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13B1 -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 Google Patents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113B1
KR102003113B1 KR1020170015366A KR20170015366A KR102003113B1 KR 102003113 B1 KR102003113 B1 KR 102003113B1 KR 1020170015366 A KR1020170015366 A KR 1020170015366A KR 20170015366 A KR20170015366 A KR 20170015366A KR 102003113 B1 KR102003113 B1 KR 102003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liding member
handle
hoo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470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1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를 개폐 조작하는 핸들 외부에 자동잠금장치의 구동 시 연동되는 개폐 여부 표식을 구비해줌으로써, 창짝의 잠김/열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짝(20)의 실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자동잠금장치(200)를 구성하는 구동기어(250)의 축공(251)과 연통되는 관통공(111)이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관통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121)이 내부 수납공간(S)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121)을 회전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창짝(20)을 개방 조작하는 외력 해제 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핸들부(120); 상기 삽입공(121)과 관통공(111)을 통해 일측이 축공(251)에 결합되고 타측은 피니언(131a)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S)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피니언(131a)과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래크(13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S)에 상기 구동축(131)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133)를 포함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133)의 표면에 위에서 아래 순서로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이 기재되며, 상기 구동기어(250)의 회동과 연동하는 슬라이딩부재(133)의 최종 이동위치에 따라 핸들부 커버(123)의 개구창(141)을 통해 상기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Handle assembly for window having function for confirming the open and close state}
본 발명은 창호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잠금장치가 구비된 창짝의 개폐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의 개구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개폐방법에 따라 미서기 창, 여닫이 창 등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 미서기 창(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문이 좌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미서기 창의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호용 자동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에 대하여 종래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9150호(공고일: 2013년04월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8025호(공개일: 2011년06월01일) 등으로 선출원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는 창틀프레임(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striker)(11)와,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0)에 설치되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스트라이커(11)의 걸림부에 자동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선회 조작되는 후크가 구비된 하드웨어(21)를 포함한다. 이 경우 후크는 로드를 매개로 핸들(23)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잠김/열림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자동잠금장치는 창짝(20)이 제대로 잠겼는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아 창짝(20)을 직접 밀어서 잠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호를 개폐 조작하는 핸들 외부에 자동잠금장치의 구동 시 연동되는 개폐 여부 표식을 구비해줌으로써, 창짝의 잠김/열림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는,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잠금장치의 잠김/열림 조작 시 핸들부와 연동되는 구동기어의 최종 회동각도가 잠김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 소정각도(θ) 서로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창짝의 개폐 여부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창호용 핸들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짝의 실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축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내부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을 회전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창짝을 개방 조작하는 외력 해제 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핸들부; 상기 삽입공과 관통공을 통해 일측이 축공에 결합되고 타측은 피니언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래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구동축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표면에 위에서 아래 순서로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이 기재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동과 연동하는 슬라이딩부재의 최종 이동위치에 따라 핸들부 커버의 개구창을 통해 상기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호를 개폐 조작하는 핸들 외부에 자동잠금장치의 구동 시 연동되어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구비해줌으로써, 창짝의 잠김/열림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잠금장치가 구비된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와 자동잠금장치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의 조립구조 및 창짝의 잠김/열림 조작 시 구동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잠금부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와 자동잠금장치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핸들조립체(100)는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열림 조작 시 핸들부와 연동되는 구동기어(250)의 최종 회동각도가 잠김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 소정각도(θ) 서로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외측에 창짝의 개폐 여부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창호용 핸들조립체(100)는 몸체부(110), 핸들부(120), 구동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10)는 창짝(20)의 실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부(110)에는 자동잠금장치(200)의 하드웨어 내에 구비된 구동기어(250)의 축공(251)과 연통되는 관통공(111)이 구비된다.
핸들부(120)는 내부 수납공간(S)에 몸체부(110)의 관통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121)이 구비되며, 삽입공(121)을 회전중심으로 창짝(20)의 개방 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컨대 핸들부(120)의 회동 각도는 40 ~ 50° 범위(바람직하게는 45°)로 설정된다.
아울러 핸들부(120)는 창짝(20)을 개방 조작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토션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된다. 즉 핸들부(120)는 최초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그리고 개방 조작이 완료된 후 핸들부(120)는 최초 위치인 수직방향으로 자동 원상복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30)는 핸들부(120)의 내부 수납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핸들부(120)의 회동 조작과 연동하면서 표시부(140)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삽입공(121)과 관통공(111)을 통해 일측이 축공(251)에 결합되고 타측은 피니언(131a)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수납공간(S)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피니언(131a)과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래크(13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수납공간(S)에 구동축(131)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1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부재(133)는 수납공간(S)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구동부(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핸들부 커버(123)의 개구창(141)을 통해 창짝(20)의 개폐 여부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0)는 슬라이딩부재(133)의 표면에 위에서 아래 순서로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이 기재되며, 상기 구동기어(250)의 회동과 연동하는 슬라이딩부재(133)의 최종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개구창(141)을 통해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 중 어느 하나를 외부로 표시해주게 된다.
