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70B1 -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70B1
KR101685770B1 KR1020140167512A KR20140167512A KR101685770B1 KR 101685770 B1 KR101685770 B1 KR 101685770B1 KR 1020140167512 A KR1020140167512 A KR 1020140167512A KR 20140167512 A KR20140167512 A KR 20140167512A KR 101685770 B1 KR101685770 B1 KR 10168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rotary gear
hol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785A (ko
Inventor
윤규중
윤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진
Priority to KR102014016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7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6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essentially defining a completely closed surface together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 입구를 밀폐시키는 패킹이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고, 패킹의 측면에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되면서 패킹의 좌/우측 너비가 작아질 경우 캐비닛 입구의 너비 또한 작아지므로 규격화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Board)와 장비의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어의 후면 한쪽 끝 부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작동 로드와 상측 바 및 하측 바를 설치하고, 작동 로드와 대응하는 핸들 하우징과 핸들이 도어 전면에 설치되며, 핸들 하우징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핸들의 내부에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작동 로드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 로드를 작동시키되, 회전기어는 핸들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에 밀착되면서 작동 로드와 상측 바 및 하측 바 또한 최대한 도어의 좌측에 밀착되어 패킹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하여 캐비닛 내부의 밀폐와 차폐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드 및 장비의 설치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비닛 도어록킹장치{Cabinet 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캐비닛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 입구를 밀폐시키는 패킹이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고, 패킹의 측면에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되면서 패킹의 좌/우측 너비가 작아질 경우 캐비닛 입구의 너비 또한 작아지므로 규격화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Board)와 장비의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어의 후면 한쪽 끝 부분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작동 로드와 상측 바 및 하측 바를 설치하고, 작동 로드와 대응하는 핸들 하우징과 핸들이 도어 전면에 설치되며, 핸들 하우징과 힌지축으로 결합하는 핸들의 내부에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작동 로드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 로드를 작동시키되, 회전기어는 핸들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에 밀착되면서 작동 로드와 상측 바 및 하측 바 또한 최대한 도어의 좌측에 밀착되어 패킹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하여 캐비닛 내부의 밀폐와 차폐 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드 및 장비의 설치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캐비닛의 내부에 복수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각각의 프레임에는 규격화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Board)나 장비를 설치하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된 보드(Board)나 장비에 습기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캐비닛 입구를 밀폐시키는 패킹이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캐비닛 입구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캐비닛은 내부에 다수의 보드(Board)나 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보드(Board)나 장비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캐비닛 입구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패킹의 좌/우측 너비 또한 크게 확보해야만 패킹이 캐비닛 입구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었으나,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패킹의 한쪽 끝 부분에는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되면서 패킹의 좌/우측 너비가 작아지면서 캐비닛 입구의 너비 또한 작아지므로 규격화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Board)와 장비의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록킹장치는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제20-0414961호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와 같이 도어의 후면에 핸들(160)과 연결되는 유닛 하우징(110)이 설치되고, 유닛 하우징(110)의 내측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측 바(200)가 하부에는 하측 바(300)가 설치되어 핸들(160)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바(200)와 하측 바(300)가 승강 작동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데, 여기서 유닛 하우징(110)과 상측 바(200)와 하측 바(300)는 모두 핸들(160)의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기 때문에 유닛 하우징(110)의 너비만큼 패킹의 좌/우측 너비가 작아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록킹장치 대부분이 핸들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모두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닛 하우징의 크기를 아무리 작게 설계를 한다고 하더라도 패킹의 너비는 핸들의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최대한 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도어록킹장치는 캐비닛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 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패킹의 너비가 작아짐으로 인하여 캐비닛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크게 제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4149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전면과 후면 한쪽 끝 부분에 설치되는 개폐수단과 잠금 및 