하다.
조립에 있어서, 외부케이싱(14)에 주작동편(22)을 밀어 넣어 핸들(16)을 밀착시킨 상태로 주작동편(22)에 보조작동편(24)을 삽착하고, 보조작동편(24)에 작동간(34)의 이단캠(32)을 삽착하고, 솔레노이드(40)ㆍ밀편(42)ㆍ강구(44)를 장착하고, 주작동편(22) 및 작동간(34)이 노출되는 상태로 스토퍼(26)를 장착하고, 노출된 주작동편(22)에 스냅링(27)을 끼우면 외부케이싱(14)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싱(14) 조립체를 도어(10)에 밀착하여 주작동편(22) 및 작동간(34)이 작동체(20)를 통과하여 내부케이싱(12)에 도달하도록 한 다음 기둥체(34)를 이용하여 내부케이싱(12)을 결합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부분 절개하여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에서 이단캠(32)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1캠부(32a)가 드러나도록 한다. 보조작동편(24)의 단턱(24b)은 이단캠(32)의 제2캠부(32b)를 통해 일부가 드러난다.
보조작동편(24)의 단턱(24b)에서 우측단은 이단캠(32)의 제1캠부(32a)와 상당히 이격되나 좌측단은 상당히 근접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핸들(16)을 끝까지 내리더라도 단턱(24b)은 이단캠(32)과 접촉되지 않아 작동간(34)은 정위치를 유지한다. 반면 핸들(16)을 들어올리면 일정 지점에서 단턱(24b)이 제1캠부(32a)를 밀어 이단캠(32)과 작동간(34)을 회동시킨다. 일단 작동간(34)이 회동되면 작동체(20)의 매개로 데드볼트(D)가 전진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16)을 내려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이단캠(32)이 일방향으로만 연동되므로 작동간(34)이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언로크되는 경우가 없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동시해정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만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어의 로크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게 되며, 인증의 성립시 솔레노이드(40)가 일시적으로 작동하여 밀편(42)이 강구(44)를 밀게 된다. 도 4 (a)에서 밀편(42)은 주 작동편(22)의 통공(22b)에 들어가지 않는 근접 거리로 전진하여 이단캠(32)의 제2캠부(32b)에 강구(44)를 접촉 상태로 수용시킨다. 이에 따라 강구(44)는 주 작동편(22)과 이단캠(32)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로 되는데, 이때 핸들(16)을 돌리면 주 작동편(22)이 회동하면서 이단캠(32)과 작동간(34)도 연동하여 도 4 (b)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주 작동편(22)과 작동간(34)이 동시에 회동되는 것은 동시해정을 의미한다.
도 4(b)의 상태에서 핸들(16)을 놓으면 전술한 스토퍼(26)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주 작동편(22b)도 정위치로 복귀된다. 이후 강구(44)는 주 작동편(22)의 통공(22b)을 통하여 다시 낙하되며 이때 이미 복귀 상태에 있는 밀편(42)의 상면에 안착하여 부호 44'처럼 도 4 (a)의 상태로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주요 기능으로서 외부케이싱(14)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 바, 내부케이싱(12)은 별다른 주요 기능을 지닐 필요가 없다. 물론 주작동편(22)과 연결되어 래치볼트(L)를 작동하는 기능과, 작동간(34)과 연결되어 데드볼트(D)를 작동하는 기능은 구비한다. 다만 데드볼트(D)의 잠금과 풀림은 솔레노이드(40)를 작동하지 않고 핸들(16)에 설치되는 보조핸들(36)을 돌려 작동한다. 보조핸들(36)은 단순하게 기구적으로 작동간(34)과 연결될 수 있다. 핸들(16)을 들어올려 데드볼트(D)를 로크하는 기능은 외부케이싱(14)에서만 수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부케이싱(12)의 핸들(16)은 통상적으로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보조키 장치와 작동법이 동일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위급한 상황에도 익숙하게 도어를 개방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부호 48은 리미트스위치로서 핸들(16)을 들어올려 스토퍼(26)의 일측 걸림단(26c)이 접촉하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한다. 이 신호는 제어회로에 입력되어 전술한 도 3에서 작동간(34)을 통한 데드볼트(D)의 로크상태가 완료되었음을 판단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키없이도 도어의 안정적인 로크상태를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작동이 편리할 뿐 아니라 주요 기능부를 도어의 내측에서 가급적 멀리 위치시키고 전자식 제어의 의존도를 낮추어 비상시에도 작동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Claims (3)