즉 상기 표시부(140)는 창짝(20)이 잠김 설정된 경우 개구창(141)을 통해 '잠김(Close)' 표식이 표시된다. 그리고 핸들부(120)의 조작을 통한 창짝(20)의 열림 동작 시 구동기어(250)가 일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동됨과 동시에 이와 연동되는 슬라이딩부재(133)를 일정간격(t) 하강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창(141)을 통해 '열림(Open)' 표식이 표시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조립체(100)에는 창짝(20)이 잠긴 상태에서 핸들부(120)를 회동 조작하더라도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해주는 보조잠금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부(120)를 적은 힘으로 회동 조작하는 경우에도 창짝(20)의 개폐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심지어 유아나 어린이가 단순히 조작하는 경우에도 창짝(20)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보호자의 불안감이 증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부(120)에 보조잠금부(150)가 구비되어 핸들부(120)에 의도치 않은 회동조작이 가해지는 경우 핸들부(120)가 헛돌도록 함으로써,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잠금부(150)는, 핸들부(120)의 수납공간(S) 내에 슬라이딩부재(133)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51)와, 상기 가이드부재(151)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조작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접촉 또는 접촉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버튼(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작버튼(153)의 접촉부(153a)가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맞닿도록 조작되는 경우, 핸들부(120)의 회동 시 슬라이딩부재(133)의 위치가 고정(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불가)되어 래크(133a)와 치합된 피니언(131a)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서와 같이 조작버튼(153)을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화살표 방향) 조작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의 회동 시 슬라이딩부재(133)가 구동가능지점(피니언을 회전시킬 수 있는 지점)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조작버튼(153)의 접촉부(153a)가 맞닿지 않아 슬라이딩부재(133)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래크(133a)가 피니언(131a)을 회전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핸들부(120)가 헛도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없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잠금부(150)는 조작버튼(153)이 슬라이딩부재(133) 상면(133b)과 접촉하도록 조작된 상태로, 핸들부(120)를 이용한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해제가 가능한 상태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잠금장치(20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해본다. 상기 자동잠금장치(200)는, 창틀프레임(10)(도 1 참조)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210)와, 슬라이딩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스트라이커(210)와 접촉되면서 걸림부(211)에 자동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창짝(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걸림 해제 시 원상복귀 될 수 있도록 걸림 반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후크(220)와, 후크(220)의 걸림 고정 시 후크(220)의 걸림턱(221) 내에 상승 안착되어 후크(220)의 걸림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걸림턱(221)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230)와, 후크(220)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230)에 로드(240)를 매개로 연동되게 설치되며 로드(240)의 래크부(241)에 치합되어 일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시 스토퍼(23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걸림을 해제시켜주는 구동기어(250)와, 구동기어(250)를 일방향(창짝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 조작해주는 핸들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자동잠금장치(200)는 창짝(20)을 닫아주는 조작만으로 잠김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자동잠금장치(200)의 열림 조작 시에는 핸들부(120)를 창짝(2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해야 한다.
즉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도 8 참조), 후크(220)는 스트라이커(210)와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걸림부(211)에 자동으로 걸림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자동잠금장치(200)의 하드웨어에 구비된 푸시버튼(243)이 창틀프레임(10)의 내주면과 맞닿아 눌리게 되면서 고정이 해제된 로드(240)가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도 9의 (a)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푸시버튼(243)은 하드웨어 내에 스프링(245)을 매개로 창틀프레임(10) 측으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창짝(20)의 닫힘 시 푸시버튼(243)이 창틀프레임(10)의 내주면과 맞닿아 눌려지면서 걸림공(240a) 내에 걸림 고정되었던 푸시버튼(243)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로드(240)가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220) 측으로 스프링(231)을 매개로 탄성적으로 가압지지 되고 있던 스토퍼(230)는 걸림턱(221)에 안착되면서 후크(220)의 회동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준다.