해제수단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여 취급 및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패킹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의 회전기어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작동 로드는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고, 핸들과 회전기어는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힌지축으로 고정하며, 회전기어와 작동 로드는 핸들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최대한 밀착되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도어의 후면 내측 공간의 너비를 크게 활용하여 패킹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기어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핸들에 지지가 되고, 고정브라켓은 회전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가 가능하여 핸들과 작동 로드의 설치 위치를 작업조건에 따라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회전기어에 형성된 기어의 상부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고, 회전기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볼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핸들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핸들을 들어올리면 고정 볼이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볼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핸들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의 하측에 투시창과 키 실린더가 설치되고, 투시창과 키 실린더의 하단부에 키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핸들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을 형성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잠금 수납부에 보조 잠금 수단을 더 형성하여 핸들이 핸들 하우징에 닫힌 상태에서 핸들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 하우징의 하단부에 완충패킹을 설치하여 핸들이 핸들 하우징에 결합시 충격에 의해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는 캐비닛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도어의 측면에 핸들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핸들이 힌지축으로 결합하며, 상기 핸들의 전면 하측에 키 실린더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부 내측에 회전기어를 힌지축으로 결합하며, 상기 회전기어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측면에는 고정브라켓을 밀착시켜 핸들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볼트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핸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회전기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개폐수단; 및 상기 핸들의 회전기어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는 작동 로드를 도어의 후면에 설치하되, 상가 작동 로드는 도어의 후면 내측에 설치되는 패킹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도어의 측면 끝 부분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의 상부와 하부에 상측 바와 하측 바가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내부에 복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핸들과 회전기어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 로드의 상측 바와 하측 바가 승강 작동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도어의 전면과 후면 한쪽 끝 부분에 설치되는 개폐수단과 잠금 및 해제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취급 및 설치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 동시에 개폐수단에 설치된 핸들 가운데를 중심으로 최대한 좌측에 밀착되도록 잠금 및 해제수단의 작동 로드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후면 내측에 설치되는 패킹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핸들과 회전기어가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회전기어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는 작동 로드는 도어의 후면에 설치하되, 핸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기어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을 회전기어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느냐에 따라서 도어에 설치되는 핸들과 작동 로드의 위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의 하측에 투시창을 형성하고, 투시창의 하단부에 위치한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키 실린더의 잠금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핸들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기어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의 상부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회전기어의 회전을 단속하여 핸들이 열리는 각도를 제한하는 효과와, 회전기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 볼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핸들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고정 볼이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볼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핸들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여 핸들이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닫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잠금 수납부에 보조 잠금 수단을 더 형성하여 핸들이 핸들 하우징에 닫힌 상태에서 핸들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 하우징의 하단부에 완충패킹을 설치하여 핸들이 핸들 하우징에 결합시 충격에 의해 핸들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캐비닛과 도어의 정면에 본 발명이 설치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핸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핸들의 다른 실시 예의 분리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복수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부에는 규격화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나 장비들이 설치되며,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도어(11a)의 후면에는 패킹(11b)이 설치되고, 상기 패킹(11b)의 측면 끝 부분에는 도어(11a)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10)이 도어(11a)의 전면 좌측 끝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수단(10)과 대응되도록 도어(11a)의 후면에는 잠금 및 해제수단(20)이 설치되도록 크게 구성된다.