  1. 핸들(16)을 이용한 회전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래치볼트(L)에 전달되고, 솔레노이드(40)를 이용한 전기력이 작동체(20)를 개재하여 데드볼트(D)에 전달되는 도어로크에 있어서:
    상기 핸들(16)의 회동중심에 고정되고, 양측면이 절개된 원통형의 측면에 통공(22a)(22b)을 구비하는 주작동편(22);
    상기 주작동편(22)의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의 외단부에 단턱(24b)을 구비하는 보조작동편(24);
    상기 보조작동편(24)과 이단캠(32)을 개재하여 맞물린 상태로 수용되고, 핸들(16)의 잠금력을 데드볼트(D)로 전달하는 작동간(34);
    상기 주작동편(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삽착되고, 토션스프링(28)에 의해 회동의 중립상태로 복귀되는 스토퍼(26); 및
    상기 솔레노이드(40)의 작동으로 주작동편(22)과 작동간(34)을 일시 연결하여 핸들(16)의 풀림력이 래치볼트(L)와 데드볼트(D)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하는 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34)의 이단캠(32)은 보조작동편(24)의 단턱(24b)과 일방향으로 연동하는 제1캠부(32a)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주작동편(22)과 연동하는 제2캠부(3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수단은 솔레노이드(40)의 작동시 밀편(42)에 의해 주작동편(22)의 일측 통공(22b) 및 이단캠(32)의 제2캠부(32b) 사이에 개재되는 강구(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KR2020020004645U 2002-02-16 2002-02-16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KR200276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45U KR200276136Y1 (ko) 2002-02-16 2002-02-16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45U KR200276136Y1 (ko) 2002-02-16 2002-02-16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136Y1 true KR200276136Y1 (ko) 2002-05-21

Family

ID=7307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45U KR200276136Y1 (ko) 2002-02-16 2002-02-16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1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49B1 (ko) 2006-07-31 2007-04-0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0996594B1 (ko) 2008-10-23 2010-11-25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549B1 (ko) 2006-07-31 2007-04-0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방화문의 출입통제용 전기정
KR100996594B1 (ko) 2008-10-23 2010-11-25 청 장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347A (en) Remote control deadlock bolt for cars
US6714118B1 (en) Modular electronic door security system
US7770945B2 (en) Door lock system
US6615629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oor status sensor
US6584818B2 (en) Interconnected lock with lock status sensor
US20040145191A1 (en) Anti-panic mechanism of vehicle door latch device
CA2266109A1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JP3788968B2 (ja) 電気錠
KR200276136Y1 (ko) 전자식 도어로크 기구
KR200445170Y1 (ko) 설치가 용이한 보급형 디지털도어락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EP1951975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200445717Y1 (ko) 목재재질의 도어용 디지털도어락
KR200438624Y1 (ko) 디지털식 도어록의 데드볼트 제어장치
KR10069441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액추에이터의 키 스위치 내장 구조
CN107975305B (zh) 门锁用的内侧操作装置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337637Y1 (ko) 자동 도어록 시스템의 스핀들
WO2008066210A1 (en) Lock device
WO2007039898A2 (en) Key and adapter for a key
KR200292267Y1 (ko) 주키 도어 잠금 장치
KR100788320B1 (ko) 원터치 해정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어셈블리
JPH05291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