이 경우 스토퍼(230)는 걸림턱(221)에 안착되면서 일정간격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스토퍼(230)와 로드(240)를 매개로 연동되는 구동기어(250)는 'A' 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기어(250)가 'A'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됨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핸들조립체(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이 조작버튼(153)의 접촉부(153a)와 맞닿도록 일정간격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핸들부 커버(123)의 개구창(141)을 통해 '잠김(Close)' 표식이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창짝(20)의 개방 조작 시에는, 핸들부(120)를 창짝(20)의 개방방향('B' 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에 따라 구동축(131)의 피니언(131a)이 함께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도 12에서와 같이 구동기어(250)가 'B' 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되고, 구동기어(250)와 로드(240)를 매개로 연동되는 스토퍼(230)는 일정간격 하강하게 되면서 후크(220)의 걸림턱(221)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이 순간 후크(220)는 토션스프링(2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동복귀하면서 스트라이커(210)로부터 걸림 고정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창짝(2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이때 스토퍼(230)는 일정간격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230)와 로드(240)를 매개로 연동되는 구동기어(250)는 'B' 방향으로 소정각도(θ) 회전된 후 푸시버튼(243)에 의해 회전된 상태가 고정된다. 즉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핸들부(120)의 선회조작과 연동되어 하강된 로드(240)의 걸림공(240a) 내에 스프링(2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는 푸시버튼(243)이 걸림 고정되고(도 9의 (b) 참조), 이에 따라 로드(240)의 하강된 위치가 고정되면서 이와 연동되는 구동기어(250) 역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창짝(20)의 개방이 완료되어 핸들부(120)에 가해지던 외력이 해제되고 나면, 스프링(미도시)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핸들부(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면서 원상복귀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기어(250)는 'B' 방향(도 12 참조)으로 소정각도(θ)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피니언(131a)도 회전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도 13의 (b)에서와 같이 핸들부(120)가 원상복귀됨과 동시에 고정된 피니언(131a)과 연동되는 슬라이딩부재(133)가 일정간격(t)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핸들부 커버(123)의 개구창(141)을 통해 '열림(Open)' 표식이 표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창틀프레임 20 : 창짝
100 : 창호용 핸들조립체 110 : 몸체부
111 : 관통공 113 : 가이드레일
120 : 핸들부 121 : 삽입공
123 : 커버 130 : 구동부
131 : 구동축 131a : 피니언
133 : 슬라이딩부재 133a : 래크
133b : 상면 140 : 표시부
141 : 개구창 150 : 보조잠금부
151 : 가이드부재 153 : 조작버튼
153a : 접촉부 200 : 자동잠금장치
210 : 스트라이커 211 : 걸림부
220 : 후크 221 : 걸림턱
230 : 스토퍼 231 : 스프링
240 : 로드 240a : 걸림공
241 : 래크부 243 : 푸쉬버튼
245 : 스프링 250 : 구동기어
251 : 축공 S : 수납공간

Claims (6)

  1.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열림 조작 시 핸들부와 연동되는 구동기어(250)의 최종 회동각도가 잠김 상태와 열림 상태에서 소정각도(θ) 서로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외측에 창짝(20)의 개폐 여부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 창호용 핸들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짝(20)의 실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250)의 축공(251)과 연통되는 관통공(111)이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관통공(111)과 연통되는 삽입공(121)이 내부 수납공간(S)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121)을 회전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창짝(20)을 개방 조작하는 외력 해제 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핸들부(120);
    상기 삽입공(121)과 관통공(111)을 통해 일측이 축공(251)에 결합되고 타측은 피니언(131a)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S)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피니언(131a)과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래크(13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공간(S)에 상기 구동축(131)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133)를 포함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133)의 표면에 위에서 아래 순서로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이 기재되며, 상기 구동기어(250)의 회동과 연동하는 슬라이딩부재(133)의 최종 이동위치에 따라 핸들부 커버(123)의 개구창(141)을 통해 상기 '열림(Open)'과 '잠김(Close)' 표식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한 표시부(140);를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33)는,
    상기 수납공간(S)의 내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인 창호용 핸들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조립체는,
    상기 창짝(20)이 잠긴 상태에서 핸들부(120)를 회동 조작하더라도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설정해주는 보조잠금부(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잠금부(150)는,
    상기 핸들부(120)의 수납공간(S) 내에 슬라이딩부재(133)의 슬라이딩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51);
    상기 가이드부재(151)에 슬라이딩 결합되되 조작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접촉 또는 접촉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버튼(153);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버튼(153)을 슬라이딩부재(133)의 상면(133b)과 접촉하지 않도록 조작한 경우, 상기 핸들부(120)의 회동 시 슬라이딩부재(133)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래크(133a)가 피니언(131a)을 회전시킬 수 없어 상기 자동잠금장치(200)의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한 것인 창호용 핸들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장치(200)는,