상기 도어(11a)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0)은, 상기 도어(11a)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설치되는 위치를 도어(11a)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데, 보편적으로는 도어(11a)의 좌측 끝 부분에 핸들 하우징(12)가 위치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바닥면에는 마감판(12c)이 설치되어 볼트(B)에 의해 도어(11a)에 고정되며,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상부 양 측면에는 축 구멍(12a)이 형성되어 후술할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힌지축(14)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상기 축 구멍(12a) 하단부에는 볼 고정홈(12b)이 형성되어 후술할 핸들(13)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핸들(13)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핸들(13)에 형성된 볼 구멍(13b)으로 돌출되는 고정 볼(19)이 볼 고정홈(12b)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핸들(13)의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핸들 하우징(12)에 힌지축(14)으로 결합하는 핸들(13)의 상부 양 측면에는 축 구멍(13a)과 볼 구멍(13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 구멍(13a)에 결합하는 힌지축(14)의 내측에는 회전기어(17)가 결합하여 핸들(13)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기어(17)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기어(17b)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17)의 기어(17b)는 핸들 하우징(12)의 마감판(12c)을 관통하여 후술할 작동 로드(21)와 기어식으로 맞물려 작동 로드(21)를 작동시키며, 상기 기어(17b)의 상부 끝 부분에는 스토퍼(17c)가 형성되어 핸들(13)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힌지축(14)에 결합한 회전기어(17)가 핸들(13)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17)의 측면에는 고정브라켓(18)가 밀착되어 핸들(13)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2e)에 볼트(B)로 고정되어 회전기어(17)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8)의 상부에는 힌지 홀(18a)이 형성되어 회전기어(17)에 결합한 힌지축(14)이 힌지 홀(18a)을 관통하여 핸들 하우징(12)의 축 구멍(12a)에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13)의 회전기어(17)에 형성된 스토퍼(17c)에 의해 핸들(13)의 회전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핸들(13)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17)의 내측에는 볼 구멍(17a)이 형성되고, 상기 볼 구멍(17a)에는 스프링(19a)과 고정 볼(19)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스프링(19a)은 고정브라켓(18)의 벽면과 밀착되어 스프링(19a)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 볼(19)은 핸들(13)의 측면에 형성된 볼 구멍(13b)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핸들(13)을 들어올리면 고정 볼(19)이 핸들 하우징(12)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핸들 하우징(12)의 내측에 형성된 볼 고정홈(12b)에 삽입되면서 핸들(13)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핸들(13)을 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고정 볼(19)이 볼 고정홈(12c)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탈하면서 핸들(13)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핸들(13)의 전면 하측에는 투시창(15)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15)은 핸들(13)의 내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시창(15)의 하측에는 키 실린더(16)가 결합하여 핸들(13)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키(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투시창(15)과 키 실린더(16)의 하단부에는 후술할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30)이 형성되어 투시창(15)을 통해서 키 실린더(16)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들 하우징(12)과 대응되도록 도어(11a)의 후면에 설치되는 잠금 및 해제수단(20)은, 상기 회전기어(17)의 기어(17b)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 로드(21)가 도어(11a)의 후면 좌측 끝 부분에 설치되어 볼트(B)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21)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22)가 형성되어 회전기어(17)의 기어(17b)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기어(17)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 로드(21)가 상/하부로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어(11a)의 후면에 설치되는 작동 로드(21)의 위치는 핸들(13)의 내부에 좌측에 설치되는 회전기어(17)의 위치와 대응되는 도어(11a)의 후면 좌측 끝 부분에 작동 로드(21)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특징이 있고, 상기 회전기어(17)는 핸들(13)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측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 로드(21) 또한 핸들(13)의 가운데 중심점을 넘어서 좌측으로 최대한 밀착되어 도어(11a)의 내측에 설치되는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11a)의 후면에 설치되는 패킹(11b)은 캐비닛(11)의 내부 입구를 밀폐시키는 중요한 기술로서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가 작아지게 되면 캐비닛(11)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다수의 보드나 장비의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많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로드(21)의 설치위치를 도어(11a)의 좌측 끝 부분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작동 로드(21)의 하단부에는 바닥프레임(24)이 설치되어 볼트(B)에 의해 도어(11a)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프레임(24)에 삽입되는 볼트(B)는 작동 로드(21)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된 장공홈(23)을 관통하여 도어(11a)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상/하부로 작동하는 작동 로드(21)는 볼트(B)를 기준으로 작동 로드(21)의 장공홈(23)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 로드(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측 바(25)와 하측 바(26)가 각각 볼트(B)로 고정되어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상측 바(25)와 하측 바(26)의 일단이 잠금 및 해제되면서 도어(11a)를 개폐시키며, 상기 상측 바(25)와 하측 바(26)의 일단에는 작업 조건에 따라서 롤러(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고정부재와 잠금 및 해제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키 실린더(16)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30)은, 상기 키 실린더(16)의 하단부에 실린더 축(31)이 돌출되고, 상기 실린더 축(31)의 둘레 면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잠금판(32)의 축삽입홀(33)이 삽입되어 실린더 축(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판(32)이 상/하로 승강 작동하며, 상기 키 실린더(16)의 측면에 위치한 핸들(13)의 내부에 인디게이터(34)와 탄성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잠금판(32)의 상부와 인디게이터(34)의 측면이 밀착되고, 상기 잠금판(32)과 인디게이터(34)의 바닥면에 가이드판(36)이 밀착되어 핸들(13)의 내측 상부에 볼트(B)로 고정되어 잠금판(32)과 인디게이터(34)가 핸들(13)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인디게이터(34)의 상부에는 키 실린더 잠금부(34a)와 해제부(34b)가 각각 빨간색과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실린더 축(31)의 회전에 의해 잠금판(32)이 상/하부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인디게이터(34)의 키 실린더 잠금부(34a)와 해제부(34b)가 투시창(15)을 통해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키 실린더(16)와 핸들(13)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키 실린더(16)의 잠금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후면 내측에는 잠금 홀(37)을 형성하여 잠금판(32)의 일단이 잠금 홀(37)에 잠금 및 해제되면서 키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핸들(13)의 잠금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내부에 잠금 수납부(45)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 수납부(45)에는 보조 잠금 수단(40)을 더 형성하여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조 잠금 수단(40)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 중앙에 잠금 수납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잠금 수납부(45)의 내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 고정부(45a)를 형성하며, 상기 볼트 고정부(45a)의 둘레 면에 잠금 플랜지(42)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홈(42a)이 삽입되어 볼트 고정부(45a)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후면에는 스프링(43)이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잠금 플랜지(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상부에 잠금 하우징(41)을 설치하되, 상기 잠금 하우징(41)의 내측에 삽입되는 볼트(B)는 볼트 고정부(45a)에 체결되어 잠금 플랜지(4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볼트 고정부(45a)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전면에 위치한 핸들(13)의 내측에 잠금 홀(44)을 형성하여 핸들(13)을 열거나 닫을 경우 상기 잠금 플랜지(42)가 잠금 홀(44)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전면은 잠금 홀(44)에 쉽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경사지게 경사면을 가지고 있며, 상기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서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서 핸들(13)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하부 내측에는 완충패킹(11b)을 설치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분리상태 사시도로서, 도어(11a)의 전면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00)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도어(11a)의 측면에 핸들 하우징(120)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상부에 형성된 축 구멍(120a)에 핸들(130)과 회전기어(170)를 힌지축(140)으로 결합하되, 상기 힌지축(140)에 결합된 회전기어(170)를 핸들(130)의 내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170)의 측면에 고정브라켓(18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80)은 핸들(13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20e)에 볼트로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프레임(120e)의 중앙에는 볼트 구멍(120f)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기어(170)가 핸들(13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더라도 고정브라켓(180)의 방향을 전환하면 고정브라켓(180)의 내부에 체결되는 볼트(B)가 볼트 구멍(120f)에 고정되어 회전기어(170)를 지지하면서 회전기어(170)의 설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도어(11a)에 설치되는 핸들 하우징(120)과 핸들(130)의 위치 또한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상기 회전기어(17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기어(170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170b)의 상부 끝 부분에는 스토퍼(170c)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할 작동 로드(210)의 기어(220)과 밀착되면서 핸들(130)의 회전하며,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바닥면에는 마감판(120c)이 결합하고, 상기 마감판(120c)의 내측에는 회전기어(170)가 도어(11a)의 후면까지 관통되어 후술할 작동 로드(210)와 결합하도록 구멍이 관통된다.