    창틀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210);
    슬라이딩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스트라이커(210)와 접촉되면서 자동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창짝(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걸림 해제 시 원상복귀 될 수 있도록 걸림 반대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후크(220);
    상기 후크(220)의 걸림 고정 시 걸림턱(221) 내에 일정간격 상승 안착되어 후크(220)의 걸림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221) 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토퍼(230);
    상기 후크(220)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230)에 로드(240)를 매개로 연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로드(240)의 래크부(241)에 치합되어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23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걸림을 해제시켜주는 구동기어(250); 및
    상기 구동기어(250)를 회동 조작해주는 핸들부(120);를 포함하는 창호용 핸들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장치(200)는,
    상기 창짝(20)의 닫힘 시 창틀프레임(10) 내주면과 맞닿아 눌림 조작되고, 상기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핸들부(120)의 선회조작과 연동되어 하강된 로드(240)의 걸림공(240a) 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245)을 매개로 탄성지지되는 푸시버튼(24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창짝(20)의 개방 시 로드(240)와 연동되는 구동기어(250)의 회동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인 창호용 핸들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후크(220)가 창틀프레임(10)의 스트라이커(210)와 접촉되어 회동 걸림됨과 동시에, 상기 후크(220)의 걸림턱(221)에 스토퍼(230)가 일정간격 상승 안착되면서 후크(220)의 회동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주고, 상기 스토퍼(230)의 상승과 연동되는 슬라이딩부재(133)가 일정간격(t) 상승하면서 상기 개구창(141)을 통해 '잠김(Close)' 표식이 표시되고,
    상기 창짝(20)의 개방 조작 시, 상기 핸들부(120)를 'B'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후크(220)의 걸림턱(221)에 안착되었던 스토퍼(230)가 일정간격 하강하면서 걸림턱(221)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후크(22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동복귀하면서 스트라이커(210)로부터 걸림 고정이 해제되어 창짝(20)의 개방이 가능해지며, 상기 핸들부(120)에 가해지던 외력 해제 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핸들부(120)가 'A' 방향으로 소정각도 원상복귀됨과 아울러, 상기 'B'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된 상태로 고정된 피니언(131a)과 연동되는 슬라이딩부재(133)가 일정간격(t) 하강하면서 상기 개구창(141)을 통해 '열림(Open)' 표식이 표시되는 것인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170015366A 2017-02-03 2017-02-03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03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66A KR102003113B1 (ko) 2017-02-03 2017-02-03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66A KR102003113B1 (ko) 2017-02-03 2017-02-03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470A KR20180090470A (ko) 2018-08-13
KR102003113B1 true KR102003113B1 (ko) 2019-07-23

Family

ID=6325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66A KR102003113B1 (ko) 2017-02-03 2017-02-03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18B1 (ko) * 2018-08-23 2022-11-29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CN114856358B (zh) * 2022-05-05 2024-04-05 佛山市唯楚智能科技有限公司 可自清理杂质的智能窗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130B2 (ja) 2008-01-24 2012-12-26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引戸の施錠装置
KR101685770B1 (ko) 2014-11-27 2016-12-13 주식회사 공진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17B1 (ko) * 2014-10-08 2016-10-17 주식회사 윈스터 창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130B2 (ja) 2008-01-24 2012-12-26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引戸の施錠装置
KR101685770B1 (ko) 2014-11-27 2016-12-13 주식회사 공진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470A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979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US9109384B2 (e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US11927039B2 (en) Latch mechanism
MX2013011347A (es) Mecanismo de cierre.
KR200477585Y1 (ko) 록킹기능을 갖춘 창호 도어용 핸들장치
KR20180090471A (ko)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03113B1 (ko)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1793629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KR20080038667A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1787667B1 (ko) 안전 방충망 잠금장치
JP6251140B2 (ja) 施錠装置
KR101249150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
KR100999187B1 (ko) 리프트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73054Y1 (ko) 락킹 기능이 개선된 도어용 잠금장치
JP4659776B2 (ja) 建具
JP3906468B2 (ja) シャッター
KR101502779B1 (ko) 도어 로크핸들용 인디케이터장치
KR200455451Y1 (ko) 미닫이 창문의 잠금 장치
JP474363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そのラッチ装置を備えた建具
JP4082685B2 (ja) サッシ
CN206972001U (zh) 一种门窗防盗自动锁
JP4823712B2 (ja) シャッター
JPH0532603Y2 (ko)
JP6659426B2 (ja) 建具
JP2005105563A (ja) 開き窓の開閉体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