상기 회전기어(17)와 대응되도록 도어(11a) 후면에 설치되는 잠금 및 해제수단(200)은, 상기 핸들(130)의 회전기어(170)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어(11a)의 후면에 작동 로드(210)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 로드(210)의 내부에 복수의 기어(220)를 형성하여 회전기어(170)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며, 상기 기어(220)의 상부와 하부에 장공홈(230)를 형성하되, 상기 장공홈(230)은 작동 로드(21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바닥프레임(240)이 볼트(B)로 결합하면서 장공홈(230)을 관통하여 도어(11a)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210)의 상부와 하부에 상측 바(250)와 하측 바(260)가 볼트(B)로 고정되어 회전기어(17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 로드(210)와 상측 바(250) 및 하측 바(260)가 승강 작동하면서 도어(11a)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캐비닛 도어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통신장비와 같은 대형 캐비닛(11)의 내부에 다수의 보드나 장비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11a)의 전면에 결합한 핸들(13)의 투시창(15)을 통해서 키 실린더(16)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키 실린더(16)가 잠겨 있을 경우 키 실린더(16)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실린더 축(31)이 회전하면서 잠금판(32)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인디게이터(34)를 압입하면 투시창(15)을 통해서 인디게이터(34)의 하부에 위치한 키 실린더 해제부(34b)가 표시되어 작업자는 간편하게 키 실린더(16)의 해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가 핸들(13)을 들어올리면 핸들(13)의 볼 구멍(13b)으로 돌출된 고정 볼(19)이 핸들 하우징(12)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볼 고정홈(12b)에 삽입되면서 핸들(13)이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13)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기어(17)가 힌지축(14)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회전기어(17)의 기어(17b)가 작동록드(21)의 기어(22)와 맞물려서 작동 로드(2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 로드(21)의 작동에 의해 상측 바(25)와 하측 바(26)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캐비닛(11)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에서 상측 바(25)와 하측 바(26)가 이탈하면서 도어(11a)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상측 바(25)와 하측 바(26)의 내측에는 고정부재에 고정 및 이탈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러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기어(17)가 작동 로드(21)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회전기어(17)의 기어(17b)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17c)가 작동 로드(21)의 기어(22)와 밀착되면서 회전기어(17)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면, 캐비닛(11)의 입구에 다수의 보드나 장비의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있고, 장비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캐비닛(11)의 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해 도어(11a)를 닫아주면 도어(11a)의 후면에 형성된 패킹(11b)이 캐비닛(11)의 입구를 완벽하게 밀폐 및 차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어(11a)의 후면에 형성되는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작동 로드(21)가 도어(11a)의 후면 좌측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핸들(13)의 가운데 중심보다 좌측으로 더 밀착되기 때문에 종래의 도어록킹장치가 핸들의 가운데 중심보다 우측으로 크게 설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캐비닛(11) 입구를 좁게 형성함으로써 보드나 장비의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캐비닛(11)의 입구를 도어(11a)로 밀폐시킨 다음 핸들(13)을 핸들 하우징(1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핸들(13)의 내측에 형성된 잠금 홀(44)이 핸들 하우징(12)의 잠금 수납부(45)에 수납되면서 잠금 플랜지(42)가 잠금 홀(44)에 삽입되어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잠금 플랜지(42)는 잠금 하우징(41)에 고정된 볼트(B)가 장공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스프링(43)을 압입 및 해제하면서 잠금 플랜지(42)가 핸들(13)의 잠금 홀(44)에서 삽입 및 분리되면서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서 고정 및 분리된다.
상기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키 실린더(16)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실린더 축(31)이 회전하면서 잠금판(32)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인디게이터(34) 또한 탄성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투시창(15)에 키 실린더 잠금부(34a)가 표시되어 작업자가 키 실린더(16)가 잠금 상태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잠금판(32)은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핸들 하우징(12)의 잠금 홀(37)에 삽입하면서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핸들(13)의 회전기어(17)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는 작동 로드(21)의 설치 위치와 관련하여 핸들(13)의 가운데를 중심점으로 최대한 좌측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핸들(13)과 회전기어(17) 및 고정브라켓(18)의 구조를 개선한 특징과, 상기 회전기어(17)가 설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고정브라켓(18)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의 작업 조건에 따라서 핸들(13)을 도어(11a)에 우측에 설치할 경우에도 회전기어(17)와 작동 로드(21)는 도어(11a)의 우측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도어록킹장치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100: 개폐수단 11: 캐비닛
11a: 도어 11b: 패킹
12, 120: 핸들 하우징 12a, 120a: 축 구멍
12b: 볼 고정홈 12c, 120c: 마감판
12d: 완충패킹 12e, 120e: 고정프레임
13, 130: 핸들 13a, 130a: 축 구멍
13b: 볼 구멍 14, 140: 힌지축
15: 투시창 16: 키 실린더
17, 170: 회전기어 17a: 볼 구멍
17b, 170b: 기어 17c, 170c: 스토퍼
18, 180: 고정브라켓 18a, 180a: 힌지홀
19: 고정 볼 19a: 스프링
20, 200: 잠금 및 해제수단 21, 210: 작동 로드
22, 220: 기어 23, 230: 장공홈
24, 240: 바닥프레임 25, 250: 상측 바
26, 260: 하측 바 30: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
31: 실린더 축 32: 잠금판
33: 축 삽입홀 34: 인디게이터
34a: 키 실린더 잠금부 34b: 키 실린더 해제부
35: 탄성스프링 36: 가이드판
37: 잠금 홀 40: 보조 잠금 수단
41: 잠금 하우징 42: 잠금 플랜지
42a: 장공홈 43: 스프링
44: 잠금 홀 45: 잠금 수납부
B: 볼트

Claims (10)

  1. 캐비닛(11)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도어(11a)의 측면에 핸들 하우징(12)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핸들(13)의 상부 양 측면에 축 구멍(13a)과 볼 구멍(13b)을 형성하며, 상기 축 구멍(13a)에 결합하는 힌지축(14)의 내측에 회전기어(17)를 결합하여 핸들(13)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기어(17)의 내부에 형성된 볼 구멍(17a)에 고정 볼(19)과 스프링(19a)을 설치하면 고정 볼(19)이 핸들(13)의 볼 구멍(13b)으로 돌출되어 핸들(13)을 들어올리면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내측에 형성된 볼 고정홈(12b)에 삽입되어 핸들(13)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회전기어(17)의 하단부에 형성된 기어(17b)의 상부 끝 부분에 스토퍼(17c)를 형성하여 회전기어(17)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기어(17)의 측면에는 고정브라켓(18)을 밀착시켜 핸들(13)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2e)에 볼트(B)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브라켓(18)은 핸들(13)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기어(17)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8)은 회전기어(17)와 밀착되어 고정 볼(19)의 스프링(19a)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8)의 상부에 힌지 홀(18a)을 형성하여 힌지축(14)이 힌지 홀(18a)을 관통하여 핸들 하우징(12)의 축 구멍(12a)에 결합하고, 상기 핸들(13)의 전면 하측에 키 실린더(16)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5)을 설치한 개폐수단(10); 및
    상기 핸들(13)의 회전기어(17)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하는 작동 로드(21)를 도어(11a)의 후면에 설치하되, 상가 작동 로드(21)는 도어(11a)의 후면 내측에 설치되는 패킹(11b)의 좌/우측 너비를 크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도어(11a)의 측면 끝 부분에 밀착되어 볼트(B)로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21)의 상부와 하부에 상측 바(25)와 하측 바(26)가 볼트(B)로 고정되며, 상기 작동 로드(21)의 내부에 복수의 기어(22)가 형성되어 핸들(13)과 회전기어(17)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작동 로드(21)의 상측 바(25)와 하측 바(26)가 승강 작동하면서 도어(11a)를 개폐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3)의 하측에는 투시창(15)이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15)의 하단부에 키 실린더(16)가 설치되며, 상기 투시창(15)과 키 실린더(16)의 하단부에는 키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핸들(13)이 잠금 및 해제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30)을 형성하되, 상기 핸들 잠금 및 해제표시수단(30)은 상기 키 실린더(16)의 하부에 실린더 축(31)이 돌출되고, 상기 실린더 축(31)에 판상으로 이루어진 잠금판(32)의 축삽입홀(33)이 삽입되며, 상기 키 실린더(16)의 측면에 위치한 핸들(13)의 내부에 인디게이터(34)와 탄성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잠금판(32)과 밀착되고, 상기 잠금판(32)과 인디게이터(34)의 바닥면에 가이드판(36)이 밀착되어 핸들(13)의 내측 상부에 볼트(B)로 고정되며, 상기 인디게이터(34)의 상부에는 키 실린더 잠금부(34a)와 해제부(34b)가 형성되어 실린더 축(31)의 회전에 의해 잠금판(32)이 상/하부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인디게이터(34)를 작동시켜 투시창(15)을 통해서 키 실린더(16)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3)이 핸들 하우징(12)에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핸들 하우징(12)의 후면 내측에는 잠금 홀(37)이 형성되어 잠금판(32)이 내부에 삽입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 하우징(12)의 바닥면에는 마감판(12c)이 설치되고, 상기 마감판(12c)의 내측에는 회전기어(17)가 돌출되며,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하부 내측에는 완충패킹(11b)이 볼트(B)로 고정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의 중앙 내측에는 잠금 하우징(41)과 잠금 플랜지(42)로 이루어진 보조 잠금 수단(40)을 더 구비하여 핸들(13)이 닫힌 상태에서 잠금 플랜지(42)가 핸들(13)의 내측에 형성된 잠금 홀(44)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 수단(40)은 핸들 하우징(12)의 중앙에 잠금 수납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잠금 수납부(45)에 볼트 고정부(45a)가 돌출되며, 상기 볼트 고정부(45a)의 둘레 면에 잠금 플랜지(42)의 내측에 형성된 장공홈(42a)을 삽입하고,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후면에 스프링(43)이 설치되어 잠금 플랜지(42)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상부에 잠금 하우징(41)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하우징(41)의 내측에 삽입되는 볼트(B)는 볼트 고정부(45a)에 고정되어 잠금 플랜지(4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잠금 플랜지(42)의 전면에 위치한 핸들(13)의 내측에 잠금 홀(44)을 형성하여 핸들(13)을 열거나 닫을 경우 상기 잠금 플랜지(42)가 잠금 홀(44)에 삽입 및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해제수단(20)은 상기 작동 로드(21)의 하부에 밀착되는 바닥프레임(24)에 볼트(B)가 삽입되어 작동 로드(21)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된 장공홈(23)을 관통하여 도어(11a)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21)는 장공홈(23)에 위치한 볼트(B)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 로드(21)의 중앙에 복수의 기어(22)가 형성되어 회전기어(17)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직선운동하고, 상기 작동 로드(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측 바(25)와 하측 바(26)가 볼트(B)로 고정되어 작동 로드(21)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도어(11a)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9. 캐비닛(11)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도어(11a)의 측면에 핸들 하우징(120)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상부에 형성된 축 구멍(120a)에 핸들(130)과 회전기어(170)를 힌지축(140)으로 결합하되, 상기 힌지축(140)에 결합된 회전기어(170)를 핸들(130)의 내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할 수 있도록 회전기어(170)의 측면에 고정브라켓(18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80)은 핸들(13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20e)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17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기어(170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170b)의 상부 끝 부분에는 스토퍼(170c)가 일체로 형성되어 핸들(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수단(100); 및
    상기 핸들(130)의 회전기어(170)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어(11a)의 후면에 작동 로드(210)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 로드(210)의 내부에 복수의 기어(220)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220)의 상부와 하부에 장공홈(230)를 형성하되, 상기 장공홈(230)은 작동 로드(21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바닥프레임(240)이 볼트(B)로 결합하면서 장공홈(230)을 관통하여 도어(11a)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 로드(210)의 상부와 하부에 상측 바(250)와 하측 바(260)가 볼트(B)로 고정되어 회전기어(170)의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 로드(210)와 상측 바(250) 및 하측 바(260)가 승강작동하면서 도어(11a)를 개폐시키는 잠금 및 해제수단(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80)의 상부에는 힌지축(14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힌지홀(180a)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13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20e)의 중앙에는 볼트 구멍(120f)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기어(170)가 핸들(13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더라도 고정브라켓(180)의 방향을 전환시키면 고정브라켓(180)의 내부에 체결되는 볼트(B)가 볼트 구멍(120f)에 고정되어 회전기어(170)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바닥면에는 마감판(120c)이 결합되고, 상기 마감판(120c)의 내측에는 회전기어(170)가 도어(11a)의 후면까지 관통되어 작동 로드(210)와 결합되도록 구멍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KR1020140167512A 2014-11-27 2014-11-27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KR10168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2A KR101685770B1 (ko) 2014-11-27 2014-11-27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512A KR101685770B1 (ko) 2014-11-27 2014-11-27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85A KR20160063785A (ko) 2016-06-07
KR101685770B1 true KR101685770B1 (ko) 2016-12-13

Family

ID=5619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12A KR101685770B1 (ko) 2014-11-27 2014-11-27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71A (ko) * 2017-02-03 2018-08-13 (주)엘지하우시스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180090470A (ko) * 2017-02-03 2018-08-13 (주)엘지하우시스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210053724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공진 도어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1063A1 (en) * 2017-04-28 2018-11-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inet including door locking indicator
KR101951708B1 (ko) * 2017-06-16 2019-04-29 (주)다우솔루션 창문잠금장치
CN109826495B (zh) * 2019-03-07 2023-10-24 宁波市维特建筑五金有限公司 一种门窗传动锁闭器
KR102596884B1 (ko) * 2023-02-21 2023-11-01 서우산업 주식회사 사물함 잠금장치
CN117412576B (zh) * 2023-11-09 2024-05-28 慧业中科(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液冷定温电磁屏蔽机柜
CN117559249B (zh) * 2024-01-12 2024-04-30 帝凯(福建)电力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环网柜的安全闭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226A (ja) * 2001-06-11 2002-12-18 Takigen Mfg Co Ltd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475251Y1 (ko)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공진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440Y1 (ko) * 1997-06-02 2000-05-01 다키모토 히데아키 문용 록핸들장치
KR200414961Y1 (ko) 2006-02-03 2006-05-02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
KR101504179B1 (ko) * 2013-04-25 2015-03-19 주식회사 공진 도어용 로크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226A (ja) * 2001-06-11 2002-12-18 Takigen Mfg Co Ltd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475251Y1 (ko)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공진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471A (ko) * 2017-02-03 2018-08-13 (주)엘지하우시스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180090470A (ko) * 2017-02-03 2018-08-13 (주)엘지하우시스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03113B1 (ko) 2017-02-03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개폐 여부 표식이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102042311B1 (ko) 2017-02-03 2019-11-07 (주)엘지하우시스 보조잠금부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조립체
KR20210053724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공진 도어록킹장치
KR102362110B1 (ko) * 2019-11-04 2022-02-11 주식회사 공진 도어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85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770B1 (ko) 캐비닛 도어록킹장치
CA2830421C (en) Locking mechanism
US6925758B2 (en) Forced entry resistance device for sash window assembly
RU2662696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как минимум, подъёмной, 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также и пере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KR101946873B1 (ko) 미닫이 여닫이 겸용 복합 도어
KR101417297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WO2006094368A1 (en) Locking mechanism
KR101697873B1 (ko) 도어록킹장치
JP3131366U (ja)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装置
KR20090070016A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개폐식 소통창이 구비된 방범도어
KR102133349B1 (ko) 도어형과 서랍형 수납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도어락 장치
CA2126524A1 (en) Latch guard for center hung doors
EP3280665B1 (en) Accessible elevator buffer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570820B1 (ko) 방수 도어
CN107120006B (zh) 一种自锁式窗户
EP3918158B1 (en) Clos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and window and door
JP2016145101A (ja) 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KR200411039Y1 (ko) 창호용 스트라이커 위치안내구
CN207367820U (zh) 一种具有接地保护的中置柜门板联锁装置
CN104847171B (zh) 一种便于升级的机械电子锁
KR102362110B1 (ko) 도어록킹장치
CN108625747B (zh) 机器的防护罩
EP0494758B1 (en) A locking device
EP3918162B1 (en) Clos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